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율주행 자동차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분 자율주행 자동차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낙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미래 생활의 변화를 가져올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 미래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가정하여 진행된 가상적 연구이거나 일부 자율주행 기술의 적용에 관한 한정적인 수준이었다. 본 연구는 운전 보조 수준 자율주행 자동차(PAV)를 사용해 본 사용자들이 더 진화된 수준의 자율주행 자동차(FAV)의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자율주행 자동차라는 최신 기술의 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을 위하여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본으로 종속변수는 사용 의도,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변수를 설정하였다. 혁신확산이론(IDT)에서는 혁신확산의 변수로 상대적 이점, 사용자 혁신성을 설정하였고, TOE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자동차의 특성을 반영한 자율주행 기술, 보안 기술, 자기 효능감, 가격, 인프라, 신뢰성 등을 독립변수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로 상대적 이점, 사용자 혁신성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어 기존 사용 경험에 기반을 두어 진화하는 자율자동차의 기능에 관한 관심, 사용해보고 싶은 욕구, 실제 사용으로 인한 만족감이 큰 상태였다. 이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나온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나올 자율주행 자동차가 가져 다 줄 더 나은 서비스, 정확한 기능, 예측 가능한 운전, 충분한 검증 및 교통사고 감소의 신뢰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다. 가격 요인은 최근에 등장한 자율자동차 기능을 가진 차량의 경우 신차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고 편의 및 안전 효과가 커서 가격에 대한 저항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물 인식, 조향, 경로 탐색, 긴급 상황, 명령 및 제어 등 자율주행 기술로 인하여 자동차의 운행이 더 쉬워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보조주행 기술에 대한 경험으로 사용자의 자기 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인프라는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 인프라가 더 지능화되고 정밀한 지도가 제공되고 차량 간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진다면 더 즐겁게(Pleasure)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어서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 관련 보안기술은 현재 상용화된 자율자동차에 개인정보 영향력이 낮아 기각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현재 자율자동차 사용자들은 객관적(자율주행 기술, 인프라, 신뢰성, 가격), 주관적(상대적 이점, 사용자 혁신성, 자기 효능감)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다. 3단계 자율자동차 기능을 탑재한 차량이 실용화되면서 운전자는 단계별 적용 기술에 의해 얼마나 운전이 쉬워지고 편리해지는지를 실제로 느끼고 있다. 따라서 현재 기술이 적용되거나 곧 등장할 기술에는 긍정적이나 몇 년 후의 기술(차내 개인정보보호 기술, 차량 내 오락 및 유희 기술)에는 아직 관심이 적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차량 간의 실제 네트워크를 통한 소통이 증가하고, 도로 인프라를 포함한 차량 관제센터 간의 연결, 데이터 교환에 의한 차량 운행 및 편의 기능이 발전하여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면 차량 사용자는 보안, 오락 등에 관심이 늘어날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ntention to use fully autonomous vehicles that will change the lives of the future, but most have been limited by the application of some safety technologies or hypothetical studies that assume the futu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users' intention to use autonomous vehicles at the more advanced level (FAV) by using autonomous vehicles at the driving assistance level (PAV).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latest technology of autonomous vehicl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parameters based on the intention to use,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usefulnes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DT), relative advantages and user innovation were set as variables of innovation diffusion, and using the TOE framework,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security technology, self-efficacy, price, infrastructure, and reliabilit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vehicles And other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lative advantage and user innovation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so the interest in the functions of the autonomous vehicle that evolves based on the existing experience, the desire to use, and the satisfaction from actual use are large. It was in a state. This shows the same results as those from previous studies. It has a positive impact in terms of better service, accurate function, predictable driving, sufficient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that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will bring. As for the price factor, in the case of a vehicle with autonomous vehicle function, the price of a new car is not relatively high, and convenience and safety effects are large, so the resistance to price is not larg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ies such as object recognition, steering, route navigation, emergency situations, command and control, etc. make the operation of automobiles easier. The user's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through experience with such assisted driving technology. The infrastructu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If the road infrastructure became more intelligent, more precise maps were provided, and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was made, it was found that the vehicle could be used more pleasantly, which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ceived usefulness. However,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as dismissed due to the lack of influence on personal information of commercial autonomous vehic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utonomous vehicle users are satisfied objectively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nfrastructure, reliability, price) and subjectively (relative advantage, user innovation, self-efficacy). As a vehicle equipped with a 3-level autonomous vehicle function becomes practical, the driver actually feels how easy and convenient driving is by the step-by-step application technology.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although the current technology is applied or is coming soon, it is positive for the technology that is coming out a few years later (in-ca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y, in-vehicle entertainment and entertainment technology). Increased communication through the actual network between vehicles, and vehicle operation and convenience functions by data exchange by connection between vehicle control centers including road infrastructure increase, so that the vehicle must be in a state where you can put your hands on the steering wheel and do other things. Users will be interested in security, entertainment, etc.

      • 산학정 협력에 관한 연구 : IT 부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낙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우수한 IT 인력의 양성은 국가경쟁력과 연결되는 중요한 과제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IT학과 증설에 의한 IT 인력의 양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산업체가 필요한 인력을 구하지 못해 발생하는 IT 인력의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정부는 2004년 대학 IT전공과목 개편과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산학협력에 대한 논의에 앞서 순수연구와 학문발전의 기능을 맡던 대학이 기업, 정부와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생산과 실용중심의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산학협력에 대한 대표적 접근법은 유럽이나 북미의 성공적인 클러스터를 모델화하여 접목하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집적된 산학연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부각하였으나 참여 주체간 비공식적 상호의존성과 제도적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특히 인력양성측면 접근은 더욱 어려웠다. 이후 등장한 삼중나선 모델은 혁신적인 기술, 지식, 산학정 사이의 삼중나선 구조가 형성될 때 새로운 지식기반 경제의 원천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지식생산을 대학, 산업체, 정부가 어우러진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세 주체가 환경과 대화하면서 더욱 모델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혁신적 지식생산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은 IT부문에서 진행한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델이다. 거버넌스는 정책 주변의 계층 및 계층간 관계를 설명해 준다. 90년대 정보화가 급진전되면서 IT인력의 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정부는 IT인력의 확보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양적 확대를 이루어냈다. 하지만 양적확대에도 불구하고 산업체에서는 필요한 인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숙련불일치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의 해결을 위해 정부는 교과과정 개편 및 산학협력을 강화한 수요지향적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산학협력 관련 해외사례로 본 논문에서는 IT인력양성 모범사례로 손꼽는 핀란드의 Polytechnic, 스웨덴의 IT University, 캐나다 워털루 대학의 프로그램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핀란드, 스웨덴은 정부주도형이고 캐나다는 대학주도형이지만 모두 학부중심의 엔지니어를 개발하기 위해 실무교육을 강화한 사례이다. IT부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어떠한 이유에서 과거의 산학협력 정책과 다르게 지금까지 발전할 수 있었을까?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점차적으로 개선하면서 발전해 왔는데 이러한 발전에 각 행위자들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본 논문에서는 각 행위자의 역할을 삼중 나선구조(Triple Helix) 모델 관점에서 접근하려 한다. 인력양성에 참여한 행위자들은 자신의 고유영역에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제도 개선을 위해서 서로의 영역에 중첩되어 활동하였다. 산업체 대표기관인 정보산업연합회는 기존의 역할을 넘어서 프로그램 전체를 관리 집행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산업체와 대학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었고, 대학은 교과목 개편과 IT멘토링을 통한 실무형 프로젝트로 산업체 전문가, 교수, 학생이 상호 교류하여 성과를 촉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그 결과로서 산학협업 IT멘토링 제도가 발전하게 되었고, 최초 목적하였던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취업 증가에 기여했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 요지이다. 그동안 산학협력에 대한 논의는 많았지만, 대부분 혁신이론이나 클러스터 이론을 이용한 산학협력의 연구증진이나 기술이전에 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인력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설명하기 보다는 삼중 나선구조 모델의 접근법으로 참여주체가 프로그램을 진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역할 변화 및 개선을 어떻게 이루어 갔는지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정부나 대학중심의 산학협력이 아닌 각 행위자의 움직임을 통해 제도의 발전을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utilization of Triple Helix Model about human resource policy in IT sector by examining the policy deployment procedure executed by the program of Korea government organization that was specifically set up to promote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collaborations. The case study provides a starting point, and additional case examinations will confirm the role of industry association and university capabilities in facilitating performance by way of knowledge generation and transfer between actors. The paper demonstrates that Industry Association, the traditional role over the entire program management to enforce, acts as an industry-universities coordinator. The university reform both the curriculum and the IT Mentoring projects. Industry experts, professors and students has contributed to promote the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analysis show that Actor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program in the triple point, had changed the roles and improved the results​.

      • 공익캠페인에 대한 수용자 인식 조사 :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이낙선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 사회는 가치관의 급격한 변화로 개인주의가 만연함으로써 사회 전 반에 걸쳐 갈등과 반목이 공동체 사회의 공익과 질서를 파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부익부 빈익빈의 격차와 계층 간의 갈등은 날이 갈수록 더 심화되고 사회 전반에 걸친 도덕성 결핍은 공동체 사회를 위협 하고 있다. 예컨대, 환경파괴, 음주운전, 청소년 흡연, 학생폭력 등 여러 계층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할 것인가를 심각히 고민하고 그 해결책 을 여러 방향에서 탐색하고 접근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공익광고는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고’라는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이용해 만들어진 것이다. 공익광고는 다원화되는 사회에서 점점 허물어져 가는 공공의식을 살리고, 건전한 정신 문화를 복 돋우며 국민들의 의식수 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매우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상업광고와 대비되는 또 하나의 장르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도 공익광고가 계몽적인 차원에서 기여한 바가 크 고 표현 방법 등에 있어서도 많이 세련되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궁극 적인 목표인 국민계몽을 달성하기에서는 미흡했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 다. 공익광고가 한국에서 첫 방송을 시작한지 20여 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 우리가 매일 접하면서도 쉽게 지나쳐버리기 쉬운 공익광고에 대해 살펴보 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과연 공익광고 수용자들은 매 일 쏟아져 나오는 공익광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수용자들 이 원하는 공익광고의 주제는 어떤 것인지, 수용자들의 공감을 얻기 위한 공익광고의 메시지 표현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지, 우리나라 공익광고의 개선점은 무엇인지 등을 수용자 조사를 통해 알아봄으로써 한국 공익광고를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공익 광고의 목적이 다수 수용자의 공동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목표대상인 수용자들이 현재의 공익광고를 어떻게 인식, 평가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방법, 매체, 주제 등 공익광고가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공익광고가 안고 있는 문제들은 역사로 인한 경 험 부족에서 오는 문제들이 대부분이지만, 사회 전반적인 공익광고의 중 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이에 따른 공익광고에 대한 연구의 빈곤이 이를 가중시키고 있다 하겠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공익 광고 연구들은 공익광고의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문헌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수용자들 의 공익광고에 대한 인식이나 평가, 아울러 공익광고의 효과와 관련된 요 인들을 밝히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둘째, 공익광고의 수용자인들에게 공익광고 수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은 무엇인지 알아봄으로써 실제 공익광 고 제작시 계층별, 시간별, 세대별 차별화 등 수용자들에게 어떤 소구방법 이 더 효과가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乳房癌에서 骨髓微細轉移와 腫瘍내 血管新生度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낙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311

        유방암에서 종양 혈관 신생도는 국소 재발 혹은 원격전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혈관 신생도를 유방암 수술 후 예후 인자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혈관 신생도와 암 전이 과정의 관계가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본 저자는 혈관 신생도와 유방암 원격전이에 관여하는 골수 미세 전이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대병원에서 유방암으로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시행 받은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수 미세 전이의 검사는 cytokeratin의 mRNA를 목표로 한 RT-PCR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혈관 신생도는 파라핀 포매괴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암 수술 환자에서 골수 미세 전이의 발생율은 약 17.1%(12/70)이었다. 2. 유방암에서 골수 미세 전이는 액와 림프절 전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유방암에서 높은 혈관 신생도는 골수 미세 전이 가능성이 높아진다. 4. 신생혈관 개수와 골수 미세 전이의 정량적 연관성은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질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방암에서 종양 혈관신생은 골수 미세 전이의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혈관신생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앞으로 연구를 통해 혈관신생과 관련된 골수 미세 전이에 관여하는 인자를 밝혀야 하겠다. Since some authors reports that tumor angiogenesis in breast cancer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local or distant metastases, many clinicians determined the tumor angiogenesis just as one of the prognostic factors. However, a consistent role of tumor angiogenesis in metastatic progression was not completely determined until yet. We tried to evaluate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umor angiogenesis and bone marrow micrometastases to revel the actual contribution of tumor angigenesis to systemic spread of cancer cells in breast cancer patients. Seventy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curative surgical resec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micrometastases in bone marrow with RT-PCR method targeting to mRNA for cytokeratin and tumoric angiogenesis with image analyzer technique follow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CD 34 from formalin-fixed, parafin-embedded specimen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ed, 1. Incidence of bone marrow micrometastases was 17.1% (12/70) in surgically curable breast cancer patients. 2. Possibility of bone marrow micrometastases tend to be increasing with an association of the presence of axillary lymph node invasion 3. High tumor angiogenesis is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bone marrow micrometastases 4. A possible quantitative relationship was noted between the number of new vessels and bone marrow micrometastases, even though a statistical support need in further study. In conclusion, high tumor angiogenesis is necessary for bone marrow micrometastases but, not sufficient by itself. A further study may need to reveal other factors contributing the bone marrow spread of cancer cells, assoiciated with angiogenesis.

      • 물리광학법을 이용한 헬리콥터 레이더 단면적 해석

        낙선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311

        The ability to predict radar return from an object becomes a critical technology issue in the development of military platform.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compute radar cross section(RCS) such as geometrical optics, physical optics method, method of moments and full equation method. In this paper physical optics method was used to predict the helicopter RCS. In-house code using MATLAB was developed and validated with a simple mathematical model of circle, cylinder and planar plate. The commercial program based on physical optics and physical theory of diffraction was utilized to validate the in-house code result of helicopter RCS prediction. RCS characteristics of the rotating main rotor blade was evaluated and suggest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low scattering structure for helicopter survivability increase. Assuming whole body of the helicopter to be perfectly conducting surfaces, configuration of helicopter body was tried to change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RCS variations. The peak value of the RCS was predicted from 90 degrees in azimuth and the RCS was reduced according to configuration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