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가치와 웰빙태도가 호텔 스파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희선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 이르러 산업화 및 경제적 성장은 경제적․시간적 여유를 갖게 됨으로써, 사람들의 의식주 충족을 위한 생산력 증가뿐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와 더불어 휴식을 즐기며 건강함을 보다 질 높게 유지하려하며, 가계의 소득 증대는 개인의 소비문화 패턴을 스스로에게 투자하여 만족을 느끼는 성향으로 변화시켰다. 과거에는 기능적인 가치에 우선을 두는 소비문화를 보였다면, 현재는 기본적인 의식주 위주의 소비에서 벗어나 개인의 주관성에 우선한 감성적인 가치에 중점을 두는 구매패턴으로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즉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있으면 자아만족을 위해 더 큰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재화를 구매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태도를 웰빙태도라고 한다. 보편적인 의미의 웰빙은 ‘인간의 삶이 물질적, 정신적인 면에서 궁극적으로 좋은 상태를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하는 선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리고 현대에서의 웰빙은 ‘현대인들의 삶에서 가질 수밖에 없는 문명의 피폐현상으로부터 탈피하여 몸과 마음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풍요롭고 아름다운 인생을 영위하고자 자연 속에서 생명력을 되찾으려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말하며, 소비 지향적이거나 규정된 스타일이라기보다는 몸과 정신이 모두 편안해질 수 있는 마음가짐을 제일 우선하여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고 안락한 삶을 추구하는 삶에 대한 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백영숙, 2004). 다시 말해 웰빙태도는 경제력으로 단순히 잘 먹고 잘 사는 인생을 뜻하는 것이 아닌, 정신적으로 풍요롭고 건전하며 문화적인 삶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들의 웰빙태도는 건강산업에도 영향을 미쳐 피트니스, 요가, 스파 등이 생겨나게 했다. 이러한 소비문화의 변화에 맞추어 국내에도 스파산업이 생겨났다. 국내의 스파산업은 1970-80년대만 하더라도 불모지에 가까웠으나, 지금은 비약적인 성장으로 서울 어느 곳에나 가도 스파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숙박의 이미지만 가지고 있었던 호텔에서도 일반 스파와 차별화되는 고급 호텔 스파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 스파가 사람들에게 처음 소개 되었을 때에는 소수 특정인들만 그 문화를 즐길 수 있어 크게 활성화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의 해외여행 기회가 많아지고, TV나 인터넷 등을 통해 스파 체험에 대한 정보가 빠르게 전달되면서 스파는 현대인들의 새로운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윤혜영, 김난희, 2008). 국내 스파는 외국과 비교해 볼 때 역사가 짧으며 아름다움에 중점을 둔 피부미용에 치중되어 있으며 일반 병원은 치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스파의 유형 중 호텔 스파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이다. 요즘 호텔 스파는 호텔 매출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그 비중이 커져가는 부대시설 중의 하나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문화를 변화하게 한 개인가치와 인간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고자하는 원초적인 욕구를 표현하는 웰빙태도가 차별화된 고급 호텔 스파 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논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가치와 웰빙태도가 호텔 스파 구매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이라는 것을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임으로써 호텔 경영진과 실무자들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호텔 부대시설로 뿐만 아니라 중요한 부분으로 더욱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if there is any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personal values and well-being attitude should find out the relationship with influence of a luxury hotel-spa purchase. In accordance of theoretical studies and previous examinations, hypotheses have been set to accomplish the object. The 260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citizens of Seoul and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2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was used. The findings of th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personal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for hotel-spa, the effects were positive. Secon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personal values on well-being attitude, the effects were positive.Third,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well-being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for hotel-spa, the effects were positive. Fourth ,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personal values and well-being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for hotel-spa, the effects were positive. It is concluded that personal values and well-being attitude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to verify through analysis. By doing this, the hotel can be more profitable and achie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rapidly changing hotel managemen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hotel facilities as well as an important part.

      • 교정적 피드백이 중학생의 /l/과 /r/의 변별과 이해 가능한 발음에 미치는 영향

        윤희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정적 피드백 유형의 차이가 최소대립쌍 /l, r/의 듣기 변별력과 이해 가능한 발음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각의 유형에 따른 듣기와 발음 효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중학교 학습자에게 발음지도 시 효과적인 교정적 피드백의 유형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 실행을 위해 광주광역시 J 중학교 3학년 두 개 학급에서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총 3차시의 발음 관련 활동을 제공하고 이 중 2․3 차시의 말하기 활동에서 /l, r/의 발음에 오류를 보일 시 집단 A에게는 명시적 설명이나 상위언어적 정보 주기의 명시적 피드백을, 집단 B에게는 고쳐 되말하기 또는 명확화 요구의 암시적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교정적 피드백 유형의 차이에 따른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개의 실험집단에 모두 사전․사후 영어 듣기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집단 간에 있어서의 최소대립쌍 /l, r/의 듣기 변별력의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발음 향상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원어민이 참여자의 녹음된 음성을 듣고 최소대립쌍 관계의 두 단어 중 자신이 들리는 대로 하나의 단어를 고르는 식으로 하여 이해 가능성을 기준으로 발음을 평가하였다. 듣기 평가와 마찬가지로 사전·사후 말하기 평가를 토대로 집단 내․집단 간에 있어서의 최소대립쌍 /l, r/의 발음의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시적 교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l/과 /r/의 최소대립쌍의 듣기 능력에 있어 향상을 보이지 않았지만 암시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듣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명시적인 교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l/과 /r/의 최소대립쌍을 이해 가능하게 발음 하는 데에는 향상을 보였고, 암시적 교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발음 능력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두 집단의 듣기와 발음 사후 검사 결과 간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명시적 피드백과 암시적 피드백 중 어느 유형이 듣기와 발음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을 통해, 각각의 집단 내 사전·사후 듣기 평가 결과에 의하면 두 유형의 교정적 피드백 모두 다 듣기와 발음 향상에 있어 일정 부분의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듣기 수준이 높거나 발화량이 많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최소대립쌍 /l/과 /r/의 듣기 향상을 위해 고쳐 되말하기가 보다 효과적이었고, 영어로 말하기에 있어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은 학습자에게는 이해 가능한 발음의 향상을 위해 발음의 오류에 있어 명시적 언어 설명 또는 상위 언어적 정보주기와 같은 명시적 교정적 피드백이 보다 효과가 있었다. 두 유형의 교정적 피드백 모두 듣기와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처치 방식의 하나로서 제안해 볼 수 있겠다.

      • 한국, 일본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형용사+명사 연어 형태의 코퍼스 기반 연구

        윤희선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 개요 본 연구는 코퍼스 언어학적 접근법으로,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총 31권의 읽기 본문을 대상으로 코퍼스를 구축한 후, 다빈도 형용사를 중심으로 형용사+명사 연어를 기술, 분석하고 대량 코퍼스에 바탕을 둔 영어권 사전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LDOCE)(2003)와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연어의 쓰임이 적절히 제시되고 다양한 의미가 사용되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다빈도 형용사 big, little, long, small, great, high, low, large, new, old, young, good, best, right, nice, important, special, same, whole, different, full, main의 의미 갈래를 형용사+명사 유형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LDOCE와 비교하여 각각의 의미갈래가 교과서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교과서에 나와 있는 형용사의 의미별 사용 빈도 순위와 LDOCE에 제시된 의미별 빈도 순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셋째, 한국과 일본 교과서의 형용사+명사 유형에서 명사의 쓰임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영어교과서에 나와 있는 형용사는 다양한 의미로 나타내기보다는 대체적으로 LDOCE에 제시된 상위 의미 갈래, 즉 사용 빈도가 높은 의미에 편중되어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본 교과서에 비해 한국 교과서가 보다 다양한 의미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사용되었다. 한국 교과서에서 형용사 high, large, young, same, whole, different를 제외한 나머지 16개의 형용사가 일본 교과서보다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둘째, 한국과 일본 영어교과서에 나와 있는 형용사와 LDOCE에 제시된 형용사의 의미별 사용 빈도 순위의 상관관계를 스피어만 로(Spearman rho)를 통해 알아본 결과 그 상관관계가 형용사에 따라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다빈도 형용사 22개 중 18개가 0.5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일본 교과서는 다빈도 형용사 22개 중 8개뿐이었다. 즉 한국 교과서는 일본 교과서보다 LDOCE 사전의 의미별 빈도 순위와의 상관관계가 높으며 이는 한국 교과서가 LDOCE에 제시된 의미별 사용 빈도 순위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국과 일본 영어교과서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다빈도 형용사 22개 중 7개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한국과 일본 영어교과서에서 사용된 형용사들의 의미별 사용 빈도 순위는 서로 어느 정도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한국과 일본 교과서에 나타나 있는 형용사+명사 유형에서의 명사의 쓰임과 관련하여 조금 차이를 보였다. 한국 교과서는 명사의 빈도순서가 friend(40), year(31), time(23) 등으로 나타났고 일본 교과서의 경우 year(13), school(9), time(7)이었다. 또한 한국 교과서에는 22개의 다빈도 형용사 모두 2개 이상의 명사와 결합하여 나타났지만, 일본 교과서에는 형용사 low, young, right, important, full, main과 결합하여 나타난 명사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한국 교과서에서 다빈도 명사 10개와 결합하여 나타난 형용사는 OCD에 제시된 형용사를 모두 반영하거나 더 다양한 표현들로 사용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과 일본 영어교과서에 다빈도 단어들의 다양한 의미와 용법, 연어 등을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단원이 새롭게 포함되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코퍼스를 활용하여 영어를 교수·학습한다면 효과적인 언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어휘 학습에 있어서 교사와 학습자는 연어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 「밤으로의 긴 여로」의 비극적 요인과 극적 장치

        윤희선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terialism and Homelessness is considered as a typical phemomenon of modern society, and it has become one of the major subjects of literature. Eugene O'Neill treated this theme in depth in his autobiographical play,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In this play, the characters are controlled by past events, which serve as a direct cause of their present family situation. Unable to face realities, the Tyrones take refuse in what is most easily accessible to them - drug for Mary and alcohol for men. Isolated from one another, and absorbed in their own pipe reams, they try to escape from the pressing reality and their responsibility by shifting blame on one another. To trace the causes of Tragic enveloping the Tyrones, and to explore Dramatic Device to express Tragic Factor which they try to escape from the intolerable reality are the main concern of this thesis. The psychology underlying the characters's regressive behavior is explored as well. This play is full of inner action without physical action. The inner action of the play is developed continuously by the circular movement in dialogue. Characters also are brought out by these circles and the tragic action itself develops through these circles. O'Neill used many experimental techniques that proved extremely successful in the production of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Special techniques used in the setting such as fog, a fog - horn and lighting, and masked dialogues and gestures help clarify the theme of this play. In fact, they are the elements that make what might easily be a tedious and over - long melodrama such a moving masterpiece. Through this play, O'Neill shows that man realize the meaning of the most valuable life by enduring the pain even though he is bound by tragic fate.

      • ‘ㅿ’의 통시적 변화 과정 연구

        윤희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z’, one of the voiced fricative, of its appearance aspects based on morphological and phonological contexts and it further extends its study on specific characters of ‘z’ in its variation. It is allegedly said that in the late 15th century, the use of ‘z’ had been omitted before, and by the mid 16th century had the use of ‘z’ become already extinct or eliminated. However, with the frequent appearance of ‘z’ in various patterns, both in morphological and phonological contexts, this research has given a closer look on appearance aspects of ‘z’ in detail when various phonological context and simplex and compound, morphological context such as in and out of morpheme boundary are being considered. Through the research on diverse varia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z’ in various contexts, it is found out that ‘z’ had not become extinct or eliminated, but turned into ‘h’, which is a voiced larynx fricative. To begin with, this research has given its focus on how phonological patterns, such as ‘V__V’, ‘y__V’, ‘*r__V’, ‘n__V’, ‘m__V’, ‘V__h’, ‘V__β’, etc, which ‘z’ appears within, are represented according to morphological environment. Within lexical morpheme of simplex word, ‘z’ has turned up in types ‘V__V’ and ‘V__h’, whereas within morpheme boundary of simplex word in ‘V__V’, and grammatical morpheme in ‘V__V’, ‘y__V’, ‘n__V’, ‘m__V’, ‘r__V’, ‘*r__V’ respectively. In case of compound, they are ‘y__V’, ‘n__V’, ‘*r__V’ patterns that ‘z’ appears. In those patterns, ‘s’ has also turned up along with ‘z’, because of ‘z>s’ transition - when ‘z’ is used as simplex, it changes into ‘z’. In derivatives, due to combination of various affixes, ‘z’ can be found in patterns such as ‘V__V’, ‘*r__V’, ‘n__V’, ‘m__V’, ‘V__h’, ‘V__β’, etc. In case of ‘*r__V’, ‘n__V’, ‘m__V’ patterns, ‘s>z’ transition can be also spotted. Through the various appearance patterns of ‘z’, this thesis has studied on transition patterns of ‘z’ in details when used in variety of contexts. First, a phonological interpretation is applied to ‘ㅇ’ in ‘z>Ø’ which is one typical transition pattern of ‘z’. According to existing discussions, ‘z’ is generally considered extinct or eliminated. However, it is found out that ‘z’ also turned into ‘h’ and that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following facts : (1) no avoiding of ‘VV’ sequence is found in adjacent vowels where ‘z’ changed into ‘h’, (2) ‘β’, one of voiced fricative, had changed into ‘h’. Since the late 15th century, ‘z’ in ‘V__V’ pattern , had shown ‘z>h’ transition. ‘z’ in ‘V__h’ pattern went through deletion of ‘h’ in case of ‘zh’ word chain and by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had it shown ‘z>h’ transition in ‘V__V’ pattern. In morpheme boundary of simplex word ‘V__V’ pattern, ‘z>h’ transition had been spotted in the late 15th century, however it was different from lexical morpheme in that the change was made not only in front of ‘i’ but also in front of various vowels. In case of grammatical morpheme, in due to limitation in distribution or reorganization of combination condition, the appearance pattern of ‘z’ is simplified as ‘V__V’(‘y__V’). In those patterns, ‘z>h’ transition had occurred in the mid to late 16th century. In compound ‘y__V’, ‘n__V’, ‘*r__V’ patterns, ‘z>h’ transition is found in the literatures from the mid and the late 16th century, and in that context, original ‘s’ shows itself or it being replaced with ‘z’, and eventually combined into ‘s’. In derivative ‘*r__V’, ‘n__V’, ‘m__V’ patterns, appearance of both ‘z’ and ‘s’ had combined into ‘s’. In derivative ‘V__V’ pattern had it found ‘z>h’ transition in the mid and the late 15th century, and in ‘V__h’ pattern, through deletion of ‘h’ in ‘zh’ word chain had it noticed changes in ‘V__V’ by the early 16th century. The appearance had taken place far earlier than ‘V__h’ within lexical morpheme of simplex word. In conclusion, among phonological patterns where ‘z’ appears, patterns like ‘V__V’, ‘V__h’ have shown ‘z>h’ transition, and its process varie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ontexts. In lexical morpheme and morpheme boundary of simplex word, derivative where ‘z’ had appeared in ‘V__V’ pattern, ‘z>h’ transition had taken place from the late 15th century, whereas in case of grammatical morpheme, that transition is made in the mid and the late 16th century. Moreover, within morpheme, ‘z>h’ transition had shown when used in front of ‘i’ or ‘ʌ’, however within morpheme boundary, that transition had taken place before various vowels. In ‘V__h’ pattern, ‘z>h’ transition happened within lexical morpheme of simplex word in the mid and the late 16th century, but in case of derivative, that transition had occurred in the early 16th century. Although ‘z>h’ transition pattern differs in relation to ‘V__V’, ‘V__h’ patterns, it is obvious that the transition had taken place earlier in morpheme boundary and lexical morpheme than morpheme innerness and grammatical morpheme. 본고에서는 유성마찰음 계열에 속하는 음소 중의 하나였던 ‘ㅿ[z]’의 출현 양상을 형태론적ㆍ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검토하고, 이들 환경에서 나타나는 ‘ㅿ’의 변화 예들을 추출하여 ‘ㅿ’의 변화 과정에 나타나는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V__V’, ‘y__V’, ‘*r__V’, ‘n__V’, ‘m__V’, ‘V__h(h는 유성후두마찰음임)’, ‘V__β’ 등의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ㅿ’이 출현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출현 양상이 단일어와 복합어, 파생어 등의 형태론적 환경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양한 음운론적 환경이 모든 형태론적 환경에 따라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일부는 단순화되며, 일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ㅿ’은 ‘V__V’와 ‘V__h’의 환경에서 출현하였고, 단일어의 형태소 경계에서 ‘ㅿ’은 ‘V__V’ 환경에서 출현하였으며, 문법형태소에서는 ‘V__V’, ‘y__V’, ‘n__V’, ‘m__V’, ‘r__V’, ‘*r__V’ 환경에서 출현하였다. 복합어에서는 ‘y__V’, ‘n__V’, ‘*r__V’ 환경에서 ‘ㅿ’이 출현하였다. 이들 환경에서는 ‘ㅿ’뿐만 아니라 ‘ㅅ’도 나타났으며, 후행 요소의 ‘ㅿ’은 단일어로 사용될 때 ‘ㅅ’으로 나타나고 있어 ‘ㅅ>ㅿ’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았다. 파생어에서는 다양한 접사들의 결합 때문에 ‘ㅿ’이 ‘V__V’, ‘*r__V’, ‘n__V’, ‘m__V’, ‘V__h’, ‘V__β’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출현하였다. 파생어에서도 ‘*r__V’, ‘n__V’, ‘m__V’ 환경에서는 ‘ㅅ>ㅿ’의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았다. 제3장에서는 ‘ㅿ’의 출현 양상을 바탕으로, ‘ㅿ’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ㅿ>ㅇ’ 변화에서의 ‘ㅇ’ 표기를 음운론적으로 [h]인 것으로 이해하였다. 기존의 논의에서 ‘ㅿ’이 변화한 ‘ㅇ’을 [Ø]으로 봄으로써 ‘ㅿ’은 일반적으로 소실 혹은 탈락한다고 하였으나 ‘ㅿ’이 변화한 ‘ㅇ’에 인접한 모음 간에 모음충돌 회피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과, 유성마찰음 계열이었던 ‘ㅸ’이 ‘ㅇ’[h]으로 변화하였다는 점 등을 통하여, ‘ㅿ’ 역시 ‘ㅇ’[h]으로 변화한 것으로 보았다.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ㅿ’이 출현하던 ‘V__V’와 ‘V__h’ 환경 중, ‘V__V’의 환경에 있던 ‘ㅿ’은 15세기 후반의 <<두시언해>>, <<구급간이방언해>> 등에서 ‘ㅿ>ㅇ[h]’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ㅣ’나 ‘ㆍ’ 모음 앞에서 확인되었다. ‘V__h’ 환경에서는 ‘ㅿㅇ’ 연쇄에서 ‘ㅇ’이 [h] 음가를 소실함에 따라 15세기 후반의 <<구급간이방>>이나 16세기 초반의 <<훈몽자회>> 등에서 ‘ㅿ’은 ‘V__V’의 환경에서 출현하게 되었다. 따라서 ‘V__h’의 환경에 있던 ‘ㅿ’은 이러한 변화를 거쳐 16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ㅿ>ㅇ[h]’의 변화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특수어간교체형의 예 역시 이러한 변화를 거쳐 16세기 중후반 <<중간경민편>>, <<소학언해>> 등에서 ‘ㅿ>ㅇ[h]’ 변화의 예들이 나타났다. 따라서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V__V’의 환경에 있던 ‘ㅿ’은 15세기 후반부터 ‘ㅣ’나 ‘ㆍ’ 앞에서 ‘ㅿ>ㅇ[h]’의 변화가 보인 것이다. ‘V__h’의 환경에 있던 ‘ㅿ’은 ‘ㅿㅇ[h]’의 연쇄에서 [h]의 음가 소실에 따라 ‘V__V’ 환경에서 출현하게 되고, 16세기 중후반이 되어서야 ‘ㅿ>ㅇ’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단일어의 형태소 경계의 ‘V__V’ 환경에서 ‘ㅿ>ㅇ[h]’의 변화는 15세기 후반의 문헌에서부터 확인되었다. 형태소 경계에서는 ‘ㆍ, ㅜ, ㅓ’ 등의 모음 앞에서 변화가 나타나,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나 형태소 경계에서의 ‘V__V’의 환경에서는 15세기 후반부터 다양한 모음 앞에서 ‘ㅿ>ㅇ[h]’의 변화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문법형태소에서 ‘ㅿ’이 출현했던 ‘V__V’, ‘y__V’, ‘r__V’, ‘n__V’, ‘*r__V’, ‘m__V’ 등의 환경은 문법형태소의 분포 제약과 결합 조건의 변화에 따라 ‘V__V’와 ‘y__V’로 단순화되었다. ‘ㅿ>ㅇ’ 변화는 16세기 중후반에 걸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나 형태소 경계에서의 ‘V__V’의 환경에서 변화를 보인 15세기 후반과는 시기적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복합어에서 ‘y__V’, ‘n__V’, ‘*r__V’, ‘r__V’의 환경에서 ‘ㅿ>ㅇ’[h]의 변화를 보인 예로는 ‘두어’만이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16세기 중후반에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의 예들은 위의 환경에서 본래의 ‘ㅅ’이 그대로 나타나거나 ‘ㅿ’으로 교체되어 나타나 ‘ㅅ’과 ‘ㅿ’의 형태를 보이던 것이 ‘ㅅ’의 형태로 통합되었으므로 이러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파생어에서 ‘ㅿ’이 출현했던 ‘V__V’, ‘*r__V’, ‘n__V’, ‘m__V’, ‘V__h’, ‘V__β’의 환경 중, ‘*r__V’, ‘n__V’, ‘m__V’ 환경에서는 ‘ㅿ’과 ‘ㅅ’의 양 형태가 나타나던 것이 ‘ㅅ’으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V__β’의 환경은 15세기의 ‘ㅸ’의 변화와 함께 없어졌다. 따라서 파생어에서 ‘ㅿ>ㅇ[h]’의 변화는 ‘V__V’, ‘V__h’ 환경으로 단순화되었다. ‘V__V’의 환경에서는 15세기 중후반의 문헌에서부터 변화가 나타났다. ‘V__h’의 환경에서는 ‘ㅿㅇ[h]’의 연쇄에서 [h] 음가가 소실함에 따라 ‘ㅿ’은 16세기 초반 문헌에서 ‘V__V’ 환경에서 나타났으며, 동일 시기에 ‘ㅿ>ㅇ’의 변화도 보였다. 파생어의 ‘V__V’ 환경에서는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나 형태소 경계에서와 마찬가지로 15세기 후반부터 이러한 변화가 보인 반면, ‘V__h’ 환경에서는 16세기 초반부터 변화가 보여,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의 16세기 중반보다 이른 시기에 변화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결국, ‘ㅿ’이 출현하는 음운론적 환경 중 ‘V__V’, ‘V__h’의 환경에서만 ‘ㅿ>ㅇ[h]’의 변화를 보였으며, 그 과정은 형태론적인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V__V’의 환경에서 ‘ㅿ’이 출현했던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와 형태소 경계, 파생어에서는 ‘ㅿ>ㅇ[h]’의 변화가 15세기 후반부터 나타난 반면에, 문법형태소에서는 16세기 중반부터 이러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ㅣ’나 ‘ㆍ’ 앞에서 ‘ㅿ>ㅇ[h]’ 변화를 보인 반면, 형태소 경계에서는 다양한 모음 앞에서 이러한 변화를 보였다. ‘V__h’의 환경에서 ‘ㅿ>ㅇ[h]’의 변화는 단일어의 어휘형태소 내부에서 16세기 중반부터 일어난 반면, 파생어에서는 16세기 초반부터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ㅿ>ㅇ[h]’의 변화는 ‘V__V’, ‘V__h’의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형태소 내부보다는 형태소 경계에서, 문법형태소보다는 어휘형태소에서 더 이른 변화가 보였다고 할 수 있다.

      • 근대 서양 가구디자인에 반영된 동양문화적 요소에 관한 연구 : Art & crafts movement부터 art deco까지를 중심으로

        윤희선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말은 다른 세기말과 마찬가지로 혼돈의 연속이었고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의 파급효과로 인한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던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과거로부터의 탈피를 의미했고 이는 가구디자인을 비롯한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었다. 이때 순수미술을 비롯한 가구디자인 분야에서 받아들인 새로운 양식이 동양문화를 비롯한 '이국적' 문화였다. 그 중 동양의 문화는 그것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신비스러움과 구체성으로 인해 미술, 건축, 디자인에서 요구됐던 '새로운 양식'의 초석이 되었다. 동양문화의 유입에 의한 서양문화의 변화는 17-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나 본격적인 영향은 19세기 중엽 이후부터이며, 특히 1860년대 만국박람회를 통해 유입되기 시작한 일본의 목판화(우키요에, 浮世繪)의 영향력은 매우 컸다. 순수미술의 경우 드가, 모네, 마네 들을 비롯하여 후기인상파인 고호, 고갱 등 당대를 대표하는 화가들이 동양미술-엄밀히 말해서 일본미술에서의 우키요에-에 심취하여 그것들을 모작하거나 동양에서 유입된 물품들을 그림에 소재로 활용 하였으며, 또한 수집까지 한다. 이러한 현상은 20세기 입체파, 야수파, 표현주의 및 나비파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국박람회의 시작과 같은 시기에 영국에서 시작된 미술·공예운동(Arts & Crafts Movements)은 고드윈, 보이지 등의 작품을 통해 직선적이고 분절된 형태의 동양의 가구에서 보여지는 형태로 주로 표현되었으며, 아르누보(Art Nouveau)에서는 마조렐, 갈레 등을 통하여 18세기 로코코양식과 동양미술이 접목되어 식물, 꽃, 곤충 등의 자연 모티브가 사용되었으며 동양회화의 비대칭(非對稱)성을 양식 전반에 걸쳐 받아들였다. 모더니즘(Modernism)의 태동기인 20세기 초반에는 매킨토시, 라이트 등에 의해 단순한 '모티브'의 차용에서 벗어나 동양건축이 가지고 있는 공간에 대한 해석을 도입하기에 이르며, 또한 17~18세기에 유입된 격자문양과 파고다 양식이 구체적으로 사용되었다. 아르데코(Art Deco) 시기에 와서는 그레이, 룰만, 뒤낭 등에 의해 옻칠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등 동양에서 유입된 재료들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1930년대 기능주의 디자인의 급속한 확산으로 아르데코와 동양문화의 요소들은 점차 쇠퇴하게 된다. 당시 동양 문화적 요소가 반영된 가구의 경우 구조적으로는 직선적이며 분절된 동양가구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으며, 격자문양의 사용이 매우 두드러진다. 또한 층널이 돌출 되거나 비대칭의 일본가구가 갖는 성격도 애용되었다. 또한 일본 뿐 아니라 중국가구를 모방하거나, 일본의 기모노 같은 가구 외의 물품에서 모티브를 따온 가구들도 제작되었다. 재료적으로는 옻칠이나 나전 등 동양에서 유입된 재료들과 함께 아프리카 등지의 타지역에서 유입되었으나 동양문화적인 표현을 함에 있어서 상아, 흑단 등은 매우 좋은 재료였다. 또한 장식적인 측면에서는 동양의 전통적인 문양 등이 애용되었으며 동양회화적인 표현방식이 그대로 가구의 패널 장식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현대 디자인의 초석이 되었던 양식에 미친 동양문화의 영향은 매우 컸으며, 당시 19세기말에 국가적 차원에서 부국강병책(富國强兵策)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일본의 문화수출은 현재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21세기를 목전에 둔 현재에도 서양 가구디자인에서 보여지는 동양문화의 영향은 지속되고 있다. 19th century was the continuation of chaos as the end of other century and was the period went through huge changes due to the considerable repercussion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French revolution. The tide of changes meaned sloughing off the past and these took place covering the whole field of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including furniture design. At this time, the style what furniture design including fine art accepted was 'exotic' culture as well as oriental culture. Among those, oriental culture became the cornerstone of 'new style' wanted from art, architecture and design were cause by the peculiarity and concreteness what oriental culture itself had. But, there are lots of propensities that the importances of influence from oriental culture was ignored and treated as too light means like simply 'existed'. It made me write the thesis because l felt pity for the wrong propensity. The change of western culture due to the inflow of oriental culture has started from 17th- 18th century but full-scale influence has been since the middle of 19th century, Oriental culture was impressed as straiten and each syllable form in English Arts and Crafts Movement started at that time and Art Nouveau was influenced by natural motives as plants, flowers and insects and asymmetry of oriental painting. At the beginning of Modernism, they introduced interpretation about space that oriental architecture had sloughing off simple 'motives'. And in Art Deco, Japanese lacquer used widely with lots of materials inflow from orient but oriental influences with Art Deco gradually disappeared cause of rapid disseminate of functional design in 1930's. If the oriental gale in the end of orient externally as a desire about new style and simple curiosity, they in present have accepted the orient as the key to open the Minimalism and Naturalism through probing into the deeper inner world from the oriental philosophy of nature-respect that get some from the nature not changed like Antoni Gaudi said. And also 'Zen style' from Zen philosophy has used as their own expressive style. Even though the orient had to look on their expression with what we had for pressing down of 'logic of power', we are observing new oriental gale in the West cause of ignorance about what we have after over a century, It seems that it's time to teach to the West That has studied and accepted the orient for over hundred years after Arts and Crafts Movement. Not only minority academic and business circles are studying about the oriental culture and making an effort on commercializing but also the profundity is insufficient. In this situation, studying and grasp the precedent what the west accepted must be very important and the toddling domestic furniture design and furniture industry would find other possibility by studying the influence of oriental culture to the style what became the cornerstone of modem design. What we know well, what we have should be mostly powerful weapons for us in the middle of invisible war called 'Globalization' and the short cut to get globalization.

      • Liposome coated with scleroglucan derivatives for drug delivery

        윤희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구용 백신으로 면역원을 소장 점막의 림프구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여 다당으로 코팅하여 위점막의 낮은 pH로부터 더욱 안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미세입자 속에 면역원을 봉입한 다음 다당으로 코팅하는 과정을 위해 여러 다당을 모색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scleroglucan이 채택되었다. Scleroglucan의 수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sulfation 시키고 이를 liposome 표면에 부착이 잘되도록 palmitation 시켰다. Scleroglucan의 sulfation 과 palmitation 여부는 FT-IR spectroscopy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scleroglucan 유도체를 Concanavalin A을 봉입한 liposome에 코팅(OPSS-Liposome)하여 ζ-potential 분석을 통하여 표면 전하를 관찰하였고, TEM으로 형태를, ELS로 입자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이 OPSS-Liposome의 Con A loading 효율은 63~70% 정도였고, 방출실험 결과 인공장액에서 24시간 이내에 85~90%의 방출을 보였다. Scleroglucan, a neutral extracellular polysacchatides secteted by fungi of the genus sclerotium, has also anticancer effect, immunity increase. Sulfated scleroglucan was added O-palmitoyl groups for lining better to liposome. O-palmitoyl sulfated scleroglucan (OPSS) was coated liposome and observed by FT-IR spectroscopy, ELS, ζ-potential analysis. Asymmetreal S=O and symmeterical C-O-S vibrations were increased as adding to O-palmitoyl groups ratio by DLS and ζ-potential analysis. In vitro, the release experiment was tested in SGF and SIF. OPPS-Liposome involved in SIF rapidly, As result, we expected OPPS-Liposome will appropriate as drug deliverty.

      • 花鳥畵의 現代的 變容硏究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윤희선 建陽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에 있어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면서 자연은 무한한 소재를 제공해주고 예술가는 그 소재를 토대로 의미를 부여해주고 존재화 시킴으로써 예술적 가치로써 승화시킨다. 즉 자연과 인간은 함께 공존하며 인류의 역사를 창조해 왔으며 변화와 조화 속에서 발전되어 왔다. 그 중에서 화조는 가장 친숙한 자연으로서 인류의 오랜 역사와 더불어 면면히 관계를 유지해 왔다. 문자가 없었던 시대에는 표의문자 역할을 하기도 했고, 고대인에게는 영원한 회귀와 재생의 의미 등 고대 신앙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주술적 기능과 함께 감상화로의 역할을 하고, 조선시대에는 소경적 구성과 수묵위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거친 붓질로 문기배인 의취를 추구하며 발전했다. 뚜렷한 민족적 자아의식이 발현했던 조선후기에는 당시를 대표하던 단원 김홍도 (檀園 金弘道)가 좀 더 개성적인 화조화풍을 이룩하면서 당시 그가 살던 주변의 삶을 시정적 분위기로 환원시켰다. 조선말기에 이르러 석창 홍세섭 (石窓 洪世燮)에 의해 주도된 화조화에 있어서의 이색화풍의 대두는 이 시기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화조화의 근대적인 감각의 화풍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한국 화조화의 역사가운데 조선후기 화풍의 변모과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당시대에 새롭게 대두된 실학사상과 그 사상적 평형을 이루며 사실주의의 특징이 나타나게 된 것인데, 이는 한국 화조화가 중국의 영향 아래 성립된 기존의 서정적이고 사의적인 문인 화풍에서 주도권이 이양되는 중요한 양식적 변혁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나아가 근대이후의 화가 이당 김은호(以堂 金殷鎬), 월전 장우성(月全 長遇聖),운보 김기창(雲甫 金基昶)에서 보여지는 특징은 모두 전통적인 기법에 그치지 않고 현대적인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리얼리즘에 한층 더 접근케 하였으며 다양한 매체의 확장으로 자신만의 화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화조화의 전통에 대한 한국적 재해석과 더불어 자신의 독창적 예술세계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현하면서 현대미술로의 방향성과 변용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러한 미술사조의 역사 속에서 본인이 추구하고 있는 작품은 한국적 정서를 토대로 형태를 빌어 정신을 나타낸다는 이형사신론과 정신을 나타낸다는 전신론에 그 맥락을 가지고 작품에 임하였으며, 이를 어떻게 작품에서 사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통해서 나타낼 것인가 하는 문제를 가지고 고민하였다. 이러한 고민의 한 가지 대안으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物我一體)라는 동양전통의 사고방식을 접하며 인간과 같은 덕을 가진 것으로 생각했다. 이는 사물이 지니고 있는 본질 자체를 헤아려서 깨달음의 진정한 의미는 표상에 머물러 있지 않고, 표상으로부터의 내부로 깊숙이 파고 들어가 그 생명과 골수정신을 파악하여 그것들에 따라 내외가 서로 통하고 형체와 정신이 서로서로 융화하는 상태까지를 파악함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동양정신에 입각한 사고방식은 본인의 작품에 영향을 끼쳤고 본인의 작품 안에 본인의 심상과 내면을 표현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소재의 취사선택을 통하여 소재가 가지고 있는 꽃말이나 상징성을 통하여 본인의 감정을 이입하게 되었다. 자연을 가공의 대상으로 인식했던 서양특유의 정신관은 인간 중심으로 사물과 비교하는 유물론적 입장을 취했으며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사고 틀 안에서 파악하였다. 20세기 들어와서야 본격적으로 동양화론의 전신문제와 맥락을 같이하는 형태 속에 나타난 표현의 의미를 다루기 시작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동서양의 현대회화는 이제 ‘어떤 것’을 그렸는가의 화두에서 ‘어떻게’ 그렸는지에 대한 것을 알려고 한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에서 본인에게 작업이라 함은 그림이 완성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얻어지는 하나하나의 행동들이며 그 의미 있는 행동 속에서 행복, 사랑, 외로움, 고독을 추구하며, 사랑함으로써 작업해나간다. 그러한 일련의 모든 과정을 거친 후에 얻어지는 나의 작품들은 곧 나이자 나의 삶인 것이다. 작품 속에서의 화면은 곧 터전이며 그 속에서의 사물들은 하나하나로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본인이 사물들에게 생명력을 불어 넣어줌과 동시에 존재화 시킴으로써 본인에게는 삶의 이유이자 존재로서의 가치이다. 또한 본인의 화조작업을 하면서 기본적으로는 아름다움의 표출이었으며 묘사함에 있어서는 자연을 사랑하는 높은 심미안과 한국의 정취가 깔려 있으며 나아가 의인화, 존재화 시킴으로서 현재의 삶을 표현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Over nature and human being coexist in the Arts, nature offers endless subjects and artist sublimates it as an artistic value by offering a meaning and making an existence on the basis of the subjects. That is nature and human being are coexisting and the history of man has been created and developed in a transition and a harmony. Among them, flowers and birds as the friendliest nature have been kept the deep relationship with the long history of human beings. In an unlettered period it acted like an ideogram and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an ancient myth as ameaning of permanent repetition and revival to the ancients. Also it acted like a sentimental brazier with an incantational function in the Koryeo Dynasty era and has been developed by pursuing the literary object using a tough brush inheriting the ignorant composition and the tradition of India ink in the Chosen Dynasty era. In the late Chosen Dynasty era when had developed a national egoism Hong-Do Kim representing the ages changed the life of his circumference a little more to the lyrical atmosphere by achieving individual painting of flowers and birds. In the end of Chosen Dynasty era a rise of unusual genre in the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leaded by Seo-Sub Hong formed not only those days but also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sensory paintings in Korea. In the middle of the Korean art history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paintings of the late Chosen Dynasty era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at is the practical science rised latest at the tim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alism balancing with the aspect was appeared, but a revolution of the important pattern means that Korean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took the leadership from the original lyrical and gratitude literary painting built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 characteristic showed from the artists whose Un-Ho Kim, Woo-Sung Jang, Ki-Chang kim after the modern ages approached to the more realism founded on modernistic realism without using the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and tried to elect their own painting techniques by the expansion of various mediums. That i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direction and transform to the modern art expressing their own unique art world through various methods with the new korean-style definition about the tradition of the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In this art history I have conducted the works with the veins which represents a sprit on the basis of Korean atmosphere. And I worried about how I show a figure of the material in the work. An alternative proposal of this worry I thought to possess virtue like a human being and touching a traditional idealism of the east that the nature and human being is all in one. After comprehending an essential of the materials the true meaning of realization is not remaining on a symbol but after entering into the inner part deeply and then catching the life and grudge it means to circulate the inside and outside according to them and understand the shape and the sprit to the state of a harmony each other. The idealism on the ground of the east sprit influenced on my own works and it gave a chance that finds a clue to express my own image and interior in works.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I became to empathize with a flower language and symbol of the subjects. The peculiar western concept that recognized the nature as a fictional subject was in the side of materialism and understood it in the frame of a scientific and analytical consideration. In the 20th century on a full scale it started to be treated the meaning of an expression shown in the frame connected to the full argument of the eastern art theory. As I already mentioned the modern paintings of the east and west began to change the topic now from 'what' was painted to 'how' was painted. In this mental switchover the work to me is a behavior in ones accepted by going through the all process to complete a painting and I’m getting down to work by loving and pursuing the happiness, love, loneliness and solitude in the significant behavior. My works obtained via the all serial process indicate in other words both myself and my life. The picture plane in a work is a base and the metarials have a meaning one by one in it. It is the reason to live to myself and the worth as the existence by making an existence at the same time I give a birth to the metarials. Also while I am working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basically it was an expression of beauty and overspread a korean-style atmosphere and a high sense of beauty loving the nature in the description. And I was to express the contemporary life by making an existence and an impersonation in advance.

      • 19세기 전기 언간의 구개음화 연구 : 발신자의 세대, 연령, 성, 수신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윤희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로 19세기 전기에 걸쳐 주고받은 세 부류의 언간-<추사가 언간>, <김성일가 언간>, <순원왕후 언간>-을 대상으로 발신자의 세대, 연령, 성(性), 수신자와의 관계에 따라 구개음화의 예를 계량화하여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를 살펴본 후, 구개음화의 확산 과정에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19세기 전기 언간에 나타나는 구개음화 확산 과정의 양상과 특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개음화는 근대국어시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음운변화의 하나로서, ‘ㄷ’가 ‘i’나 ‘y’의 앞에서 ‘ㅈ’로 교체되는 조건 변화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적으로 남부방언에서 16세기 중후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8세기 중후기에 이르면 중부방언에서도 일반화가 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19세기 전기의 세 부류의 언간들에서는 발신자의 세대나 연령, 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가 달리 나타나고 있고, 어휘에 따라서는 구개음화가 매우 낮게 실현되는 경우도 있으며, 수신자와의 관계에 따라서도 구개음화의 실현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세 부류의 언간에 나타나는 발신자별로 구개음화의 확산 양상을 살펴본 후, 각 가문 안에서 발신자의 세대와 연령, 성, 수신자와의 관계에 따라 구개음화의 확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각 가문 안에서 발견되는 특성을 바탕으로 세 부류의 언간을 함께 비교하고자 하였다. 세 부류의 언간이 비록 지역적 배경이나 사회 구성원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모두 19세기 전기의 자료라는 점과 각 언간에서 공통적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고유어 어휘나 문법형태소, 한자어로 좁혀 비교를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먼저 <추사가 언간>에서는 동일 세대 내에서 남성 발신자가 여성 발신자보다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18세기 후기에 여성 발신자에게서는 구개음화가 낮은 확산 정도를 보이지만, 남성 발신자에게서는 이미 구개음화가 높은 확산 정도를 보이거나 문법형태소의 경우 구개음화가 일반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뎍다, 디내다, 둏다, 엇디’ 등과 같은 고빈도 어휘의 경우 각각의 어휘별로 구개음화가 확산되는 시기나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뎍다’는 19세기 전기의 언간에서도 여전히 구개음화가 낮게 실현되는 특성을 보였다. 한자어의 경우, 남성 발신자가 여성 발신자보다 확산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1830년대의 언간에서도 약 60% 정도의 확산을 보이고 있어 고유어에 비해 구개음화의 확산이 늦게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개별 발신자에 따라 약 20-30년 정도의 차이를 두고 언간을 작성한 경우가 있는데, 발신자의 연령의 변화에 따라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에도 차이가 있었다. 수신자와의 관계는 다른 요인들보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 일반화된 논의를 이끌어내지는 못하였지만, 발신자가 여성일 경우, 남성에게 쓴 언간에서 여성에게 쓴 언간보다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남성 수신자 안에서는 수신자가 하위자일수록 구개음화가 더 높은 확산 정도를 보여주었으나, 여성 수신자 안에서는 수신자가 하위자일수록 구개음화가 더 낮은 확산 정도를 보여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신자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다른 종류의 언간들의 양적인 연구가 더 뒷받침 되어야 그 타당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성일가 언간>은 주로 1830년대에서 1850년까지 쓰인 것들로, 남성 발신자는 1명이고 대부분 여성 발신자의 언간들이다. 여성 발신자의 경우, 동일한 시기의 언간이지만 제2세대와 제3세대의 언간에서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제2세대의 언간에서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추사가 언간>의 제1세대나 제2세대의 언간보다는 더 확산된 정도를 보였는데, 이는 시기적으로 약 40-50년 정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제3세대의 언간과 제4세대의 언간에서는 한자어는 여전히 구개음화가 낮은 확산 정도를 보였으나 고유어의 문법형태소뿐만 아니라 어휘형태소에서는 거의 구개음화가 일반화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어휘별로 ‘뎍다’는 여전히 구개음화의 확산 상태가 낮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엇디’는 제2세대와 제3세대의 언간에서는 매우 낮은 확산 정도를 보이다가 제4세대의 언간에서는 거의 100% 구개음화가 되어 급격하게 확산되는 특성을 보였다. 한자어 중에서는 ‘中’, ‘重’, ‘丁’, ‘弟’, ‘體’ 등이 여전히 구개음화가 낮게 실현되고 있었는데, ‘中’, ‘重’에 대해서는 언어내적 해석을, ‘丁’, ‘弟’, ‘體’에 대해서는 언간의 투식성이나 형식성과 같은 언어외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남성 발신자는 1명으로 제3세대 발신자였는데, 한자어에서도 구개음화가 거의 100% 일어나고 있고 과도교정의 예 역시 발견되지 않아, <김성일가 언간>의 제3세대, 제4세대 여성 발신자나 <추사가 언간>의 제3세대 남성 발신자와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김성일가 언간>에서도 개별 발신자에 따라 약 20년 정도의 차이를 두고 언간을 작성한 경우가 있는데, 1830년대 초반 언간과 1840년대 후반 언간의 비교를 통해 연령의 변화에 따라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 제3세대 여성 발신자의 언간을 통해, 문법형태소의 구개음화가 1830년대 초반에는 약 65% 정도로 나타나던 것이 1840년대 후반에는 100%로 나타나 문법형태소에서의 구개음화 확산 과정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신자와의 관계에 따른 차이는 <김성일가 언간>에서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미 이 언간들에서는 한자어와 고유어의 몇 개의 어휘를 제외하고는 거의 구개음화가 일반화되어 있어, 이러한 확산 정도를 보이는 경우에는 수신자와의 관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제3세대 여성 발신자의 언간에서는 남편에게 쓴 언간과 아들에게 쓴 언간에서 구개음화의 확산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기도 하였으나 발신자의 연령의 변화에 의한 차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여, 수신자와의 관계에 따른 변화는 다른 요인들에 비해 일반화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순원왕후 언간>은 1837년부터 1856년까지 쓰인 19세기 전기의 자료라는 점에서 위의 두 부류의 언간과 공통점이 있지만, 발신자가 1명이기 때문에 발신자의 세대나 성에 따라 직접적으로 비교할 대상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추사가 언간>이 중부방언, <김성일가 언간>이 남부방언이라는 지역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순원왕후’는 12세부터 죽을 때까지 궁중 생활을 하였다는 점에서 두 부류의 언간과는 다른 언어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이 언간은 동일 시기 다른 가문의 제3세대나 제4세대 언간들에서 구개음화가 매우 확산된 것과는 달리 약 10% 정도의 확산을 보여주었다. 이는 18세기 중기의 왕실 문헌에서 구개음화가 나타나는 양상과 유사한 것으로, 1세기가 지났음에도 이러한 양상이 나타난 것은 다른 언간들과 비교할 때 매우 특이한 점이다. 어휘로도 ‘뎍다, 디내다, 엇디, 둏다’가 모두 구개음화가 되지 않았고, 문법형태소 ‘ㅡ디’나 한자어 역시 거의 구개음화가 되지 않았다. 본고에서 19세기 전기의 세 부류의 언간을 대상으로 몇 개의 사회언어학적 요인에 따라 구개음화의 확산 양상과 그 특성에 대하여 살펴본바, 어느 정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언간이라는 자료가 같은 시기의 것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음운변화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앞으로 양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언간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개인의 언어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spect of t-palatalization diffus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letters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study limits itself to the three categories of Hangeul letters; <Chusaga Hangeul letters>, <Kimseongilga Hangeul letters>, <Sunwonwanghu Hangeul letters>. As a scholarly methodology, I will classify the letters by generation of addressers, age, gender and the relation with its recipient, and quantify the examples of the t-palatalization diffusion, and will find out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T-palatalization, the conditional chang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onological changes in modern Korean language that ‘ㄷ' is replaced by ‘ㅈ’ in front of ‘i’ or ‘y’. These changes were generally shown in the southern dialects which began to appear in the middle and after the 16th century, and when it reached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t became generalized in the central dialects. However, in the three categories of the 19th century Hangeul letters, the degree of t-palataliz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factors such as generation, age, and performance of the addresser. In some vocabulary, the t-palatalization is realized very low,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t-palataliz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Thus,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diffusion process patterns of t-palatalization in each of the three categories, and then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t-palatalization according to age, gend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in each fami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each family, we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regional backgrounds and social members between the three types of the texts, I think that the foundation of the research is provided that all of them are data of the 19th century, and they are narrowed down to the native Korean vocabulary, grammatical morphemes and Sino-Korean. First, from the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Chusaga Hangeul letters>, the frequency of t-palatalization was higher in male addressers than in female addressers in the same gener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t-palatalization was found to be low in female addressers but male addressers already showed a high degree of t-palatalization, and t-palatalization was generalized in the grammatical morphe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ing and the aspect of t-palatalization diffusion by each vocabulary like high frequency words such as ‘뎍다, 디내다, 둏다, 엇디’. The word '뎍다' was still low in t- palatalization even in the 19th century. In general, about 60% of diffusion was shown in the Hangeul letter of the 1830s, and the spread of t-palatalization was slower than that of the native language, although male addressers showed a higher degree of diffusion than female addressers in the use of Sino-Korean.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a difference of about 20 to 30 year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ddresser. The degree of t-palataliz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ir ages. The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varies greatly from other factor that it did not lead to a generalized discussion. Yet when the addresser was femal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usion of t-palatal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In the male recipient,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t-palatalization diffusion was shown as the recipient’s social class, when it was lower that of the addresser. Conversely in the female recipient it was in vice versa. The degree of the t-palatalization diffusion was shown lower when the social class of the female recipient was lower than the female addresser.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should be validated by further quantitative research of other types of texts. <Kimseongilga Hangeul letters> was mainly written from the 1830s to the 1850s, with one male addresser and mostly female addressers. In the case of the female addresser, the degree of t-palatalization diffusion differs in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lthough t-palatalization diffusion was relatively low in the second generation, it was more diffused than that of the first or second generation, for it had about 40 to 50 years of difference. In the third generation and the fourth generation, Sino-Korean still showed a low degree of t-palatalization, but it was generalized in vocabulary morphemes as well as grammatical morphemes of the native language. However, the word '뎍다' still showed a low degree of t- palatalization diffusion. ‘엇디’ showed very low t-palatalization diffusion in the second and the third generations, but in the fourth generation of Hangeul letters, almost 100% t- palatalization has been shown rapidly. Among the Sino-Korean, ‘中’, ‘重’, ‘丁’, ‘弟’, ‘體’ were still low in t-palatalization. For ‘中’, ‘重’ we attempted to interpret the language internally, and for ‘丁’, ‘弟’, ‘體’ we tried to interpret the language extensively, such as the penetrability and formality of Hangeul letters. There was one letter of male addresser from a third generation; almost 100% of t-palatalization occurs in Sino-Korean, and no example of hypercorrection was found. It was also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third, fourth-generation of the female addresser of <Chusaga Hangeul letters> and the third-generation of male addresser of <Kimseongilga Hangeul letters>. In the case of <Kimseongilga Hangeul letters>,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20 year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ddresser. They showed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palataliz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age between the early 1830s and the late 1840s respectively, and for the third generation of the female addresser, the t-palatalization diffusion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were found to be about 65% in the early 1830s, and 100% in the late 1840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was not found in the <Kimseongilga Hangeul letters>. It is assumed that the t-palatalization is generalized except for som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and the native Korea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palatalization from the Hangeul letters of the female addresser between the words written by the husband and the words written by the sons in the third generation, but it was similar to the difference of the age of addresser. Thus the change is difficult to generalize considering with other factors. Since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Sunwonwanghu Hangeul letters> was written from 1837 to 1856, and it was a material of the 19th century, there w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other two types of Hangeul letters. However since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Sunwonwanghu Hangeul letters> has only one addresser, it is hard to compare with the other two letters by generation and gender of the addressers. Additionally linguistic background is different. The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Chusaga Hangeul letters> has a regional background in the central dialect, an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Kimseongilga Hangeul letters>, the southern dialect. However ‘Sunwonwanghu’(Queen Sunwon) had a courtroom life from the age of 12 until the time of her death, which suggested that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 Not Allowed Tag Filtered --><Sunwonwanghu Hangeul letters> had a different linguistic basis of the other two. In contrast, the t-palatalization of the third generation or fourth generation of the other family at the same time showed about 10% of diffusion. This is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t-palatalization in the royal literature of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nd it is very unusual when compared with other texts that this aspect appeared even after a century. In the vocabulary, ‘뎍다, 디내다, 엇디, 둏다’ was not all t-palatalized, and the grammatical morpheme '-디' and the Sino- Korean were not also almost t-palatalized. In this paper, we examined some aspects of the sociolinguistic factors of the 19th century biography, and found som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 could fin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owever, even if the data of Hangeul letters are at the same time, the same phonological changes may appear in various aspect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more quantitative study of Hangeul letters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a multifaceted approach seem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