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이광균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교육방송전공 이광균 21세기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생활에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요구도 증가해 왔다. 정보화, 지식화의 물결은 전 세계를 지식 정보사회로 변모시키며 정보의 공유와 새로운 지식의 생성이 국가 발전의 사활을 가늠하는 기준이 되어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지식 정보화를 국가의 목표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많은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교육의 현장에도 많은 교수 기기가 보급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의 증진을 위해 다양한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실태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교수 매체 제작 및 활용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의견을 조사 분석하였다. 다양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에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 실태를 성별, 교육 경력별, 학교 소재별로 분석해보고, 교사의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지역은 충청남도 보령시의 초등학교 교사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120부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기기의 보유상황이 만족한 상태로 나타났으나 더욱 다양한 교수 기기를 확보하여 다양하고 적절한 교수매체를 제작 활용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교육 행정가들은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겠다. 둘째, 교사들이 교수매체를 인터넷에서 많이 찾고 있으나 자료를 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자료를 찾았다 하더라도 활용하는 교사의 구미에 맞지 않을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교육당국에서는 통합된 일정한 공간에 교육자료를 수정 가능한 파일로 제작하여 탑재함으로써 자료를 쉽게 찾아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매체 정보를 체계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수매체 활용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매우 만족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교수매체를 활용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서 활용의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사에 대한 교수매체의 이론적 지식과 제작 및 활용기능 교육을 강화하고 각종 연구회와 연수의 기회를 늘려 교사의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수매체의 투입이 아동의 학습 활동에 많은 흥미에 느낀다. 그러므로 교수매체를 제작하는 교사나 매체 제작자들은 아동의 흥미와 학습효과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매체를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방송이 교육적으로 활용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EBS 인터넷 교육방송의 VOD서비스를 잘 모르고 있다. 시간, 공간적 제약과 수업시간과 맞추기 어려워서 활용효과가 낮은 교육방송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EBS 인터넷 교육방송의 VOD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업 시간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와 활용방법의 안내가 필요하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and The Perception on Its Applicati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e, Kwang-Kyoun Major in Educational Broadcas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Information K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Lim, Jae-Suk Ph. D In the 21st century, the change in lifestyle is accelerat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emands on the change in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it. The flow of information-orientation and knowledge-orientation are transforming the whole world into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and the ownership of information and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have become a standard that discerns the life-or-death of the development of a country. Therefore many countries of the world have selec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orientation to be the aim of the country and investment on this field is not being spared. As many teaching equipments have been provided in the education field, the production of various teaching mediums and its application have become necessary in increasing the studying-effects of students. Accordingly,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appl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tudy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teaching medium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the p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x, experience in education, location of schools of the teachers,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Boryeong city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120 survey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there was satisfaction in possessing teaching equipments but production of diverse and appropriate teaching mediums and its application have to be provided by securing diverse teaching mediums.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education administrators should not be spared. Secondly, teachers are searching for teaching mediums in the internet but it takes up lots of time, and there are cases when it does not meet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Therefore,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duce and load education materials that can be modified in an integrated and fixed space, so that materials can be found easily, processes and utilized. In other words, information on education mediums has to be systematical. Thirdly,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on the necessity and the effect of applying education medium were very satisfactory. However, as there is much difficulty in its application, as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s in applying education mediums theoretical knowledge, production and application function of education mediums for teachers have to be strengthened. And, various societies for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have to be increased for teachers to educate students continuously. Fourthly, introduction of teaching mediums built the interest of children on their studies. Therefore, teachers or producers who produce teaching mediums have to carefully produce teaching materials with consideration on the studying effects and the interests of children. Fifthly, most of the teachers perceived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to be greatly effective but they were not too familiar with VOD service of EBS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In order to increase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which has low effects in application, as it is difficult to fit the class period and has time and spatial limitations- EBS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should utilize VOD service and restructure it to fit class periods to apply to classes, and publicizing and information on the method of application is necessary.

      • 수요자 특성별 수도권 미분양아파트 선호요인에 따른 마케팅 전략방안

        이광균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미분양 아파트 적체에 대한 원인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장기적인 부동산 경기침체 등 복합적인 원인이 존재한다. 특히 수도권지역의 경우 높은 분양가와 금융규제 정책에 따른 저소득 중산층의 주택구입 능력의 한계 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아파트의 공급 및 수요를 조절하여야 하지만, 정확한 예측은 어렵다. 또한 국민의 자산 중 부동산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건설 산업이 국가경제의 근간이 되어 왔다는 사실을 감안해보았을 때, 미분양 적체의 장기화는 건설경기와 실물경기 침체를 발생시킬 것이다. 때문에, 미분양 아파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요자 특성별 부동산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동산마케팅 개념의 변화와 미분양 주택해소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임을 감안하여, 분양과정에서 분양주체가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는 일련의 마케팅 활동들을 변수로 구체화 하고, 수요자를 중심으로 부동산마케팅 활동이 주택만족도 및 주택 투자가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실증 분석에 앞서 미분양 주택의 수요자의 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요인분석으로 가구의 일반적 특성을 요인화 하였고, 다차원 척도법으로 요인을 통합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유형구분을 토대로 실증분석은 ‘수요자 특성별 미분양 주택 선호요인 분석’과 ‘수요자 특성별 미분양 주택 선호요인이 주거만족도 및 투자가치에 미치는 영향구조 분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제4장과 제5장의 분석의 결과를 수요자 특성별로 구분하여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상호비교를 하였다. 이러한 종합비교를 통해 향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적체해소와 수요자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소득/투자수익 수요자는 부동산마케팅을 제일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나, 만족도는 3순위로 도출되어 상대적인 차이가 존재했다. 이는 투자목적이 강하며, 부동산 자산비율, 금융자산 비율이 높은 수요자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에 대한 부동산마케팅에 대한 부문은 덜 중요한 고려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정책 및 제도는 중요도 만족도 모두 2순위로 도출되어, 중요하기도 하며, 만족도도 높은 부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세제혜택, 규제완화, 금융지원 등에 대한 고려를 해당 수요자 유형의 마케팅 전략에 고려해야 한다. 특이한 사항은 거주환경에 대한 중요도가 낮으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입지환경은 중요도 만족도 모두 하위 순위로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것도 실거주 위주 보다는 투자목적이 강하기 때문에 직접거주하기 보다는 투자수익을 위한 임대목적에 있어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자녀동거/중년층 수요자는 거주환경에서 중요도 만족도 모두 1 순위로 도출되었다. 이는 본 연구 대상인 미분양 아파트가 대부분 대규모 공급에 의해 단지규모가 크고, 브랜드나, 시설 및 설비 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건설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요인은 해당 유형에게 미분양 아파트를 마케팅 할 경우 필수적인 부문으로 주택 건설 시 단지 내 친환경을 통한 쾌적성, 시설 및 설비의 편리성, 주택 내부환경이나 인테리어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입지환경에서는 중요도가 2순위나 만족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도출되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전략 부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해당 수요자 유형이 미분양 주택에 대한 고려 시 대중교통 노선 확충 등의 보완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동산마케팅은 가장 중요하게 생각지 않은 부문이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마케팅 전략을 고려할 시 미분양 특전과 가격 및 이자혜택 등에 대한 부문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다. 정책 및 제도 역시 중요도 및 만족도가 하위권으로 도출되어 이에 대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덜 고려해도 되는 전략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맞벌이/사회초년생의 경우에는 다른 수요자 유형에 비해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중요도 및 만족도가 가장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이는 맞벌이 사회초년생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열위에 있기 때문에 금융지원, 규제완화, 세제 혜택 등의 전략을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거주환경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였으나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분은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부동산마케팅 부문은 중요도가 2순위로 도출되었으나 만족도가 3순위로 도출되어 부동산마케팅 방안이나 질에 대한 전략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입지환경에 대한 부문은 중요도 및 만족도 모두 낮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미분양 주택 구매 시 사전에 고려하였기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보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수요자특성별 아파트 분양마케팅에 관한 연구 : 강남과 강북지역의 선호요인비교

        이광균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8년 미국 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우리나라 아파트 분양시장은 교통, 교육, 문화, 친환경, 의료시설, 상업·레저 등 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진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2011년에 3.22 부동산 대책과 5.1 부동산 대책을 연이어 발표하며 부동산 경기 부양을 시도하고 있으나 분양가 상한제 폐지, 리모델링 법안 개정, 전·월세 상한제 시행, 보금자리주택 공급방안, 임대아파트 건설 등 실질적인 후속 조치가 늦어짐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편으로 부산을 시작으로 경남, 충청 등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지만 그 외 수도권은 여전히 미분양 아파트가 적체되어 있어 단기간에 전반적인 부동산 경기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IMF 외환위기 이후 달라진 수요자 위주의 시장구조 하에서 분양주체들은 아파트를 성공적으로 분양하기 위해 다양해진 수요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분양 마케팅 전략을 모색해야만 했다. 더불어 분양대상 아파트를 홍보함에 있어서도 잠재수요자들에게 다른 아파트와 차별화된 가치와 장점을 부각시켜 최종 선택하도록 하는 마케팅 활동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부동산 시장 및 부동산 정책에 대처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성공적인 아파트 분양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인(아파트 가격, 교통여건, 교육, 환경, 브랜드 등)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았고, 아파트 수요자들을 강남과 강북 거주자로 나누어 20대에서 60대까지의 연령층별로 아파트를 구입할 때 선호하는 요인에 대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새로운 부동산 정책에 대한 강남과 강북 거주자간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아파트 분양 마케팅 전략을 수립·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수요자특성별 아파트 분양 시 선호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설문지의 내용은 크게 아파트 분양의사, 대출범위, 적정한 평당 분양가격, DTI규제와 가격의 변화, 아파트 구매결정시 선호요인, 현 거주 주택의 불만정도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아파트 분양 마케팅 특성에 관한 사항,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관한 사항, 주거형태적 특성에 관한 사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사항의 통계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으며, 아파트 구매결정시 적정 분양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에 관한 사항의 통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설문대상의 63% 이상이 향후 아파트를 분양받을 계획이 있다고 응답해 아파트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여전히 크다고 볼 수 있으며, 분양 시 필요한 자금 중 일정부분을 금융회사 대출을 통해 구입할 의사가 있음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설문대상자의 87%가 30평형대와 40평형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0평형과 40평형 위주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50평형 이상의 아파트를 분양하는 경우에 분양 가격할인, 분양금액 유지, 프리미엄 보장이라는 계약조건에 관해 수요자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사람들이 명품아파트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사가 분양을 위해 아파트를 명품아파트로 브랜드화 하는 전략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분양 마케팅 시 단지 내 조경 및 부대시설, 편의시설이 우수하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연구결과 분양가격 할인이 전제될 경우 미분양 아파트라 할지라도 구매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아파트의 평당 분양가격 산정 시 아파트 단지가 위치한 입지적 요소와 주변의 친환경적 조건과 편의시설과의 접근성, 세대수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관해 DTI규제 철폐, 분양가 상한제 폐지 그리고 1주택자의 3년 보유 시 양도세 면제조치, 취득세 50% 추가 하향조치가 아파트 거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아파트의 신규 분양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사업시행 전 사업의 타당성 검토에서도 분양성과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situation of the Korean apartment selling market is that it has considerably dwindled except in some parts where infrastructures for traffic, educational, cultural, environment-friendly, medical, commercial and leisure facilities are well equipped, since the financial crisis beginning in 2008. Government announced the 3.22 real estate measure and the 5.1 real estate measure in 2011 in succession and attempted to boost the real estate market. The situation of the apartment selling market is that it is very still bearish as follow-up measures have been taken late such as the abolition of the price cap in apartment houses, the amendment of the remodelling bill, the execution of the cap on Chonse and monthly rent, the scheme to supply nest-type housing, the construction of rental housing and the like. But unsold apartment houses have reduced at the rapid rate in localities such as Kyungnam, Chungcheong and the like, beginning from Busan. The situation is that unsold apartment houses have still accumul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this reason, selling agents are engaging in establishing a diverse forms of selling marketing strategies to get the successful selling performance when they publicize apartment housing for sale. In addition, marketing activiti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o enable latent consumers to choose apartment houses by comparing the subject apartment housing with other apartment houses and highlighting a differentiated value and advantag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xisting marketing strategy to sell apartment housing successfully in accordance with consumers' needs in keeping with the rapidly changing real estate market. And it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preference factors such as apartment price, traffic conditions, education, environment, brand and the like when the prospective buyers resident in Kangnam and Kangbuk areas purchased the apartment house(subdivided the age group from their 20s and the 60s) and investigate what meaning a new real estate policy had for those living in the Kangnam and Kangbuk areas. Ultimate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and utilize the specific apartment sale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about "preference factors in selling the apartment housing by the character of consumers" to go beyond the limit of a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its subject. It asked the respondents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items such as the intention to sell the apartment housing, the scope of loans, proper selling price per pyong, restrictions on DTI and changes in prices, preference factors in deciding to purchase the apartment hous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dwelling. Based on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statistics on the following matters: matter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apartment sale marketing; matter on the real estate policy of government; matter on the living-form characteristics; and matter o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tatistics on the preference factors influencing the optimal selling price in deciding to purchase the apartment hous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more than 63% of the respondents had the plan to purchase the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This indicates that latent demand for apartment houses is still large. It was found that they ha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apartment house through equity capital and loan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87%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apartment house with the area of 30 pyong and 40 pyong.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 apartment house with the are of 30 pyong and 40 pyo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had the high level of preference for the discount of the selling price, the maintenance of the selling price and the condition for guaranteeing the selling price in case they purchase the apartment house with the area of more than 50 pyong. Fourth,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judged that there was the prestigious apartment housing.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strategy for the construction company to brand the apartment hosing into the prestigious one to sell it is effective. Fifth,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and use the advantages of landscaping, auxiliary facilities and ameniti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t the time of its sale marketing. Sixth,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had the high intention to purchase the apartment housing though it might be unsold if the selling price were discounted. Seventh,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friendly conditions, accessibility to amenities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like in consideration the locational element of the apartment complex in calculating the selling price per pyong of the apartment house. eighth, it was found that measures such as the abolition of regulations on DTI, the abolition of the cap on the selling price and measure for exempting transfer tax at the time of holding the apartment house for three years and additional measure to lower the acquisition tax by 50% would have an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apartment housing transa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useful data in selling the apartment housing. And if the business agent makes proper use of the findings before the execution of the project, the performance of sale can be predicted to some ext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its limitation and the future task.

      • AHP기법을 활용한 교량 상부구조의 VE검토

        이광균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공공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건설교통부는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공공사업수행 절차와 기준을 법제화 하였으며 이후, 시행령 38조 13의 규정에 의한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설계VE) 실시를 의무화하는 시행지침을 작성하여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VE 적용대상 규모를 500억에서 100억 공사로 확대 적용하도록 개정하여 VE제도가 전반적으로 일반화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교량의 기본계획과 기본설계 단계가 대개의 경우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설계에 필요한 기본자료의 조사를 제외하고는 형식적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로 경험에 의존하여 관행대로 교량의 계획을 발주관서의 의도대로 설계하거나 설계의 편의대로 수행한 설계를 합리화 하는 형식적 보고서 작성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교량 계획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험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수행하던 기존의 비합리성을 개선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의사결정 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교량대안선정을 위해 설계시 경제성, 경관성, 안전성 및 기능성, 유지관리 용이성, 시공성 등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였다. 이중 경제성은 초기비용뿐만 아니라 공용수명에 걸쳐 발생하는 유지관리비용, 보수·보강비용, 해체·폐기비용 등의 합인 총 생애주기비용에 대해 최소의 비용으로 최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최적설계 방법을 통해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경제성 이외의 평가기준은 정량적으로 산출이 가능한 평가기준에 대한 자료수집을 기초로 종합·분석하여 결정하였다. 의사결정에서 서로 경합관계에 있는 다양한 유형의 교량대안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불가피하게 개입되는 사람의 주관적 평가기준과 정보 및 자료의 부족, 그리고 각 대안의 계획목적에 대한 잠재적 기여도의 불확실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안의 비용 및 성능에 대한 여러 정량적, 정성적 평가기준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다속성 의사결정 기법의 하나인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하 AHP)을 적용하여 교량대안에 대해 공용수명별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In the design of infrastructure such as bridge, engineers need to take many factors and details into consideration.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the structure that satisfy all design regulations are the most important and social functions and aesthetics should be considered likewise in the design of bri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best alternative plane of presented superstructure types (steel box girder, plate girder, PSC-I girder) in the planning stage of bridge construction project. The study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and Life Cycle Cost (LCC) optimization. Multi-attribute decision process of a bridge superstructure is systematically suggested by attribute evaluation using AHP method. Economic attribute of many features is evaluated in particular by LCC optimization. Relative weight among alternatives and attributes is evaluated by using AHP method. In this AHP method, the evaluation items are economic, landscape, constructability, maintenance, s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a bridge superstructure. When AHP method has been performed, pair-wise comparisons Matrix evaluate for security of consistency. VE based on AHP method is performed independently for three road types. These road types are national expressway, national highway and provincial road.

      • Usefulness of serum markers for predicting liver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이광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aims: Liver biopsy is still considered as the gold standar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liver cirrhosis. But,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t is an invasive method that is associated with patient discomfort and with serious complication of bleeding and infection in some cases. In addition, the accuracy of liver biopsy is still controversial because its limitations such as sampling errors and interobserver or intraobserver variabilities. Recently, various serum markers were proposed for non invasive evaluation of hepatic fibrosi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were focused o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and the studies about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various noninvasive markers to predict the presence of liver cirrhosis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Liver biopsy was performed in 125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t the time of liver biopsy, white blood cell (WBC) count, platelet count, hemoglobin level, prothrombin time, and serum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alkaline phosphatase (ALP), bilirubin, albumin, cholesterol, glucose, haptoglobin, Apolipoprotein-A1 (Apo-A1), α2-macroglobulin,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MMP-9,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YKL-40 and procollagen III N-terminal peptide (PIIINP) were measured. Fibrosis stage was assessed according to Batts and Ludwig scoring system. Liver cirrhosis was defined as a score F4. Results: Thirty-four patients (27.2%) were diagnosed as liver cirrhosis through liver biopsy in 125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ge, platelet count, WBC count, serum level of AST, ALT, haptoglobin, apolipoprotein-A1, MMP-2, and YKL-4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tients with F0-3 and patient with F4 in univariate analysi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platelet count, AST, haptoglobin, apolipoprotein-A1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liver cirrhosis. With these four factors, we constructed a new scoring system (PAHA index). PAHA indi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iver cirrhosis group (7.8±1.8) and the other group (3.9±2.0; P<0.001). Area under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PAHA index in predicting liver cirrhosis was 0.924 (95% CI, 0.877-0.971). This value was higher than those of previous models including AAR, PGA index, PGAA index, FFI (Forns fibrosis index), APRI, API and Cirrhosis Discriminant Score. With cut-off value of 5.5,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87.9%, 81%, 64.4%, 94.4%. Conclusion: The PAHA index composed of platelet count and, serum levels of AST, haptoglobin and apolipoprotein-A1 could efficiently predict liver cirrh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The PAHA index may be of use for planning a treatment and reducing the need for liver biopsy.

      • 열충격 단백질70 발현에 의한 만성 췌장염의 예방 효과에 대한 동물 실험 연구

        이광균 고려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Chronic pancreatitis is characterized by chronic inflammation, fibrosis, and pancreatic atrophy. Increased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70 (HSP70) induced by cell stress had been shown to be protective against cellular injury. The role of HSP70 has been studied in acute pancreatitis. Prior thermal stress is associated with HSP 70 expression and protection against cerulein-induced acute pancreatitis.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for the role of HSP 70 on chronic pancreatitis. The current studi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HSP 70 can mediated a protection against experimental chronic pancreatitis induced by dibutyltin dichloride (DBTC). Method: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SP70. In first experiment, it was validated the experimental chronic pancreatitis by an intravenous DBTC injection of 8 mg/kg body weight in male Sprague-Dawley rats. And also, heat stress induced HSP 70 increase was compared between different times after heat stress. Rats were immersed in a water bath (41-43 ℃ for 30 min) and sequentially sacrificed according to time. The expression of HSP70 in the pancreas by time was measured using Western blotting. In second experiment, the role of HSP 70 in chronic pancreatitis was investigated. Rats (200-230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DBTC with cold bathing (18-20℃ for 30 min), and DBTC with heat stress (41-43 ℃ for 30 min). Each bathing was performed thre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Chronic pancreatitis was characterized by histologic finding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expression of HSP 70, collagen type I and α-smooth muscle actin was shown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 body weight of rats in group of chronic pancreatitis by DBTC was lesser than control group after four weeks. After DBTC injection, severe necrosis of the pancreatic acinar cells and an increase in the connective tissue were observed, and the atrophy and fibrosis of the pancreatic parenchyma cells increased distinctly. The amount of HSP70 in the pancrea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heat stress. High expression of HSP70 was induced 12-24 hours after heat stress. In the study for inducing the HSP 70 in chronic pancreatitis, the atrophy and fibrosis of the pancreas were attenuated by repeated heat stres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by Sirius-red stain showed a decrease of fibrotic areas in the heat stress group. Acinar cell atrophy of the pancreas was alleviated by heat stress, as well.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α-smooth muscle actin and collagen Ia was distinctly increased in the chronic pancreatitis models by DBTC injection. It was relatively attenuated by heat stress. Conclusion: HSP70 expression ameliorates the fibrotic change of the pancreas in experimental chronic pancreatitis. We suggest that modulation of HSP 70 expression could be an effective therapeutic target for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chronic pancreatitis. Key Words: Chronic pancreatitis, Heat shock protein, Dibutyltin dichloride, Anima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