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윤정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ontainer terminal’s cargo market in Busan port is very unstable because of the temporary supply-demand imbalance due to Busan New Port open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urthermore the competition for hub-port is getting fierce and the shipping liners have enjoyed the increased bargaining power over the terminal operators through the mergers & acquisitions (M&A) and strategic alliances. This result leads the competition among terminal operators to attract liner companies and cargoes in their terminal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Busan container terminal’s cargo market and proposing the stabilization measures. For stabilizing the container terminal market, this study suggests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such as improvement in determining and reporting system of stevedoring tariff, establishment of fair competition rules etc., the introduction of port pooling system and adoption of volume-linked terminal lease system with cargo volume ceiling system for each terminal operator. As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ternational ports have changed rapidly, the competition of the ports to attract cargoes is getting fierce. In this situation, because of the competition to attract more container cargoes of the North China and the West Japan in North-East Asian region, the ports in Korea has become one of the possible candidates for the main container port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The Busan Port Authority is facing a cargo market which is being destablized these days. When viewed in terms of market structure, container cargo industry has been managed by only 9 companies. That is why this industry has been called a monopoly. In this industry, it is difficult to achieve so-called ‘economy of scale’ because the rule of supply and demand is in imbalance and decided temporarily. As a result, the industry has been faced with excessive competition among a few operators. In addition, as the new port opened in 2006, the competition was getting hotter. And so, the image of the ports in Busan became worse than before, and the ports had difficulty in getting orders from the foreign container cargo industry. This thesis diagnosed the effects of the stabilization plan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s in Busan through the survey. This survey was proceeded to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nd shipping agencies. First, according to the hypothesis which is made by the survey results, three cargo stabilizing factors such as market structure factors, market behavior factors and BPA factors are considered to have positive impact for stabilization. But the factors which are handled by the operators were found to have few relationship with that. In particular, market behavior factors such as dumping regulations were considered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the fairness of trade. The governmental support of structural adjustment of industry seems to take a very important role in handling stabilizing effect. Market structure factors in the development policy of the government were found to strengthen cooperation. Market behavior and structural factors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regard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body of Busan BPA. That is, Busan can become the hub of Northeast Asian logistics to strengthen capabilities for overseas shipment and international supply-chain management. When Busan becomes the hub of Northeast asia logistics, it will contrubute to stability by improving the image and bargaining power. Second, in this study, four stabilizing factors have shown that their impact was effective. If the government tries to change the approval system instead of the current system, Busan can be more stabilized in the industry of container terminal handling operations. Now it seems to b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need for shippers who appear to contribute to making desirable market structure or market behavior.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of policies, implications of the thesis that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t Busan port, are as follows: North Port Terminal has undergone an integ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ports should be intergrated for the globalization such as Singapore. In addition, the government and the BPA has established a system which is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The fundamental problem of Busan cargo market is that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has deteriorated due to the loss caused by the fierce competition. To prevent this, it would be better for the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to fix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cargo market with BPA.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BPA seems to be also important to stabilize the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If the government wants to become a hub of logistics in Northeast Asia, the ongoing process to integrate the North Port terminal should be wrapped up promptly. To prevent dumping,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the approval system. In addition, it would be also helpful to make a port development policy and operational policy linked so closely with each other. Now the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are faced with many difficulities in management because of insecure environment. In this study, it would be pointed out that the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terminal operators, shipp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stabilized first. Now, Busan container terminals is facing difficulties in management with an insecure environment. In this study, Derive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cargo market stabilization measures, and was confirmed by the terminal operators and shipping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suggested by the approval syste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argo rates should be focused on. By then, this study would take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and 본 논문은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이 직면하고 있는 출혈적 과당경쟁으로 인한 하역시장의 불안정한 요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였다. 불안정한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안정화방안을 선행연구 고찰과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도출된 하역시장 안정화방안의 안정화 효과를 검정하고 실현가능한 하역시장 안정화방안을 제시하여 부산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사가 직면하고 있는 하역시장 불안정화 요인을 살펴 보면, 시장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컨테이너 하역산업이 자연독점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주체는 9개사로 소규모로서 독점적 경쟁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규모의 경제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일시적 수급 불균형 내지 부두간 물동량 전이가 발생할 경우 운영사 간 과당경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2006년 신항 개장이래로 북항과 신항간에 시장점유율 변동성이 심화되어 양극화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부산항 이미지 실추는 물론, 선사에 대한 대외교섭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래 항만산업은 자연독점적 성격이 강해 적정이윤 뿐만 아니라 초과이윤이 발생되지만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은 과당경쟁으로 적정이윤은 커녕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시장집중률을 나타내는 허쉬만-허핀달 지수(HHI)가 1996년에 비해 2015년도에는 급격히 낮아지면서 경쟁적인 시장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장집중률 하락과 신항, 북항간 양극화는 운영사의 수익성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이에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하역안정화 방안의 효과를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임직원을 위시하여 관련선사와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진단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설 검정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검정결과에 의하면, 3개의 하역안정화요인[시장구조요인, 시장행동요인, BPA요인]은 하역안정화 효과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운영사요인은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시장행동요인인 덤핑규제로 적정요율 준수 강화, 처리능력 적정화 및 처리물량 상한제 설정, 임대부두와 민자부두 사후관리 강화, 항만노무시장 유연안정화 및 구조조정 지원이 하역안정화 효과에 매우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그리고 시장구조요인인 개발정책과 운영정책의 적절한 연계를 통한 항만수급관리 강화, 터미널 운영구조 개편과 운영단위 확대 및 운영사간의 선석․항만시설의 공동 활용 등의 협력강화로 선사에 대한 대응능력 제고도 하역시장 안정화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시장행동 및 구조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부산항 관리주체인 BPA의 역할도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즉, 항만물류사업의 글로벌화를 통하여 해외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부산항이 동북아 물류허브가 되기 위해 국제SCM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부산항 이미지 제고와 선사에 대한 교섭력을 증진시켜 하역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둘째로, 본 연구에서는 4개의 하역안정화 요인이 안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서 하역요율 인가제가 조절효과가 있는 가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4개의 안정화요인 전부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의 요율신고제 대신 인가제로 변경할 경우,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선사가 하역요율 인상 필요성을 실질적으로 인지하는 계기가 되어 시장구조 개선이나 바람직한 방향으로 시장행동을 유인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의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하역시장을 안정화 시켜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북항 터미널을 통합하는 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북항터미널을 싱가포르처럼 하나의 운영사로 통합하여 운영단위를 글로벌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신해운동맹으로 영향력이 강화된 글로벌선사에 대응하는 하역요율 협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BPA는 개발정책과 운영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체제를 구축하여 항만수급관리를 실질적으로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부산항 하역시장의 가장 본질적인 문제점은 출혈적 하역요율로 인한 수익성 및 경쟁력 저하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시장행동적 문제점을 BPA와 더불어 바로 잡아야 한다. 컨테이너터미널 하역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부산항이 동북아 물류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BPA의 역할이 중요하다. 현재 진행 중인 북항터미널의 단일화 작업을 신속히 매듭짓고 그래도 하역요율 덤핑이 계속된다면 신고제에서 인가제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발정책과 운영정책의 효율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현재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대내적으로 환경적인 불확실성과 악재로 이중적인 경영의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러한 경영적인 어려움

      • 2007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소비자 교육 내용 분석

        윤정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if the education contents is composed to help children's actual consuming life by analyzing consumer education contents that will be implemented as the enforcement of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07, and to present a better proposal which tells how the consum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advance.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education course of social studies, practical course, ethics, wise life, and polite life that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07, through consumer education and th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proved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flec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each subjects follows in the order of social studies, ethics, practical course, polite life, and wise life. Specially, social studies is the closest subject which has a connection with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 Second, the principal realm of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 of the each subject was written all differently. Market economy principle and consumer life were the most accounted for social studies, environment-friendly consumer culture for practical course, consumer right and responsibility for ethics, consumer safety and health for polite life, and purchasing and instruction for wise lif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bdivide and systemize consumer education content upon the each subject. Third, it is not being much of help for the children when they face with the problems in the real consumer life. Difficulties of children's consumer life are predicted because there are few educational factors that children confront in the real life, such as established budgets, advertisements, or food marking, and the contents doesn't present specific details of copyrights. Fourth, there was a gap among the realms and grades, or the quantity and quality. Understanding of market economy principles was the most presented-26 times-, but consumer resource management was the least, which was only 3 times presented. The reflection percentage of consumer education in 6th grade was the highest, and it was lower in the lower grades. Several suggestions can be given up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percentage of every realm should be changed equally, considering the relations between each subject and grade of the consumer education. Second, classify the realm of consumer education contents by subjects in detail, and execute the consumer education systematically. The main realm of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s of each subject is written all differently. If consumer education contents is organized to suit to each trait of subjects, more systematical and better consumer education can be achieved. Third, to utilize the discretion activity time which reinforced with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07. To make new customer education subject or to include the contents sharply into the course is difficult at the present course of education. Instead, the application of discretion activity strengthened at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in 2007 will be a realistic plan. Fourth, selection of the subject among the existing ones that will be the core of consumer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contents are unsystematical and inactivated because they are dealt occasionally among all the subjects. However, to make a new subject is far off in this educational system. Though consumption will account for a bigger part of daily life, and consumer education will be required more in the future, it is not a independent subject practically, so the organized education will be hard. Therefore, the subject which will be the core of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chosen so that more organized and more systematical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본 연구는 2007년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이행되어질 소비자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내용이 아동들의 소비 생활에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검토해보고, 학교에서의 소비자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소비자교육 내용 분석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서 내용분석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그 준거에 의해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소비자 교육과 관련이 높은 사회, 실과, 도덕, 슬기로운생활, 바른생활 교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별 소비자교육 반영은 사회, 도덕, 실과,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순의 비중으로 나타나 있었다. 특히 사회과가 양적으로나 내용적인 면에서 소비자교육 내용과 가장 밀접한 교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특성상 소비자교육내용의 주된 영역이 상이하게 드러났다. 사회는 시장경제원리의 이해와 소비생활양식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실과는 친환경소비문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도덕은 소비자권리와 책임이 월등하게 나타났다. 바른생활은 소비자안전과 건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슬기로운 생활은 구매와 사용법이 확실하게 많이 나타났다. 셋째, 아동들이 실제 소비생활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에 대해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법, 약관 및 전자상거래상 소비자보호법률 또는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등에 관련된 디지털소비자권리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제시가 되어 있지 않으며 예산수립, 광고, 식품표시 등과 같이 아동들이 실생활에서 직접 부딪히게 되는 학습요소들이 거의 나타나있지 않아 아동들의 소비생활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넷째, 영역별 또는 학년별로, 양적으로나 내용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영역별로는 시장경제원리의 이해는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나 소비자자원관리가 가장 적은 비중으로 다루어진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6학년에서 소비자교육의 반영률이 가장 높았으며 저학년에서는 반영률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교육 내용의 교과간, 학년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영역들 간의 비율이 균형있게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소비자교육내용의 영역을 교과별로 세분화하여 체계적인 소비자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교과특성상 소비자교육내용의 주된 영역이 상이하게 드러났다. 소비자교육의 내용을 교과의 성격에 맞도록 그 영역을 고르게 편성한다면 보다 조직적이고 알찬 소비자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2007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강화된 재활활동 시간의 활용이다. 학교내 소비자교육의 강화를 위해 소비자교육 교과목을 신설하거나 교과 과정내에 대폭적으로 편입시킨다는 것은 지금과 같은 교육과정 편제에서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 보다는 2007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강화된 재량활동시간의 활용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넷째, 기존의 교과 중에서 소비자교육에 구심점이 될 교과의 선정이다. 소비자교육내용이 여러 교과에 걸쳐 간헐적으로 다루어지다 보니 비체계적이며 비활성화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학제나 편제에서 새로운 교과를 신설하는 것은 요원하다. 미래 사회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부분이 보다 더 증대될 것이며 소비자교육이 더욱 요구될 것이나 독립교과가 아니므로 체계적인 교육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교과중에서 소비자교육에 구심점이 될 교과를 선정하여 보다 조직적이며 체계적인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음악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은 유아의 음악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이었다. 실험 집단은 20명(남아 9명, 여아 11명), 통제 집단은 20명(남아 10명, 여아 10명)이며, 연구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5년 8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이수기(2002)가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조망수용 도구를 기초로 하여 수정․보완한 것과, Loten과 Wally(1979)의 음악능력 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2007년 5월 14일부터 2007년 7월 6일까지 8주간 총 2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사전,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증가분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조망수용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45, p< .05). 즉,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은 유아의 타인의도 조망(t=2.51, p< .05), 타인사고 조망(t=2.36, p< .05), 타인감정 조망(t=2.97, p<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음악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51, p< .05). 즉,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은 유아의 노래 부르기(t=4.19, p< .05), 악기 다루기(t=3.13 , p< .05), 음악적 창의력(t=2.13 , p<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협동 음악극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음악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effects of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nd musical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were set up: 1. What is the effect of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on the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2. What is the effect of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on the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experimental group 20 and control group 20) who belong to G kindergarten in Daegu. Their average age was 5 years 8 months.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ere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while control group's were not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used the Lee`s(2002) revised version based on Hudson, Forman & Brion`s(1982) perspective taking test, and used based on Loten & Walley(1979) musical ability test. The 24 sessions of experiment had conducted for eight weeks, from May 14, 2007 to July 6, 2007. To test research questions,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perspective taking test, and musical ability test scor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n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and control group(p< .05). This showed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As for sub-area of a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activiti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intention, thought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p< .05).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children`s musical ability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and control group(p< .05). This showed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s for sub-area of a musical ability, the activiti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singing, instrument operation and musical creativity(p< .05). That is, peer cooperative musical activity g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musical ability.

      • Realtime PCR법과 세균배양법을 이용한 치아우식세균 검사법 비교 연구

        윤정희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기존의 세균배양을 기본으로 하는 산생성균 검사법들과 Realtime PCR 법을 이용한 구강내 세균검사법을 비교하여 구강내 산생성균 검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남자 중학교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사 및 기타 치아우식활성검사를 시행하였다. 기존 검사법 보다 간편하고 정확한 예측방법으로 향후 임상에서 환자의 구강내 환경관련 예방 및 치료 동의의 동기유발 자료로서 활용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여 Realtime PCR검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우식 경험도와 우식활성 요인과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CRT bacteria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양과 DT(R=0.570, p=0.001), DMFT(R=0.376, p=0.031), 제1대구치건강도(R=-0.395, p=0.023)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아우식 경험도와 구강미생물 양과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Realtime PCR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양과 DT(R=0.528, p=0.002), DMFT(R=0.369, p=0.035), 제1대구치건강도(R=-0.426, p=0.013)로 나타났고 Streptococcus mutans양 유병자의 Streptococcus mutans로그지수 양과 DT(R=0.436, p=0.023)는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미생물의 양과 우식활성요인과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타액분비량은 Streptococcus mutans양(R=-0.393, p=0.024, Streptococcus mutans로그지수 양(R=-0.386, p=0.047), 스나이더테스트는 Streptococcus mitis양(R=0.345, p=0.049)으로 나타났고 Lactobacillius casei양 (R=-0.366, p=0.036), Streptococcus mitis로그지수 양(R=-0.408, p=0.018)로 나타났다. CRT bacteria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양의 양과 Streptococcus mitis양(R=0.564 p=0.001), Streptococcus mutans양 (R=0.621, p=0.000), Streptococcus mutans양로그지수 양(R=0.565 p=0.002)나타났으며, CRT bacteria검사에서 Lactobacillius casei의 양과 Streptococcus mitis양(R=0.495 p=0.003)으로 나타났다. CRT bacteria검사 결과와 Realtime PCR검사의 결과 값은 세균의 종류와 양에 관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우식활성 세균검사에 적합하였고 치아우식 활성 세균검사를 시행할 시 스나이더테스트보다는 CRT bacteria검사 법이나, Realtime PCR검사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그러나 임상에서 환자의 구강내 환경관련 예방 및 치료 동기유발 자료로서 보다 간편하고 정확한 예측방법을 활용하고자 하면, Realtime PCR 검사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보조원의 인식 비교

        윤정희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parison study on evaluating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performance between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nd assistants Written by : Yun, Jeong He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 Prof. Chung, Jae Kweon, Ph.D. <Abstract> This study is to know how well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performs their practical tasks which are needed for ordinary schools. The specific aims are to evaluate both an awareness of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bou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a self-assessment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n to compare them. So, 100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nd 100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ho worked at elementary schools were surveyed in Busan and Kyong-Nam. The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about performance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consisting of 3 parts, involving 28 questions. I distributed this questionnaire to them, in order to find out an awareness about the performance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 divided the Questionnaire into 3 parts - the role of supporting personal desire , the role of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the role of support outside education - and analyzed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special classes about performance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s positive in both the role of supporting personal desire , the role of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the role of support outside education. Also as a result of an awareness about each part, they most highly value a guidance basic lifestyle in supporting personal desire, a help school exercise in support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giving permission to support outside school.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self-assessment is relatively positive in all parts compared to teachers in special classess. Also as a result of an awareness of each part, they most highly value offering guidance about using the toilet in supporting personal desire, a help on field trips in supporting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offering support outside school. Seco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evaluate themselves better than teachers in special classes do.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evaluate themselves more positively in all part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First, it is hardly a generalization because objects are only in Busan and several Kyong-nam area. Second, this study cannot cover all performance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So I have a suggestion about post study using the result. First, surveyed area should be widened and not only in elementary schools but also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performance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should be studied. Second, standardized measuring tool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performance that is needed in practical teaching area could be evaluated more accurately. Third, if a study about difficulties and conflict whic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ordinary school have during their tasks is conducted, we can acquire information about training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contribute to solving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special class.

      • 뇌졸중 환자의 흡연지속 체험

        윤정희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뇌졸중은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고 조기 회복으로 인해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이전의 삶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뇌졸중 발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원인은 흡연으로 인한 것이다. 흡연은 습관성을 지니고 있어 일반인은 물론 뇌졸중과 같은 중증 만성질환자에 있어서도 금연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건강행위이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에서 금연은 뇌졸중 재발 방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건강행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의 흡연지속 체험을 이해하고 뇌졸중 흡연환자를 위한 금연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발병 후에도 흡연경험이 있는 자로 하였다. 목적적 표집을 통해 1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였으며 면대면 면담과 전화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심층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양한 체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어원의 추적과 시, 소설, 수필, 수기, 예술작품 등을 통해 뇌졸중 발병 후 흡연 지속 체험 관련 자료를 탐색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 6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흡연지속 체험은 ‘회복과 함께 자연스럽게 담배를 다시 찾게 됨’ ‘뇌졸중 환자로 보일까 신경쓰여 건강인처럼 행동함’ ‘친구같은 담배에서 위로를 받음’ ‘흡연하면서도 의지박약에 대한 죄의식이 느껴짐’ ‘나에게 만큼은 흡연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짐’ ‘흡연을 합리화하며 자신을 위로함’ 이었다. 참여자들은 뇌졸중 발병 당시 찾아온 낯선 뇌졸중 증상에 대해 어찌할 바를 모르고 망가져버린 몸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다. 참여자들은 뇌졸중 증상 발현 이후 증상완화와 함께 응급실, 집중치료실, 일반 병동, 집으로 귀가 등의 공간 이동을 하였으며 공간의 이동에 따라 니코틴의 욕구를 참을 수 없었으며 바로 흡연을 시작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시작한 담배 한모금은 언제나 그래왔듯이 친구 같은 든든함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주는 위로가 되는 존재였다. 참여자들은 뇌졸중 진단 이후 흡연을 하는 것에 대해 타인의 시선에 스스로 부끄럽다고 느끼고 죄책감마저 들었다. 또한, 주변에서 환자라 봐주지 않는 말 한마디에 굳이 환자임을 드러내지 않았으며 스스로도 건강인처럼 행동하며 자신의 건강신념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다른 뇌졸중 환자의 모습에서 자신을 투영해서 보기 싫어 애써 외면하게 되었고 듣기 싫은 것에는 눈과 귀를 의도적으로 막고 살아가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담배와의 인연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은 하나 몸이 저절로 흡연에 반응을 하였으며 흡연의 욕구를 참기가 너무도 어려웠다. 참여자들은 흡연이 지금 현재 당면한 문제가 아니고 나는 흡연을 해도 괜찮다고 스스로 암시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문득 찾아오는 뇌졸중 재발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면서 지금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금연을 하겠다고 막연한 생각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스스로 줄담배를 줄인 것에 위안을 삼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연 교육과 정부 정책은 맘에 와닿지 않으며 식상함을 느끼고 현재 흡연상태를 합리화하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뇌졸중 발병 후 흡연을 하고 있는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흡연지속 체험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러한 체험의 의미들은 뇌졸중 흡연환자의 금연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에게 조기회복 후 건강인과 다름없다고 느끼며 나에게 만큼은 흡연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뇌졸중 환자의 건강 인식 전환에 중점을 둔 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흡연지속 환자가 금연 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자임이 확인되었으며 이 연구 결과를 뇌졸중 환자의 금연교육프로그램 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청소년과 일반인 위주의 금연프로그램에서 만성 질환자의 동기부여 중심의 개별화된 금연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survival of patients after stroke has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modern medicine. This has led to earlier recovery after stroke and continuation of pre-stroke lifestyles, such as cigarette smoking, in stroke patients. Cigarette smoking is a very addictive health practice that is difficult to quit. However, it is essential for stroke patients to quit smoking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troke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cigarette smoking after stroke and its meaning and to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moking experience of 10 stroke patients by us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developed by van Manen. Data were collected using objective sampling and face-to-face or telephone interviews between December 2016 and October 2017. To understand why some stroke patients continue to smoke in spite of their illness, we analyzed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including etymology, novels, essays, handwriting, and works of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six themes of the experience of continued smoking habits among stroke patients: ‘returning to habitual smoking after recovery’, ‘acting as if a non-stroke patient’, ‘smoking for comfort’, ‘feeling a guilty about having no willpower’, ‘denying the problem of smoking for me’, and ‘rationalizing one’s smoking habits’. At the onset of stroke, the participants reported of not knowing how to manage their stroke symptoms and being concerned about their well-being. As their symptoms improved, they moved from a place to place, such as an emergency room, a intensive care unit, a general ward, and home. Despite their fears, some patients said that immediately began smoking after stroke management and said that only then were they able to regain a sense of comfort.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embarrassed about not being able to quit smoking despite suffering from a stroke. And fearful of others’ rebuke, they often hid this fact from others and acted as if they were healthy. They also showed discomfort towards other stroke patients because of what they saw of themselves in them and refused to accept their illness. Although the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they should quit smoking, they said that the cigarette cravings were extremely difficult to resist. The participants justified their continued smoking habits by telling themselves that smoking was not a serious health risk and that they had decreased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The participants had only an obscure plan to quit smoking and regarded current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anti-smoking government policies as ineffective and unhelpful. However, they still reported feeling anxious about the possibility of stroke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ved experience in continued smoking habits among stroke patients in spite of suffering from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illness. Here, the smoking experiences should inform practitioners in charge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that stroke patients have a misguided sense of well-being after an early post-stroke recovery. Further, practitioners should educate stroke patients about the seriousness of smoking, improving correct health awareness among patients. Our findings reveal that patients who continue to smoke after stroke should be another important subclass of recipients, along with adolescent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suggest the need for tailored smoking cessation programs designed specifically to motivat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D. Shostakovich의《Cello Sonata d minor, Op.40》에 관한 연구

        윤정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쇼스타코비치(Dmitri Shostakovich, 1906-1975)는 20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혼란스러운 정치적, 사회적 상황의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음악 활동을 하며 일생을 음악에 바쳤다. 그는 전통적 형식에 현대적인 음악요소를 결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세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 안에서 러시아의 국민성과 자신의 예술성을 충분히 발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쇼스타코비치의 《Cello sonata d minor Op.40》를 형식, 주제, 리듬, 화성 등에 기초하여 각 악장별로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고전적 소나타 형식인 4악장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제1악장 소나타형식, 제2악장 복합 3부분형식, 제3악장 3부분형식, 제4악장 론도형식의 전통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다. 각 악장에서 나타나는 주제는 모방이나 성부교차를 사용하여 변형, 발전하고 화성의 진행과 리듬의 사용도 단순한 고전적인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비화성음의 사용, 반음계적인 선율진행, 관계조 이외의 전조 및 첼로의 다양한 주법 면에서는 현대적인 요소들이 보여진다. 신고전주의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20세기의 현대적 음악요소를 적절히 결합한 쇼스타코비치만의 음악 색채를 잘 나타낸 이 작품의 분석은 첼로 연주자들과 감상자들에게 보다 깊은 이해를 도울 것이다.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Russian composer of the 20th century, Dmitri Shostakovich (1906∼1975) dedicated his whole life to music under the politically chaotic situation of the socialist regime. He established a unique musical world of his own by combining the traditional style with the elements of modern music, and demonstrated his artistry as well as Russian character within socialist realism. This paper analyzed each movement of《Cello Sonata d minor, Op.40》on the basis of form, theme, rhythm and harmony. This work has a four-movement structure of a classical sonata form.; The first movement in a sonata form, the second one in a complex three-part form, the third one in a three-part form and the fourth one in a rondo form. The themes in each movement are transformed and developed by using imitation or part intersection. Harmony and rhythm shows a simple and classical form. In the meantime, this work shows modern elements in terms of the use of nonharmonic tones, melodies in a chromatic scale, modulation in addition to related keys and various cello playing techniques. This work represents Shostakovich's unique musical color which not only follows the neoclassical tradition but also combines modern musical elements of the 20th century. This paper will help cello players and listeners to understand his work deeply.

      • 사상체질과 요가수련이 성인여성의 우울수준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정희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Sasang Physical Constitution and Yoga Training on the Depression Level and Self-Efficacy of Adult Women Jeong-Hee Yun Dept. of Sports medicine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Chang-Hwa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ga training that influence of depression level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on adult women who have experienced yoga train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ased on previous literatures,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es related to depression level, self-efficacy, and sasang constitution. and tested hypothes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0 adult women living in D metropolitan city and participating in the yoga program, and 263 copies of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suitable for the study were analyzed. The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 was conducted using KS-15, a shortened Sasang Constitution diagnostic tool with proven practicality and utility, and the collected contents were classified by requesting the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at Daejeon University.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number of children, training period, and marital status. Also,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sang constitution, and in Sasang constitution, Soyangin had higher self-efficacy than Taeumin and Soeumin.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level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number of children, training period, and marital statu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cross-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training period and marital status. In addition, cross-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howed that there was negligible difference in age, number of children, training period, training purpose, marital status, training frequency, sasang constitution, and BMI. Fourth, in order to analyze whe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level and self-efficacy or no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depression level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n inverse (-) correlation, and age and BMI had a positive (+)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e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 the level of depression, whether or not married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depression index, and the training perio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level (-).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Sasang constitu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Overall, it was found that yoga training and depression of adult women diff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differ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depression and yoga training, and self-efficacy is related to Sasang constitution.

      • 노인병 예방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윤정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 추세 및 산업화․핵가족화 현상은 미래 사회의 최대 문제가 노인 문제임을 예고하고 있는데, 노인 문제 중에서도 노인의 삶과 죽음에 직결되는 노인병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취하여 질병예방 및 건강 유지 증진으로 건강한 노년을 보냄으로서 인생 최대의 목표인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정신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노인들의 우울증 및 개선을 위하여 무용프로그램을 연구 제시하여 남은 여생의 자아실현을 돕고, 우울증을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용 분야 중 무용즉흥을 통해 내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줌으로서, 움직임을 통해 자기 감정의 표현을 용이하게 해준다. 따라서 무용즉흥의 여러 가지 기본적인 움직임과 자극의 요소를 적용시켰다. 첫째, 즉흥 무용의 의의 및 움직임의 의미, 가치, 무용즉흥 요소에 관하여 서술하였고 둘째, 무용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노인병의 개념과 노인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제까지 발표된 학술 논문을 비롯하여 무용프로그램 및 저서를 참고로 하여 무용프로그램 학습지도안을 개발 제시하였다. 셋째, 노인 무용프로그램 실행 시 노인에게 고려되어야 할 무용교사의 역할 및 효과를 모색하였다.

      • 단계별 확장활동을 통한 동화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친사회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윤정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the effects of the Fairy Tale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step-by-step expansion activities of Project approach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nd prosocial though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ty children age 3 through 5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Daegu City. Fifteen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ed 4 times per week for six months by Fairy Tale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step-by-step expansion activities of Project approach. The comparison group was disciplined for same time over the same period by conventional teaching program. Both groups were given a pretest, mid-test, and posttest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prosocial thought. Data were subjected to the MANOVA procedure in SPSS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3, 4, 5 year old)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sentences, storytelling ability and creative expression tha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children(3, 4, 5 year old) of the experimental group earned substantially higher improvement in the Individual’s emotional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hought than the compariso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