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업군인의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윤화준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업군인의 직무스트레스 및 가족기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각각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밝혀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군인의 직업적 특수성에 따라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의 다양한 요인들이 직무만족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 밝혀내었다. 이는 직업군인의 직무만족에 저해가 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찾아 직무만족의 향상을 위한 적절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직업군인의 직무환경 개선과 직업적 안정을 도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이 다양한 직무만족 요인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인가족의 기능적 측면을 배려하고 군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군인 가족의 복지 향상을 도울 수 있는 기초적 배경을 찾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에는 군대 조직의 특성상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고, 다양한 형태의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가 많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을 다양한 지역에서 더 많은 표본의 수를 표집하여 연구대상의 대표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야 하고, 직업군인인 간부를 포함한 병사까지 전반적인 직무만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직업의 만족도 및 향후 정책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을 연구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가족기능 하위변인에서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생활실태, 자녀교육, 주거, 문화생활 등의 척도를 세분화하여 분석이 요구되고, 특히 보수부분은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듯이 어떤 이유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참여예산제도가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 의사소통, 조직민첩성을 중심으로

        윤화준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nd performance of ROTC in the university organizations. Previous research has been subject to following limitations. First, few studies o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have been applied to university organizations. Second, the mediate variables have hardly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overcome such shortcomings, this study intends to perform exploratory study. Common factors which have been shown to constitute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nd performance of ROTC is applied to the university organizations. Third, organization trus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 agility is introduced as a mediate variable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nd performance of ROTC. There are many articles in relation to research of organization trus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 agility in business organizations, but little for the university ones. And those studies based on aspect of managerial accounting for the university organizations in korea are very sparse. This analysis used the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performance of ROTC as a dependent variable. A structural model and 8 hypotheses were develop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Respondents were asked to assess participation budget system, organization trust, communication, organization agility and ROTC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s. A total of 224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used to test hypotheses.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with P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performance of ROTC. Second, participation budget system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organization trust. Third, participation budget system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communication. Forth, organization trust an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organization agility. Fifth, organization trust had not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performance of ROTC. Sixth, the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performance of ROTC. Seventh, the organization agility had a positive significant on the performance of ROTC. In brief, it was founded that it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nd performance of ROTC in the university organizations. Also,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articipation budget system had direct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ROTC by playing mediating roles of the organization trus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 agility. At the end of the paper,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참여예산이란 부문경영자 또는 하위계층의 조직구성원들이 예산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업적평가 기준으로 이용될 예산목표의 설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그간 대학예산 관련 연구에서 학군단 조직이 예산편성에 참여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학군단 조직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군단 교육훈련체계 개선방안, 선발제도 개선 방안, 지원율 제고 방안, 임관평가제도 개선 방안, 진로탐색프로그램 효과 분석, 후보생 제도분석 연구 등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대학에서 예산편성 시 학군단 조직이 참여하여 예산규모, 예산운영방법, 예산시스템구축 등과 같은 예산관련 연구는 거의 없고, 예산이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정한 연구는 드물며, 다양한 매개변수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탐색적인 시도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학군단 조직을 대상으로 대학 참여예산제도가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참여예산제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학군단의 조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조직신뢰, 의사소통, 조직민첩성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독립변수인 대학 참여예산제도와 매개변수인 조직신뢰, 의사소통, 조직민첩성, 그리고 종속변수인 학군단의 조직성과와의 인과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학군단 조직을 대상으로 관련 변수들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구성원들을 주요 설문 대상으로 총 300부를 배포하고 22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참여예산제도가 학군단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대학 참여예산제도는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참여예산제도와 학군단의 조직성과는 관련성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대학 참여예산제도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대학 참여예산제도는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참여예산제도와 조직신뢰는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대학 참여예산제도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대학 참여예산제도는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참여예산제도와 의사소통은 관련성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조직신뢰가 조직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조직신뢰는 조직민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신뢰와 조직민첩성은 관련성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섯째, 의사소통이 조직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의사소통은 조직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과 조직민첩성은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섯째, 조직신뢰가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조직신뢰는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이는 조직신뢰와 학군단의 조직성과는 관련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곱째, 의사소통이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의사소통은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과 학군단의 조직성과는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덟째, 조직민첩성이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조직민첩성은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민첩성과 학군단의 조직성과는 서로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가설 검증결과를 통해 대학 참여예산제도와 학군단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의사소통, 조직민첩성의 매개역할을 추정해보면, 대학 참여예산제도는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신뢰, 의사소통, 조직민첩성이라는 매개변수를 사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조직신뢰는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조직민첩성을 통해 학군단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의사소통과 조직민첩성은 학군단의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완전 매개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예산 편성 시 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하면 조직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점과, 학군단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조직신뢰, 의사소통, 조직민첩성과 같은 변수들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점은 중요한 공헌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