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윤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을 통하여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들에게 사회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그 내용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지식을 알아보고 교사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상위개념은 어떠한가? 2. 유아사회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종속개념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들이 강조하는 사회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2급 정교사 20명과 1급 정교사 20명으로 총 40명 이었다.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념도를 사용하여 내용 분석을 하였다. 또한 유치원 교사들이 강조하는 사회교육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 체계로 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5점 척도로 각 문항의 평균 점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30개의 상위개념을 사용하였으며 교사들 40명중 37명(92.5%)의 교사가 상위개념으로 '나'를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것이 '기본생활습관(85%), 지역사구(52.5%), 가족(47.5%)'순으로 나타났다. 상위개념을 사회성, 사회과학, 생활주제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면 전체 상위개념 중 59.3%가 생활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32.1%가 사회성과 관련된 내용이고, 사회과학과 관련된 내용은 단지 8.6%였다. 이와 같은 상위개념중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10개의 상위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나'(92.5%)와 '기본생활습관'(85%)을 상위개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그 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와 위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특히 '기본생활습관'은 위계에서 낮은 순위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기본 생활습관'과 관련된 내용이 일상생활에서의 실례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집단생활, 우리나라, 더 넓은 사회'는 상위개념으로 사용되어진 빈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지만 위계와 종속개념수, 특성점수에서 모두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즉 이 결과는 주제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교육내용 결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2. 교사들은 개념도에서 총 812개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같은 개념을 표현하는데 비슷한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개념도에서 많이 사용된 상위개념중 '나', '기본생활습관', '지역사회', '가족', '친구'를 중심으로 2수준의 종속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은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을 종속개념에서 거주 포함시키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개념까지 연결시켜서 다루고 있었다. 3.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사회생활 영역의 내용 중 '더불어 사이좋게 지내기(4.88), 질서를 지켜 행동하기(4.75), 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4.75)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내용의 실시정초는 '더불어 사이좋게 지내기(4.78), 질서를 지켜 행동하기(4.60), 공공규칙을 이해하기 지키기(4.48)'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사회교육내용중 집단생활과 기본생활습관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실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by analyz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concept map about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and the lessons for the teachers' educational base on it. To investigate above purpose I mad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s the superordinate concept on teachers' concept map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2. How's the subordinate concept on teachers' concept map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3. On which content the kindergartens teachers' emphasize in the Social Education? The sample is from 40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bachelor's degree.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instructional conte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1 about contents of that. To investigate which content teachers emphasize on, A questionare was used. The questionare consist of category of 'social life' content in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It was devided into two parts, one of which was the perception degree of content and the other was practicing degree of the content. And find the mean of every question was measured by using 5 point likert type sca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1. Kindergarten teachers used 30's superordinary concept on their concept map. The order of superordinary concept which teachers used was 'I(92.5%)', 'basic life habit(85%)', and 'community(52.5%)', 'family(47,5%)'. Superordinate concept was classified 'sociality', 'social science', 'theme on life'. 59.3% of superordinate concept was used 'theme on life' and 32.1% of superordinate concept was associated with 'Sociality', and 7.7% of superordinate concept was associated with 'social science'. 10's superordinary concept whose frequency was high was as follow. 'I' and 'basic life habit' were high in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but were not high in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and hierarchy. Particularly the concept of because 'basic life habit' wasn't high hierarchy because the concept of 'basic life habit' is mainly the examples of everyday life. 'Community', 'our country', and 'all of the world' were not high in the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 but was high in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 and hierarchy, and specificity measure. In conclusion of these findings, according to the specify of the subject, the determination of the instructional contents shows difference. 2. Teachers used 812 vocabularies. Those vocabularies were similar when they expressed in same concep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hieracky of 'I', 'basic life habit', 'community', 'family', and 'friend' were as follow. Teachers used contents of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others. 3. Among the 'social life' in the "fifth kindergarten curriculum" was in the order of 'getting along with each other(4.88)', 'keeping order(4.75)', 'regarding me as a positive one(4.75)'. And the practicing degree of the content was in the order of 'getting along with 'other(4.78)', 'keeping order(4.6)', 'understanding and keeping the public order(4.48)'. This result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ut their stresses on the 'group life' and 'basic life habit' in the content of child social education.

      • [N-V-기] 복합명사의 형성 원리와 의미 구조 연구

        윤정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validity of the Formation Principle of Compound Nouns [N-V-ki] by the results of semantic structure analysis of it. In the previous researches, as devices of word formation, considerab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mong the formation principles of words such as rule, analogy,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etc. In this study, the following issues were raised based on the premise that only single formation principle can't explain entire formation principles of Compound Nouns [N-V-ki] at the moment.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word formations was based on three such as 'rule', 'analogy', and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It was discussed how [N-[V-Ki]] words were formed based on the relation with three word formation principles. In chapter 3, the validation of the word formation principle tried to be found from semantic structure of Compound Nouns [N-V-ki] regarding rule, analogy,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established by the word formation principle of Compound Nouns [N-V-ki]. As revealed in chapter 4, it is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the formation principle of Compound Nouns [N-V-ki] can't be summarized only into one direction in previous word formation theory. Therefore, the examples of Compound Nouns [N-V-ki]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s of Compound Nouns [N-V-ki] over wordization of syntactic construction were suggested.

      • 원격영상 진로멘토링을 통한 음악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 : 음악 직업인 멘토를 중심으로

        윤정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로 인하여 교육 분야에서도 원격교육을 활용하는 새로운 개화가 시작되었다. 교내 대면교육으로 진행되어 온 진로교육도 원격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진로 탐색 및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ICT를 활용한 진로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들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연구자는 원격영상 진로멘토링의 음악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수학습적 측면에서 교육환경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직업인 멘토의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수업 경험을 토대로 ICT를 활용한 음악 진로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언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음악 진로 수업에 참여한 5명의 음악 직업인 멘토들을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으로 선정하여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개별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는 ‘진로 수업에 대한 멘토의 교수태도’,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음악 진로 수업의 실태’,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음악 진로 수업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크게 3가지 주제로 나눠서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직업인 멘토들의 교수태도는 자신의 진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잠재적 자질을 확인하고, 학생들이 올바른 직업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 직업인 멘토들은 각 직업군이 가진 특성과 진로 수업 노하우에 따라 진로교육의 방향과 관점을 가지고 음악 진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 직업인 멘토들은 짧은 기본 수업 구성과 협소한 스튜디오 공간의 활용으로 음악 진로 수업을 통한 다양한 시연 및 실습 활동에 제약이 있음을 호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악 직업인 멘토들은 중학생들에게 충분한 진로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유형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각 직업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이 진행되도록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음악 진로 수업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영상 진로멘토링은 멘토들의 교수태도를 반영하여 학생들의 희망 직업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재미있는 음악 진로 수업을 구성해야한다. 진로 수업을 진행하는 직업인 멘토들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진로교육의 방향 및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진로 수업 구성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 음악 진로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음악 직업인 멘토들은 수강하는 학생들의 관심사와 흥미에 대해서 사전에 파악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원격영상 진로멘토링은 음악 진로 수업을 계획하고 구성하는 단계에 있어, 각 직업이 가진 특수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음악 직업인 멘토의 요구를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원격교육을 통한 음악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음악 직업인 멘토의 생동감 있는 직업 활동 모습을 전달할 수 있도록,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스튜디오가 아닌 직업인의 작업 현장에서 진로 수업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영상 진로멘토링에 참가한 음악 직업인 멘토들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을 통한 음악 진로교육에 대한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개별 인터뷰 자료,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수업 영상 및 관찰 일지를 토대로 도출하였다.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음악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환경의 실태 파악이 가능하였으며, ICT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음악 진로교육이 되기 위한 음악 직업인 멘토들의 진로 수업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원격교육을 통한 음악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학생들의 음악 직업 지식·기술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음악 진로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VID-19 have also begun a new civilization that utilizes remote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Career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education in schools,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and education through remote education, and prior research related to career programs using ICT is also on the rise. In response, the researchers sought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by studying the music career education of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music career education using ICT based on the experience of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classes of professional musician mentors. For this purpose, 5 professional musician mentors were sampled positively to be subject to a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for the period from Sept. 2018 to Dec. 2019. Each mentor was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questionnaire for individual interviews is divided into three major topics: "Mento's attitude toward career classes," "The status of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music career classes," and "improvement of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music career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musician mentors’ attitude toward teaching did lie in ascertaining students' potential talents through their career lessons and inducing the students to decide on a correct job. In addition, the professional musician mentors progressed their career lessons with their own directions and perspective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lesson knowhow. Secondly, the professional musician mentors appealed for a wider space for their diversified presentations and students' practices, complaining about the short class hours and narrow studio space. Lastly, mentors, who are music professionals, stressed the need to utilize various types of classes to provi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ufficient career opportunities. It was mention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remote video music career mentoring classes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clas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b.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in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it is necessary to compose interesting music career classes that can induce students' interest in the desired career group by reflecting the mentor's teaching attitude. The professional musician mentors taking charge of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more positively involved in the career lessons to help achieve their pursued goal for the career education.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music career classes, mentors who are music professionals need to understand the concern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in advance. Second, in the stage of planning and organizing music career classes,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should be more actively accommodating the needs of the mentor, a music profession, so that the specificity of each job can be considered. Music career education through remote education should make various attempts, such as providing career classes at the workplace of professionals, not at the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studio,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lively career activities of the mentor. In this study,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entors who participated in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to learn more about their experiences in music career education through remo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based on individual interview materials,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class videos and observation logs. Remote video career mentoring, music career education, was able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find out how to improve based on career classes of mentors, a music profession, to become an effective music career education by utilizing ICT.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research on music career education through remote education will be activated and that music career education will be realized to foster students' musical career knowledge and skills.

      • 팀 구성원의 팀 만족도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업무특성(자율성, 과업 중요성, 과업 완결성)을 중심으로

        윤정아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빠른 사회의 변화에 따른 기업 내의 조직의 팀 구성원들은 경쟁사회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 기업들은 과거보다 더 조직 내의 팀의 효과성을 극대화 하여 경쟁사회에서 이겨 나가기 위해 팀 구성원들에게 보다 높은 직무의 성과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업이 중요시 되는 현 시대에서 21세기의 관광산업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 하면서 기계화 되가고 있지만 호텔업은 여전히 인적 의존도가 높은 특성을 가진 산업으로 종사원의 직무 태도가 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쳐 결국 고객 서비스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호텔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호텔업의 종사자들이 변수 업무 특성을 이용하여 소속된 팀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팀 성과를 알아보고, 구성원들의 업무 특성에 따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권 특1급 호텔들을 기준으로 식음료 분야와 조리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남,여 팀 구성원들을 160명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에 불성실한 분석을 제외하고 113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팀 구성원의 팀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팀 구성원의 업무의 자율성과 과업의 완결성, 즉, 정체성이 높을수록 팀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며, 이와 같은 결과는 호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연구에서 일반 기업들보다도 무형적 부분의 의존도가 높은 호텔 종사자들의 소속된 팀 만족도가 높을수록, 호텔 종사자들의 스스로 하고자 하는 자율성과 자신이 맡고 있는 업무의 완결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의 향상으로 고객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성과 또한 향상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지각차이

        윤정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patient and nurse on nursing service in order to help improv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patient satisfaction, and offer more practical help to provide service training for nurse in actual hospital scen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of college of nursing, to educate nurses who are capable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actual hospital scene that is dramatically changing.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1 nurses and 137 patients who work and are hospitalized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As a survey tool, SERVQUAL originally developed by 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1988) was used after be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into a structured questionnaire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Reliability of test tool for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was 0.92 as Cronbach''s α value.The data was processed by electronic statistics, and analyzed with a real numbe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In all categories of reliability(t=10.202, p<.00), tangibles(t=9.333, p<.00), assurance(t=8.187, p<.00), responsiveness(t=7.525, p<.00), and empathy(t=5.592, p<.00),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felt by patient was higher tha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perceived by nurse.2. The category shown with the highes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inpatient''s and nurse''s was tangibles, and the categories shown with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were ‘equipment in nurse room’(t=8.028, P<.05) and ‘appearance of nurse’(t=8.750, P<.00).3. Regarding reliability,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from compar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was shown in ''keeping words with patient''(t=4.747, p<.00), ''exhibiting effort to solve problems''(t=3.874, p=00), ''providing consistent nursing service''(t=4.673, p<.00), ''providing nursing service on time''(t=5.341, p<.00), ''displaying professional skills in nursing service''(t=4.970, p<.00), and ''informing patient of service to be provided''(t=2.831, p<.05).4. Regarding responsiveness,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from compar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was shown in ‘importance and actual practice of providing service immediately’(t=3.822, p<.00), ‘responding to questions with consideration’(t=3.932, P<.05), and ‘reliable job performance’(t=5.763, p<.00).5. Regarding assurance,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from compar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was shown in ‘expectation and trust for job performance’(t=4.519, p<.00), ‘being polite while providing service'' (t=7.196, p<.00), ‘possessing adequate knowledge of nursing service’(t=6.364, p<.05).6. Regarding empathy,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from compar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tient and nurse was shown in ‘human care’(t=3.415, p<.00), ‘flexible nursing service’(t=2.710, p<.05), ‘attentively listening to patient’(t=23.275, p<.05), ‘accurate understanding of what patients want’(t=4.358, p<.00), and ‘easier explanation of the specialized(medical) information’(t=3.731, p<.05).7. There was no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i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was shown in age(f=5.264, p=.002), marital status(t=6.099, p=.015), years in service as a nurse(t=6.274, p=.000), years in service in the current department of nurse(t=3.021, p=.032).To summarize the results as mentioned above, there was statistically attentive difference i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 and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nurse''s perception on satisfaction who provided nursing service.Among categories, the highest category of the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patient was tangibles, thus they should be reinforced further as a strong point of nursing service.Among categories, empathy was the lowest category of the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patient, however, it was the highest category of the nursing service provided and perceived by nurse. Therefore, nurses should be more considerate and attentive to individual patients by overcoming patient caring focused on disease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patient through a genuin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at is a genuine role and function of professional nurse. Accordingly, improvement can be made by providing service training for nurse and lectures for students in college of nursing.The highes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 was shown in tangibles. Physical environment is a tangible evidence that indicates consideration and attention of service provider, and it may influence other patients'' behavior during the service. Thus, a supplementary measure should be devised to reduc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Keywords: nursing service, difference in perce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와 입원환자의 간호서비스 지각차이를 규명하여 간호서비스 품질 향상과 환자만족에 기여하고 병원 현장에서 서비스 교육을 하는데 좀 더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이며 더 나아가서는 간호대학의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급격하게 변화되는 병원현장에 좀더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간호사를 육성하고자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부속 병원으로 간호사 151명과 같은 병동에 재원하고 있는 환자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연구 도구는 Parasuraman, Zeithaml, Berry(1988)가 개발한 SERVQUAL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간호서비스 만족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92 었다.자료 분석 방법은 전산 통계 처리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영역별로는 신뢰성(t=10.202, p<.00), 유형성(t=9.333, p<.00), 보장성(t=8.187, p<.00), 반응성(t=7.525, p<.00), 공감성(t=5.592, p<.00)영역의 순으로 5가지 모든 영역에서 간호사가 지각한 것 보다 환자가 제공받은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2.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지각차이가 가장 많은 영역은 유형성 영역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항목은 ‘간호사실의 장비’(t=8.028, P<.05)와 ‘간호사의 용모’(t=8.750, P<.00)부분이었다.3. 신뢰성 영역에서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지각차이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부분은 ''환자와의 약속이행''(t=4.747, p<.00), ''성의 있는 문제해결''(t=3.874, p=00), ''일관성 있는 간호제공''(t=4.673, p<.00), ''약속한 시간에 서비스를 제공''(t=5.341, p<.00), ''간호서비스 시 능숙한 기술''(t=4.970, p<.00), ''제공될 서비스에 대한 정보 알림''(t=2.831, p<.05) 이었다.4. 반응성 영역에서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지각차이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부분은 ‘즉각적 서비스제공의 중요성과 시행’(t=3.822, p<.00)과 ‘성의 있는 질문응대’(t=3.932, P<.05), ‘신뢰감 있는 업무처리능력’(t=5.763, p<.00)이었다.5. 보장성 영역에서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지각차이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부분은 ‘업무처리에 대한 기대와 믿음성’(t=4.519, p<.00), ‘서비스 제공 시 예의를 지킴'' (t=7.196, p<.00), ‘간호 업무에 대한 충분한 지식 소유’(t=6.364, p<.05)였다.6. 공감성 영역에서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지각차이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부분은 ‘전인간호’(t=3.415, p<.00), ‘융통성 있는 간호행위’(t=2.710, p<.05), ‘환자의 이야기에 경청’(t=23.275, p<.05), ‘환자가 원하는 것에 대한 정확한 이해’(t=4.358, p<.00), ‘전문적 부분을 쉽게 설명’(t=3.731, p<.05)으로 나타났다.7.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사는 연령(f=5.264, p=.002), 결혼상태(t=6.099, p=.015), 근무기간(t=6.274, p=.000), 현부서경력(t=3.021,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환자가 느끼는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간호사가 제공한 간호서비스 만족도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다.유형성 부분은 환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만족도중 가장 높게 나타나 앞으로도 환자 간호 시 강점으로 살려나가야 할 부분이라고 하겠다.간호서비스 영역 중 공감성 영역은 간호사는 가장 많이 제공하였다고 하였으나 환자는 가장 적은 간호서비스를 받았다고 조사되었으므로 앞으로 환자 간호 시 고객에 대한 배려와 개별적인 관심을 보이고 질병중심의 환자간호에서 벗어나 전문직 간호의 역할과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이해의 차원에서 환자가 가진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며, 이 부분의 개선을 위해 간호사를 위한 서비스 교육이나 간호학생을 위한 강좌 개설도 유용할 것으로 본다.환자와 간호사의 지각차이가 가장 컸던 영역은 유형성 부분이었다. 물적 환경의 상태는 서비스 제공자의 세심한 관심과 배려를 나타내는 유형적 증거이며, 서비스 제공 시 다른 고객의 행동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으므로 지각차이를 줄일 수 있는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핵심되는 말 : 간호서비스, 지각차이

      •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특성 연구 : 국내 공공 건축 및 실내 환경을 중심으로

        윤정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는 정보화, 전문화되면서 산업구조의 다변화와 시스템의 고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따라 가치 있고 즐거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사회∙문화적으로 서비스 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공공공간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공공공간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평등한 삶을 누리기 위한 최소 조건을 충족하는 기능을 넘어, 다양한 경험을 통한 만족과 그에 따른 차별화된 의미 있는 가치창출의 장소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공공공간의 방문 목적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공공공간의 운영을 위해 목적과 특성에 따른 서비스디자인의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공공공간은 기본적인 물리적 기능 외에 문화ㆍ예술의 가치를 위한 융ㆍ복합공간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용자의 만족과 운영 주체자의 이익을 위하여 모든 이해 관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체계적인 공간계획 및 이용자 경험에 따른 서비스디자인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경험을 통하여 서로 소통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크게, 공공공간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진행하여 서비스디자인 측면의 공공공간을 서비스시스템적 측면의 물리적 공간과 멀티스페이스적 측면의 경험적 공간과 장소브랜딩적 측면의 상징적 공간과 디지털미디어적 측면의 상호적 공간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공간 특성을 복합성, 연계성, 개방성, 문화성, 장소성, 지역성, 정보성, 상호성으로 나누어 그에 따른 서비스디자인의 세부 요소를 도출하였다. 검증 단계로 도출 요소에 따라 국내 유수 사례를 사전-현재-사후서비스의 서비스경험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그 결과를 도출한 후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한정하며, 선행연구조사를 통한 연구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공공공간과 서비스디자인, 공공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이론적인 배경을 다루었으며, 제3장에서는 공공공간의 공공 건축 및 실내 환경과 유형별 서비스디자인에 대하여 살펴본 후 공간의 특성과 그에 따른 세부요소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내 유수한 사례를 선정하여 선행연구와 인터뷰 및 평가지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과 문제점 및 의의와 가치를 제시하였다. 현대 사회는 인간의 가치 있는 경험을 위한 감성적인 접근이 중요하며 특히 공공공간에서의 서비스와 디자인을 통한 매력적이고 차별화된 경험은 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공공간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공간운영이 가능하며 이는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내실 있는 공간으로 성장 가능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향후, 공공공간을 위한 통합적인 서비스디자인의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디자인 및 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the world is an information age and is specialized, so industrial structure is diversified and enhancement of system, and according to the growth of economy, desire about quality of life increases. Therefore, service industry has developed socially and culturally to live worthily and pleasantly, and interest and demand of public space have increased. Lately, public space is demanded as not only a function filling up minimum condition to enjoy an equal life of all social members but also a place of differentiated and meaningful value creation according to satisfaction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ce.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visiting purposes of public space, needs of users about service, so to run continuous and efficient public space, access of service design is increasingly important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 Now, public space develops into a complex space for cultural and artistic value apart from basic physical function, and systematic space planning that can communicate between all persons concerned and strategy of service design according to experience of users are needed for satisfaction of users and profit of operators. Therefore, to examine a method communicating each other through a variety of service experience in public space, this study divided public space in terms of service design into physical space in terms of service system, empirical space in terms of multi-space, symbolic space in terms of place branding, and mutual space in terms of digital media by proceeding advanced study about public space and service design, and spa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m were divided into complexity, connectivity, openness, cultural characteristic, spatiality, regio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al characteristic, and mutual characteristic, so detailed factors of service design were deducted. In verification phase, according to deducted factors, the results of domestic distinguished examples were deducted by analysis according to service experience design process of pre-present-post service, and then, a method was found for vitalization of public space. To achieve it, the first chapter revealed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limited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this chapter examined discrimination of the study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investigation. The second chapter dealt with theoretical background of public space and service design, and service design in public space. The third chapter examined public architecture and indoor environment of public space, and service design by type, and then, suggeste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detailed factors. The fourth chapter selected domestic distinguished examples, so deducted a conclusion by conducting advanced study, interview, and evaluation form, and suggested effective service design method for vitalization of public space. The fifth chapter suggested conclusion, problems, meaning, and value of this study. In modern society, emotional access is important for valuable experience of people, and especially, attractive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 through service and design in public space is a basic strategy for vitalization of public space. Therefore, efficient and continuous space management is possibl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ervice factors that fit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and it can grow into a fruitful space with high service satisfaction of us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of service design for vitalization of public space,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of integrated service design for public space in the future. And the study will be used as a foundation of guideline for design and plan.

      •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정아 서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는 지식을 습득하고 바람직한 사회적 발달을 경험하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청소년은 입시 위주의 치열한 경쟁과 성적 지상주의적 교육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 이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학교폭력과 폭력의 잠재화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학교폭력은 1995년부터 사회문제로 공론화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는 2004년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그 시행령을 제정하여 학교폭력을 조정하고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며,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학교 청소년 사이에서 학교폭력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학교폭력 이후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뿐만 아니라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와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에 맞는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전라북도 남원시 소재 초·중·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80부를 SPSS 21.0 for Window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적 지지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 가족지지는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지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친구지지, 가족지지는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지지는 가설과 반대방향인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폭력 가해행동 사이를 인권의식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본 결과 교사지지는 매개효과가 없었고, 친구지지, 가족지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 가족지지와 학교폭력 가해행동 사이에서 인권의식이 부분 매개함이 밝혀졌으므로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권의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인권교육의 질적 향상이 요구된다. 특히 인권교육 내용에 가해, 피해, 방관자에 따른 학교폭력의 특징 및 예방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것이 근본적으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감수성의 결여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에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인권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족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 부모는 자녀의 입장을 사려 깊게 생각하고 자녀와의 대화의 시간을 늘려 자녀의 고민을 충분히 수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생활상에 특별한 변화가 없는지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부모-자녀 간 유대 관계를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교폭력이 일어나는 원인은 사회전반에 걸쳐 있기 때문에 민간단체나 상담소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행정의 뒷받침과 협력이 요구된다. 넷째, 교사지지는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가설과 반대인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태도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강화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다. 이 연구 결과와 가해행동의 과정을 밝히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에 따라 학교폭력이 해결되거나 악화되는 것을 발견한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개입을 위한 안내서(manual)를 개발하고 이를 공용화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사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교사의 지지 정도와 강도, 내용은 이를 받아들이는 학생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교사의 지지와 이를 받아들이는 학생의 가치관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교사지지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결과에 대한 의문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A school is a place where education is conducted to acquire knowledge and to experience desirable social development. However, our adolescents in country are exposed to stress and difficulties due to keen competi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test score-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causes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and also causes school violence and increases its latency. School violence has been referred to public opinion as a social problem since 1995. Among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Law for Protection and Measure of School violence' and its enforcement decree in 2004 in order to control school violence and to protect students' human rights, and has made efforts to raise them as healthy society members. However, school violence still occurs among school adolescents till lately and the seriousness influences not only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s but also on their whole lives.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such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as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s factors influencing on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ction and then, to suggest basic data for eradication of adolescents' school violence. To satisfy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advanced researches and suggested a research model suitable for the study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600 students of prim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Namwon, Jellabukdo for verification of hypothesis, SPSS 21.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on final 580 answers and drew following result. First, according to a regression analysis result to investigat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it was shown that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while teacher support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as for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chool violence action, it was shown that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nega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action while teacher support had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ird, according to investigation of mediation by human rights consciousnes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violence ac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 support had no mediating effect while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above research outcom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 things. First, it was found that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ch social support sub-factors as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school violence action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to reduce school violence action.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make qualitative improvement of human right education mandatorily implemented at schools. Especially, with respect to human righ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education on wrongdoing, damage, features of school violence due to on-looking in addition to preventive education. Also, school violence happens fundamentally from lack of sensitivity on human dignity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erform human right education applicable to actual life. Seco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at family support has negative influence over school violence action, parents have to deeply consider positions of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action and to talk more with them to sufficiently accept their worries. Furthermore, they have to pay keen attention to their children to check any changes in their life. Along with this on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o strengthen tie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positive administrative support and cooperation to revitalize civil organizations or consultation centers because cause of school violence lies in the overall society. Fourth, it was seen that teacher support had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action on the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is means attitude of teachers had influence over strengthening school violence 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ual for intervention in school violence and to share its common use on the basis of advanced researches which discovered that school violence was solved or aggravated according to teacher's role as per this research result and in the course of determining bullying behavior. Fifth, the result that teacher support had positive influence over school violence action shows the fact that level, strength and contents of teachers' support depend on values of a student who receives them. Therefore, if a study is made o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support and values of a student who receives them, it may solve the question about the fact that teacher's support increases school violence action.

      • 신어 합성어의 구조 유형 연구 : 합성명사를 중심으로

        윤정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formation of compound nouns that occupy the largest ratio of distribution in modern Korean words, introduce as new words, and prepare the foundation to systematize the pattern of the words that are newly formed, thereafter.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ompound words were re-established based on the outcome of research. The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ompound nouns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its shape and structure. At this stage, the structure of compound words was divided into syntactic compound and asyntactic compound, depending on the part of speech used to more clearly grasp its structure and type.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type of the word that was newly formed based on this, the combin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by type of word and part of speech. First, syntactic compound that was researched based on the part of speech proved to be dominantly formed into a compound noun through the combination of noun and noun and noun in the pattern of noun+noun>noun+derived noun + modifier form of predicate + noun. Furthermore, from the aspect of distribution by type of word, majority was the compound noun formed from the combination of 'Sino-Korean word' + 'Sino-Korean noun’.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compound nouns was the combination of native word +'Sino-Korean word', and foreign word +foreign word. Although the compound noun formed from a foreign word + foreign word was hardly found in the past, it showed almost similar quantitative distribution to the 'Sino-Korean word'. This means that the foreign word occupies as broad a portion of our language as 'Sino-Korean word'. Furthermore, it was utilized more freely in a productive manner as a compound word, having been considered as a native word. On the contrary, the combination of native word + native word was used less. This reflects that 'Sino-Korean word' or foreign word was more productive as a new compound word than the native word. Asyntactic compound appeared in the pattern, predicate stem+noun>adverb+noun>noun+ㅅ+noun=predicate stem+derived noun. Asyntactic compound, as shown in the existing compound word, showed low distribution. Nevertheless, in the case of new words, asyntactic compound, rather than, syntactic compound could be found from more diverse structure. This means that the new words were more open and actively used in word formation as asyntactic compound. Thus, the research was continued about the process of new word formation to successively occur in the future. In combining foreign words with native words, Sino-Korean word, or foreign word, however, the method of defining the parts of speech of foreign word has been in question. In the future, analyzing the structure of word formation for new words needs to be explored beyond such bottleneck. How to analyze the method of combination where the foreign word is shown in the new word with its inner constituents must also b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