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李敬彗 작곡 「관현악을 위한 믿음」의 분석

        이경혜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이경혜 작곡 「관현악을 위한 믿음」의 분석이다. 이 곡은 단악장으로 이루어진 3관 편성의 관현악 곡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제가 지닌 상징적인 의미가 음악적 재료를 통해 악곡에서 어떻게 표현되며 어떤 연관성을 갖게되는가가 분석되었다. 이 곡의 형식은 A-B-C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락은 인간과 하나님의 관계를 전제로 <엇갈림>, <만남의 기쁨>, <갈등하는 인간>의 내용에 따라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표제적 내용에 의해 빠르기와 박자가 결정되었으며 주제선율과 주제음형이 만들어졌다. 이 곡에서는 중심음 A-F-C#음과 단2도 관계의 보조음들로 구성된 9개의 음고가 사용되었으며 장3도, 단2도가 주요음정으로 사용되었고 증3화음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곡의 짜임새는 화성적 짜임새를 이루나 전체적으로 다성적 짜임새를 이루고 있다. 관현악 편성에서는 하나님의 성품과 이와 대조적인 세상의 유혹 속에서 갈등하는 인간을 악기들간의 음색과 음역의 대조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관현악을 위한 믿음」을 형식, 빠르기와 박자, 주요음정, 선율재료, 화성재료, 짜임새, 관현악 편성의 항목들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This thesis is analysis of "Faith for Orchestra" composed by Kyung-hye Lee. It is orchestral music of a single movement. In this thesis, it is analyzed that how the symbolic meaning that title has is expressed through musical materials in this music and what relation exists between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music. The structural form of this music is A-B-C. Each section i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Crossing each other>, <The joy of meeting God>, and <Suffering me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God. The programatic contents of the work determine the tempo and meter, and form the thematic melody and the thematic figures. The 9 pitches which are the three tone centers A, F, C# and the neighbouring tones relating minor 2nd to each tone center are used as the pitch materials of the work. The major 3rd and the minor 2nd are used as a fundamental intervals. The augmented Triad is the chordal material. The whole texture of the work is mainly polyphonic with the homophonic texture in part. In orchestration, there are various attempts using the contrast of tone color and the range of musical instruments to express the human beings who are suffering from the choice between the love of God and the temptation of the world. In this thesis, "Faith for Orchestra"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aterials; form, tempo, time, fundamental interval, melody, harmony, texture, and orchestration.

      • 아동 성별에 따른 부모의 성취압력 및 진로지도와 진로인식의 관계

        이경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o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For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on influence of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awareness were set up. This study used three measured method to check i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awareness.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212 six-grades in elementary school .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a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s'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and children's career awareness. Male thought that parents'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were rather helpful than stress or tension for their future. But female had a different result, it had on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guidance and children's career awarenes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in the whole factors. but some the sub factor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arents'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between male and female. parents's accomplishment pressure was higher male than female. At the elementary school time, female has the higher growth of the mind and body than male. so female is better than male on their daily life then parent's must interfere male's daily life more. so male recognized more parents's accomplishment pressure. Fourth,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on children's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Male had 48% prediction and female had 34% prediction. Male recognized that the parent's accomplishment pressure and career guidance was helpful on their career awareness but female recognized that it's stress and tension. key word : parents's accomplishment pressure, career guidance, children's career awareness.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진로인식에 가지는 설명력을 비교하여 아동의 진로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아동의 진로인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 진로인식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진로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 진로지도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는가? 넷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진로인식에 가지는 설명력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인천시 소재 1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1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성취압력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이수정(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의 성취압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진로지도 검사도구로는 김수리(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Turner(2003)의 진로관련 부모지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 인식의 측정도구로는 어윤경․ 부재율(2009)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진로인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에 의해 신뢰도를 구하고 t-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는 아동의 진로인식 상관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진로인식과 진로지도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 성취압력과 진로인식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진로인식에 있어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전통적인 성역할 사회화와 사회적 편견보다는 개인의 능력과 적성이 진로 인식을 하는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성취압력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대부분의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신체적, 정서적면에서 빠른 성장을 한다. 이러한 차이에 근거해서 여학생의 경우는 학업 및 일상생활에 관해 자신의 일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반면, 남학생의 경우에는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면이 여학생보다 약하여 부모님이 사소한 부분까지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부모님의 성취압력을 상대적으로 더 높게 지각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성별의 차이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아동의 진로인식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진로인식에 있어 남학생은 48%, 여학생은 34%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보다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나 하위영역인 진로태도는 여학생의 설명력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또한 진로인식에 대하여 성별과 성취압력이 상호작용하여 남학생의 경우에는 성취압력이 높아질수록 진로 인식도 높아지는 정적 상관의 경향을 보였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성취압력이 높아질수록 진로인식은 낮아지는 부적인 상관관계 경향이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를 자신에 대한 관심과 격려로 생각하여 진로인식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지도가 심리적 긴장감과 스트레스, 간섭 등으로 받아들여져 진로인식에 도움이 되지 않는 쪽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 가정폭력 관련 복지서비스 공급주체간 관계 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 관계를 중심으로

        이경혜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의 주체로서 국가가 복지서비스에 대한 비용부담과 급여제공을 모두 담당하는 것에서 현대사회에서는 점차 국가가 민간비영리부문에 의해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하는 역할로 점증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국가의 직접적인 보호제공자로서의 역할의 축소되는 이러한 복지다원주의의 흐름 속에서 사회복지서비스급여의 전달주체와 재원조달에 있어서의 국가부문의 정부 조직과 민간부문의 비영리·비정부 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s)의 관계와 각 부문의 역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복지공급주체인 국가부문과 민간비영리부문과의 관계는 시·공간적인 상황과 문화적, 국가적 상황, 시민사회의 발전과 더불어서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역동성을 가지고 변화해 오고 있어서 한 국가에서도 복지공급주체로서의 국가와 민간간 관계는 시기별로 그 특성이 다르며, 각 국가마다 독특한 환경적 상황 속에서 다양한 관계 유형을 나타낸다. 한편, 우리나라 가정폭력관련 서비스 공급주체인 국가부문과 민간비영리부문 간의 관계는 민간부문이 폭력피해여성에 대한 상담과 보호서비스를 이미 국가가 관심을 갖기 이전부터 제공해 오고 있었으며, 피해여성에 대한 적극적인 옹호와 대변 활동을 통하여 민간 주도의 가정폭력관련법을 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함으로써 최근의 국가부문의 지원과 관심에 대응하여 복지공급주체간의 관계 설정과 각 부문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고민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민간공급주체로서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이 가정폭력관련법 제정 이후에도 지속적인 법 수행감시활동과 오랜 시간 축적된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상담과 보호서비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으므로 민간비영리 조직의 사례로 선정하여 정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공급주체로서의 국가와 민간간에 가질 수 있는 관계의 유형과 그리고 관계에 내재되는 중요 요소들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이러한 국가-민간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을 현실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영역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민간공급주체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한국여성의전화연합과 정부와의 관계를 사례연구로 구체적으로 양자간 관계의 유형이 유형의 결정요인에 의해서 구별되는 각각의 두 시기에 유형의 차이를 밝히고, 어떠한 유형으로 변화하였는지를 비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복지공급주체인 국가-민간간 관계에 대한 논의의 의미를 이해하고, 복지공급주체인 국가-민간간의 관계 유형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의 공급체계를 이해하고, 공급주체인 국가부문과 민간부문을 파악한 뒤에 1990년부터 현재까지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공급주체로서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를 결정요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를 결정요인에 따라 분석하여 이를 통해서 관계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리하여,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공급주체인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 유형의 변화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 장기적으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각각의 역할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면접조사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문헌연구는 외국의 문헌과 국내 선행연구 및 양 부문간의 관계유형을 밝히는 결정요인을 포함하여 연구의 분석틀로 활용되어진 Coston의 논문을 사용하였다.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지부 총 10개를 설문조사 하였고,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의 실무자 및 기타 기관의 가정폭력 관련 전문가를 5명과의 심층면접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조직의 기록이나 회의자료를 통해서 문서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997년 제정되고 1998년 시행된 가정폭력 관련법을 기준으로 하여 법제정 이전의 1990년부터 1997년까지의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 거부의 시기와 1998년부터 현재까지의 법 시행 이후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 수용의 시기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를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에 대한 거부의 시기에는 양자간 권력관계의 대칭성과 연결관계 수준 및 공식성의 유무 등을 놓고 분석한 결과, 양자간 권력관계가 비대칭적이며, 연결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정부의 민간에 대한 입장이 비우호적인 성격을 띄는 적대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998년 가정폭력관련법의 제정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 유형은 정부의 제도적 다원주의의 수용시기로 다양한 정책적인 정부의 접근을 보여주면서 높은 수준의 연결관계를 가지고 공식적인 계약을 통하여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이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시기에도 역시 비대칭적인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적대형의 관계에 비해서 민간부문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서비스 제공자로서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 민간공급주체로서 정부와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앞으로의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 공급주체의 관계의 모습에 대하여 장·단기적인 정책적 기획과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즉, 장기적으로는 협력-파트너쉽 관계로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단기적으로는 보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제 3자적 정부형 또는 보완형으로서의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 간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정부와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의 노력들을 제언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정부는 민간부문에 대한 우호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기대해야하며 직접적인 지원을 통한 관리와 평가의 입장보다는 민간부문의 질적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객관적인 평가와 민간 부문의 자율성을 보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민간부문에서는 서비스 개발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대변과 옹호자로서의 역할 또한 서비스 발전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을 파악하고 책임성 있게 이를 실천해야 할 것이다. 후속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민간부문을 대상으로 정부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객관적으로 민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현실부분에서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가정폭력 관련 서비스와는 다른 국가와 민간 공급체계의 관계유형을 발견할 수 있는 타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의 후속연구와 탐색적 연구가 이루어져 사회복지서비스에서의 국가와 민간간 관계 유형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 국가와 민간의 관계에 대한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 보다 더 나아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인 요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관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도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와 민간간의 관계가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얼마나 효율적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In modern welfare services, the role of Government as welfare provider has been changing gradually from the subject which is charge of finance and provision of care to the subject which only finance the services executed by the third Sectors. The dramatic change in the economy, political system, and society have caused welfare pluralism to emerge and develope in every country. Each country, however, has produced different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welfare service providers (GO and NGO). Relation between GO and NGO as welfare providers has been dynamically changing by various factors, along with cultural and national situations or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ccordingly, i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by time and shows diverse types of relationship in the unique situation of each country. In this study, I seek to specify the discussions and theories mentioned above around this change in welfare services by applying to service patterns domestic violenc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fine two different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year 1997 when of domestic violence law was legitimated and compare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them. I applied qualitative methodology, specifically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This research is limitation in generalization because took advantage of Case Study method. Schemes of this study are as below ; 1) Understand the general discussions on relationship between GO and NGO as welfare provider. 2) Deduce analytical axes about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GO and NGO. 3) Understand the service supply system for domestic violence in Korea. 4) Define GO and NGO as welfare provider 5) Analyz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Korea Women's Hot l line based on several dimensions - government's resistance or accep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 the relative balance of power and the level of government linkage - the level of government linkage 6) Deduce the relation patterns 7) Examine the change of those patterns 8) Propose the right roles for GO and NGO which enable long term partnership. Based on these analyses, the year 1997 (when the domestic violence law was legislated) could be a watershed in dividing two different patterns - 'Rivalry' and 'Contracting'. Rivalry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time (1990~1997) which is represented by government's resis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while Contracting is that of the latter time (1998~present) which is represented by government's accep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On time of 1990 - 1997, power relation between GO and Korea Women's Hot line did not have balance relatively, and linkage relation did not exist, and Government's resistance of institutional pluralism that provides passive support service as having Unfriendly attitude. On time of 1998 - Current, Governmental various policy was actively presented, and have high leveling linkage relations with Korea Women's Hot Line. It form relation through formal contracting. Yet, Power relation did not have balance relatively, but role of NGO is recognized being embossed gradually. This study is very suggestive to policy directions in Korea. Ultimately, it will help to set forth appropriate policy and legislation which make it possible to establish integrated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future.

      • 독립변수의 선형결합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분리기준에 관한 연구

        이경혜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많은 데이터들로부터 우리가 행하고자 하는 일에 도움이 되는 정보(information)나 지식(knowledge)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량의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데 널리 응용되고 있는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은 예측과 분류를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편적이고 강력한 도구이다. 분석과정이 나무구조에 의한 분할규칙(split rule)에 의해서 표현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에 비해 연구자가 그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변수가 결합하여 목표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분류나무 형성 시 중요한 것은 목표변수를 잘 분리해주는 변수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는 분리의 측도인 분리기준(split criterion)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적절한 분리기준에 의해 의사결정나무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들은 분리변수 선택에 있어 독립변수가 일변량인 경우만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변수의 선형결합에 대한 분리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분리기준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CHIAD, CART, C4.5, QUEST 등 기존 알고리즘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오분류율을 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인 선형결합 분리기준과 황금분할을 이용한 분리기준의 오분류율이 낮았다. 또한 새로운 알고리즘이 실제자료에도 잘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A classification tree is a rule for predicting the class of an object from the values for its predictor variables. The common goal in CART, CHAID, C4.5 and QUEST is to obtain such that in each terminal node is quite pure and simple tree. Occasionally this cannot be achieved with standard algorithms can produce large tree structure because they use only single splits. This thesis introduce a classification tree split criterion that can improve class prediction. We accomplish this by bivariate linear combination splits. Our splits are general linear combination split and using golden section splits. This splits are carried out misclassification costs of the models. Furthermore, some simulation and real data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Our split criterion has better prediction power and lower misclassification rate than CART single algorithms.

      • 청소년 음악회 조사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경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청소년 음악회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청소년 음악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조기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수행평가가 확대되는 등의 이유로 음악회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청소년층의 청중들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청중들을 확보하기 위한 청소년 음악회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음악회의 내용과 방법 또한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렇게 매년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 음악회가 과연 바람직한 방향으로 청소년 음악문화를 형성해 가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미래의 청중을 확보한다는 부분에서 청소년들에게 이러한 음악 문화를 접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청소년 음악문화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청소년 음악회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서는 청소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예술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해설이 있는 청소년 음악회를 중심으로 이러한 예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진행 및 방법은 2008년 6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청소년 음악회가 집중되는 여름방학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서울․경기지역에서 연주되는 청소년 음악회의 유형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청소년 음악회를 임의로 선택하여 직접 참관하고, 그 음악회의 진행과정을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일화적 기술로 기록하였다. 일화적 기술방법은 음악회의 교육적 의도를 파악하고 음악회가 진행되는 상황을 좀 더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실시한 방법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음악회의 연주 유형과 기획의도는 무엇인가?; 음악회 프로그램의 레퍼토리는 교과서와 연관성이 있는가?; 청소년 음악회가 진행되는 지역의 분포와 기간은 언제인가?; 실제 청소년 음악회를 관찰한 결과, 어떠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가? 위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관찰한 음악회를 바탕으로 유형을 분류한 결과, 해설이 있는 음악회, 다른 영역과 통합된 음악회, 연주로만 이루어진 음악회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두 번째, 청소년 음악회에서 연주된 연주곡이 교과서에 얼마나 수록되어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 음악회에 선정된 연주곡들이 많은 부분 교과서에 수록된 음악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청소년 음악회가 진행된 지역과 기간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 음악회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공연장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름방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8월에 대부분의 음악회가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음악회의 진행과정을 관찰한 결과, 청소년 음악회에서 제공되는 해설 또는 그 외의 모든 활동은 관객들이 좀 더 적극적인 감상을 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청소년 음악회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 음악회는 해설과 연주로 구성된 해설이 있는 음악회의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서울의 주요 공연장에 편중되어 음악회가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한 공연보다는 방학시즌에만 제공되는 1회의 이벤트성 공연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하고 통합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청소년 음악회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서울의 주요 공연장뿐만 아니라 그 외의 수도권 지역에서도 좀 더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회의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진정한 미래의 청중들을 길러낸다는 의미에서 청소년들의 방학시즌에만 제공되는 1회의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이고 계획적으로 기획된 청소년 음악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청소년 음악회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음악문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Juvenile concert programs and finding out its problems, solutions and future plans for development. Nowadays, there has been more Juvenile audiences who are interested in concert due to their accomplishments with evaluation, early music education, etc. Juvenile concerts are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Also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oncert are getting more diverse. At this time we need to think about whether these rapidly increasing juvenile concerts are forming juvenile music culture in a good way. It is necessary to study juvenile concerts to lead their music culture to a better one because it has an important meaning to expose them to music culture in a sense of having future audiences. Therefore,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looked at the importance of music and performing art education for juveniles, moreover the necessity for these musical art education based on juvenile concerts with interpretation mention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study process is planned as followed: I analyzed the types of juvenile concerts performed in the Seoul and the Gyeonggi Area from June to September 2008 during the summer vacation, which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this season. Then, I chose and observed the representative juvenile concert for each type, then report this process by anecdotal description which is one way of qualitative study. This is to obtain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concert and a more realistic expression about its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are the types and planning purpose of juvenile concerts?; Does the repertory of concert programs have any connection with the textbook?; Which area and period are juvenile concerts taking place in?; As a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juvenile concerts, what kinds of musical experiences are provid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os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types based on concert chosen and observed at the researcher's option, there could be groups of concerts with interpretation, concerts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and concerts only with music performanc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many repertoire in a juvenile's concert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s, many repertoire selected in the juvenile's concert are related to the textbook.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ea and period for juvenile concerts, they are mainly attached to the performing arts center in the Seoul area, also most of them are performed within the month of August, in which the summer vacation starts. Lastly, as a result of observing juvenile concerts, the interpretation or other activities are in charge of providing a musical experience which helps to appreciate it more active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juvenile concerts are as follows: Most juvenile concerts are in type of a concert with interpretation, they take place a lot in the Seoul area. Moreover, there are many juvenile concerts that are an event for one time only during the vacation season. To improve these problems, more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juvenile concerts that can provide more various and integrated experiences, and not only to the arts center in the Seoul area but also suburban areas needs to develop more programs for juvenile concerts. Furthermore it needs to provide juvenile concerts designed with long term prospective and not just for an event for one time to raise future audience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interests and diverse experiments on these juvenile concerts, and more studies are expected on the basis.

      • 학교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이경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이경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홍광식 오늘날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책무성 제고를 위한 학교교육의 중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실효성있는 학교평가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교육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여야 한다. 그래서 단위학교에 대한 평가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의 구성원인 교사들이 평가과정에 참여하고 평가를 통하여 실질적인 교단 개혁을 선도해 나갈 교사의 준비된 의식을 전제로 할 때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학교의 중요한 구성원인 교사의 의식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교교육력 제고 방안을 탐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인지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평가의 결과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평가의 분석결과 교육력 제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14개 시·군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교사 426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김순남(2003), 김명애(2002), 이건식(1999)이 개발한 설문지를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Chi-square) 검증을 하였다. 학교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인지도는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도 학교평가의 가치와 평가 기준의 객관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다. 따라서 지역·학교·학생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재개발하여 학교평가의 가치와 평가기준의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평가를 위한 자료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업무경감이 필요성, 학교평가 영역 및 기준의 모호함, 획일적인 평가로 인한 학교의 자율성 제한에 대한 의견 등이 많아 학교평가에 의욕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평가 기준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지역 등 학교의 지역 여건을 고려하고,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학교평가로 학교경영의 자율성을 높여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참여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평가 결과를 교육과정 및 방법, 교육 경영에 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인식도는 높으나, 학교평가에 대한 부적 인식이 많아 실제로 학교평가 결과를 학교간 선의의 경쟁 유도와 교육의 질 개선 등에 교육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이것은 학교평가이후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청에서 해당학교에게 학교평가 결과를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학교경영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적극적인 지도와 점검을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학교평가 결과가 효율적으로 반영됨으로써 교사들의 학교평가 결과 활용 의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평가단의 구성이나 학교평가의 주도 기관은 외부기관에 용역을 의뢰하는 것보다 교육행정 기관과 교육계 종사자가 주축이 되어 실시하는 학교평가를 대부분 선호하고 있었다.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교평가가 앞으로 수업지도, 학생지도,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경영관리의 문제점 보완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이것은 교사들이 학교평가를 통해 학교 교육의 책무성을 높여 학교교육력을 제고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학교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참여의지는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교평가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지역교육청 및 학교에서 지금까지의 학교평가에 대한 종합적인 피드백을 통해 지역과 학교와 학생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평가기준 및 결과활용 방안에 대해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교육력을 제고하는 경쟁력있는 단위학교 육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DEA를 이용한 학교도서관의 운영 효율성 및 생산성 평가

        이경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use of school libraries has increased but school libraries focus on providing materials and ignore educational service. The reason school libraries focus on providing materials and ignore educational service is that there is a limit in measuring educational effect and human resources that can provide educational service are insufficient. It is difficult to achieve educational goal of school libraries without support to solve above mentioned problem. This paper is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libraries and present improvements by analyz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ies of school libraries from 2009 when school library policy at national level began to implement to 2013 so that school libraries can play an educational role properly. Findings of measuring and analyzing operational efficiency of school libraries may serve as strategy to improve inefficiency which occurs in operation of libraries and productivity continuously. This study analyzed efficiency of school libraries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is study measured inefficiency to present an improvement and conducte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analysis to find progress of productivity. This study grouped all school librari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education offices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education offices operate and evaluate school libraries independently. This study made an in-depth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Number of seats, number of staff members and number of books were used as imput variables while number of books borrowed and number of users were selected as output variables. Panel data used for trend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Korean Library Almanac」from 2009 to 2013. EnPAS was used as analysis tool. DEA can be classified into input oriented constant returns to scale model, input oriented variable returns to scale model, output oriented constant returns to scale model and output oriented variable returns to scale model depending on consideration of aim, size and income. This study measured efficiency by using output oriented model because reducing books, staff members and facilities that are basic components for provision of school library service may distort essence of libraries. When making an in-depth analysis of efficiency for 2013, it was found that overall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was 0.7757 and school libraries of education offices whose relative efficiency was 1 were school libraries in Daegu education office, Daejeon education office, Ulsan education office, Chungnam education office and Jeju education office which accounted for 29.4% of all school libraries. School libraries under the umbrella of Daejeon education office show seven times of reference which suggests that Daejeon education office is the most efficient library. School libraries under the umbrella of Seoul education office, Incheon education office, Gwangju education office, Gyeonggi education office, Gangwon education office, Chungbuk education office, Jeonbuk education office, Gyeongbuk education office and Gyeongnam education office which accounted for 52.94% fell short of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Trend analysis conducted to analyze efficiency for period of 2009-2013 showed that technical efficiency in 2009 was 0.7704 and technical efficiency in 2013 was 0.7757 which suggests that improvement was in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lower than scale efficiency. MPI analysis showed that productivity of school libraries decreased by 3% annually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while scale efficiency increased by 0.4% annually, pure technical efficiency decreased by 0.4% annually. Technical change index retrogressed by 3% annually. This paper analyze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by applying DEA model which was limited to research on public libraries and college libraries to school librarie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nalyzed all school librarie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education office and suggests that strategy which can improve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achieve technical advancement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school libraries can be operated efficiently. 학교도서관은 비교적 최근에 활성화되었지만, 자료제공 서비스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서비스가 도외시되어 있다. 이는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적자원의 부족에도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정책적 지원 없이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도서관의 올바른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학교도서관 정책이 실시된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학교도서관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도서관의 운영 효율성 측정 및 분석 결과가 도서관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개선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법(Data Envelopment Analysis : DEA)으로 분석하고 비효율성을 측정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으며, 생산성 추이를 알 수 있는 Malmquist 생산성 지수(Malmquist Productivity Index : MPI)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시․도 교육청이 산하 학교도서관을 독립적으로 운영․평가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전국의 모든 학교도서관을 교육청 단위로 군집화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 연구를 심층 분석하여, 분석에 활용한 지표 중 투입변수는 좌석수, 직원수, 장서수를 활용하였으며, 산출변수로써 이용책수와 이용자수를 선정하였다. 추세분석을 위한 패널자료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의 데이터를 「한국도서관연감」에서 수집하였고, 분석 도구는 EnPAS를 이용하였다. DEA는 지향성과 규모수입 고려 여부에 따라 투입지향형 규모수익불변 모형, 투입지향형 규모수익가변 모형, 산출지향형 규모수익불변 모형, 산출지향형 규모수익가변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구성요소인 장서, 직원, 시설 등을 축소한다면, 이는 도서관의 본질을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산출지향형 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2013년도를 중심으로 한 효율성 심층 분석 결과, 전체 평균 기술효율성은 0.7757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효율성이 1로 나타난 교육청의 학교도서관은 전체의 29.4%에 해당하는 총 5개로 대구, 대전, 울산, 충남, 제주교육청의 학교도서관이다. 이 중에서 대전교육청 소속의 학교도서관은 참조회수가 7회로 현재 가장 효율적인 도서관이다. 전체의 52.94%에 해당하는 9개 교육청인 서울, 인천,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전북, 경북, 경남교육청의 학교도서관은 평균 기술효율성에 미달하였다. 또한 2009-2013년간의 효율성을 횡단 분석한 추세분석에서도 기술효율성은 2009년 0.7704, 2013년 0.7757로 향상 수준은 미약하였다. 또한 순수기술효율성은 규모효율성보다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기술효율성 비효율의 원인이 되고 있다. MPI 분석에서 교육청별 학교도서관의 생산성은 정체되어 있으며 연평균 3%씩 감소하였는데, 이는 규모효율성이 연평균 0.4%씩 증가하고 있지만 순수기술효율성이 연평균 0.4%씩 하락하고 있어 기술효율성의 감소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술변화지수도 연평균 3%씩 퇴보하고 있다. 이 논문은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연구에 한정되어 있던 DEA 모형을 처음으로 학교도서관에 적용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전국의 모든 학교도서관을 교육청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교도서관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순수기술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기술진보를 이룰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해야 함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