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조직의 윤리경영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이근환 한양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료조직 구성원의 직무 태도 및 행동에 관련되는 조직유효성은 병원 인적자원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문이다. 조직몰입,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 등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 의료조직에서 조직 차원의 윤리경영 문제는 병원 경영전략으로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따라서 조직 차원의 윤리경영 및 긍정심리자본과 병원경영 관련 조직유효성 관계를 확인할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의료조직에서 윤리경영의 효과에서 구성원에 대한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긍정심리자본도 의료조직에서 조직유효성 관련 영향력 검정은 별로 없었다. 윤리경영과 긍정심리자본 조직유효성 간 관계 확인을 위해 수도권 16개 대학병원을 포함하여 국공립병원, 산재병원과 보훈병원, 일반 개인병원 등 대표병원을 선정하였다.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이들 34개 의료조직의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원 등 1,325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유효한 1,05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분산분석(ANOVA), t-test, 구조방정식(SEM), 회귀분석,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사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의료조직의 윤리경영 문제를 업무영역, 경영주체, 내/외부 조직 환경 등을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병원윤리경영 관련 경영진 구성, 병원윤리강령과 병원윤리실천규범 제정, 병원 핵심가치Core Value) 등 윤리적 분위기를 공식적으로 나타내주는 실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의료조직의 윤리경영 세 요인인 윤리적 리더십 윤리경영시스템 조직윤리가치는 구성원의 조직유효성 세 요인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쳤다(p<0.01). 둘째, 윤리경영 세 요인인 윤리적 리더십과 윤리경영시스템 조직윤리가치는 긍정심리자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p<0.01).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윤리경영과 구성원의 조직유효성 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간접효과를 보였다.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로 이루어진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을 의료조직에서 확인하였다(p<0.01). 넷째, 윤리경영 변수 간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은 윤리경영시스템에, 윤리경영시스템은 조직윤리가치에, 조직윤리가치는 윤리적 리더십에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였다(p<0.01). 연구결과를 분석방법에 따라 정리하면, 구조방정식 회귀분석과 다르게 위계적 선형모형(HLM)은 부분적으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조직 수준과 개인 수준으로 분리하여 분석한 HLM 연구결과는 구조방정식 회귀분석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중요한 결론은 첫째, 윤리적 리더십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최고경영진을 비롯한 병원 리더들이 윤리적 태도와 행동 특히 윤리적 의사 결정을 해야 한다. 둘째, 병원의 윤리경영은 조직체계로서 윤리실천규범과 윤리가이드라인 등 매우 정교하게 제도화되어야 한다. 셋째, 병원의 조직윤리가치가 구성원에게 내재화되기 위해서는 분명한 병원 조직문화로서 병원경영 핵심가치 차원의 윤리가치가 만들어져야한다. 넷째, 병원장을 비롯한 각 부문 리더를 중심으로 윤리적 분위기가 선행되면, 병원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이 형성된다. 이 연구는 병원의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윤리경영은 최고경영진과 각 부문 리더에게 의료조직 관리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또한 병원의 지속가능경영의 구체적 방법론은 물론, 조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게 해준다. 경영진을 비롯한 각 부문 조직리더들이 구성원의 조직유효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조직 차원의 인적자원을 전략적으로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즉, 윤리적 리더십, 윤리경영시스템, 조직윤리가치, 윤리적 분위기가 구성원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과 긍정심리자본 형성의 선행요인임을 확인하여 조직행동과 조직 관리를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한국 종합병원의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 국공립병원, 사립대병원, 대기업병원, 일반병원 비교를 중심으로

        이근환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종합병원은 외부 경영환경에 맞게 조직문화, 조직목표가 변화하고 있다. 일반기업과 같은 경영관리체제가 자리 잡아가고 있다. 노사관계도 사용자, 노동조합, 정부 모두 자신의 입장에 따라 변하고 있다. 노사관계를 둘러싸고 있는 경영환경의 변화속도가 빠르다. 종합병원은 한국병원계를 주도하고 있다. 경영주체 성격에 따라 국공립병원, 사립대병원, 대기업병원, 일반병원으로 나눌 수 있다. 경영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의사결정, 노조활동, 상급단체와 관계설정, 사용자 경영관리시스템, 임금 등에서 서로 다른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공조직의 형태로 운영되는 국공립병원은 정부 관련 기관의 보다 강력한 효율성 제고 요구에 따라 노사관계도 변하고 있다. 외부기관의 지원없이 독자 생존해야 하는 사립대병원은 주어진 설립목표와 노사관계 안정을 위해 노사양측이 변화해야 한다. 대기업병원은 확실한 경영주체의 의지에 따라 노사관계가 변한다. 노조활동이 없는 일사불란한 체제를 유지하며 실제 소유주의 지원이 타병원을 압도한다. 치열한 생존경쟁 속에 설립자가 병원경영에 깊숙하게 개입하는 일반병원은 노동조합활동이 설 자리가 별로 없지만 노사관계가 극단적인 형태로 변할 가능성도 높다. 사용자는 노사관계의 한 축을 형성한다. 노동조합 요구사항에 구체적으로 대응하면서 병원 설립목표를 실현시키고자 한다. 단체교섭을 통해 노사의 이해관계가 아닌 병원의 생존을 위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노동조합의 요구사항이 투쟁수단으로서 의미가 크다면 사용자의 의사결정과 태도는 병원이라는 생존과 선택의 문제로 이어진다. 사용자집단(인사/노무/기획/총무)을 경영주체에 따라 4개군으로 나누었다. 직접면담과 설무지 조사를 통해 종합병원의 노무관리부서 특성, 노무관리 전문성, 산별체제 문제점, 상급단체와 관계, 산별교섭 효용성, 병원경영환경과 정부정책, 경영참가, 임금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노무관리부서의 교육 적정성에 대해 사립대병원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이었다. 노무관리부서는 3년에서 5년 안팎의 근무기간이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노무관리부서의 전문성 확보가 되어 있지 않다고 보고 있으며 전문성 확보는 교육연수확대와 노무전담부서 설립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전문성 부족 원인으로 빈번한 인사이동과 비효율적인 직원배치와 연수기회 부족을 꼽고 있다. 특히 사립대병원과 대기업병원에서는 빈번한 인사이동을 전문성 부족의 원인으로 가장 높게 지적하고 있다. 노무관리부서가 승진기회가 많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업무특성상 노동 강도가 세다고 평가하고 있다. 외부전문가 또는 사용자단체의 조력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조력이 필요한 이유로 전문성확보를 위한 교육훈련을 들고 있다. 외부 조력시 병원사업장에 적합한 기관은 노무법인(노무사)이 있으며 대기업병원은 노무법인 외 법무법인(변호사)를 지목하고 있다. 대한병원협회와 사용자협의회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병원노조 필요성에 대해 대기업병원을 비롯한 모든 병원이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현재와 같은 노사관계가 지속될 때 병원경영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병원은 노사관계와 관계없이 병원경영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사립대병원은 대기업의 병원진출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보지 않고 있다. 민주노총과 보건의료산업노조의 노사협상태도에 대해 국공립병원과 사립대병원, 대기업병원 모두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노동조합조직율은 현수준 유지 및 감소할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노사관계선진화를 위해 투쟁적인 노조의 노동운동지양과 사용자의 전근대적인 경영관 탈피를 들고 있다. 산별노조의 앞으로 중점과제로 임금인상과 인력 충원 보다는 고용안정을 최우선순위로 올려놓고 있다. 민주노총의 산별노조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고 보고 있고 정치성이 강하다고 평가하며 한국노총 민주노총 신노동연합의 차별성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신노동연합이 노사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나름대로 역할을 인정하고 있다. 복수노조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다. 산별교섭에 대한 태도는 일반종합병원을 제외하고 매우 부정적이다. 산별교섭의 이중교섭과 분쟁, 상급단체 개입, 교섭기간 장기화와 비용증가, 근로조건과 무관한 정치적 요구 등 모든 문제점을 고루 지적하고 있다. 특히 국공립병원과 사립대병원은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교섭기간에 매우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산별체제에서 사측에 제일 부담되는 것은 일률적 임금적용과 사용자의견일치 어려움을 들고 있다. 국공립병원에서 노동조합의 정치성과 사용자간 의견일치의 문제를 최우선과제로 보고 있다. 보건의료산업노조집행부에 대한 병원종사자의 지지도는 대기업병원에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조집행부가 해야 할 일 중 임금인상이나 경영참가보다는 근로조건개선을 꼽고 있다. 노사분규의 발생원인으로 노사간 불신을 제일 먼저 들고 있는데 국공립병원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병원의 주인을 묻는 질문에 의료직과 일반직을 비슷하게 들고 있다. 관리부문에 대한 시각이 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부노동정책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며 그 중에서 일관성 없는 제도운영을 들고 있다. 노사관계선진화를 위한 개혁부재를 지적하고 있다. 경영참가로서 노사협의회가 사용자의 노조불신으로 운영이 잘 되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으며 노조의 무리한 요구도 지적하고 있다. 현재 노동정책과 보건의료정책이 계속된다면 사립대병원과 일반종합병원이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병원종류별로 자신이 속한 병원이 어려움에 처해질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반해 대기업병원은 일반종합병원을 1순위로 사립대병원을 2순위로 지목하고 있다. 외국병원의 국내진출이 노동조합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대기업병원은 영향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병원이 병원산업으로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 모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일반종합병원은 회의적 시각도 많았다. 외부지원 없이 모든 병원이 일반제조업처럼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하고 있다. 경영성과에 대해 대부분 공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필요하지 않다면 그 이유로 병원이미지와 노조의 악용가능성을 들고 있다. 무노동무임금원칙은 최고영영자의 의지부족과 노조의 과격행동을 피해보려는 태도에 의해 깨진다고 보고 있다. 바람직한 임금체계로 부서와 개인이 혼합된 성과급제를 선호하고 있다. 특히 대기업병원은 부서별이나 개인별성과급이 아닌 부서와 개인을 동시에 평가해 보상해주는 혼합형을 강하게 선호하고 있다. 경영주체의 성격에 따라 4개병원은 병원노사관계를 바라보는 태도가 같은 것도 있었지만 다르게 나타나는 부문이 있었다. 병원경영환경과 노사관계가 한국보건의료계의 일반적인 특성에 의해 움직이기도 하지만 설립배경과 경영여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성 부족원인, 노무관리부서의 업무강도, 외부전문가 또는 사용자단체 조력필요성, 조력시 병원사업장에 적합한 기관, 현재와 같은 노사관계 지속시 병원의 미래, 보건의료노조의 노사협상태도, 향후 노조조직율 추이, 민노총의 산별노조에 대한 영향력, 복수노조시 형태, 산별교섭에 대한 생각, 노동조합과 관련된 단체교섭기간, 산별체제에서 사측에 부담이 되는 것, 산별노조집행부서에 대한 병원종사자 지지도, 병원노사분규 발생원인, 현재 노동정책과 보건의료정책이 계속된다면 어려움에 직면할 병원, 외국병원의 국내진출이 노조에 미치는 영향, 병원산업으로 성장 가능성, 경영성과 공개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 바람직한 임금체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버스 아키텍처 성능 향상을 위한 중재 알고리즘

        이근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oC(System on a Chip) has several masters, slaves, arbiter and decoder in bus architecture. Master initiates the data transactions like CPU, DMA and DSP and slave responses the data transactions like SRAM, SDRAM and register. Furthermore, as multiple masters can't use a bus concurrently, arbi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arbitrating a bus use. In compliance with the selection of arbitration method, SoC performance can be changed definitely. Fixed priority, round-robin, TDMA and Lottery policies are used in general arbitr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compose bus architecture algorithm and propose the novel Hybrid bus arbitration and Score arbitration. Consequently, we verify the performance compared with general arbitration using TLM(Transaction Level Model) method. As each master has previously defined priority in fixed priority method, the master having higher priority has high data transaction. But then, because the master having lowest priority always loses in the bus use competition with the other masters, it falls in starvation phenomenon that master cannot get the right of bus use for long time. Round-robin method is that the right of bus use is given to each master impartially. So, though it is possible to avoid the starvation phenomenon, higher priority is hardly assigned to the master that needs to transfer data urgently. TDMA and Lottery provide each master with slot number or ticket probability to assign the right of bus use with master priority and can prevent starvation phenomenon. From the results of TLM simulation due to each case, the bus utilization of a master having the most slot number or ticket probability is lower than 25%. Also, the bus utilization of a master near to the master gaining the most slot number or ticket probability is higher than masters possessing same slot number or ticket probability because of second-level arbitration. In this study, first of all, we develop the Hybrid bus arbitration that arbitrates the bus use of each master effectively by mixing fixed priority and round-robin arbitration to escape second-level arbitration. It provides masters with priority and prevents starvation appearance. From the results of simulation, it shows accurate bus utilization according to priority and the bus utilization of a master having highest priority record about 35% that is higher than general arbitration methods except fixed priority. The second proposed Score arbitration is the policy that gives the right of bus use by total score considering master bandwidth, starvation, high performance and priority requested by user. The data transactions of general arbitration methods are 7,100,000-7,700,000 cycles. However, aforementioned Score arbitration has about 8,150,000 cycles and presents about 6-12% of high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methods. The above mentioned results prove that proposed Hybrid bus and Score arbitration policies are more efficient and improve the performance compared with general arbitration methods. SoC(System on a Chip)는 버스 아키텍처 안에 여러 개의 마스터, 슬레이브, 아비터 그리고 디코더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터는 CPU, DMA, DSP 등과 같이 데이터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블록이고, 슬레이브는 SRAM, SDRAM, 레지스터 등과 같이 데이터 트랜잭션에 응답하는 블록이다. 또한 아비터는 마스터가 동시간대에 버스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떠한 중재 방식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SoC의 성능이 크게 바뀔 수 있다. 기존의 중재 방식에는 fixed priority 방식, round-robin 방식, TDMA 방식, Lottery bus 방식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버스 아키텍처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새로운 중재 방식인 하이브리드 버스 중재 방식과 스코어 중재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TLM(Transaction Level Model)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중재 방식과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Fixed priority 방식은 우선순위에 따라 버스 점유권을 차등 부여하는 특징이 있는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마스터의 데이터 트랜잭션이 많았지만, 그에 비해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마스터의 스타베이션 현상이 발생하였다. round-robin 방식은 모든 마스터에게 동등하게 버스 점유권을 주는 방식이며, 모든 마스터가 데이터 트랜잭션이 비슷하여 스타베이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중요한 마스터의 데이터 처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을 보였다. TDMA 방식과 Lottery bus 방식은 마스터에게 각각 슬롯수 또는 티켓확률을 다르게 배분하여 스타베이션 현상을 방지하고, 중요한 마스터의 데이터 처리를 높이는 방식인데, 경우에 따라 각각 슬롯수 또는 티켓확률을 바꾸어가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모든 경우에 있어서 슬롯수 또는 티켓확률을 많이 받은 마스터의 버스 사용률이 25%를 넘지 못하였다. 또한 2순위 중재에 의해 슬롯수 또는 티켓확률을 많이 받은 마스터에 가장 가까이 있는 마스터가 똑같은 슬롯수 또는 티켓확률을 받은 마스터보다 버스 사용률이 높았다. 본 논문에서 첫 번째로 제안한 하이브리드 버스 중재 방식은 fixed priority 방식과 round-robin 방식을 혼재한 방식인데, 마스터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으며, 스타베이션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LM 시뮬레이션 결과 정해진 우선순위대로 정확한 버스 사용률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우선순위 마스터의 버스 사용률이 약 35%로 fixed priority 방식을 제외한 기존의 중재 방식보다 높았다. 두 번째로 제안한 스코어 중재 방식은 마스터의 대역폭, 스타베이션, 고성능, 사용자의 특별한 요구 등을 고려하여 이를 점수화하고 합산하여 종합 점수에 의해 버스 점유권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중재 방식인 fixed priority 방식, round-robin 방식, TDMA 방식, Lottery bus 방식의 데이터 트랜잭션은 7,100,000-7,700,000 사이클이었지만, 제안한 스코어 중재 방식은 약 8,150,000 사이클로 다른 중재 방식보다 약 6-12%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안한 하이브리드 버스 중재 방식과 스코어 중재 방식이 기존의 중재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 MOSFET Rectifier 적용을 통한 차량용 발전기 효율 향상

        이근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rovement of fuel efficiency and reduction of the CO2 emission in vehicle is a challenge for future environment. Also car consumes a lot of electric energy for comport, safety and security systems. The alternator efficiency has become of most important issue the reason why many car users and makers want to use higher efficiency components to meet environmental regulation of government. Conventional diode rectifier of electric machines has a limit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n alternator. This paper presents loss factors of each parts in alternator and VDA(Verband Der Automobilindustrie) efficiency test result based on MOSFET and diode rectifier. And it describes how to control the MOSFET rectifier with low pass filter, comparator and FET driver.

      • 조직정치지각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이근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직정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과 결과요인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서구에서 생성된 조직정치지각이 한국 조직 환경에서 조직특성인 승진기대 경력정체 승진불안 회사신뢰 경영진신뢰 등에 의한 영향력과 조직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기업은 업종별 대표기업을 선정하였으며 제조업, 공공서비스, 금융, 유통서비스, 정보통신, 보건의료 등 6개 업종 20개 기업이다. 정규직을 대상으로 사전 인터뷰를 하였으며, 2011년 8월부터 2011년 9월까지 1,400부를 배포하여 유효한 설문지 1,12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직영향요인은 권력집중화와 역할모호성은 조직정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제도공식화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영향요인으로서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영향을 주지 못하고 절차공정성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승진역할 중 승진기대는 영향을 주지 못했고 경력정체와 승진불안이 조직정치지각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조직신뢰 중 회사신뢰는 유의하지 않았고 경영진신뢰와 상사신뢰가 부(-)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구성원의 조직정치지각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조직정치지각의 선행요인으로서 권력집중화 역할모호성 제도공식화는 기존연구와 같이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제도공식화의 영향력이 낮았다. 수직적 의사결정과 조직문화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절차공정성은 선행요인으로서 조직정치지각에 부(-)의 영향을 주고 있지만, 기존연구와 다르게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영향력이 없었다. 종업원에 대한 보상과 조직 내 인간관계에 대한 정교한 경영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기존연구에서 볼 수 있는 승진기회와 다른 차원에서 검증한 승진기대는 가설과 반대로 나타났지만 경력정체 승진불안이 조직정치지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 조직에서 객관적 위치를 확인해주는 경력정체와 고용보장과 연결되는 총체적 의미의 승진불안이 구성원의 조직정치지각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조직신뢰 중 회사신뢰는 무의미했고 경영진신뢰가 조직정치지각에 부(-)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상사신뢰는 기존연구와 같이 부(-)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경영진의 조직정치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다섯째, 조직정치지각이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부(-)영향,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외 기존연구와 같은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조직정치에 대한 구성원의 반응은 부정적이기 때문에 절차공정성과 상호공정성, 경력정체와 승진불안, 경영진신뢰에 대한 경영진의 보다 적극적인 조직 및 인적자원관리가 요구된다. 조직 내 구성원이 조직정치를 의식하고 심리적 동요와 태도에 영향을 준다 해도 고용보장 등에 의해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은 매우 신중하지만, 직무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다 전략적인 조직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직정치지각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지 얼마 안 되었고 연구도 아직 부족하다. 특히 조직정치지각과 결과요인 관계를 비롯 매개변수와 조절변수 검증이 시도되었지만 조직정치지각의 조직특성 관련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특히 조직정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으로서 승진기대 경력정체 승진불안과 회사신뢰 경영진신뢰는 기존연구에서 없었던 변수로 본 연구에서 최초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직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으로서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는 조직구성원의 조직정치를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필요한 연구 주제라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factor and outcom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Using 1,128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We hypothesized that centralization and role ambiguity positively related to a high levels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while formalization negatively related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Justice(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and organizational trust(company, management, supervisor) and promotion expectation would tended to negatively related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while career plateau and promotion anxiety would tended to positively related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in promotion perceptions. We hypothesized that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would tended to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hil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would tended to positively related to intention to turno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centralization and role ambigu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 politics(POPs), while formaliz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OPs.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a meaningless effect on POPs, While procedural justice had a negative(-) effect on POPs. In promotion perceptions, career plateau and promotion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Ps. In Organization trust, management trust and supervisor trust had a negative(-) effect on POPs, specially, company trust had a meaningless effect on PO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of perception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hil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turnover.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 소형무인기 위치추정에 적합한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 개발

        이근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형무인기는 payload에 민감하기 때문에, 무거운 센서 또는 장비를 탑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형무인기에서 SIFT와 같은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SLAM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형무인기에서는 실시간으로 처리가능 한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위치추정(Localization)을 빠르게 수행하고, GCS(Ground Control Station)에서는 SIFT알고리즘을 GPU기반으로 처리하여 매핑(Mapping)과 보다 정확한 위치추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112.5kbps속도의 RF 또는 RS-232를 사용하면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i-Fi를 이용하여 54Mbps의 속도로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신속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GCS에서 처리된 map정보와 정확한 위치 정보는 소형무인기로 전송되어 소형무인기에서 SURF를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얻어진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이러한 이원화된 구조를 통하여 위치 추정의 실시간성을 보장하고 동시에 무인기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Small UAVs are sensitive to the payload, there is a limitation of loading heavy sensors and devices into small UAV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a small UAV to conduct real-time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In our approach, we have developed a vision-base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for small UAVs using Wi-Fi technology. SURF (Speeded Up Robust Features)-based localization and tracking is done within small UAVs in real time and at the same time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based mapping and more accurate localization is performed in Ground Control Station (GCS). When radio frequency (RF) with 112.5Kbps speed is use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in real-time is difficult. So, our approach uses Wi-Fi with 54Mbps speed, which enables the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image data in real time. The result of mapping and localization processed in GCS is sent to the small UAV and merged with information obtained from SURF algorithm within the UAV, which improves the accuracy of UAV localization and target trac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