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십자인대 재건을 위한 이식건의 경골측 고정에 대한 주기성 인장부하의 효과

        이기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십자인대 재건술에서 이식건의 고정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의 고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순한 인장검사를 통한 연구결과들이 있으나 실제 전십자인대 재건후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슬관절의 신전-굴곡운동이 고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주기성 부하인장검사는 단순 인장검사에 비교하여 슬관절의 신전-굴곡 운동의 주기성 운동에 수반되는 전십자인대의 인장부하를 보다 유사하게 반영한다. 저자는 6가지 서로 다른 고정방법들의 경골측 초기 안정성에 대한 주기성 인장부하검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돼지(Yorkshire)슬관절 72개를 이용하여 6가지 고정방법(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 슬개건-생체 흡수성 간섭나사, 슬개건-나사 지지대고정)으로 이식건을 고정하고 Instron^�인장검사기를 이용하여 주기성 인장부하검사 및 최대 인장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주기성 인장부하 검사는 50mm/min의 속도로 30N에서 150N사이를 1000회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하였으며, 동일 시편으로 최대 인장력 검사를 시행하여 주기성 부하후 최대 인장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실험군에 따른 인장력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ANOVA와 Duncan 다중비교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주기성 인장부하검사후 최대 인장력은 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군이 평균 358.9±93.1N(229.2-457.0N), 슬개건-생체흡수성 간섭나사군은 평균 275.1±53.7N(201.4-344.7N), 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군은 평균 421.3±87.7N(297.2-522.9N), 슬개건-생체흡수성 간섭나사군은 평균 347.3±93.0N(232.9-486.1N), 슬개건-꺽쇠못군(turn buckle technique)은 평균 310.2±75.3N(208.2-413.5N), 슬개건-나사 지지대고정군은 평균 242.4±22.4N(222.9-279.7N)이었다. 상기결과는 주기성 인장부하 검사전의 단순 인장검사 결과에 비하여 각각 42%, 50%, 43%, 45%, 55%, 10% 감소하였다. 단순 인장검사는 이상의 경골측 고정방법의 고정력이 초기 부하를 견뎌내는데 충분하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술후 재활기간동안 슬관절에 부하되는 힘과 유사한 주기성 부하를 주고 난 후 슬개건과 나사지지대 고정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단순 인장검사 결과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어 초기 고정력이 불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Several studies an fixation method in anterior cruciate liagment(ACL) reconstruction have reported the result of simple tensile strength of fixation and have not clarified the cyclic nature of the knee motion during the rehabili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cyclic loading on the fixation strength of different tibial fixation methods in ACL reconstruction. Biomechanical test using Instron^� machine(Model No.5569. Mass, U.S.A)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ull out strength of six different tibial fixation techniques after cyclic loading in 72 Yorkshire pig knees. The graft-bone complex was cyclically loaded between 30N and 150N at 5Omm/min rate for l000cycles and maximal tensile testing was performed. The preload of 3ON was applied to the graft along the axis of the tunnel for 15 minutes. ANOVA and Duncan multiple comparison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ean maximum tensile strength of tibial fixation after the cyclic loading test were 358.9±93.1N(229.2-457.0N) in BPTB-Titanium interfernce screw group, 275.1±53.7N(201.4-344.7N) in BPTB-bioscrew group, 421.3±87.7N(297.2-522.9N) in hamstring-titanium interference screw group, 347.3±93.0N(232.9-486.1N) in hamstring-bioscrew group, 310.2±65.3N(208.2-413.5N) in hamstring-staple group, 242.4±22.4N(222.9-279.7N) in hamstring-tie over screw post group.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cyclic loading reduced the maximal tensile strength to about half of that before cyclic loading and considered to be too weak to withstand rehabilitation exercis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청소년 신앙 공동체 프로그램 연구

        이기태 호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청소년들의 생활범주와 사춘기적 가치관의 빈곤은 주어진 상황이 제도적 모순과, 교육정책의 지속적인 대안이 제시되지 못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자율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인성교육 부재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생활환경위에서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게 됨으로 인하여서 여러 가지 병폐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같은 사회안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 청소년이다. 이러면 청소년들을 품을 수 있는 신앙공동체 프로그램은 바로 교회가 해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21C에는 청소년을 위한 다른 특별한 모임과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교회가 그것을 감당하고, 또 교회가 신앙의 바른 경우를 잡아주어서 한국교회의 바른 청소년 상을 정립하면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청소년들을 바르게 양육하기 위하여 한국교회는 제기되는 다음의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교회는 성인중심의 목회가 중심이 되어왔다. 그러나 교회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청소년의 교육에 대해서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는 청소년들의 영성훈련을 위한 기본적인 교재조차 없으며 그들의 훈련을 이끌 수 있는 지도자 역시 전무한 상태이다. 단지 총회 교육부에서 제공되어지는 "말씀과 삶"에 의한 성경공부 또는 수련회등지에서 이루어지는 말씀훈련등이 그들의 영성훈련의 전부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영성 훈련을 위하여서 공동체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며 수련회를 획기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저는 청소년들의 영적 성장을 위한 몇가지 대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1)청소년 영성훈련의 장은 반드시 교회에서 계획한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하겠다.이를 위해 교회는 영성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해야 하며 교회 중심의 영성훈련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2)청소년 영성훈련은 말씀, 찬양, 기도훈련등을 공동체안에서 실행할 때 조화롭게 실시되어야 한다. 3)청소년의 영성훈련의 결과는 교회와 가정과 사회에서의 열매로 평가 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청소년의 영성훈련은 신앙공동체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교회를 통한 영성훈련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개인, 교회, 국가, 가정, 사회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청소년의 영성훈련을 위해 기본교재가 교회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기초로하여서 간행되어야 하겠다. 우리의 목표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그 분이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하나님의 형상이요, 우리가 본받아야 할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분만이 길과 진리, 생명이 되시기 때문에 인간의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전적으로 의존되어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에서 청소년을 잘 교육한다는 것은 이 나라의 장래가 밝다는 것이다

      • La(Ba)Ga(Mg)O3-δperovskite 산화물의 산소이온전도도 및 단위전지 출력

        이기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Phase formation and oxygen ion conduction of La(Ba)Ga(Mg)O3-δ perovskite oxide, an alternative electrolyte candidate of ceramic fuel cell were studied and single cell performance was evaluated. BaLaGa3O7 and BaLaGaO4 were formed as the second phases above the solubility limit of Ba2+ on the La3+ site. In the compositions of the excess amount of Mg2+ dopant, La4Ga2O9 was also formed. The solubility limit of Ba2+ on the La3+ site was enlarged by doping of large Mg2+ on the Ga3+ site, which could be explained in the view point of tolerance factor. In other words Ba2+ and Mg2+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LaGaO3 perovskite structure with tolerance factor range from 0.9543 to 0.9673. Doping with either Ba2+ or Mg2+ enhanced oxygen ion conductivity and especially, the oxygen ion conductivity of La0.9Ba0.1Ga0.8Mg0.2O3-δ was 0.114 S/cm at 800℃. With an increasing Mg2+ concentration, the grains grew bigger.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oxygen ion conduction was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was higher at a low-temperature region than at a high-temperature region. Mg2+ had a much stronger tendency to be associated with the oxygen vacancy than the Ba2+ dopant.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the single cell of Ni anode/ La0.9Ba0.1Ga0.8Mg0.2O3-δ/Sm0.5Sr0.5CoO3-δ cathode system was measured as 0.15 W/㎠ at 1000℃. 대체전해질로 사용하기 위한 후보재료로서 La(Ba)Ga(Mg)O3-δ계 perovskite 산화물의 생성상을 분석하고 산소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전해질로 이용한 단위전지의 출력을 평가하였다. Ba2+이온의 고용한계 이상에서는 이차상으로 BaLaGa3O7과 BaLaGaO4가 생성되었다. 또한 Ga3+이온자리에 Mg2+이온의 첨가량이 많은 조성에서는 La4Ga2O9이 이차상으로 함께 생성되었다. Ga3+이온자리에 Mg2+이온을 첨가함에 따라 La3+이온자리에 대한 Ba2+이온의 고용한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tolerance factor와 연관지어서 설명되어질 수 있다. 즉, tolerance factor 값이 0.9543∼0.9673 사이의 값을 갖는 범위 내에서 Ba2+이온과 Mg2+이온은 LaGaO3 perovskite 구조 안에 안정되게 고용될 수 있었다. 한편, Ba2+와 Mg2+이온의 첨가에 따라 산소이온전도도가 높아졌는데, 특히 La0.9Ba0.1Ga0.8Mg0.2O3-δ 조성의 경우 800℃에서도 0.144 S/cm의 높은 산소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Mg2+이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크기가 증가하였다. 산소이온전도에 필요한 활성화에너지가 온도에 의존하여 변화하였으며, 고온영역보다 저온영역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Ba2+이온보다는 Mg2+이온이 산소이온빈자리와 더 강하게 회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i anode/La0.9Ba0.1Ga0.8Mg0.2O3-δ/Sm0.5Sr0.5CoO3-δ cathode 단위전지에서는 1000℃에서 0.15W/㎠의 출력밀도를 나타내었다.

      • 유비쿼터스 시대에 케이블TV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이기태 서울産業大學校 IT政策專門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비쿼터스 시대의 방송은 방송과 통신, 그리고 컴퓨터의 융합에 의해 발전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는 디지털방송이 자리 잡고 있다. 디지털화가 가속되면서 방송과 통신의 구분이 사라지고 방송과 통신이 동일한 디지털 신호 체계를 이룸에 따라 방송망과 통신망으로 이원화되어 있던 상이한 전송체계가 하나로 통합되는 방송통신융합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처럼 방송통신융합으로 탄생하는 뉴미디어에 대응하고, 다채널유로방송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여 시청자의 복지 증진과 경제적 효과,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 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와 미디어산업의 구조변화와 유비쿼터스화에 따른 방송통신 융합과 방송 산업의 환경변화, 케이블방송의 산업 현황을 바탕으로 케이블방송의 현 현황을 SWOP분석을 통해 점검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케이블방송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을 각각의 상황별로 분석·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케이블방송의 디지털 추진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국외의 디지털방송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유비쿼터스 시대에 케이블방송의 디지털 전환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디지털케이블방송을 위한 정책으로 방송통신 융합 시 수평적 규제 체계 적용, 방송통신 융합 시 진입규제 차별화 등의 규제정책과 융합시장에서의 정책, 플랫폼 정책, 공정경쟁구도 정책 등의 정책적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방송통신융합 등의 환경변화에 대처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유비쿼터스 시대로 가기위해서는 디지털케이블방송으로의 효율적인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케이블방송의 매체적 성격을 감안하여 새로운 위상을 부여하고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맞는 합리적인 법·제도적 정책 고려가 필요하다. The broadcasting in the ubiquitous era is developed with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communication, and computer, and in the center of it, the digital broadcasting exists. As the digitalization is accelerated, the distinction betwe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has disappeared, and two of them have been merged into a same digital signal system thus, the transmission systems which were separated as a broadcasting network and a communication network have been united into one, that is,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Like this, cable TV has to be turned into being digitalized to respond to the new media born through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obtain the competitiveness in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ion), improve the viewer's warfare and economical effect, and utilize the frequency resources effectively. In this study, the present circumstances of the cable broadcasting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SWOP analysis based on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broadcasting industry, and the industrial circumstances of the cable broadcasting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changes of ubiquitous and media industry and the ubiquity. Based on this analysis, the necessity of digitalization in the cable broadcasting is analyzed and summarized by each condition. Moreover, as examining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digitalization in the domestic cable broadcasting and examples of the local and international digital broadcasting, the implications of them to us have been found. Through this analysis, the policies for the digitalization of the cable broadcasting in this ubiquitous era have been suggested. As for the policies for the digital cable broadcasting, the regulation policies such as horizontal regulation system and distinction of entry regulation in the condition of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political schemes like policies in the convergence market, platform policy, and fair competition policy have been proposed. In conclusion, the effective change to the digitalization of the cable broadcasting is necessary to go into the ubiquitous era,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like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satisfy the customer's needs, and considering the mediating character of the cable broadcasting, reasonable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ies with a new phase proper to the environment of thi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장기 신 생존율

        이기태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면역 억제제의 발달로 인해 단기 이식 신 생존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장기 이식 신 생존율은 불량하다. 만성 거부 반응과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은 장기 이식 신 생존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이식 신 소실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아직까지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장기 성적에 관한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방법: 1988년 1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계명의대 동산 병원에서 588명의 환자에서 시행된 629 이식 예 가운데 이식 후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된 7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 양상 및 이식 신 생존에 관여하는 위험 인자, 그리고 장기 이식 신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발생률은 11.9%였다.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종류로는 면역 글로불린 A 신증 환자가 47예(62.7%)로 가장 많았고,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20예(26.7%), 막성 사구체 신염이 6예(8.0%), 그리고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당뇨병성 신증이 각각 1예(1.3%)의 순이었다.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된 환자의 5년 및 10년 이식 신 생존율은 80.5% 및 27.9%이었고, 사구체 신염이 없던 환자의 5년 및 10년 이식 신 생존율은 74.9% 및 52.3%로 이식 후 사구체 신염 환자에서 신 이식 후 10년째 이식 신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그러나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유형에 따른 이식 신 생존율에는 세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신 이식 후 일일 3.5그램 이상의 단백뇨가 있던 군의 5년 및 10년 이식 신 생존율은 62.5% 및 0%이었고, 일일 3.5그램 이하의 단백뇨가 있던 군은 85.3% 및 28.7%로 신 이식 후 신증후군 범위의 심한 단백뇨가 있는 군에서 이식 신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1) 결론: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이 생긴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이식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장기 이식 신 생존율이 낮았다. 그리고 신 이식 후 신증후군 범위의 단백뇨는 이식 신 생존율에 관여하는 주요한 위험 인자였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한 전향적, 다 기관 공동 연구를 통해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에 대한 표준화된 치료 계획을 세우고 또한 이식 후 발생하는 단백뇨의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장기 이식 신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cyclosporine, the short-term renal allograft survival has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 long-term success is still limited by the development of chronic rejection and recurrent disease. Post- transplant glomerulonephritis (post-Tx GN) including recurrent disease is becoming an important cause of graft dysfunction. From November 1988 to June 2004, a total of 629 renal transplants involving 588 patients were performed at our medical center. The prevalence rate of post-Tx GN was 11.9% in 629 renal transplant. Among 75 transplants diagnosed as post-Tx GN, IgA nephropathy(62.7%) was the most common histologic diagnosis, followed b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26.7%),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8.0%),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1.3%) and diabetic nephropathy(1.3%). Documented histologic recurrence occurred in only 24.2% of patients with prior biopsy-proven glomerulonephritis of their native kidneys. The actuarial allograft survival at 5 and 10 years posttransplantation with post-Tx GN was 80.5% and 27.9%,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graft survival for patients without post-Tx GN was 74.9% and 52.3%, respectively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ft survival according to type of post-Tx GN. The 5 and 10 year graft survival for patients with proteinuria over than 3.5g/24hr were 62.5% and 0%,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85.3% and 28.7% for patients with proteinuria less than 3.5g/24hr (P<0.01). In conclusion, post-Tx G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ong-term graft survival and nephrotic range proteinuria is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graft survival. A prospective study with rigorous efforts to make pretransplant diagnosis and standardized criteria for allograft biopsy will more accurately characterize the natural history of post-Tx GN and may provide insight regarding treatment.

      • Precedence Method에 의한 工程管理活用에 관한 硏究

        이기태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reatise set up the opinion and model on the use of the precedence method for the process management and that analyzed this model, Applying to the Following case. The APT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 Construction company was divided into 65 essential element works in all, and completed the day's program project table by making 65 essential element works as P.M network, and that redced the construction work day for times by the means of MCX in handwork. At the result of it, in the third shortening, the belowest line of the workcost was made. Consequently, P.M techniques gave efficiency to the process management that consists of rational process management, non repetitional and many details process and through the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re was Possibility for the effective estimate control. 2) There was Possibility for the rational thought decision. 3) It can strenghen the material management due to the Clarify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essential element works. 4)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t the lowest cost. 5) It was possible for the spot and manager to control the construction period owing to writing of the enteredactivity and many works contents. 6) It was possible make Network due to the fact that there dummy didn't happen and was a various of Relationship.

      • Development of Live Load Model for Long Span Bridges

        이기태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에 지간 길이 200m이하의 교량에 대해서는 도로교설계기준상의 DB-24 또는 DL-24하중을 적용하고 있고 그 이상의 장대교량에 대해서는 케이블 강교량 설계지침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 강교량 설계지침은 1990년 이전의 차량 중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발전에 따른 차량 대형화에 의한 중차량 통행특성의 고려가 미비하므로 실제 장경간 교량의 설계에 사용되기에는 합리적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전히 발주기관에 따라서 국내 도로교설계기준, 케이블 강교량 설계지침 이외에도 AASHTO, AASHTO LRFD 규정을 함께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반교량에(L≤200) 대한 차량활하중모형은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에서 연구의 성과로 새로운 신뢰도분석에 기반한 도로교설계기준의 도입과 함께 국내의 통행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하중모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를 장경간 교량의 하중모형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일반교량에 대한 연구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자료수집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나 장기간의 자료를 확보하지 못하였기에 본 연구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근거자료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장교와 현수교 등 장경간 교량은 일반교량과 비교하여 구조거동이 많이 다르므로 장경간 교량의 특성을 고려하고 장기간의 차량중량자료 및 차량통행특성의 자료를 통해 통계적 특성을 규명하여 새로운 활하중 모델의 선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차량 활하중 모형 개발을 위해 20번 국도상(경상북도 지역)에서 WIM 시스템을 설치하여 장기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제적인 중차량 교통패턴에 의한 시나리오를 가정하였다. 해석대상 교량으로는 주경간 800m의 사장교와 주경간 1545m의 현수교를 대상으로 하였고 MIDAS 와 R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케이블, 보강거더, 주탑 등 주요 부재의 단면에 대한 하중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중차량 교통 특성이 반영된 장경간 교량용 하중모형이 개발될 것이다. Korea has about 40 years history of long span bridge form Nam-Hae bridge. The design code for long span bridge is not enough to apply. Design Guideline for Steel Cable Bridges was implemented in 2006 for longer bridge with span length over 200m, The live load model in the guideline is based on DL load model on current Korea Bridge Design Code, but this model was based on limited data and also needs to be updated to conform with new proposed live load model for short and medium span bridge. Based on new research of Korea Bridg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2008), the new live load model was proposed and planned to be adopted in 2011. Thus, a new live load model for long span bridges has to be developed to reflect current truck traffic data and be consistent with the new load model adopted in 2011.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ruck traffic using WIM data and compare with current live load models in various design codes to develop new live load model for long span bridges. To achieve this objective, long-term truck traffic data have been collected using Weigh-In-Motion system. Also WIM data from previous research are collected and used in this study. Several truck traffic scenarios are assumed and analyzed based on influence line of various members and sections to calculate the rational and most severe load effects. Effects of truck traffic are compared with various live load model in the world including Korea Bridge Design Code, Design Guideline for Steel Cable Bridges, AASHTO LRFD(2007) and Honshu-Shikoku Bridge Authority code. Finally, new live load model is proposed as a combination of design truck and design lane load which the magnitude is decreased as influence line length become lo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