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eparation of MXene/rGO hybrid filler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of PA6 nanocomposites : 폴리아마이드6 나노복합체의 전자기 간섭 차폐를 위한 멕신/환원그래핀옥사이드 하이브리드 필러의 제조

        이관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두 가지 이상의 나노 충전재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복합소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두 가지 이상의 나노 충전재의 협력으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거나, 각 나노 충전재의 단점을 보완하는 상호 보완 특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그래핀과 멕신을 나노 충전재로 이용하여 정전기적 인력 및 공유 결합을 통해 그래핀/멕신 하이브리드 충전재를 제작하여 고분자 복합체에 응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그래핀 유도체중 하나인 그래핀 옥시드와 전이 금속 카바이드/나이트라이드 계열 중 하나인 멕신을 나노 충전재로 사용하였다. 그래핀 옥시드와 멕신을 하이브리드화 하기 위해 각 충전재를 박리 및 개질 그리고 두 충전재 간의 공유결합을 통한 하이브리드화 과정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은 하이브리드 충전재는 상업용 폴리아미드6와 용액 혼합 후 용융 블렌딩하여 고분자복합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필러의 시너지 효과 및 상호보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그래핀 옥시드, 멕신 충전재도 각각 폴리아미드6를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아미드6/멕신 복합체, 폴리아미드6/환원그래핀옥사이드 복합체, 폴리아미드6/환원그래핀옥사이드/멕신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각각 제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XPS, XRD, TGA 분석을 통해 멕신과 그래핀 옥사이드의 박리 및 표면개질 그리고 공유결합을 통한 하이브리드화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였다. 폴리아마이드6/환원그래핀옥사이드/멕신 복합체의 시너지 효과 및 상호 보완 효과를 복합체의 열적특성, 열안정성, 기계적 강성, 전자파 차폐 효율을 통하여 확인하였다.인장강도 시험을 통해 멕신/그래핀 옥시드 하이브리드 충전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원그래핀옥사이드/멕신 하이브리드를 사용한 복합체의 경우 멕신 단일 필러보다 열안정성 감소폭이 줄어들었으며, 기계적 특성에서 환원그래핀옥사이드/멕신 하이브리드 필러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자파 차폐 특성에서 멕신의 낮은 전자파 차폐효율을 환원그래핀옥사이드가 보완해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그래핀 옥시드와 멕신의 하이브리드 충전재를 사용한 복합체는 그래핀 옥시드 및 멕신을 단일로 사용한 복합체 보다 더 뛰어난 물성을 나타내거나, 각 단일 충전재를 사용한 복합체의 단점을 보완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임도 노면 쇄석층의 지지력 특성

        이관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도 노면 쇄석층의 지지력 특성을 규명하여 향후 임도 노면 쇄석층 포장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조사지역 총 4개소의 임도를 대상으로 쇄석층의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수행하였고, 동평판 재하시험과 들밀도 시험을 통해 다짐도를 측정하였으며, 그리고 전단강도시험과 실내 다짐시험을 수행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하여 쇄석층의 최대 강도정수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최대 강도정수의 검증을 위해 수치해석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쇄석층의 구조검토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 총 4개소의 임도(문경시 신설임도, 문경시 기존임도, 상주시 신설임도, 상주시 기존임도)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입도분석(PSA; Particle Size Analysis)을 통해 조사지별, 임도의 개설시기별(신설임도, 기존임도), 임도의 횡단노면 위치별(중심부, 차륜부, 노견부) 입자의 파손가능성(Bp; Breakage potential) 값을 산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문경시 기존 임도의 차륜부에서 가장 낮은 입자파손 가능성(Bp) 값인 152.7을 나타냈으므로, 최적 쇄석입자는 최대 Bp-value 152.7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입도분포에 따른 지지력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조사지역 4개소의 임도 중 가장 높은 지지력을 나타내는 차륜부 쇄석층의 입도분포를 분석하여 미국 쇄석층 입도기준과 비교한 결과 Grading D의 입도분포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고, 동평판 재하시험과 들밀도 시험을 통해 임도 노면 쇄석층의 다짐도를 측정하여 두 시험방법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므로 임도 노면 쇄석층 다짐도 측정시 동평판 재하시험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쇄석층의 강도정수를 규명하기 위해 쇄석비율, 함수비, 다짐도 조건을 달리 조성하여 전단강도시험과 실내 다짐시험을 수행하였다. 전단강도시험을 통해 쇄석비율 B type(60%:40%), 함수비는 현장 함수비와 동일한 5%, 최대다짐의 조건에서 내부마찰각(φ) 57.6°로 가장 큰 내부마찰각을 나타냈고, 실내 다짐시험(D-다짐)을 통해 전단강도시험 결과와 동일한 조건의 경우 2.390g/㎤으로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나타냈으므로 쇄석비율 B type(60%:40%), 함수비 5%, 최대다짐의 경우에서 최대 강도정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단강도시험과 실내 다짐시험을 통해 도출된 최대 강도정수를 검증하기 위해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쇄석비율, 쇄석층의 깊이(5㎝, 10㎝, 20㎝)와 하부지반의 조건(보통, 조밀)을 다르게 적용한 후 구조검토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DB-18 하중 재하시 쇄석비율 B type(60%:40%), 쇄석층 깊이 20㎝, 조밀한 하부지반의 조건일 경우 가장 낮은 침하량을 보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재해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bearing capacity of the aggregate layer of forest road surfaces, samples of aggregate layers were collected from 4 forest roads located within the research area and conducted particle size analysis, measured compactness through Dynamic Plate Bearing Test (DPBT) and field density test, and analyzed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by conducting shear strength test and proctor compaction test to determine maximum strength parameter of the aggregate layer. To verify the parameters, structural review simulation test was conducted on the aggregate layer using a numerical analysis program. When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values of particle breakage potential (Bp) by region, time of pavement (new, old), and crossing location (Center, Tire trace, Shoulder) by performing particle size analysis (PSA) on the 4 samples collected from new forest road in Mungyeong-si, old forest road in Mungyeong-si, new forest road in Sangju-si and old forest road in Sangju-si, the old forest road in Mungyeong-si had the lowest particle breakage potential at 152.7, indicating that the most optimal aggregate particle had maximum Bp-value of 152.7. When analyzed the particle distribution of aggregate layer over the tire trace that had the highest bearing capacity among all forest roa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bearing capacity and compared it with the US particle size standard for aggregate layer, they were similar to grading D particle distribution. When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methods by measuring the compactness of aggregate layer on the forest road surface through Dynamic plate bearing test and field density test, there was a consistent correlation, indicating the applicability of dynamic plate bearing test when measuring the compactness of aggregate layer on the forest road surface. Moreover, shear strength test and proctor compaction test were conducted with varying aggregate ratio, water content and compactness to determine the strength parameters of the aggregate layers. When conducted shear strength test with type B (60%:40%) aggregate ratio, 5% water content, as identical in the field, and maximum compaction, the internal friction angle was 57.6°. Moreover, when tested under the same testing conditions, the dry unit weight was 2.390g/㎤, indicating that the strength parameter was the highest at type B (60%:40%) aggregate ratio, 5% water content, and maximum compaction. To validate the maximum strength parameters determined through shear bearing test and proctor compaction test, structural review simulation test was conducted using a numerical analysis program. Moreover, when a structural review simulation test was conducted by applying varying depths of crushed stone layers, 5cm, 10cm and 20cm and ground conditions, normal and dense, to verify the max strength scores from shear strength test and indoor compaction test using a numerical analysis program, under DB-18 load, the ground was most structurally safe against disasters when the ground was dense with crushed stone type B (60%:40%) and depth 20cm.

      • CROSS-SOCIOCULTURAL COMPARISON OF AESTHETIC ATTITUDES TO GARDENSCAPE WITH SPECIAL REFERENCE TO CHATSWORTH, ENGLAND AND PIWON, KOREA

        이관희 University of Scheffield 1990 해외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rogramme was to compare aesthetic responses to designed landscapes as affected by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professional training, national culture, and gender. Background research was carried out into theories of perception and aesthetic response, the significance of garden landscapes and of artistic composition, and approaches to landscape evaluation. Certain hypotheses as to aesthetic response were proposed; and a field-research programme was developed using photographic sequences from two contrasting historic gardens, one English and one Korean, and a questionnaire intended to clarify specific responses on the part of selected English and Korean respondent-groups. Significant landscape qualities were categorized as "architectural", "semi-architectural" (intermediate), and "ecological". Respondent's backgrounds were selected from Architecture, Landscape Design, and (as control group) Business Management. Final results, statistically evaluated, suggest general preferences across all groups for architectural or ecological rather then for intermediate landscape qualities. However, both professional training and gender seem to influence attitudes towards ecological landscape in particular, while national culture seems to influence the degree of response to intermediate qualitie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viewer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predicting human response to environments. In conclusion the thesis discusses the origins and significance of these responses and suggests guidelines both for environmental design and for further research.

      • 토목섬유를 활용한 임도 노면의 지지력 보강효과 분석

        이관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임도노면에 토목섬유를 이용한 지지력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단강도시험과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1. 전단강도시험결과 토목섬유 이용 시 토목섬유를 이용하지 않은 무보강의 경우에 비해 평균적으로 마찰각이 크게 측정되어 더 큰 지지력 보강 효과가 나타났다. 2. 또한, 지오텍스타일을 이용한 경우의 내부마찰각이 지오그리드보다 더 크게 측정 되었다. 이는 부직포 형태로 만들어진 지오텍스타일의 전단면의 면적과 재질 차이인 것으로 사료된다. 3. 평판재하시험결과 토목섬유를 이용 시 무보강에 비해 침하량이 작게 측정되었으며 지지력 보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또한, 지오그리드를 이용하였을 경우 지오텍스타일보다 더 작은 침하량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강화기능을 지니고 있는 지오그리드의 기능적 특성 때문으로 사료된다. 5. 향후 토목섬유의 특성과 다양한 조건에 맞는 임도노면보강공법과 공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shear strength test and plate bearing test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bearing capacity using geosynthetics case on forest road surface. The shear strength test showed that the internal friction angle at the time when geosynthetics was used was measured larger on average than that in the unreinforced case. Therefore, using geosynthetics case produced more bearing capacity reinforcement effect. The result from the comparison test of internal friction angle by geosynthetics type revealed that the internal friction angle at the time when geotextile case was used was measured larger. That was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ea of the total cross section of geotextile made in type of non-woven fabric and its material. Plate bearing test showed that the settlement at the time when geosynthetics was used was measured smaller than that in the unreinforced case. Therefore, using geosynthetics produced more bearing power reinforcement effect. The result from the comparison test showed that geogrid case was measured smaller than geotextile case. Henceforth, It is seem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keep studying the reinforcement engineering and process of forest road surface which fits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geosynthetics to prevent forest road demage.

      • 지적장애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수준

        이관희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management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195 special school teachers and 118 paren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2 category and 40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ategory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Most special schools were implementing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with curriculum operation and there were exclusively responsible department in special schools. The most difficult things to implement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a low attendance rate. When teachers continually asked parents to attend parent education program, they were likely to attend parents education program. A lot of teachers have taken in-service education relating to parents education. The most preferable type of parents education was lecture by experts and teachers mainly use the telephone for counseling. The preferable order of interesting theme of parents are getting job after graduation, career, problems after parents' death and pressure for future plan, educational intervention, introducing the welfare policy of government. Second, the results of category about perception of parents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Parents answered that two or three times at the beginning or the end are adequate for parents education. Although most parents recognized the need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y could not attend often because of their personal current situation. The preferable types of parents education were teachers' announcing about their personnel experiences and lecture by experts. The themes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were selected by the collection of parents' opinions. Although parents satisfy the quality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y were not sure they would attend in later parents education programs. Parents thought that problems after parents' death and pressure for future pla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DH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heir children have, and growth development are significant topics for paren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