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성옥의 예술 생애와 무용음악 작품 <타부라의 리듬> 분석

        이꽃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전통공연예술에서의 무용과 음악은 항상 결합되어 있다. 전통무용에서 음악은 궁중정재에서부터 탈춤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음악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박성옥(朴成玉, 1908-1983)은 근대기에 출현한 신무용 음악을 담당했던 예술가 중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해낸 인물이다. 박성옥은 오늘날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최승희의 무용음악을 맡아 활동하면서 무용음악 작곡·연주에 많은 업적을 납긴 인물이다. 또한 박성옥은 산조아쟁을 만든 한국 음악계의 큰 인물입에도 불구하고 그의 업적과 예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되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박성옥의 생애와 무용음악 분석을 통하여 그 업적에 대한 시대적 의미를 발견하고 한국무용·음악사에서의 박성옥의 자리를 찾아보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 연구 되어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성옥은 남다른 재주와 눈썰미를 가지고 있었고, 연구열과 창작력이 뛰어난 사람이었다. 가야금 독습서를 창안함으로써 구전으로만 전해지던 가야금의 향토음악을 후세에 영구히 남길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보아 한국음악을 전승하고 보급하고자 하는 열정도 남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용음악을 담당하게 되면서 악기의 음량과 음색의 변화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연구와 실험을 통해 악기를 개량해냈다. 이렇게 해서 산조아쟁이 만들어졌고, 산조아쟁은 지급의 한국음악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악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철가야금을 개발한 것도 역시 박성옥이였으며, 이 철가야금 역시 현재 무용음악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박성옥은 즉흥성이 뛰어난 음악가였으며, 틀에 얽매이지 않는 예술가였다. 무용음악에서는 한성준에게 수학한 한국무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기가 막힌 즉흥연주로 많은 무용가·음악가들이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최승희와의 작업을 통해서 얻은 영감과 체험으로 안무에 도 두각을 나타내어, 리틀엔젤스의 안무자·악사·연출자·소품제작에 이르기까지 많은 역할을 담당했다. 셋째, 본고에서 분석한 <타부라의 리듬>은 한국전통음악인 육자배기의 계면조의 음계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적이라기보다는 동양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곡이다. 박성옥이 악기를 개량하고 연주법을 개발한 것은 이러한 "한국음악임에도 한국음악 같지 않은" 독특한 색채를 만들어내고자 했기 때문이다. 박성옥은 <타부라의 리듬>에서 타부라의 전통 리듬과 연주법을 쓰지 않으면서 타부라라는 인도의 전통악기를 사용했고, 한국 전통악기를 사용 했지만 여기서도 전통음계나 주법을 고집하지 않고 이국적인 느낌을 곡에 담아냈다. 이것은 계면조의 음계를 사용하긴 했으나 전통적인 선율진행과는 다른 구조로 선율을 구성했고, 꾸밈음을 한국의 전통적인 시김새와는 다르게 사용하여 만들어진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박성옥은 끊임없는 연구와 실험을 통해 새로운 예술을 창조해냈고, 그것은 틀에 얽매이지 않은 살아있는 것이었다. 그는 타고난 창작력으로 한국음악·무용분야에 큰 공헌을 한 예술가임에 분명하다. 이와 같은 박성옥의 업적은 후대의 예술인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