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파트릭 쥐스킨트의 <향수>와 톰 티크베어의 영화 <향수>의 비교 분석 : 후각 모티프를 중심으로

        윤현선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문학작품의 영화화는 영상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원전‘을 새로운 형식으로 재생산하는 것이다. 문자라는 단일한 매체로만 서술되는 문학작품이 이제 영화와 관련된 여러 매체의 활용을 통해 영상으로 수용되고 있는 것이다. 문학작품을 원전으로 하는 문학영화는 문학작품과 영상매체의 결합으로서 문학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문학분석이 문학의 영상화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본 논문은 전통적 서사매체로서의 문학이 어떻게 영상으로 변형되는지를 상호매체적 관점 속에서 살펴보며, 특히 후각 모티프가 색, 빛, 음악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여기서는 파트릭 쥐스킨트 Patrick Suskind의 소설『향수 Das Parfum』(1985)와 톰 튀크베어 Tom Tykwer가 연출한 동명의 영화(2006)가 분석 대상이다. 파트릭 쥐스킨트의 첫 장편소설『향수』는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작품으로서 소재, 모티프, 인물의 특성, 주제 등에서 독특한 문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영화「향수」는 원작의 기본적인 서사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방식으로 내용을 전개해나가면서도, 영화에서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특성들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예컨대 문학작품과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특성은 각 장르의 서사구조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되어 형상화되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나타난다. 감독의 시각에 따라 문학텍스트가 재해석되어 만들어진 문학영화는 순차적인 내용 전개에 변화를 주기도 하고, 특정 사건이나 인물 구도를 강조하여 보여주기도 함으로써 문학작품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작품으로서 인정받을 수도 있다. 영화「향수」는 다양한 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주인공 그르누이와 그의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그르누이의 본질을 선명하게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 영화 속에서 등장인물의 특성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에 따라 관객들은 감독의 제작 의도(주제)를 짐작할 수도 있다. 후각 모티프는 이 작품의 핵심 모티프로서 작품 전반에 걸쳐 구체화되어 서사를 이끌어간다. 쥐스킨트의 소설에서 표현되는 후각 모티프는 영화 속에서 서술자, 색과 조명, 음악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새로운 의미전달 도구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말하자면 소설에서 독자가 눈과 상상력으로 냄새를 맡았다면, 영화에서는 더욱 감각적인 매체의 작용으로 냄새를 ‘눈으로 맡는’ 동시에 ‘귀로도 맡을’ 수 있게 되었다. 소설 『향수』와 동명의 영화에서는 죽음이 독특한 형식으로 자주 나타난다. 주로 그르누이의 기괴한 성향을 드러내기 위해 죽음이 묘사된다. 다만 상호매체의 작용에 의해 소설과 영화에서 죽음을 묘사하는 방식은 차이를 보인다. 소설에서는 죽음이 문자를 통해 상징화되고 있는 반면, 영화에서는 구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고 있다. 주제 면에 있어서 소설과 영화는 시대적 상황 묘사에 사실성을 부여함으로써 18세기에 나타났던 왜곡된 이성중심의 계몽주의를 비판한다. 극단성을 지닌 계몽주의의 대표적 인물로서 그르누이를 등장시킴으로써 일방적인 이데올로기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독자 또는 관객들로 하여금 계몽주의의 부정적 이면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가지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영화「향수」는 감독에 의해 문자텍스트가 변형되고 재창작된 작품으로서 여러 언어외적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작품을 인식하도록 한다. 문자언어로 전달되는 문학과 비교하여 영상언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독특하게 작품의 여러 내적 요소들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Cinematizing a literary work is to reproduce ‘the original text’ in a new form by using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an image. A literary work described only by the singular medium called characters is now received into an image through utilizing several media related to film. A literary film with a literary work as the original text also plays the role of expanding the domain the literature can influence by combining a literary work with image media. That is why a literary analysis should take interest in imaging literature. This thesis aims to explore from an intermedial viewpoint how literature as a traditional narrative medium is transformed into an image. And this thesis’ purpose is to especially, analyze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a color, lighting and music and in what method the motif of the olfactory sense is dealt with. It analyzed Patrick Suskind's novel Das Parfum(1985) and the film of the same name(2006) produced by Tom Tykwer. Patrick Suskind's first novel Das Parfum which has achieved popular success has peculiar literary features in subject matter, motif, character features, theme and so on. The film Perfume develops its contents by not going astray from the narrative basic framework of the original text, and by making the most of character traits and various media that can accommodate in film. For example, the traits of the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and a film are expressed and transformed in many ways by being formalized, reduced or expand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of each genre. A literary film is being made, in which the literary text is reinterpreted according to a director's perspective changes sequential development of contents. Also, it shows a particular event or character by emphasizing the structure of it or him, by which it can also be acknowledged as an independent work distinguished from a literary work. By using various media effectively, the film Perfume is a good example that clearly shows to spectators the essence of the hero Grenouille that was revealed in the relation between him and his surrounding characters. According to how the traits of the characters in a film are formalized, spectators can also guess the director's intentions for producing(theme) it. As a key motif of the work, the motif of the olfactory sense signals the description of deeds throughout it. The motif of the olfactory sense expressed in Suskind's novel functions as a new medium for conveying meaning combined in the film through the various media such as a narrator, color, lighting, and music. So to speak, the readers in the novel smelled with their eyes and imagination, whereas, the function of more sensuous media came to enable the spectators in the film not only ‘to smell with their eyes’, but also, ‘with their auditory senses’. In the novel, Das Parfum and the film of the same name, death often appears in a peculiar form. It is described mainly for revealing Grenouille's grotesque disposition. And the function of intermediality causes the novel and the film to differ in a method of describing it. In the novel, death is symbolized through character, while in the film, it is structured by concrete shapes. In the theme, the novel and the film criticize the reason-centered Enlightenment that appears in the 18th century by providing the situation description of the times with reality. By making Grenouille appear as a typical character of the Enlightenment with extremism, they warn of the risk of a one-sided ideology, and provide the readers and the spectato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his is done through by examining the problems and negative side of the Enlightenment. In conclusion, as the work, whose literal text is transformed and recreated by a director, a film Perfume has work recognized from a new viewpoint by using various media from the outside language actively. It is that peculiar expression that shows the various elements internal to the interaction between literature conveyed as literal language and image language.

      • 국내입양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수행자신감, 가족적응력간의 관계 : 자조모임 참가 입양부모를 중심으로

        윤현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관심은 입양부모들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에 있다. 그리고 사회적지지와 입양부모들의 역할수행자신감과 가족적응력의 관계를 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입양가정은 입양이라는 특수한 사건으로 인해서, 일반가정과 다른 차이를 가지게 된다. 그 차이는 몇 가지 주제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역할부여(entitlement), 둘째는 불일치된 기대(unmatched expectation), 또 한 가지는 상실(loss)로 친생부모와 친자에 대한 상실을 의미하며, 또 다른 것은 애착(attachment)과 정체성 성립(identity formation)이다. 그런 것들이 입양가정과 다른 가정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독특한 경험과 차이로 입양 가정은 다양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그것은 부모역할 수행자신감이나 가족적응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어려움에 대해서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있다. 그리고 입양부모자조집단은 입양가정의 사회적지지 자원 중 하나로 입양가정에게 지지를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이 연구의 중심된 연구문제를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1. 입양부모들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2. 입양부모들이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부모역할수행자신감과의 관계는 어떠 한가? 3. 입양부모들이 인식한 사회적지지와 가족의 적응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 자조모임에 참석하는 입양부모 67명으로부터 설문지를 받았다. 그리고 설문지는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 수행자신감, 그리고 가족의 적응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문항은 재구성되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입양부모들은 사회적지지 중 입양부모자조집단으로부터 입양과 관련된 정보적 지지를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입양과 관련되지 않은 정보적 지지를 친구에게서 가장 많이 못 받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출처별로는 입양부모자조집단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그 다음에 형제와 친지들, 이웃 및 성도, 친구 순으로 지지를 많이 받았고, 내용별로는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의 순으로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입양부모들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 수행자신감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교적 의미 있는 관계를 발견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가족적응력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입양부모 자조모임이 실제로 입양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를 주고 있으며, 또 사회적 지지가 부모역할 수행 자신감과 같은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는 자조모임과 같은 입양 후 서비스가 앞으로 입양의 분야에서 더욱 관심이 기울여져야 한다는 것과 입양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 특히, 입양과 관련된 정보적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interest of this study is social supports perceived by domestic adoptive parents.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domestic adoptive parents' social support, their competence of parenting role performance and their family adjustment. A adoptive family are different from other families. The unique difference be characterized as three themes. The first is entitlement, the second is unmatched expectation, the third thing is loss, which means loss of biological child and loss of birth parents. The others are attachment and identity formation. Those things are differences between adoptive families and others. Due to such unique experience, adoptive families may face some difficulties such as involving competence of parenting role performance or family adjustment. Therefore, the social support could give positive effect on these difficulties. The adoptive family may be re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 support group as one of social support resour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bove concept. The main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domestic adoptive parents? 2. How i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domestic adoptive parents related to competence of parenting role performance? 3. How is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domestic adoptive parents related to family adjustment? To examin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67 adoptive parents attending parent support group.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revised social support scale, revise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and revise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doptive parents reported that they feel the most informational support related to adoption from parent support group and they feel the least informational support related to adoption from their friends. According to the sort of social support sources, the adoptive parents reported they received the most social support from parent support group(4.26), from their family including relative(3.55), from neighbor or believer(3.30), from friends(3.28) in turn. According to the sort of social support content, they reported they received much social support, in turn emotional support(3.77), appraisal support(3.70), informational support(3.35).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competence of parenting role performance, relatively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However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family adjustment, any relationship was not found.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 support group is social support resource practically and social support could help adoptive family's difficulty in parenting role performance.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ch post-adoption service such as parent support group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ield of domestic adoption and adoptive families feel needs of social support specially informational support related adoption

      • Jigsaw III 협동학습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 자극과 반응 단원을 중심으로

        윤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되어 온 탐구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은 현 사회의 교육이 담당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실제 학교 수업에서 학생은 교사와 교과서가 정해준 동일한 주제로 수동적인 입장에서 학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토론을 기반으로 긍정적 상호 의존성을 기르면서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 협동학습은 최근 과학교과에서도 많이 활용되어 왔으나 21세기가 요구하는 방대한 지식과 정보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이며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업 모형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협동학습에 관한 연구도 STAD 모형이나 LT 모형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아직 과학 교과에서 많이 시도되지 않은 Jigsaw 모형은 협동학습 소집단 구성원 모두가 소집단의 운영뿐 아니라 과제 해결 자체에 직접 기여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과도 접목이 가능하지만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Jigsaw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협동학습은 소집단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므로 협동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소집단 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Jigsaw Ⅲ 협동학습과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여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집단 구성 방식을 달리한 협동학습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협동학습 소집단 구성 방식을 모색해 봄으로써 수업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남학생 199명이며 전통적인 학습 집단, 소집단 구성원의 성격이 동질적인 Jigsaw Ⅲ 협동학습 집단, 소집단 구성원의 성격이 이질적인 Jigsaw Ⅲ 협동학습 집단의 3집단으로 나누어 수업하였다. 연구 단원은 중학교 2학년 과학 「자극과 반응」 대단원 중 '자극의 감각'이라는 중단원이며 7주간 7차시에 걸쳐 수업처치를 하였다. 수업처치 전, 후에 학업성취도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Jigsaw Ⅲ 협동학습이 전통적인 수업 방법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p< .05). 그리고 Jigsaw Ⅲ 협동학습의 소집단 구성 방식에 있어서 소집단 구성원의 성격이 이질적인 집단이 동질적인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면에서 효과적이었다(p< .05). 따라서 중학교 2학년 '자극의 감각'이라는 주제를 학습할 경우 전통학습보다는 Jigsaw Ⅲ 협동학습을 실시하는 것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상위, 중위 수준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수준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협동학습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비교해 보면 소집단 구성원의 성격이 이질적인 경우가 동질적인 경우보다 상위(p< .01)와 하위(p< .01) 수준의 경우 효과적이었으나 중위(p< .05) 수준의 학생에게는 협동학습 소집단 구성원의 성격이 동질적인 경우가 이질적인 경우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는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활동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학습 과정에서 소외되어 협동학습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고 하는 여러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Jigsaw Ⅲ 협동학습이 학업성취 수준이 상위, 중위, 하위인 학생들에게 모두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상위와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성격 면에서 동질적인 소집단 구성을 하되, 중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동질적인 소집단 환경을 구성하여 구성원 간에 함께 의미를 구성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Jigsaw Ⅲ 협동학습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p< .01).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상위와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위 수준의 경우는 Jigsaw Ⅲ 협동학습이 전통적 학습에 비해 효과적이었다(p< .01). 따라서 중학교 2학년 '자극의 감각'이라는 주제를 학습할 경우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통적 학습보다는 Jigsaw Ⅲ 협동학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학업성취수준이 중위인 학생들의 경우는 그 효과가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과학에 대한 태도를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자에 대한 인식,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의 적용,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의 여가 활용, 과학 관련 직업 선호 등의 7개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전통적 학습에 비해 Jigsaw Ⅲ 협동학습의 경우가 과학의 사회적 의미(p< .01), 과학자에 대한 인식(p< .05), 탐구에 대한 태도(p< .05), 과학적 태도의 적용(p< .01) 영역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The 21st century requires a whole new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sharply contradicts the previous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other words, the overall paradigm of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from passive accepting to active problem solving, from recollection of facts to creative thinking. Traditionall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has been centered on the teacher as the main focus and driving force of the classroom. The new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would shift the dynamics from the teacher to student and thus promote student motivation and interests inside the classroom. The new paradigm of teaching would be centered on cooperative learning inside the classroom using multimedia to enhance and maximize individual and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e main focus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juxtaposed to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that was taught in the traditional teaching style. The subjects were second graders of a middle school tha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researcher.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the traditional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while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were taught jigsaw Ⅲ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using multimedia.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further into four levels according to scores students received on their science achievement exam. One experiment group was modified into homogeneous characters based on their extraversions and introversions. The other experiment group was made of heterogeneous character (half extraversion and half introversio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were taught 'the senses and responses' for 7 weeks. Before and after the class,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s were ascertaine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ANCOVA(an analysis of covariance) by SPSS. The overall conclusions of my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study achievements by cooperative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p< .05). Those who are middle to high school level students the change did not make a difference in their achievements in science; however, those of lower grade students the jigsaw Ⅲ cooperative learn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science achievement than the tradition educational methods achievement(p< .05). 2. Those who are high and low level students, heterogeneous composition (half extraversion and half introversion) of a small group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tudy achievement than homogeneous composition(only extraversion or introversion) in a small group when jigsaw Ⅲ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p< .01). However for those who are in middle level students, homogeneous composition(only extraversion or introversion) of a small group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tudy achievement than heterogeneous composition(half extraversion and half introversion) in a small group(p< .05). 3. It is more effective in elevating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to use cooperative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p< .01). In achievement level, top and low level students didn't hav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cience. However, middle leve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have been improved in jigsaw Ⅲ cooperative learning(p< .01). Analyzing sub-categories, in each 4 out of 7 categories, cooperative 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p< .01, p< .05).

      • On the equicontinuity of sequence of functions

        윤현선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Equicontinuity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consideration of properties of functions on a metric space. In particular, the notion of equicontinuity can be applied for some kinds of questions related to convergence and continuity of functions. In this thesis we will introduce the notion almost uniform convergence and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convergence of a sequence of functions and the Equicontinuity of the limit function in metric spaces. Theorem 3.1. If a sequence <f_(n)> converges uniformly to f, then <f_(n)> converges almost uniformly to f. Also, <f_(n)> converges pointwisely to f. Theorem 3.2. Let □={f.(X,d) -> (Y,σ) <f_(n)>converges pointwisely to f and f_(n)(x) is continuous on X for each n∈N.}. If □ is equicontinuous on X then f is continuous. Theorem 3.3. Let F={f.[a,b]->R f is a differentiable}, and let F'={f'f∈F}. If F' is uniformly bounded, then F is uniformly equicontinuous. 동등연속성(equicontinuity)은 거리공간에서 함수의 성질을 고려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동등연속성의 개념은 함수열의 수렴성과 관계된 중요한 문제들에 유효하게 적용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의 평등수렴성”을 정의하고 이 정의를 사용하여 함수열의 수렴성과 극한함수의 연속성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정리 3.1 함수열<f_(n)>이 f로 평등수렴하면 <f_(n)>은 f에 거의 평등수렴한다. 따라서 <f_(n)>은 f로 점별수렴한다. 정리 3.2 함수열의 집합족 □를 □={f_(n):(X,d) -> (Y,σ)| 연속함수의 함수열 <f_(n)>은 f에 점별수렴한다.} 라 한다. 만약 집합족 □가 동등연속이면 f는 연속이다. 정리 3.3 F를 F={f:[a,b]->R| f 는 미분가능함수}라 하고 F'={f ^f∈F }라고 하자. F'가 평등유계이면, F는 평등동등연속이다.

      • 상표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현선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사회에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 기업은 여러 가지 요소들을 주시한다. 제품, 가격, 유통, 촉진에 그치는 게 아니라 그 이상의 요인 등을 요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는 고급화된 서비스, 판매 방식의 차별화, 독창성, 기타 여러 가지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다. 사회가 변화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서 소비자 욕구가 다양화되고 차별화 됨에 따라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자신치 원하는 제품을 구매함으로서 마케팅을 하는 기업 또한 사회 현실에 순응하게 된다. 소비자는 특정한 브랜드에서 의류제품을 구매할 때, 물질로서의 의류제품만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의류제품과 브랜드가 갖는 이미지를 구매하는 것이다. 기업이 차별화된 마케팅 믹스를 제공하여 경쟁우위를 창출하는데 있어 브랜드는 매우 중 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 구매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본 논문에서는 상표이미지의 일반적인 개념과 상표이미지가 상표선택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나 서비스가 아닌 기업명을 브랜드화해서 기업전체의 이미지를 광고하는 것이다. 많은 대기업들이 기업이 CE(Corporate Identity)를 통합 하면서 기업전체의 통일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기업 브랜드 위주의 홍보를 들 술 있다. 브랜드만으로도 장잠이 될 수 있고, 소비자들에게 브랜드가 믿음이고, 곧 신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모(母)기업의 브랜드 이미지가 신제품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셋째, 제품명으로 홍보를 들 수 있다. 기업의 브랜드가 강하여 모(母)기업의 브랜드만으로도 충분히 장점이 있는 제품을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제품이라는 인식을 바꾸기 위해 제품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각인시켜야 한다. 그래서 택한 방법이 바로 기업명을 배제시킨 마케팅 전략이다. 오로지 제품명만을 강조하여 제품의 고급화를 인식시키는 것이다, 넷째, 스폰서쉽의 이용을 들 수 있다. 기업들이 후원하는 스포츠 경기나 행사도 기업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 용품사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세계적인 스타를 후원하고 광고 모델로 기용함으로써 팬들을 자연스레 기업의 고객으로 만드는 것이다. 스타플레이어들이 기업의 브랜드가 선명하게 보이는 용품을 사용하고, 의류를 입고 인터뷰함으로써 홍보 효과가 극대화 되는 것이다. 다섯째, 자회사와 계열사를 이용한 통합적인 마케팅을 들 수 있다. 제품 브랜드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만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브랜드의 가치를 동시에 놓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21c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브랜드 경영이다. 그래서 브랜드 가치를 어떻게 창출하고 브랜드 가치를 어떻게 경영하고 브랜드 가치를 어떻게 진단, 평가하느냐가 중요한 경영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왜냐하면, 브랜드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제품의 사용경험, 광고경험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경험의 기억을 담는 그릇이 되는데 이러한 브랜드에 적절한 연상 또는 이미지를 줌으로써 회사는 경쟁자보다 놓은 가격, 충성스러운 고객의 학보, 안정적인 매출의 확보 등 회사의 경영상 바람직한 결과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브랜드는 고부가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면구는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항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확대해서 급변하는 사회의 의식변화에 발맞추어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the modern society, the corporate is closely watching various factors for the effective marketing. They do not concentrate on the products, price, distribution, and promotion, but require the factors beyond. In this process, it can discover the high-class services, the differentiation of sales method, originality, and the other various factors. As the society changes and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the customers' needs become verified and differentiated. They come to adapt themselves to the corporations for marketing or the social reality as they purchase the products that they wanted when they purchased the goofs and services. When the customers purchased the clothing from the special brand, it did net purchase the clothing only as a matter, but the images that the clothing and brand had, The br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of competitive advantage while the corporations supplied differentiated marketing mix.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sult that the consumers had an effect on the consumers' buying behaviors when purchasing the products. And it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oncept of brand image, the result that the brand image affects the brand selection, and the method for raisins the brand image. From the series of study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is to advertise the image of the whole corporations by making the corporations name the brand, not goods that the corporations produce or the services. Many conglomerates implanted the unified image of the whole corporate while the corporations unified CI(Corporate Identity). Second, it pointed out the public information centered on the corporate brand. It can be advantages with the braud only. The brand is trust to the consumers. That is, it will be confidence. Accordingly, the brand image in the parent corporation will be helpful to the new products a lot. Third, it pointed out the public information by the brand name. It needs to implant the product with the sufficient advantages by the parent corporation's image because of strong corporate image as the high-class image of products in order to change the recognition that everybody can have the products, Accordingly, the selected method was a marketing strategy that excludes the corporate name. It emphases the product name only, and it is to recognize the high-class products. Fourth, it pointed out the use of sponsorship. The sports games or events sponsored by the corporations play a large role in raising the corporation image. In particular, there are fierce competitions by the sporting goods corporations. They made the sports fan their customers naturally by sponsoring the worldwide stars and adapting them as advertising models. It made the publicity effect maximized as the star players used the sporting goods with clear brand of corporations, and wore the clothing, and had an interview. Fifth, it pointed out the integrative marketing using the subsidiary companies and the affiliated firms. They obtained the desired results, placing on the values of customers and brands simultaneously by constructing the product brand exclusive homepages and supplying the information fer the consumers who purchased the goods. The new paradigm is brand management in the corporate management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it is un the increase how they create the brand value, and manage the brand value, and diagnose and analyze the brand value as au important management subjects. As mentioned about the brand above, the brand had high value-added because they created the desirable results on the corporate management like the better price than the competitors, securing the loyal customers, and securing the stable sales amount, etc, as they gave these brands proper association or image for holding the memory of all the experience related to the products like experience of use and advertisement. Accordingly, as for the research hereafter, it should be investigated for the next wave of recognition of rapidly changing society while enlarging the study on the results how the brand image affects the consumers' buying behavior.

      • 중국어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방안 연구 : 인문계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윤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that highschool students have in Chinese reading and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learn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seldom have the opportunity to speak Chinese except during the Chinese class, and Chinese is taught mainly in the written mode in big classrooms(forty or more students)by the teachers. Most of the scholastic ability test items are the reading comprehension. So, the reading comprehension is very important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t present. But, in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most teachers still use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in spite of some improvement in the testing of reading comprehension mode. Therefore, to improve the students' reading ability,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ents should understand what reading comprehension is about and how it can be taught effectively. Chapter I presents how the motivation and scope of this study are described. Chapter II reviews the theories about definition of read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reading processes. Chapter III analyze learners' interest and opinion of Chinese reading through a survery. In chapter IV, the writer has suggested some techniques of four essential factors(vocabulary, cloze procedure, skimming and scanning) closely connec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for teachers to instruct. Chapter V presents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of the newly taught reading lessons. Finally, summary and some suggestions are presented in Chapter VI. Trying to develop an effecti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 have trained the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Two classes of the same level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One is the experimental class who used the traditional grammar translation method, and the other is the controlled classes who used this experimental teaching method. I have given tests to evaluate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pre-tests with those of the post-tests. After eight month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 got a higher score on the exam than those of the controlled class. Therefore, if teachers teach students by means of this experimental teaching methods for more than eight month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reading ability will be able to improv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master all the skills of reading comprehension. It takes constant practice to develop this ability. Teachers must keep in mind to teach the students the most efficient skills in the situation. Chinese should be taught in the direction of equally developing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Especially through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teachers must give students the interest in Chinese and have students develop their immeasurable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