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IS를 활용한 용도지역지구의 정합성에 관한 연구

        이권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55

        용도지역‧지구와 관련한 제도는 사회적 또는 환경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고 체계화 되어 발전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용도지역지구 상호간 경계 불부합, 용도지역 지정목적에 맞지 않는 용도의 혼재 등 용도지역‧지구의 자체 또는 상호간 부정합성(불부합)과 관련된 문제들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국토에 지정 운영되고 있는 용도지역‧지구의 정합성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토계획법의 용도지역을 중심으로 KLIS, 건물통합정보, 업종정보 등의 다양한 GIS 데이터를 융합하여 공간 정합성과 내용 정합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정합성은 함께 동시에 존재할 수 없는 관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법의 용도지역과 8개 개별법의 용도지역간 공간적 경계 불부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지관리법의 보전산지, 산입법의 산업단지, 도로법 접도구역, 도시개발법 도시개발구역, 초지법 초지 등이 국토계획법의 용도지역과 불부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경계 불부합은 용도지역‧지구 지정‧변경시 의제처리 되는 관련 용도지역‧지구 지정‧해제가 공간정보에 반영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도지역‧지구의 내용적 정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반주거지역을 중심으로 허용용도 정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일반주거지역 내 건축물 허용용도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는데, 현행 법령의 건축물 용도제한 규정이 일반주거지역의 종세분화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기준으로서 용도지역‧지구의 내용적 정합성 분석에 활용하였다. 경기도, 서울, 제주도를 대상으로 불허용도 입지비율, 밀도 등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인접 용도지역별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5개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거시적인 관점에서 일반주거지역내 건축물 용도 정합성을 분석한 결과, 도시규모와 불허용도 밀도간의 관계는 밀접하지 않았으며, 불허용도의 입지패턴은 주요 간선도로 및 상업지역으로부터 일반주거지역의 중심부로 침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행법령기준보다 전문가의견 기준에 의한 불허용도가 일반주거지역 중심에 가깝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주거지역에 인접 가능한 5개 용도지역별 불허용도 입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인접한 용도지역의 성향이 불허용도의 입지 밀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주거지역의 불허용도 입지패턴에 대한 심층 분석에서는 현행법 기준보다 전문가의견 기준의 불허용도 입지 밀도 비율이 약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의 경우 인접용도지역보다는 지역 내 이면도로 등 가로망 특성이 불허용도 입지 밀도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내용적 정합성 분석의 일환으로 수행한 건축물 높이 현황 분석에서는 국토계획법 전용주거지역 및 1종 일반주거지역, 녹지지역과 인접지역에 다수의 중‧고층건물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일조, 조망, 스카이라인 측면에서 정주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용도지역지구 정보 공유 및 경계 불부합 검증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보의 생산 및 관리 주체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참조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용도지역지구 경계 정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용도지역 내 허용용도 행위제한 기준의 정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가의견조사 결과를 기초로 주거지역의 허용용도 기준을 정비하고, 기존 용도지역을 보다 세분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전이지역으로서의 용도지역 세분화가 필요하다. 특히, 상업 및 공업지역과 인접한 주거지역의 일정 구간에 대하여 전이지역 또는 완충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세분화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건축물 높이로 인한 정주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용도지역 배치계획수립 기준의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기성시가지의 도시재생과 신도시‧신시가지 계획‧관리 과정에서 현행 보다 강화된 기준의 용도지역 배치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KLIS, 건물통합정보, 업종정보 등 다양한 공간정보와 GIS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실증사례를 분석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를 보다 내실 있게 보완하기 위해서는 일반주거지역외에 기타 용도지역과 지역 내‧외의 가로망 패턴에 따른 용도지역의 내용적 정합성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용도지역과 건축물의 용도, 업종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축적하여 분석함으로써, 용도지역내 불허용도의 입지 원인을 도출하는 입체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헬리컬 엔드밀이 갖는 PCD 용접형 공구에 관한 연구

        이권 창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9

        기계산업의 꾸준한 발전과 함께 공작기계의 또한 급증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그에 따른 가공 공구 또한 꾸준한 발전을 해왔다. 점차 기계가공이 고정밀도를 요구하고 원가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생산성의 극대화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제품을 가공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가공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미세한 공차에 따라 제품의 특성이 달라지거나 수명이 달라질 수 있는 점 또한 유의해야한다. 아무리 가공공구의 정도 및 강성이 뛰어 날지라도 공구의 재질,형상, 설계에 따라 가공공구의 성능이나 가공품의 품질이 달라진다.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기계가공에서의 가공공구의 수명을 늘리고 장기간 무리없이 오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개발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공구 개선은 수명이나 TACK TIME을 줄여 생산량을 늘리기 위함이므로 버니싱 TYPE 보다는 헬리컬타입이 가공조건이 우세하여 공구를 선정하게 되었고 가격은 기존대비 1.5배 비싼가격이지만 공구수명과 피삭제의 품질은 매우 상향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 고속스핀들에 비해 가공시간이 단축이 되므로 제조경비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비용면에서 경쟁력 있는 가공단가를 만드실 수 있다. 기존의 밀링, 머시닝센터보다도 형상정밀도 ,진원도 ,직진도 ,표면조도 ,마도 정도 등이 엄청 우수하다 가공공구의 파손으로 인해 잦은 교체는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장애물이 되곤한다. 또한 가공공구의 미세한 파손으로 인해 제품의 품질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가공공구의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가공공구의 피로수명을 확인하고 최대한의 수명을 가질 수 있는 가공공구를 연구하였고 본 논문은 가공공구의 형상에 따른 최대한의 수명을 가지며 우수한 제품의 품질을 가공할 수 있는 수 많은 산업계에 가공공구의 수명향상에 대한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한⋅중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Dance educa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 that realizes the values and functions of art education as important form and means of art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dance education shows that there is not enough implementation on the education of dance itself, and as a result of neglect of research on the core values of dance education, dance studies are relatively experiencing marginalization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In accordance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 policy, China has been promoting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in culture education, while also gradually increasing exchanges on dance education. The dance educ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ance education system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oday’s era and changes in history. As institutions of higher dance education, universities faced new demands and challenges for the dance education system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cultural era.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ducation system of department of da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adjacent to East Asia, in order to achieve the advancement of Chinese dance education. To this end,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s of the two countr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and study the dance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ies based on research on three parts, which are the selection process of freshmen in department of dance, the current status of opening of curriculum, and the graduation requirements. Through organi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dance education system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with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dance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ies i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sought the development and future establishment direction of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and drew out the improvement plan on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tends to establish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study, while also researching for the Chinese dance education system to achieve the pluralization of development in the globalization trend of art in the futur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educational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boundaries of dance should be widened to contribute to popularizing dance. Second,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reak the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while setting up an educational system that conforms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nd creating its ow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ird, da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hoose from a wide range of autonomous learning field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ould help the researchers who conduct follow-up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fields, and further help the development of Chinese dance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ative study on Korea’s advanced university dance education system. 무용교육은 예술교육의 중요한 형식 및 수단으로서 예술교육의 가치와 기능을 실현하는 중요한 교육이다. 그러나 현재 무용교육의 현황을 보면 무용 자체의 교육가능 구현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구체적으로는 무용교육의 핵심적 가치에 대한 연구에 등한시한 결과 무용학이 인문과학과 자연과학 사이에서 비교적 주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에 따라서 중국은 문화교육에 있어서도 해외 각국과 교류를 촉진을 하면서 무용교육에 관한 교류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 대학교의 무용교육은 오늘날 시대의 발전 및 역사의 변천에 따라서 무용교육 체계를 정립하는 중에 있다. 대학교는 고등 무용교육기관으로서 새로운 문화 시대 배경 하에 무용교육 체계 새로운 요구와 도전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중국 무용교육의 선진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동아시아의 인접국인 한국 대학 무용교육과의 교육체계에 대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인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상명대학교 및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 수도사범대학교, 베이징사범대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를 크게 무용학과의 신입생 선발과정, 교육과정 개설현황 및 졸업요건의 세 부분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양국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서 중국 무용교육 체계의 발전 및 향후 정립 방향을 모색하여 중국 무용교육 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개선방안을 정립하는 한편 중국 무용교육 체계가 향후 예술의 세계화 경향 속 발전의 다원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의 무용교육은 무용의 경계를 넓혀서 무용을 대중화시키는 데에 기여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교 무용교육은 각 대학교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체계를 설정하고, 자신만의 교육적 특색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대학교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율적 학습 분야 선택의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교육 분야를 후속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도움이 있기를 바라며, 나아가 인접 국가인 한국의 선진적인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를 비교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중국 무용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브랜드 경험,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 브랜드 시민행동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중국에 소셜 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권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In recent years, the race to win customer experience has become intensified. More and more companies a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livering an experience that makes them stand out from their competition. This paper aim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ustomer’s brand experience,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s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ing role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 Service. Furthermore, it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interactivity. Data were collected via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method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ults show that positive brand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on positive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positive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brand citizenship behaviors. In addition,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mediates the effects of the four dimensions of brand experience (i.e. sensory, affective, behavioral and intellectual) on the three aspects of customer’s brand citizenship behavior. Furthermore, perceived interactivity can moderate the effect of customer’s brand experience on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s brand citizenship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Network Service companies should build high quality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so as to enhance customer’s brand citizenship behaviors by providing affective, intellectual, sensory, behavioral brand experiences in order. However, the empirical results reported herei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ight of some limitations. The primary limitation to the generalization of these results is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chinese therefore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results could apply to other countries. Future researchers could also consider conducting similar research in other marketplace as it could generate different results. Secondly, due to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is research is also limited in terms of sampling and selection bias. The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on line with the only Wechat users. Therefore, it might be more likely for them to response more positively to the questions. Third, this research relies on respondent’s self-reported data on their experience with using the Wechat. Therefore the results not compared to the other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he Facebook, the Instagram and so on. Future researches could consider to expand its scope so as to a meaningful comparison could be made. Nevertheles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role of brand experience as antecedents to the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s brand citizenship behavior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 Service. It makes a contribution to academics’ and practitioners’ understanding of brand experience by providing not only the theoretical foundation, but also practical implications and examples to inspire marketers for their work with brand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keyword: brand experience, custo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customer brand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interactivity. 최근 고객 경험에서 승리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었다. 점점 더 많은 회사들이 경쟁 업체와 차별화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배경으로 고객의 브랜드 경험,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 및 브랜드 시민행동 간의 인과관계 및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의 매개 역할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지각된 상호 작용의 조절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에는 구조 방정식 모델링과 부트 스트랩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긍정적인 브랜드 경험은 긍정적인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인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은 고객의 브랜드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은 브랜드 경험의 네 가지 차원 (예 : 감각, 감정, 행동 및 인지)이 브랜드 시민 행동의 세 가지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상호 작용은 브랜드 경험이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 및 브랜드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회사가 정서적이고 지적이며 감각적이며 행동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브랜드 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품질의 고객-브랜드 관계를 구축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맥락에서 고객-브랜드 관계의 질 및 고객의 브랜드시민행동에 대한 선행요인으로서 브랜드 경험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론적 기초뿐만 아니라 마케팅 담당자가 브랜드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업무에 영감을 주는 실질적인 영향과 예를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경험에 대한 학자 및 실무자의 이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교육서비스품질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중국 하남성 중학교 교사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권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교사들의 만족과 몰입을 통한 교육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유력한 요인으로서 교사들의 동기부여를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학생 만족과 몰입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충성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 방정식 모델 접근방식을 수용하여 교사들의 동기부여, 만족 그리고 몰입이 교사들이 진술한 자기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 만족, 몰입이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중국 하남성 남양시 소재 5개 주요 중학교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문헌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동기부여는 직무만족과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품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몰입과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역시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겻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의 동기부여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몰입과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미치고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교사들이 동기부여가 되어있다고 해서 교육서비스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교사들의 다양한 노력과 조직의 지원 활동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시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학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 몰입 및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 만족은 학생 몰입과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은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각된 서비스 품질은 학생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몰입과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학생만족을 매개로 몰입 및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교육서비스 품질 자체는 학생 만족을 유발하지만 그들의 몰입이나 충성도는 학생만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들이 스스로 진술한 자기 서비스 품질과 학생들이 지각한 교육서비스 품질간의 차이에 대한 t검정 결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에 대한 교사들과 학생들의 지각에 있어서는 평균의 차이가 있으며 확신성과 감정이입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유형성과 반응성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학생들이 교사들을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교사들의 확신성과 감정이입에 학생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점은 역할 모델로서 교사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중요한 함의 중 하나는 고객지향적인 원칙을 이해라는 교육 기관들은 그들의 학생들과 교사들을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보다 낳은 기회를 갖게 될 것이며 따라서 교육적 비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교육 기관들에 대한 추가적인 함의와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 한중 대학교 무용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무용은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예술 형식이다. 무용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용 교육이다. 무용 교육의 목적은 협의로는 무용 이론 지식의 전수로부터 광의로는 사회에 우수한 무용 인재를 배양하기 위함까지 넓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최근 차세대 무용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 내 무용 교육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서양보다 무용 발전이 비교적 늦었던 동아시아의 대학 무용교육에는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양국의 무용 교육이 앞으로 발전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무용 교육에 있어 두 나라의 공통점은 보다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선진화 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한국과 중국의 무용계 환경 및 전통 문화, 대학 교육 체도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한국과 중국의 무용 교육은 여러 차이점을 지니고 있기에 비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한국의 상명대학교와 중국의 중앙민족대학교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교육특징을 토대로 한국과 중국 대학 무용 교육 과정에 대해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개 대학 무용 교육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양국 무용 교육의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양국 무용 교육의 선진화, 국제화 및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중한대학교,교육과정 Dance is an art form that can express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nce is danc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of the word,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dance theory and in a broad sense, it expands to the broader scope of cultivating talented dancers in a societ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university danc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dance talent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till left to be improved i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East Asia where dance development was relatively late than in the We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which represent East Asia. These two countries have common points in dance education in that they are trying to introduce an advanced education system,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However, If you look more closely at Chinese dancers'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 an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you can find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ance education, so I think it is worth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on this matter. Therefore, I selected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 and Minzu University in China as specific research subjects, and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dance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depth. I hope this study can help to achieve advancement, interna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wo countries dance education by providing some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ance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Key Word: University Of Korea And China, Dance Education

      • 老莊과 『周易』의 天人合一觀 比較 硏究

        이권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박사

        RANK : 1839

        中國傳統哲學에서는 세계는 生成이 그침없이 流行하는 場이자 調和體이며, 인간은 자신의 生命價値를 실현함으로써 세계의 生成과 調和에 참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세계인식과 인간이해가 中國哲學의 天人合一觀에 담겨있다. 이 글의 목적은 老莊과『周易』의 天人合一觀을 통해 中國先秦時代 儒道兩家의 哲學體系를 고찰하는 데 있다. 老莊과『周易』의 天人合一觀을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共有點과 差異點을 찾을 수 있었다. 兩家의 共有點은 整體觀, 反復循環觀, 그리고 修養의 目標와 方法의 一致에서 발견된다. 差異點은 自然一元의 道와 陰陽二元의 道, 無形의 道와 形而上의 道, 그리고 無爲의 德과 推行의 德에서 드러난다. 老莊과『周易』에 의하면 萬物은 하나의 有機的 統一體[整體]를 이루고 있다. 老莊이 보기에 세계는 ‘自然而然’의 사물들로 이루어진 整體이고 만물은 整體인 세계의 구성원이며, 만물이 整體的 世界를 이룰 수 있는 근거는 自然으로서의 道이다.『周易』에서 세계는 生成·變化하는 사물들로 이루어진 整體이다.『周易』에서 세계는 整體이고 만물은 整體인 세계의 구성원이며, 만물이 整體的 世界를 이룰 수 있는 근거는 變易으로서의 道이다. 이처럼 老莊은 세계를 自然으로 통일되는 整體라고 보았으며,『周易』에서는 세계를 生成으로 통일되는 整體라고 보았다. 세계가 만물의 有機的 統一體라면 세계는 和諧의 場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老莊과『周易』에서는 세계를 調和體로 보았다. 老莊과『周易』에서는 모두 만물이 끊임없이 순환한다고 보았다. 老莊과『周易』에서 사물의 대립면들은 모두 一者인 道의 流行相이다. 이러한 相反相成觀念은 對立轉化觀念과 직결된다. 老莊은 만물이 고리처럼 처음과 끝이 맞물려 循環運動하는 것을 사물세계에서 드러나는 自然의 모습으로 보았다. 『주역』에서는 對待의 구조에서 變化를 말하므로 變化의 절단면은 모두 반대면으로 돌아가는 모습이 아닐 수 없다. 老莊과『周易』이 공유하는 反復循環觀은 對立轉化觀念에 기초한다. 이러한 인식은 상대하는 양면의 결합으로 세계를 이해했던 이른바 一物兩體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었다. 여기에는 서로 대립한다고 해서 상호배타적인 것은 아니라는 논리가 함축되어 있다. 老莊은 사물이 내면의 本性에 의해 自生自化한다고 보았으며.『周易』에서는 사물이 變化의 연속적인 흐름 가운데에서 生成·變化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老莊과 『周易』의 철학체계에서 끊임없는 生成과 變化는 내부로부터 발생한다. 이는 인간이 생명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인간 내부에 지니고 있음을 말한다. 老莊과『周易』의 天人合一觀에서는 修養目標와 修養方法이 一致한다. 老莊에 의하면 自然的 本性인 德을 회복하여 道를 體得하려면 虛靜해야 한다. 그런데 虛靜의 방법으로 회복한 本性의 내용 또한 虛靜이다. 이를테면 修養은 虛靜의 방법으로 虛靜한 本性을 회복하는 것이다.『周易』에서 仁義禮智 등의 道德的 本性을 실현한다는 것은 德을 증진시켜 성대하게 함을 말한다. 그런데 德은 忠信과 修辭·立誠 등의 德行을 통해 증진된다. 이는 德行을 통해 德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修養의 目標와 方法이 一致한다는 것은 道의 體得이나 實現이 道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本性恢復 또는 本性實現은 인간이 道의 運動에 합류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생명활동이 個體的 局限性을 넘어 字宙的 生命과 통한다는 정신이 담겨 있다. 老莊과『周易』의 天人合一觀은 이상과 같은 점들을 공유하면서도 서로 섞일 수 없는 차이를 드러낸다. 먼저 通觀念의 차이로부터 道槪念의 차이를 말할 수 있다. 莊子는 通을 상대하는 양면을 道에서 齋一한 것으로 말한다. 따라서 相反相成의 關係가 消滅한 一이 通이다. 老莊哲學에서 만물은 自然으로 통일된다. 이를 通의 논리와 합해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 나는 나의 本性인 自然으로 道와 하나가 되고 道에서 남의 本性인 自然과 通하여 남과 하나가 된다. 이로써 보면 老莊의 道는 自然一元의 道이다. 老莊哲學에서 萬物成立의 根源인 道는 自然 한가지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自然一元이다. 이에 반해『周易』의 通은 對待構造 안에서 이루어지는 對立轉化틀 말한다. 이 경우에는 相反相成의 關係가 여전히 남아있다.『周易』에서 만물은 生成으로 통일되는데, 生成은 通의 결과이다. 이로써 보면『周易』의 道는 陰陽二元의 道이다.『周易』에서 萬物成立의 根源인 道를 해명할 때 나타나는 陰·陽(乾·坤, 天·地)의 定位關係가 堅持된다는 점에서 陰陽二元이다. 다음으로 老莊과『周易』은 道의 媒介可能 與否에 대한 인식에서도 차이를 드러낸다. 이른바 言意之辨이 제기되는 맥락에서 兩家 道槪念의 차이를 찾을 수 있다. 老莊은 의미의 기원과 언어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間隙이 있다고 보았다. 이는 언어가 인간과 道를 매개할 수 없음을 뜻한다. 道의 媒介可能性을 인정할 수 없는 老莊哲學의 체계내적 근거는 無形의 道라는 관념에 있다. 老莊은 만물의 根源은 有形한 사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道를 無形으로 보았다.『周易』에서는 卦爻象徵體系가 인간과 道를 매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道의 媒介可能性을 인정할 수 있는『周易』의 체계내적 근거는 形而上의 道라는 관념에 있다.『周易』에서는 道는 無體이지만 流行하는 變易體라는 점을 形而上者로 표현했다. 無形의 道와 形而上의 道의 차이는 현상의 근거를 현상 이면에서 말하는 입장과 현상 너머에서 찾지 않는 입장의 차이를 드러낸다. 道家와 儒家의 哲學的 地平이 無와 有로 갈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끝으로 老莊과『周易』에서 제시하는 行爲原則에서도 兩家 天人合一觀의 차이를 찾을 수 있다. 老莊은 德에 의거해서 自然에 따르는 행위를 無爲라고 일컬었다. 老莊에 의하면 道가 만물에 대해 無爲로 작용하는 것처럼 聖人도 백성에게 無爲한다. 無爲는 聖人이 자신의 本性에 따름으로써 道와 合一하고, 道에서 백성의 本性과 만나는 것임을 뜻한다.『周易』에 의하면 聖人은 일상의 구체척인 삶 속에서 通變과 神化로써 道를 具現한다. 通變은 聖人이 사태에 알맞게 자신을 변화시키는 道를 세상에서 실천하는 행위이고, 神化는 聖人의 道를 백성이 쓸 수 있도록 백성을 敎化하는 행위이다. 즉 通變과 神化는 결국 聖人이 자신의 道를 미루어 실천하는(推而行之) 행위이다. 推行은 곧 推己及人이며, 인간이 본래적으로 지닌 道德的 價値를 남에게 미루어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老莊은 인간이 本性을 회복하기만 하면 자신의 本性에서 만물의 本性과 통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老莊은 聖人이 백성들에게 無爲한다고 말한다. 이에 반해『周易』에서는 인간이 후천적인 학습과 감화를 통해서 德을 증진시킬 수 있고, 德行을 통해서 道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周易』에서는 聖人의 救世行爲가 큰 의미를 갖는다. 이처럼『周易』과 老莊에서 말하는 聖人의 차이는 推와 不推에서 찾을 수 있다. 推와 不推라는 行爲原則의 차이는 곧 儒家와 道家의 分岐點이기도 하다. 中國傳統哲學認爲世界是生成不斷地流行的場, 也是一種調和體, 人類通過實現自己的生命價値, 以參與世界的生成和調和. 中國哲學的天人合一觀就反映了這種對世界的認識和對人類的理解, 本文的目的在于通過老莊和『周易』的天人合一觀考察中國先秦時代儒道兩家的哲學體系. 通過老莊和『周易』的天人合一觀的考察, 我們發現蛇們有着如下的共通點和差異點, 共通點表現在整體觀·反復循環觀·修養目標和修養方法的一致等方面. 差異點表現在自然一元的道和陰陽二元的道, 無形的道和形而上的道, 以及無爲的德和推行的德等方面. 老莊和『周易』認爲萬物構成一個有機的統一體(整體). 在老莊的看法, 世界是以'自然而然'的事物構成的整體, 萬物是整體世界的構成成分, 萬物可以構成整體的世界的根據是以自然爲主的道.『周易』認爲世界是以生成·變化的事物構成的整體.『周易』認爲世界是整體, 萬物是整體世界的構成成分, 萬物可以構成整體的世界的根據是以變易爲主的道. 如此, 老莊把世界看成以自然統一的整體, 『周易』把世界看成以生成統一的整體. 如果世界是萬物的有機的統一體, 世界可以說是和諧的場. 所以老莊和『周易』把世界看成調和體. 老莊和『周易』都認爲萬物不斷地循環. 在老莊和『周易』的哲學體系, 事物的對立面都是道的流行相. 這種相反相成的觀念근對立轉化的觀念直接聯關. 老莊以爲萬物象圓圈的起點和終點連結一樣循環運動, 這就是在事物世界表現出來的自然而然的形象. 在『周易』, 因爲從對待的結構說明變化, 可以說變化的切斷面都是回到對立面的形象. 老莊和『周易』共有的反復循環觀根據在于對立轉化的觀念. 這種認識是繼承一物兩體的傳統―所謂以相對的兩面的結合了解世界―的. 這裏有雖然互相對立而井不互相排斥的論理. 老莊以爲事物被固有的本性自生自化,『周易』以爲事物在變化的連續的流動中生成·變化. 如此, 在老莊和『周易』的哲學體系, 不斷的生成和變化從內部發生. 這說明人的內部有可以實現人的生命價値的無窮的潛在力. 在老莊和『周易』的天人合一觀, 修養目標和養方法是一致的. 接老莊的說法, 如果以恢復自熊的本性的德來體得道, 應該虛靜 以虛靜的方法恢復的本性的內容也是虛靜. 就是說, 修養是以虛靜的方法恢復處靜的本性的. 在『周易』, 實現仁義禮智等道德的本性, 就是說明增進而弘大道. 德通過忠信和修辭·立誠等德行增進. 這說明德通過德行完成. 如此, 修養的目標和方法的一致就說明道的體得或者實現是在道這一層面形成. 換句話來說, 恢復本性或者實現本性, 這是人合流于道的運動. 這裏有人類的生命活動超過個體的局限性, 從而?근宇宙的生命相通的情神. 老莊和『周易』的天人合一觀有着上述的共通點, 也有着不可能互相混合的差異點. 首先, 蛇們的'通'和'道'在觀念上存在着差異. 莊子認爲相對兩面的通由道來齋一. 所以使相反相成的關系歸于消滅的一就是'通'. 在老莊哲學, 萬物是以自然達成統一. 如果把這種認識근'通'的理論結合, 可以表述如下 : 我以我的本性的自然與道形成一, 而道근別人的本性的自然相通形成一. 從這個觀點來看, 老莊的道是自然一元的道. 老莊哲擧中, 道是萬物成立的根源, 于歸結于自然, 因此, 定是自然一元. 與此招反, 『周易』的'通'就是說對待構造裏形成的對立轉化. 在這種情況下, 相反相成的關係還存在. 在『周易』, 萬物以生成達成統一, 生成是'通'的結果. 從這一點來看,『周易』的道是陰陽二元的道.『周易』說明萬物成立的根源的道的時候, 陰·陽(乾·坤, 天·地)的定位關系成立, 因此是陰陽二元. 其次, 老莊和『周易』在對道的溝通可能與否的認識 也有差異點 在所謂'言意之辨'的方面, 兩家具有對道槪念的差異點 老莊認爲意義的起源和語言之間存在着不能渡過的空間. 換句話來說, 就是說語言不能溝通人和道. 老莊哲學體系不能認定道的媒介可能性的根據, 就在于道是無形的觀念. 老莊在萬物的根源不是有形的事物這方面, 把道看做無形.『周易』認爲卦爻象徵體系可以溝通人和道.『周易』體系可以認定道的媒介可能性的根據, 就在于道是形而上的觀念.『周易』以形而上者表現出來的道是無體·是流行的·變易體·無形的道和形而上的道的差異點有: 一個具有現象的根據在現象的反面的立場; 一個具有現象的根據不在現象的那邊的立場. 道家以'無'表現道, 儒家以'有'表現道的原因, 就在這裏. 最後, 老莊和『周易』的行爲原則中, 也存在着天人合一觀的差異點. 老莊把根據德順應自然的行爲看作'無爲'. 接照老莊的說法, 好象道對萬物無爲, 聖人也對老百姓無爲. 無爲意味着聖人順應自已的本性, 以合一于道, 在道裏交接老百姓的本性的意思. 按『周易』的說法, 聖人在日常的具體生活裏以'通變'和'神化'體現道. '通變'是指聖人適當地變化自己的道在世上實踐的行爲, '神化'是指聖人的道采取可以使老百姓接受的形式來敎化老百姓的行爲. 反正'通變'和'神化'是聖人把自己的道'推而行之'的行爲. 推行就是說'推已及人', 把人固有的道德的價値推人而行之的行爲. 老莊認爲人只要恢復本性, 在自已的本性裏可以通萬物的本性. 因此, 老莊主張聖人對老百姓無爲. 與此相反,『周易』認爲人通過後天的學習和感和感化可以增進德, 通過德行可以實現道. 于是,在『周易』裏聖人的救世行爲有着흔大的意義. 如『周易』和老莊主張的聖人的差異點在'推'和'不推',裏可以發見'推'和'不推' 這行爲原則的差異點也可以說是儒家和道家的分岐點.

      •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이권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adolescent period with the rapid developmental changes is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Going through emotional instability on top of rapid physical changes, they experience diverse stresses. Such adolescents' negative emotion getting stressed out shows problematic behaviors like anxiety, resistance, and aggression. Especially, one of the variables that should be noticed is the aggression. Aggression have recently been the cause of serious social problems that a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press, it is a cause of variables closely related to youth violent crime such as bullying, school violence, robbery etc. Thus, it aimed to define adolescents' mental health issue as stress, and also to research the effects of adolescents' stress on aggression. Recently,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s faced new changes, and in relation to well-being, the 'mindfulness' grabs attention as an attribute of a method to effectively decrease stress and also to control emo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effects of adolescents' stress on aggression by setting mindful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Selecting four high schools in C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44 high schoolers(Grade 1&2) in each high school. Using SPSS 22.0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methods are like below.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the descriptive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Secon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ing tool, the Cronbach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stress, aggression, and mindfulnes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urth,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effects of adolescents' stress on aggression,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ph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regarding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sex, the economic stress as a sub-factor of stress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average of women was higher than men's.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school record, except for stress and aggression, only mindful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school record was high, the level of mindfulness was high. Third, regarding differences in main variables in accordance with income level, all the stress, aggression, and mindful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ress and aggression got increased when the income level was relatively low. Fourth, stress and aggres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hen stress was high, aggression was also high. Fifth, stress and mindful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Sixth, mindfulness and agg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hen mindfulness was high, aggression was low. Seventh,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adolescents' stress and aggression, there wer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effects of economic stress on aggression. This study empirically revealed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effects of economic stress among sub-factors of adolescents' stress on aggression, and also showed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stress and aggression.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indfulness as measures to prevent or decrease variables giving negative effects such as economic stress or aggression targeting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lso,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tress and its sub-factors that could trigger aggression, and also to perform educational practice/prevention by planning intervention measures for adolescent's issues. In the cognitive approach, mindfulness had positive effects on aggression. As it is possible to have efficient self-control, it would be important in the aspect of social-welfare prevention. Thus, the stress-relief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and specialist's education/counseling for self-control for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should be combined and improved to be supported in the overall life. On top of teaching correct consumer consciousness at home, school should plan/seek for diverse programs including economy-related programs to efficiently manage stress, which is to support adolescents through the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 Lastly, in order to maintain diverse social-welfare service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lots of interest and support for adolescents to be correctly growing in the environment of home, school, and society in the level of community and state. 발달상의 변화가 급격한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도이며, 신체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정서적 불안정을 겪는 시기로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렇게 스트레스를 받은 청소년들의 정서는 불안, 반항, 공격성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보이면서 문제행동으로 나타난다. 특히 주목해야할 변수 중 하나가 공격성이다. 공격성은 최근 언론매체에서 자주 언급되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원인으로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 강도 등 청소년 폭력 범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변인이다. 그래서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한 문제를 스트레스로 규정하고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최근 들어 인지행동치료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였는데, 웰빙(Well-Bing)과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정서조절 방법의 한 속성으로 ‘마음챙김(Mindfulness)’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음챙김을 조절변수로 설정함으로써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의 C시에서 4개의 고등학교를 선정하고 각 고등학교의 1, 2학년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임의 표집하여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각 측정도구 마다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계수(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공격성, 그리고 마음챙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마음챙김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단계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에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가 남자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적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에서 스트레스와 공격성을 제외한 마음챙김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적이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소득수준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에서 스트레스, 공격성, 마음챙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진다고 볼 수 있으며, 공격성도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스트레스와 공격성의 상관관계에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공격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상관관계에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마음챙김과 공격성의 상관관계에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마음챙김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청소년 스트레스의 하위변인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제적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경제적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이 조절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낸 것과 경제적 스트레스와 공격성 관계에서 마음챙김이 아주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대적으로 경제적 스트레스나 빈곤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격성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변인을 감소시키는 방안이나 예방책의 하나로서 마음챙김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청소년 스트레스와 하위변인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로 인해 공격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며, 청소년의 문제에 대해 개입 방안을 계획함으로써 교육적인 실천과 예방을 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인지적 접근에서 마음챙김은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효율적인 자기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적 예방차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과 자기조절이 가능하도록 전문가의 교육과 상담 등이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병행하여 생활 전반에서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올바른 소비의식을 교육하고, 학교에서는 경제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모색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방차원에서 포괄적인 복지서비스를 통해 지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다양한 서비스 지원이 유지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국가적 차원에서 청소년들이 가정이나 학교, 사회의 환경 속에서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깊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 푸드카빙 식공간 연출이 고객감정반응에 따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권 전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significance of dietary life in the survival dimension decreases, and the recognition that attaches importance to quality, taste, or atmosphere becomes universalized, rather than the quantity of food. The value creation factor of dining space can satisfy consumers, and decoration, an element of space styling to promote emotions in the dining spac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impact of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on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n empiric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aged over 20s, who experienced food carving dining space, and a total of 288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o draw the follow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creativity and aesthetic sense of food carving dining space had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on positive reactions, and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on negative reactions. Creative and beautiful composition of dining space, interior design, table styling, and plating in dining space styling satisfy customers’ positive reactions. Second, of the elements of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creativity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customer emo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styling that creatively expresses beautiful flower or animal shapes, utilizing the food ingredients that the consumers have seen the originals of them through food carving has impacts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taste of the food and that they may feel uncomfortable if creative food carving styling, plating, and table decoration make it difficult understand the design because of excessive or unnatural geometric shapes or maze shapes that do not match the foods. Second, it turned out that, of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positive reactions onl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nsumers feel impressive, interesting, and pleasant emotions through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and these positive reactions affect their behaviors, which may make them have a good feeling to recommend or revisit the dining space styling restaurant and company. Third, it turned out that, of the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factors, creativity and differenti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 impacts on word-of-mouth intention, and of the factors of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consumers’ revisit intentions in the following order: differentiation, harmony, functionality, and creativity. It turned out that, when the characteristics of a restaurant felt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another because of the decoration, table styling, and plating in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the consumers got higher word-of-mouth intention to tell their acquaintances or community space. This study empirically checked the relationship of the impact of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on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Thus, since, in dining space styling, the creative and beautiful composition of dining space, interior design, table styling, and plating makes the consumers want to revisit the restaurant and increases the positive word of mouth, it will increase the publicity effect through consumers’ revisits connected to the sales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ir voluntary word of mouth. Second, through food carving, the styling that creatively expresses beautiful flower or animal shapes, utilizing the food ingredients that the consumers have experienced the originals of them has impacts in addition to the taste of the food, and food carving styling is a critical strategy to increase the customers’ satisfaction by increasing food quality and arousing appetite in the visual aspect. However, this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come up with the styling considering the customer class in the advanced planning stage so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the age groups and subjects in advance and present a natural atmosphere with the meal menu customer in planning the presentation of a rather unconventional and original concept. Third, since it is noted that in the dining space, the consumers’ feeling of positive reactions may affect the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which are actions in the future, like letting the surrounding persons know or behavioral intentions like recommendations and revisi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atching keywor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te, considering the color arrangement, etc. in addition to the presentation of aesthetic functions by contrasting the color and shape of the food that can make it look better, centering around food carving drawing development or food carving table styling. Although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people who experienced food carving,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nationwid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no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regions. Thus, since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overall food carving dining space styling and a problem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s, it would be necessary to subdivide the subjects of the future research by region, business type, and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