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B-SPLINE 알고리즘을 이용한 FLC의 학습 성능 개선과 도립 진자 제어에의 응용

        이규열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general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fuzzy membership function via B-spline curve is shown. We translate the empirical data into the form of the control points of B-spline curves to construct fuzzy membership functions. This unified form of fuzzy membership functions is called as B-spline membership functions(BMF's). And the proposed controller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fuzzy inference controller and fuzzy-neural controller; that is, fuzzy inference controller for the virtual equilibrium point and fuzzy-neural controller for the position control of the cart according to the firstly inferred virtual equilibrium point. This fuzzy-neural control of a inverted pendulum is well presented in this paper to illustrate the pe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 1,3-Dibromopropane의 티오시안화 이온에 의한 모노치환 반응에 관한 연구

        이규열 단국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디할로겐화 알칸의 모노치환 반응의 최적 조건을 얻고자 1,3-dibromopropane의 monothiocyanatioh 만웅을 실시하였다. 반웅의 유형은 1,3-dibromopropane을 DMF용매 내에서 MSCN(M은 Na, K, Li)과 가열하는 방법, 상 이동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 Alumina나 상 이동 측매를 가하고 1,3-dibromopropane과 1,3-dithiocyanopropane을 함페 가열 하는 방법 등이다.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터오시안화를 실시한 결과 1,3-dibromopropane과 1,3-dithiocyanopropane을 알루미나 존재 하에서 가열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모노치환률(58%)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친핵체의 금속염 종류에 따른 반응성 변화률 상 이동 측매 조건하에서 실시한 결과 NaSCN이 KSC이나 LiSCN보다 모노치환체에 대한 선맥성이 중다는 것을 알았다. 상 이동 촉매 대신 D하에서도 모노치환체를 얻을 수 있었다. 디할로겐화 알칸의 모노치환 반응에서는 알려진 상 이동 측매 또는 DMF를 이용한 반웅조건 보다는 알루미나를 이용한 반웅이 선택적 치환에 최적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was aimed at getting the good condition for monosubstitution reactions from alkyl dihalide through monothiocyanation reaction of 1,3-dibromopropane. Following methods are employed and observed the formation of monothiocyated product: reaction of 1,3-dibromopropane and MSCN(M=Na, K, Li ) in DMF, phase transfer catalytic thiocyanation of 1,3-dibromopropane, and exchange reactions of 1,3-dibromopropane and 1,3-dithiocyanopropane in the presence of PTC or alumina, The reaction of 1,3-dibromopropane and 1,3-dithiocyanopropane in the presence of alumina yielded the best amount(58%) of monosubstitution product among the reactions. In the reactions using several metal sal ts of nucleophi le, NaSCN showed better selected monosubsti tution than KSCN and LiSCN in the

      • 수평하중을 받는 군강관말뚝의 수치해석적 거동 연구

        이규열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량의 교대와 같이 수평하중을 받는 구조물 기초로 사용되는 말뚝은 군말뚝 으로 거동한다. 특히 군말뚝기초는 말뚝의 배열과 구속조건에 따라 거동에 큰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수평하중을 받는 군말뚝의 거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평하중을 받는 군말뚝의 거동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확한 해석을 위해 최근 수행된 강관말뚝의 구속조건에 따른 거동을 분석한 현장재하시험 사례를 참고하였다. 수치해석은 현장 수평재하시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모사하고 결과와 비교 검 증을 하여 해석의 적정성을 확인하였으며 말뚝두부조건에 대한 영향을 직접적 으로 비교하였다. 수치해석결과는 현장시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말뚝의 두부구속조 건이 고정단일때 자유단에 비하여 큰 수평지지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말뚝두부의 구속조건이 말뚝기초 전체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 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치해석을 통해 말뚝의 배열과 군말뚝 효과, 말뚝두 부 구속조건, 지반의 강성 등 다양한 조건에서 수평하중에 대한 말뚝의 거동 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危險價値(VaR)의 實證檢證 : 원·달러 환율 및 달러선물을 중심으로

        이규열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the financial environment has become much risker than any other days. Therefore, new risk managements have been needed. So this empirical study atempts to explain the accuracy of Value at Risk as a means of risk management. This study is based on 547 daily prices for the FX Spot & Futures, the first price in this data set belongs to May 19, 1999 and the last price belongs to July 30, 2001. In this study, sample priod is sequenced from Augest 1, 2000. This study explains the three most common categories of VaR models, i.e., Historical simulation, Variance-Covariance approach, Monte Carlo simulation. By employing these three VaR approaches, this study arrived at measures of price risk for the FX Spot & Futures at both 95 percent and 99 percnet confidence levels over one-day holding periods. Two position(long or short) are analysed. Although this article considers VaR models only in the context of market risk, the methedology is fairly general and could address any source of risk that leads to the decline of market value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examination of three approaches to VaR modeling shows that in many cases the approaches do not cover the risk that they are intended to cover. In addition the three approaches tend to produce risk estimates that do differ greatly. Most of the approaches produce inaccurate 95th and 99th percentile risk measures. What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st, Expone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Mothod is better than Simple Moving Average Model in calculating volatilities. Second, Variance-Covariance approach produces better risk estimates in this test. Clearly, contruction VaR models that perform well by every measure is difficult task especially in Korea. Thus, although this study cannot recommend any single VaR approach,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aimed at combining the best features of the approaches examined here may be worthwhile in risk management. I hope this study would help the risk management of financial assets implemeted more efficiently.

      •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 직무소진과 조직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 세종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중심으로

        이규열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소진과 조직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 · 세종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중심으로 - 이 규 열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일대일 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의 이직의도는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장애인 케어서비스의 질을 상향하기 위해서 유능한 인력을 충원하고 보다 더 나은 근무환경을 제공하여 이직의도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생활재활교사들이 직무에 대한 소진 및 조직 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지속해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직무소진과 조직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9월 4일부터 9월 29일까지 대전, 세종지역을 대상으로 23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재활교사의 직무소진, 조직갈등, 이직의도 인식수준을 분석해본 결과, 5점 만점 중 직무소진 2.69, 조직갈등 3.26, 이직의도 3.04로 조직갈등과 이직의도는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직무소진은 낮았다. 각 하위요인 중 높은 것은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이 3.06, 조직갈등 하위요인 중 개인 간 갈등 3.72, 이직의도 하위요인 중 더 나은 조건의 기관 입사 3.42로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소진, 조직갈등, 이직의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소진과 조직갈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생활비 등 경제적인 보탬을 위한 경우 직무소진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요인의 하위개념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과, 정적 관계로는 최종학력,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성취감 저하, 개인 간 갈등, 개인적 갈등, 집단 간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부적 관계로는 연령, 근무동기, 연봉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직무소진의 하위요인 정서적 고갈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갈등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갈등이 높을수록, 집단 간 갈등이 높을수록 생활재활 교사의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설명력은 58.7%이다. 따라서 직무소진과 조직갈등은 이직의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직무에 대한 소진을 최소화하여 장애인에게 양질의 케어서비스와 직무수행을 향상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또한 조직내부 갈등요소의 근본적인 원인을 모색하여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참고하여 향후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재활교사들의 행정 및 정책적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다. 장애인케어시간, 급여, 업무량에 대한 직무소진에 대해서는 정책적 지원, 즉 인원 충원 및 근로시간 단축 등 행정적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업무 분담 및 생활재활교사 처우개선, 급여의 증대를 통한 장애인거주시설 행정지원 프로그램의 개선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생활재활교사 구성원들의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설 내부 체계를 고안하고 공정하게 운영해야 하며, 생활재활교사 업무능력을 감안하고 적절한 업무 분배 및 업무 성과에 상응하는 공정한 보상체계를 마련하여 업무 배분과 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사전에 최소화해야 한다. 생활재활교사 간의 갈등에 대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해결 방안을 제시해주는 상담시스템을 구축하여 갈등을 지속해서 관리 할 수 있는 별도의 담당부서 신설이 필요하며, 장애인거주시설 최고관리자는 갈등이 발생했을 때 단순히 회피하기보다는 개인과 조직의 갈등을 조절하고 해결할 수 있는 중재자로서의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최고관리자는 지속해서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개인적 갈등, 개인 간 갈등, 집단 간 갈등에 대한 예방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행하고 더불어 갈등관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nflict to Job tansfer intention of Rehabilitation Instructors in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Daejeon & Sejong Area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 Kyuyeol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aewan Lee) The intention of job transfer of Rehabilitation Instructors working for man to man care service in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s the important element not only for individual but also for the entir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his research is about the study that job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nd the conflict among the organization have influence the intention of job transfer. For this we analyzed the data of 233 pages surveyed in Daejeon and Sejong from 4th Sept 2019 within 29th Sept 2019 through SPSS 22.0 statistic program which delt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 forth. the result of analysis is following. first, analyis show us that the conflicts among the organization and intention of job transfer have average level corelation and job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nd intention of job transfer under level corelation. the Among subfactors for each analysis, emotional exhaution is dominent figured 3.06 in job exhaution, conflicts between idividuals is dominet figured 3.72 i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the better job is dominet figured 3.42 in job transfer intention. Second, we can observe the fact that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with, economic benefit like living expenditure and educatjonal background through sociodem ographic and job quality, job exhaution,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tansfer-intention Third, the study about the relations between ecch subfactors and job tranfer intention tell us the main problems are educational background, emotional exhaution, inhumanity, the decline of accomplishment, individual conflicts, ad ornizational conflicts and the subordinate problems are age, motive of job application and salary. Finally, hierarchical analysis regarding job transfer intention of Rehabilitation Instructors shows the younger people have more intention of job transfer and the more emotional exhqution makes more job transfer intention. and individual conficts is significant reason for organizational conflicts. Through these conclusion, we can found job exhaution and organizational conflict has close relations to the job tranfer intentions to reduce the job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we ne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need effort to find the fundamental reasons of organizational conflict and solve the problems. To prevent frequent job-fransfer we suggest following solutions. First, we need set the policy for caring time managent, increasing salary, reducing excessive workload. Second, to reduce the complaints of Rehabilitation Instructors we need to redesign the organizatioin making inner system reasonable job distribution and fair compensation for outcomes. above all the organization need to make consulting system which helps the people prevent the individual conflicts and reinforce conflict-control-capability for individual conflicts and futhermore we need to build a confict control specialist training system.

      • 식생형 LID 여재의 오염도 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이규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LID 기법은 도시화로 인해 증가하는 불투수면에서의 강우유출량 및 오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시계획 분야의 최적의 개발기법이다. 이러한 LID 기법은 기본적으로 환경관리를 자연의 힘에 의존하므로 토양, 식생 등 자연자원의 수준에 따라 환경관리 수준이 좌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처리효율의 산정시 변동폭 또한 크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LID 관련 연구는 LID 기법이 토양·지하수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보다는 수리학적 지식 기반의 저류, 침투, 여과, 증발산량 예측 모델 등의 연구에 중심이 맞추어져 있다. 식생형 LID 기법의 여재인 식생토의 경우, 주로 LID 시설이 설치되는 지역 주변의 자연 토양으로 조성되며, 토양의 특성상 입도와 공극, 영양성분 등 물리·화학적 조성이 일정하지 않다. 또한 식생토의 오염시 해당 LID 시설의 여과능력 감소, 통기성 저하, 오염물의 재부유·용출 등 LID 시설 자체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형 LID 시설 식생토의 관리는 토양의 퇴적·침식 관찰, 퇴적시 토사제거, 협착물 제거 등 육안관찰과 물리적인 관리로만 제시되고 있으며, 오염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LID 기술 요소 중 토양의 저류, 침투, 여과, 증발산 등의 기능을 통해 강우유출량과 비점오염을 저감 시키는 식생형 LID 시설 성능의 유지와 관리기준의 검증 및 설정을 위하여 식생형 LID 기술의 여재인 식생토의 오염도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의 식생형 LID 시설 관리기술들을 조사하고 식생형 LID 시설의 여재인 식생토의 분석방법 및 오염도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표준오염강우의 제작방법과 식생토에 대한 오염강우 여과실험, 장기강우에 대한 식생토의 과오염을 모의하고 이에 대한 실험과 오염도 평가방법들을 표준화였다. 표준화된 평가기법의 적용을 위하여 실증단지 식생형 LID 시설 여재의 설계당시 식생토와 요소별 적용중인 식생토의 오염도를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및 퇴적물오염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표준오염강우를 제작하여 실증단지 설계 식생토를 대상으로 Lab-scale TEST-BED를 구축, 강우여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강우는 지속시간별로 유출수를 분석하였으며, 유출수 분석 단계별 식생토의 오염도를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식생토의 강우시 비점오염 저감성능과 식생토 내 오염변화를 평가하였다. 식생형 LID 시설의 식생토 분석결과 입도의 경우 옥상녹화, 거리화분, 설계 식생토, 빗물정원 1, 건물화분, 빗물정원 3 의 순서로 모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각 지점의 토성은 양질사토, 사질양토에 속하여 식생저류를 위해 적합한 토양의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설계 식생토에 비하여 요소별 식생토의 조립사와 중립사, 극조립사 비율 변화가 관찰되었다. 유기물 오염도의 경우 설계 식생토에 비하여 LID 실증시설의 오염도가 약 2 ~ 3 배 높게 나타났으나, 국내“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에는 17 ~ 25 % 의 수준으로 낮았다. 중금속 오염도 또한 국내 “토양오염우려기준”에 비하여 7.1 ~ 41.6 % 수준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설계 식생토에 대한 Lab-scale 인공강우 여과실험 결과 식생토의 여과 작용만으로도 여과형 시설의 TSS 저감기준(80 %)를 만족하였다. COD의 저감 효율은 TB1 ~ 4에서 49.6 ~ 57.9 % 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TOC 의 제거율은 44.7 ~ 65.6 % 로 분석되었다. TN 과 TP 는 각 각 5.1 ~ 7.3 %, 4.8 ~ 25.5 % 의 제거율이 나타났다. 중금속의 경우 Pb, Zn, Cu, Cd 의 제거율이 특히 높았으며, 강우가 지속될수록 저감율이 낮았다. Lab-scale 인공강우 여과실험 재료인 식생토의 분석결과 중금속의 오염 농도가 매우 증가하였다. 특히 Zn, As, Cd 의 농도가 높았으며,“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의 기준을 초과하였다. 실험의 수문학적 적용성 평과결과 약 30 mm/h 이상의 강우유입시 최초유출이 발생하였으며, 구간별 평균 저류율은 16.13 %, 최종 저류율은 15.3 % 로 나타났다. 누적 강우량 425, 788 mm 강우시 유출감소 시점이 나타났으며, 이는 식생토의 공극이 폐색되는 시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식생토의 오염도 분석과 평가 결과 및 선행연구에서의 식생형 LID 시설 관리방안을 토대로 최적화된 식생형 LID 시설의 관리기법을 제시하였다. 식생토의 오염도를 중심으로 식생형 LID 시설의 적절한 유지관리 방법과 이를 통한 식생토의 오염, 성능저하 예방의 관리와 개선의 필요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간적 관리를 위한 기술과 LID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 식생의 관리를 위한 점검기술로 구분하였다. 식생토의 관리를 중심으로 월 단위 또는 강우시 수시점검, 해당 LID 시설의 유입·유출수 모니터링 관찰을 통한 분기 단위의 정기점검, 식생토의 시료채취 및 분석·평가를 위한 년 단위 정밀점검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식생토의 성능관리 부분에서는 식생토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평가에 의한 식생토의 개량과 교체주기 설정 등 장기적인 오염여부 관찰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내용을 적용하면 식생형 LID 시설의 여재인 식생토의 입자조성 변화와 오염도의 관찰 등 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LID 시설의 설치 및 운영 사항은 기관 중심에서 소규모 일반 대중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LID 기술 운영의 저변 확대를 위해서 LID 기술 관련 교육기법 개발을 통한 교육의 일반화와 운영인력 교육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국가적인 정책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LID technique is an optimal development technique in the urban planning field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and manage rainfall runoff and pollution generated from the increased impermeable surface due to urbanization. Since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he LID method depends on the power of nature, the leve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soil and vegetation. Accordingly, when calculating the processing efficiency, there is a large variation. However, until now, most LID studies have focused on studies such as storage, infiltration, filtration, and evapotranspiration prediction modeling based on hydraulic knowledge. In the case of vegetation soil, which is the filter medium of the vegetation type LID technique, it is mainly formed with natural soil around the area where the LID facility is installed. Therefo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the physical and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article size, voids, and nutrients are not constant. In addition, when vegetation soil is contaminated, the function of the LID facility itself may be lost due to a decrease in the filtration capacity of the LID facility, a decrease in air permeability, and the occurrence of resuspension and elution of contaminants. The vegetation management of such a vegetation-type LID facility is suggested only through visual observation and physical management, and studies on the pollution level of vegetation soil pollution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ollution level of vegetation soil, which is a vegetation-type LID facility, was developed and standardized. To this end, vegetation-type LID facility management techniques in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vegetation soil analysis and pollution assessment techniques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production method of standard contaminated rainfall, the filtration experiment of contaminated rainfall on vegetation soil, and over-contamination of vegetation soil for long-term rainfall were simulated, and the experiments and pollution level evaluation methods were standardized. The vegetation soil of the vegetation-type LID facility in the demonstration complex was analyzed by applying a standardized evaluation technique. In addition, by producing standard contaminated rainfall, a Lab-scale TEST-BED was constructed for the vegetation soil designed for the demonstration complex, and a rainfall filtr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rainfall, runoff was analyzed for each duration, and contamination of vegetation soil by runoff analysis step was also analyzed. Through this, the performance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during rainfall of the vegetation soil and the change of pollution in the vegetation soil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vegetation soil of the vegetation-type LID facility, the proportion of sand was high in the order of Green Roof, Street Planter Box, Design Vegetation Soil, Rain Garden 1, Building Planter Box, and Rain Garden 3. Saturn at each point belongs to loamy sand and sandy loam, and has been classified as suitable soil conditions for vegetation retention. Compared to the design vegetation soil, changes in coarse sand, medium coarse sand, and very coarse sand were observed for each LID facility. The pollution degree of organic matter was about 2 to 3 times higher in the LID demonstration facility than that of the designed vegetation soil, and it was 17 to 25% lower than that of the domestic “sediment pollution assessment criteria”. The degre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did not show a high level of 7.1 ~ 41.6% compared to the domestic “soil pollution concern standard”. As a result of the Lab-scale artificial rainfall filtration experiment on the designed vegetation soil, the TSS reduction standard (80%) of the filtration-type facility was satisfied only by the filtration action of the vegetation soil. The reduction efficiency of COD was 49.6 ~ 57.9% in TB1 ~ TB4 and the removal rate of TOC was 44.7 ~ 65.6%. TN and TP were analyzed with removal rates of 5.1 to 7.3% and 4.8 to 25.5 %, respectively. Heavy metals had a high removal rate of Pb, Zn, Cu, and Cd, and the reduction rate was low as the rainfall continu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vegetation soil during the lab-scale artificial rainfall filtration experimen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was greatly increased.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s of Zn, As, and Cd were high, and exceeded the standards of “Soil Pollution Concern Standard (1 area)”. As a result of the hydrological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he experiment, the first runoff occurred when the rainfall inflow exceeded about 30 mm/h, and the average retention rate for each section was 16.13% and the final retention rate was analyzed as 15.3%. When the accumulated rainfall was 425, 788 mm, there was a time when the runoff was reduced, which could be estimated as the time when the voids in the vegetation were blocked. Based on the vegetation pollution level assessment and the LID facility management plan in previous studies, an optimized vegetation-type LID facility management technique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pollution level of vegetation soil, it was suggested to monitor the contamination of vegetation soil and proper maintenance method of vegetation type LID facility. Maintenance inspection was divided into technology for time management, inspection for maintenance of LID facilities, and inspection technology for vegetation management. Focusing on the management of vegetation soil, it was divided into monthly or occasional inspection during rainfall, quarterly regular inspection through monitoring of inflow and outflow water from the relevant LID facility, and yearly detailed inspection for sampling, analysis and evaluation of vegetation soil. Finally,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section of vegetation soil, the necessity of long-term observation of contamination, such as improvement of vegetation soil by periodic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vegetation soil and setting replacement cycle, was described. If this study is applied,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easy to secure basic data for maintenance of vegetation-type LID facilities. In addi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LID facilities need to be popularized on a small scale in the center of the instit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education of LID technology operation and further study on the education of operating personnel, and accordingly, national policy should be carried out.

      • 2단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PCM to PWM 변환기

        이규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신호를 재생 및 변환을 할 때. 지금까지 DAC(Digitla-to-analog)회로를 이용해서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한 다음에 이용을 하였다.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class-D 증폭개념을 사용하여 PWM 신호로 변환 시켰다. 그러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증폭기는 그 자체에서 열잡음을 발생함으로 정밀한 PWM 신호를 생성하기 어렵고, DAC의 비선형 때문에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입력신호의 크기를 펄스의 폭으로 표현해야 하는 PWM은 PCM의 비트가 증가하면 하드웨어의 동작 주파수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PWM신호는 해상도가 더욱 증가하고 응용분야가 다양해지면서 신호 처리 회로 역시 고해상도(high resolution), 적은면적(small area), 저전력(low power)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PCM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할 때 DAC회로 없이 변환할 때 과도하게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효율적이며 low power, small area을 요구하는 Hybrid DPWM with 2-MUX 구조의 PCM to PWM Convert를 설계 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