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 자기성장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윤정순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elf-growth program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uman relationship.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formulated the following hypotheses: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ain scores of the satisfac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ffection,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we implement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uman growth and the comparison group where we implemented traditional education.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a pre-test and post-test experiment design was employed. Two groups were drawn for the subjects from the 6th graders in a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In each group 14 elementary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group counseling for human development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Fourteen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group counseling for human development two or three hour a week for seven weeks. The post-test was administerd a week after the experimentatio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employed for the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uman development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the elementary students' human relationship. It means that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ho were implement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uman development, took on a positive attitudes in the human relationship. This result supports that the self-growth program has a good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human relationship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 간의 관계

        윤정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의 학교적응기대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만 5세 유아들의 원활한 초등학교 적응을 지원 할 수 있는 유치원의 부모교육 및 양육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의 학교적응기대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의 학교적응기대가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와 그 유아의 어머니 29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객관성을 고려하여 담임교사가 평정하였고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는 어머니의 자기 보고식 평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의 유아 학교준비도 수준과 유아 변인 및 어머니의 양육 변인에 따른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 차이를 알아보고자 기술통계분석과 t-test 및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어머니 양육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Pearson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학교준비도 수준은 만 5세 여아의 학교준비도가 만 5세 남아의 학교준비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성별에 따른 학교준비도의 차이를 전반적인 능력 수준이 높고 낮음을 인식하기보다 유아 개개인의 개성과 특성의 차이로 인정하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겠다. 한편,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취업 유무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에 따라 유아의 학교준비도 하위요인 중 학습활동 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배우자의 양육협조 정도에 따라 유아의 학교준비도 하위변인 중 단체생활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수준이 높고 월소득이 높은 어머니의 유아 자녀일수록, 아버지의 양육협조가 많은 가정의 유아 자녀일수록 학교준비도가 높아 초등학교 적응이 원활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 학교적응기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이에는 부적 상관관계였고, 양육스트레스와 학교 적응기대 사이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학교 적응기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녀의 학교 적응에 대한 기대가 낮을수록 유아의 학교 준비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녀가 학교에 적응하는 기대가 높아져 학교에 대한 준비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는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9.4 % 로 나타났다.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변인은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 중 ‘학교수업 기대’ 변인으로 설명력은 10.2%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의 학교준비도 발달에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교 수업기대가 유의하게 높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만5세 유아의 원활한 초등학교 전이를 돕는 지원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이 보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첫째,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서 볼 때 성별, 경제적 수준, 배우자 양육협조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성별에서는 남아에 대한 성향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교육정보를 제공하고, 유아기 가정에 사회적 경제 수준이나 배우자의 양육협조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의 학교준비도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와 정적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초등학교 취학을 앞둔 어머니에게 학교준비도 관련 양육에 관한 정보나 부모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자녀에 대한 기대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끝으로, 유아 학교준비도에 영향력 있는 자녀의 학교적응 기대의 하위변인인 학교수업에 대한 기대를 높일 수 있는 유치원 교육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원활한 전이를 돕기 위해 유-초 간 학습에 대한 연계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 연구

        윤정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검사 시기, 학년, 학급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빛 개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빛 개념 검사 문항들을 수정, 보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15개의 영재학급과 32개의 일반학급의 초등학생 총 1121명의 빛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빛 개념 중 ‘빛이 있는 곳’, ‘직진’, ‘굴절’, ‘그림자’, ‘빛의 속력’, ‘빛의 세기’ 등과 관련된 일부 개념들은 교육과정에 의한 학습 내용이나 교실에서 학습 경험과 무관하게 독립적인 일관성을 보였다. 학생들은 첫 번째, 빛이 한정된 곳에 존재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 굽어있는 관을 통해 물체를 볼 수 없으며, 물체의 상이 형성되는 원리보다는 경험을 바탕으로 상반신만 보이는 거울에서 뒤로 갈수록 더 많이 보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세 번째, 굴절에 의해 어항 속 물고기들이 커 보인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네 번째, 광원의 모양과 상관없이 물체의 모양대로 그림자가 생긴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빛은 물속보다 공기 중에서 더 빠르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볼록렌즈가 빛을 더 많이 모으며, 빛의 세기는 가까운 곳이 더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검사 시기나 검사 집단의 차이에 따라 학생들의 개념이 달라지기도 했다. 첫 번째, 검사 시기가 달라지면서 발생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빛 단원의 변화는 학생들의 개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7차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4학년 학생들은 ‘빛이 있는 곳’에 대한 개념에서 차이를 보였고,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학년 학생들은 ‘빛이 있는 곳’, ‘직진’, ‘굴절’, ‘물체의 상’에 대한 개념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8년에 검사한 결과는 학년에 따라 배우는 내용의 차이가 학생 개념의 차이를 형성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빛이 있는 곳’, ‘직진’, ‘굴절’, ‘사물의 시각적 인식’, ‘그림자’, ‘물체의 상’에 대해 학년마다 학생 개념이 다르게 나타났다. 세 번째, 학급 유형에 따라 학생 개념의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2008년에 검사한 영재학급 학생들이 ‘빛이 있는 곳’, ‘굴절’, ‘빛의 속력’, ‘사물의 시각적 인식’, ‘그림자’, ‘물체의 상’에 대한 개념에서 일반학급 학생들과 차이를 보이는 것은 두 집단의 수업 경험 차이 때문이라고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에서 부여한 특정 빛 현상에 대해 학생들이 생각하는 개념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일차로 최빈 선택 답가지를 분석했고, 그다음으로 집단간 개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했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에게는 경험의 동질성 여부에 따라 개념의 특성과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경험의 동질성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 본 연구가 선택한 것은 검사 시기(교육과정), 학년, 학급이다. 이 요인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부 개념들이 일관성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일관성 있게 관찰된 학생 개념과 차이가 있게 관찰된 학생 개념이 학생들의 개인적, 집단적 경험의 동질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경험의 동질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 of light varies according to the test period, grade, and class type. To this end, a test tool was developed that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existing light concept test questions, and using this, the light concept of a total of 1,1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15 gifted classes and 32 general classes was investigated from 2008 to 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light concepts, some concepts related to 'where the light is', 'straight propagation', 'refraction', 'shadow', 'speed of light', 'intensity of light', etc. showed independent consistency regardless of the learning content by the curriculum or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classroom. First, the students had the perception that light exists in a limited place.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objects could not be seen through curved tubes, and that they could see more and more in the mirror that only showed the upper body based on experience rather than the principle that the image of the object was formed. Third, the students had a perception that the fish in the fish tank looked big due to refraction. Fourth, students recognized that shadows appeared in the shape of objects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light source. Fifth, students recognized that light was faster in the air than in the water. Sixth, students recognized that convex lenses collect more light, and that t is greater near. However, the concept of students changed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test and the difference in the test group.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light unit of the curriculum or textbook, which occurred as the test period changed, affected the concept of students. Fourth graders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iffered in the concept of 'where there is light', and sixth graders in the 7th curriculum, 2007 revised curriculum,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showed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where the light is', 'straight propagation', 'refraction', and 'image of the object'. Second, the results of the 2008 test on 4th, 5th, and 6th graders show that the difference in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grade forms a difference in student concept.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students was different from grade to grade for "where the light is," "straight propagation" "refraction," "visual perception of objects," "shadow," and "image of objects."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pt of students varies depending on the class type. The reason why the gifted class students tested in 2008 differ from the general class students in the concepts of 'where the light is', 'refraction', 'speed of light', 'visual perception of objects', 'shadow', and 'image of objects' seems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class experi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answer was analyzed first to identify the type of concept students think of for the specific light phenomenon given in the question, and then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concept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 i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concepts according to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enc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homogeneity of experience are the test period (curriculum), grade, and clas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the reason why some concepts show consistency was not analyzed in this study.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n detail how the observed student concept, which differs from the consistently observed student concept, relates to the homogeneity of students' personal and collective experiences, and what factors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ence.

      • 美容室 勤勞者의 健康增進 生活實踐에서의 影響要因

        윤정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실 근무자들의 건강증진 생활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미용실 근무자들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2002년 2월부터 3월까지 2개월간 부산, 서울 및 대구, 안동, 강릉 등지의 임의 선정한 남녀 미용실 근무자 4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3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는 연령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결혼상태별로는 기혼군, 미혼군의 순으로, 종교별로는 기독교, 불교 군이 기타 종교나 종교가 없는 군보다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업무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는 근무 경력이 오래된 군이, 미용실내의 지위에서는 원장이 높았고, 미용실 소재위치에서는 도심(번화가)의 경우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고 상가, 거주지역, 기타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 생활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효능감, 결혼, 지각된 장애성(-), 건강지각 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용실 근무자들의 건강증진 생활실천 정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지각된 장애성을 줄여줄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깃이다. 특히 소규모 서비스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업주와 종업원의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practi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HPL) among beauticians.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beauticians working at beauty parlor in nationwide Korea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racticing HPL was significantly variated by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uch as age(high at senior), marital status(high at married), and religion(high at christian and buddhist) and by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tenure(high at long working career), job rank(high at higher rank), work site location(low at downtown area).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were self-efficacy, marital status, perceived impedimen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ll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except perceived impediment showed positive effect on practicing HP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me for heauticians encouraging self-efficacy and minimizing perceived impediment should be carefully developed, especially considering beauty parlor characteristics of small service business.

      •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독후 논설문 쓰기 양상 분석

        윤정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독서와 쓰기 능력은 현행 교육에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문제 해결 의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쓰기 학습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5학년 초등학생들의 독서 후 논설문 쓰기 과정 양상을 파악하여 논설문 쓰기 교육의 지도 방향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상호작용 적 논술지도 프로그램 및 독서논술 통합 지도 모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 년 학생들에 맞는 독후 논설문 지도 방안을 구안한 후 독후 논설문 쓰기 단계 별 양상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텍스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다. 즉 독후 논설문 쓰기 4단계별 양상과 완성글, 쓰기 후 소감문을 통하여 논 설문 쓰기 방법 지도 전과 지도 후 변화를 알아보고, 글쓰기 과정 양상을 분석 하여 효과적인 독후 논설문 쓰기 지도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를 얻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쓰기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과 방법에 대한 문헌연구와 실제 수업자료 포트폴리오의 분석 및 해석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 - ii - 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술 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후 논설문의 ‘논제 정하기’활동을 한 결과 ‘선정 도서 주제와 관련된 논제 정하기’ 부문에서는 별 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독후 논설문 쓰기 논제로 적합한 문장 표현’ 부문에서는 평가 결 과가 크게 향상 되었으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논술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한 쓰기 지도는 논설문 쓰는 방법을 모르거 나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독후 논설문 쓰기 지도가 이 루어졌으며 그 결과 학생들 텍스트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논술 지 도 프로그램 실행 전 1차 글에서는 주제 의식이 불분명한 글쓰기가 이루어지 고, 자기주장에 대한 타당하고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글의 내 용과 부합되는 적절한 제목을 정하지 못하였는데, 논술 지도 프로그램을 활용 한 쓰기 지도 후 2차 글에서는 주제의 선명성, 논리 구조의 적절성, 제목의 적 절성, 적절한 문장 표현 부문에서 글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셋째, 논술 지도 프로그램을 통한 독후 논설문 쓰기의 정의적인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독후 논설문 쓰기가 무엇인지 모르고 어떻게 써야 할 지 몰랐던 학생들이 독후 논설문 쓰는 방법을 알게 되었고, 쓰기에 대한 많 은 관심과 흥미가 생겼다. 본 연구는 논술지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에 맞는 독후 논설문 쓰기 지도 방안을 구안․실행하여 독후 논설문 단계별 쓰기와 완성된 텍스트를 작성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밝혀냈다는 데에 그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5 학년 초등학생들이 독후 논설문을 작성할 때 부족하거나 보충해야 할 부분들을 보완해 나가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또 일선 교육 현장에서 앞 으로 독후 논설문 쓰기 교육의 방법적 개선과 다양한 관점에서의 후속 연구를 이끌어 내는 데 한 몫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olyester 纖維의 難燃加工에 따른 物性變化

        윤정순 慶北大學校 198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nvestigate physical property changes in the flame retardant finishing of the polyester fabrics, three kind of 100% polyester fabrics which were treated respectively by phoscon UF-S 8% o. w. f, by 14% o. w. f, by 20% o. w. f, were padded, pre-dried, cured, and soaped. The experimental subjects were flammability test, drape test, test of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crocking, and weather resistance 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tes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t continuous effect about laundering. 2. The more increasing was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solution, the stiffer was the fabrics. 3. Flame retardant agent had little influence on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crocking. 4. In weather resistance, flame retardant agent caused tensile strength decreases by actinic degradation, through urging photo oxidation. 5. To summarize the above, test results of flammability, drape, color fastness, and weather resistance, 14% density of finishing agent is the most suitable.

      • 계층된 구조 및 시공간적 정보에 기반한 움직임 정보 예측방법

        윤정순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현재 영상 압축 표준에서는 영상의 공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블록 단위로 나누 어진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적인 중복성을 줄임으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얻고 있다. 영상 압축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현하고자 할 때 실시간 처리를 위 해서는 보다 빠르게 영상의 움직임 정보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움직임 정 보 추출 알고리즘들은 단순히 영상의 공간적인 연관성 정도만을 이용하여 움직임 정보를 추 출함으로써 시간적으로 효율을 높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각 화소들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성 질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 추출시에 각 블록들의 공간적 관계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연관 성, 각 블록들의 계층적인 관계까지도 이용함으로써 탐색 시간과 움직임 벡터 추출의 정확 성을 높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움직임 벡터의 초기값을 계산하는 과정 과 초기값을 기반으로 해서 실제 움직임 벡터를 찾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움직임 벡터 의 초기값은 후보 움직임 벡터를 구하여 각 후보 벡터들 중에서 가장 작은 오류를 갖는 값 으로 선택한다. 선택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함으로써 탐색 시간면에서나 움직임 벡터의 정확 성 면에서 보다 향상된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은 가장 일반적인 탐색 방 법인 FBMA(Full search Block Matching Algorithm)와 비교하여 탐색 시간의 단축과 움직임 벡 터의 정확성 면에서 개선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ast algorithm for motion vector(MV) estimation based on correlations of MVs existing in spatially and temporally adjacent as well as hierarchically related blocks. The main idea is to select a good set of MV candidates with information obtained at the coarser resolution level and spatio-temporal blocks at the proposed fast algorithm achieve a speed-up factor. The key component in motion compensated coding is motion vector(MV) estimation. The block matching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for MV estimation due to its simplicity. However, the major drawback is its extreamly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Our goal in this work is to develop a sequence of fast MV estimation algorithms which exploit multiresolution spatio-temporal correlations of MVs in a computationally simple way and yet work effectively in the aspect of producing small residual errors and maintaining a similar rate-distortion performance to that of the FBMA. We first introduce two fast algorithms based on patio-temporal correlations and cell them ST1 and ST2, respectively. ST stands for “spatio-temporal” . The first algorithm ST1provides a basic procedure while the second one (ST2)in the modified version. Then, we integrate the spatio-temporal framework with the multiresolution scheme to obtain the ultimate algorithm called MRST(MR denotes multiresolution), which provides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