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에 입원한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지속적 신대체요법

        윤정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최근 투석요법과 중환자 관리의 발전으로 인해 급성신부전 환자의 생존율이 괄목할 정도로 향상되었으나 신대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중증 급성 신부전 환자의 사망률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연자는 계명의대 동산병원에서 중증 급성 신부전으로 지속적 신대체 치료(CRRT)를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계명의대 동산병원에 입원한 중환자 가운데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CRRT를 시행하였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 환자의 임상적 특성, 질병의 중증도 및 생존율, 예후 인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CRRT는 Prisma(Hospal, France) 기계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질병의 중증도는 APACHE II, SAPS II 및 CCF score 체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총 58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58.3±14.8 (최소 17세, 최장 85세)세, 남녀 비는 2.2:1 이었다. 내과적 질환으로 입원한 예가 30예(52%), 외과적 질환으로 입원한 예가 28예(48%)였다. CRRT 당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48예(82.8%), 승압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는 46예(79.3%), 핍뇨를 보인 환자는 31예(62%), 패혈증이 동반된 환자는 23예(39.7%)였다. CRRT 시행 당시 질병의 중증도는 APACHE II score는 평균 25.2 ± 7.9점, SAPS II score는 평균 48.1 ± 15.1점, CCF score는 평균 9.3 ± 3.6점이었으며 장기부전 수는 평균 2.1 ± 1.3개였다. CRRT의 적응증으로는 핍뇨가 33예(56.9%)로 가장 많았고, BUN 증가 22예(37.9%), 체액량 과다 19예(32.8%), 대사성 산증 15예(25.9%), 고칼륨혈증 6예(10.3%)였다. 대부분의 환자가 CVVHDF 치료를 받았으며 CRRT의 평균 치료시간은 63.5 ± 40.7시간(최단 24, 최장 179시간), 혈류량 104.1 ± 10.2 mL/min, 투석액양 16.7 ± 1.5 mL/min, 보충액양 17.3 ± 1.2 mL/min, 한외여과량 19.8 ± 4.8 mL/kg/hr였다. 패혈증이 동반된 환자는 비패혈증 환자에 비해 장기부전 수, 질병의 중증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알부민 치는 유의하게 낮았다. 총 58명의 환자 의 생존율은 48.3%였으며 30일 및 60일 생존율은 60.8% 및 43.9%였으며 평균 생존일은 71.2일이었다. 패혈증이 동반된 환자의 30일 생존율은 34.8%로 비패혈증 환자군의 30일 생존율 80.2%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0). 환자 사망의 위험인자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기능부전 장기 수, 질병 중증도 점수, 평균 동맥압, 혈소판 수치, 혈청 알부민 치, 여과막 표면적이 유의한 위험인자였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투석 치료를 요하는 중독한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CRRT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치료 개시 시기, 한외여과량, 치료방법 등을 포함한 대규모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잘 대조된 다기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mortality rate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acute renal failure (ARF) remain unacceptably high, desipite numerous advances in dialysis techniques and intensive care medicine during the last few decades. We evalu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disease severity, mortality, and prognostic factors in ICU patients with ARF requiring CRRT.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all ICU patients who received CRRT at th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from September 2002 to October 2007. We identified demographic variables, underlying diagnosis, clinical features, characteristics of CRRT, mortality, prognostic factor, APACHE II, SAPS II and CCF scores. Result: The mean patient age was 58.3 ± 14.8 years. The time from admission to initiation of CRRT was 63.5 ± 40.7 hours. The mechanical ventilation rate was 82.8%, vasoactive drug 79.3%, sepsis 40%. APACHE II score was 25.2 ± 7.9, SAPS II score was 48.1 ± 15.1, CCF score was 9.3 ± 3.6, the numbers of organ dysfunction was 2.1 ± 1.3. Overall mortality rate was 48%. Compared with sepsis group and nonsepsis group, the number of organ dysfunction and severity of ill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psis group than that of nonsepsis group. A mortality rate of sepsi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82.6%, nonsepsis group was 31.3% (82.6% vs 31.3%, p=0.000). In our study, risk factors of mortality were the number of organ dysfunction, severity of illness, MAP, platelet count, serum albumin level, and a type of hemofilter. All these factors were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in univariate analysis, however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lost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A large scaled,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e beneficial effect of CRRT in patient with ARF in ICU.

      • 야구 선수의 위치에 따른 스포츠 상해 : 중학교·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윤정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고등학교의 야구선수를 대상으로 선수들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자주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발생의 부위, 스포츠 상해 종류, 스포츠 상해시기, 스포츠 상해의 상황, 스포츠 상해의 원인, 스포츠 상해의 응급처치, 스포츠 상해 후 치료기간 및 휴식 상태, 스포츠 상해 재발, 스포츠 상해 예방교육 및 예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고 선수들의 부상예방하고, 단축되기 쉬운 선수생명의 연장 및 지도를 위한 자료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의 배명 중학교, 양천 중학교, 홍은 중학교의 3개 팀과 서울지역 배명 고등학교, 강원지역 원주 고등학교 1개 팀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중학생은 13.74세이고, 고등학생의 평균연령은 16.51세이며, 평균 선수경력은 중학생이 경우는 3.78년이고, 고등학생의 경우는 5.85년이며, 포지션별 인원수는 중학생의 경우 투수가 19명, 포수를 포함한 내야수가 26명이고, 외야수는 8명이다. 고등학생의 포지션은 투수가 14명이고, 포수를 포함한 내야수가 14명이고, 외야수는 11명으로 설문을 하였다. 자기평가 기입법을 사용하였으며, 예비설문지를 가지고 예비검사를 통해 검토한 후 수정 보완하여 연구의 측정도구로 사용하고 응답 내용을 코드화한 뒤 WINDOWS SPSS (version 12.0)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빈도를 각 항목별로 분석하고, 교차분석으로 X^(2) 검증을 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야구 선수들의 상해발생 부위 중 선수의 위치에 따른 가장 많은 부위는 투수가 공을 던지는 동작에서 오는 상해로 주관절 부분의 상해와 견 관절의 상해가 21명(6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리 부분이라고 응답한 선수가 8명(25.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포수의 경우는 투구동작이나 수비 동작 시에 체중이 많이 실리는 무릎과 발목의 상해가 5명(5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야수의 경우는 주관절이나 견 관절의 상해가 22명(7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리의 상해도 8명(25.8%)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야수의 경우는 다리 부위가 7명(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슴과 팔 부위도 6명(30.0%)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라 조금의 차에는 있지만 투수와 내야수, 외야수의 경우는 팔부위의 상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들의 위치에 따른 상해의 종류는 투수의 경우 근육과 건의상해로 인대손상이나 경련이 11명(3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야수의 경우 뼈의 골절이나 탈구, 근육과 건의 상해로 인대의 손상이나 경련을 경험한 선수가 각 12명(38.7%)으로 9%로 나타났으며, 외야수의 경우 수비 시 뼈의 상해로 골절, 탈구 등의 손상이 6명(3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수는 관절의 상해로 염좌나 관절염을 경험한 선수가 4명(44.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라서 투수는 투구동작에서 오는 근육과 건의 상해를 자주 경험하고, 포수는 무릎 관절의 상해, 내야수는 근육과 건의 상해, 외야수는 뼈의 상해를 가장 많이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들의 상해의 시기는 투수의 경우 날씨가 추워서 근육과 관절이 위축되는 겨울에 14명(42.4%)에 상해를 가장 많이 입으며, 의외의 결과로 덥고 습한 날씨로 집중력이 낮아지는 여름철에 11명(33.3%)이 상해가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수의 경우도 겨울에 상해를 경험한 선수가 4명(44.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내야수의 경우는 여름에 상해를 경험했다는 선수가 13명(41.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야수의 경우는 10명(50.0%)의 선수가 겨울에 상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거의 모든 선수들이 겨울과 여름에 상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론 투수의 경우 공을 던지는 운동이 가장 많은 포지션이므로 공을 던지다 상해를 경험했다는 선수가 14명 (42.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수의 경우도 공을 던지다가 상해를 경험했다는 선수가 4명(44.4%)으로 가장 높았으며, 내야수의 경우도 공을 던지다가 상해를 경험한 선수가 11명(35.5%)으로 가장 많았으며, 외야수의 경우는 슬라이딩과 공을 던지다가 상해를 경험한 선수가 각 5명(25.0%)으로 나타났다. 포지션에 따른 상해의 상황에서 공을 던지다가 상해를 입은 투수와 포수가 상해의 빈도가 잦았고, 내야수의 경우는 공을 던지다가 상해를 경험한 선수와 슬라이딩을 하다가 상해를 입은 선수의 빈도가 잦았고, 외야수의 경우도 공을 던지다가 상해를 경험한 선수와 슬라이딩을 하다가 상해를 입은 선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응답을 한 대부분의 선수가 상해의 원인으로는 75.3%의 선수가 응답한 본인의 준비운동 부족이나 부주의가 상해를 자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수의 경우 23명(69.7%)이 본인의 부주의이라고 응답했으며, 포수의 경우도 8명(88.9%)이 본인의 부주의라고 응답했다. 내야수 23명(74.2%)과 외야수16명(80.0%)도 본인의 부주의라고 응답했다. 여섯째, 76.3%의 선수가 같은 부분을 다시 다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3.7%의 선수는 재발하지 않았다고 응답 하였다. 투수의 경우는 27명(81.8%)의 선수가 재발을 경험했으며, 포수의 경우도 7명(77.8%)의 선수가 재발을 경험했으며, 내야수도 22명(71.0%)이 재발을 경험했으며, 외야수도 15명(75.0%)이 재발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선수들의 포지션에 따라 상해의 재발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충청북도자치연수원을 중심으로

        윤정수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지식정보화·경제블록화 등 세계적인 환경의 빠른 변화로 주민의 행정서비스 욕구도 점점 다양화, 세분화 되어 가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행정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차별화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지방공무원이라고 하며, 지방공무원은 지역 주민의 생활과 관련된 현장행정을 수행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행정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살기 좋은 지역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현장 행정을 수행하는 지방공무원의 자질 향상과 경쟁력 강화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한 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전환과 교육훈련 개선방안의 논의 역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육훈련의 성과와 교육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경쟁력 있는 지방공무원 양성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과정은 대부분 교육훈련계획 수립, 교육훈련 실행, 성과 평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반적인 운영과정에는 큰 차이가 없기에, 본 논문에서는 충청북도 지방공무원교육원인 ‘충청북도자치연수원’을 중심으로 지방공무원의 교육훈련 실태와 발전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논문의 주요내용은 「연구배경 및 연구방법」, 「교육훈련의 이론적 배경과 공무원 교육훈련 체계」, 「충청북도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실태 및 문제점」, 「공무원 교육훈련 발전방안」, 「결론」의 순으로 작성하였다. 「교육훈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행정학의 인사행정과 경영학의 인사관리 이론을 참고 하였으며, 「공무원 교육훈련 운영 체계와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현황」은 행정안전부, 충청북도, 지방행정연수원, 충청북도자치연수원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또한 외국 공무원과 대기업의 교육훈련 특성을 조사하여 공무원 교육훈련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교육훈련 실태 및 문제점」은 충청북도자치연수원의 교육훈련 기본계획, 교육훈련종합평가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공무원 교육훈련 발전방안」은 교육훈련 이론의 교육훈련 운영과정인 인력개발의 필요성 분석, 계획수립, 교육훈련 실행, 훈련내용의 이전, 효과평가 등 단계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제도 개선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정형적·답습적으로 이루어져 온 공무원 교육훈련 제도 및 운영의 변화를 모색함으로써, 교육훈련에 대한 공무원 만족도 향상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업무성과 및 행정서비스 질의 향상도 기대된다.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운영과정의 세부적 분야까지 연구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점이 있어, 교육훈련의 전반적인 운영과정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제도의 전반적인 운영과정을 재점검함으로써 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과 공무원 스스로가 변화의 주체가 되고 공무원 교육훈련도 인적자원개발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우리는 세계 경제위기, 기후변화, 갈등, 전염병 발병 등 전 세계적인 문제가 지역주민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미래학자들은 이러한 전 세계적인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각 지역은 좀 더 성숙된 시민사회로 발전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지적 수준이 높은 성숙한 지역주민이 많아질수록 행정업무의 역량을 제고하여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끝으로, 지방공무원이 현장행정에서 느끼는 한계성을 차별화된 전문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창의적으로 극복하기 바라며 성숙된 지방행정을 추진하는 지역의 봉사자가 되기를 바란다. Rapid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including globalization, knowledge-information and economic block implementation have been gradually diversifying the administrative service demands of residents. Each local authority has been providing differentiated administrative services by rapidly coping with these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pushing a variety of projec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The public officers working in local authorities are called "local government officers". The local government officers carry out administration in actual fields related to local life. To adapt to the quickly-changing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develop a more livable region, it becomes ever more critical to improve the quality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administrate in the actual fields. To this end, changes in awareness of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government officers and discussion on approaches to improve training and education have been drawing substantial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pproaches to cultivate competitive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resident life by examining the status and problems of training and education for local government officers and identifying approach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raining and education and satisfaction of trainees. The local government officer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provided by each local authority up to the present mostly compris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raining and education. According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overall process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ining and education status and approaches to develop it focusing on the "Chungcheongbuk-Do Education Center", the Chungcheongbuk-Do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Institute. This study comprises "Research Background and Methodology",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ining and Education and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Status and Problems in Chungcheongbuk-Do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and Education", "Development Approaches of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and Education" and "Conclus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ining and Education" refers to the personnel management theory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in political science. The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and Local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and Education Status" is the data from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hungcheongbuk-Do government,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velopment Institute and Chungcheongbuk-Do Education Center.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find suggestions that could be a reference for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government officers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and education of enterprises and governments abroa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raining and Education" analyzes the training and education master plan, general training and education evaluation and survey results of Chungcheongbuk-Do Education Center. The "Development Approaches of Government Officers Training and Education" suggests gradual improvement approaches including a demand analysi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ning, implementation, transfer of contents and evaluation of efficiency, which are the training and education processes in training and education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how to improve the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s for local government officer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and performance of local authorities as well as the satisfaction of government officers in training and education by pursuing a change in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s and operations for government officers, which have been conducted through regular and repetitive processes. Since it is difficult to deeply and closely examine the training and education processes for local government officers, only the general processes of training and educ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may be a momentum for recognizing that a changing awareness on training and education for government officers and government officers being the subjects of self-directed change are critical par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es of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for local government officers. We live in times of change in which global issues such as global economic crises, climate change, conflicts and epidemics have direct impact on us all. It is predicted that each region will develop into a more advanced civil society through processes to overcome such global crises. The more residents secure advanced knowledge, the more local authorities must improve the capability to process the administrative businesses and provide more qualified administrative service. In conclusion, it is hoped that local government officers will creatively copewith the limits that they feel in the field through differentiated training and education and will be volunteers in pursuing a more advanced local administration.

      •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DXA)을 이용한 골밀도 검사 시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윤정수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it is becoming aged society due to a prolonged average life span, people's interest in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on is increas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steoporosis patients caused by the side effects of using various methods to live healthy, such as lack of exercise, excessive diet, smoking, drinking and serious drug abuse it is becoming an important public issue of the whole people regardless of sex. Therefore, in this paper, the DXA device, which is widely used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because of its low dose and simple method of examination, is applied to research exposure dose of entire device, device manufacturer, and installation period and provide guideline for patients' dose. We compared the 40 DXA equipment installed in Samsung Medical Center, general hospitals, private hospitals, examination centers, and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Southern part of Gyeong gi Province. The adult RANDO Phantom was placed on the test table and the fluorescent glass element was placed in the testicles (right and left), ovary (right and left), lumbar spine (1, 2, 3, 4), right kidney (inside and outside), left kidney (inside and outside), liver (inside and outside) and the absorbed (deep) dose was measured by exposing the radiation. As a result of measurement, the total dose of the 40 devices was 178,295.27 μ㏉,, the average absorbed dose was 445.74 μ㏉, the standard deviation was 167.94 μ㏉, the minimum value was 227.28 μ㏉ and the maximum value was 877.93 μ㏉, the average value was 585.09 μ㏉. The mean third quartile of the 40s was the testicle (right -17.01, left 16.13 μ㏉), ovary (right -17,45, left -17.45 μ㏉), lumbar spine (1-70.77, 2-84.22, (-32.88, -28.87 μ㏉) in the left kidney (-43.18, out-35.30 μ㏉), in the right kidney (-43.24 -31.91 μ㏉), and in the liver(inside-32.88, outside-28.87 μ㏉) was measured. The total average dose measured by the device ‘A’ was 22.29 μ㏉ the value of the third quarter was 29.87 μ㏉, the minimum average dose was 0.96 μ㏉ (inside the liver), the maximum average dose was 71.00 μ㏉ (fourth lumbar vertebra) dose difference about 7 times. The mean total dose measured in the ‘B’ apparatus was 41.39 μ㏉ the third quarter value was 60.42 μ㏉, the minimum mean dose was 0.99 μ㏉ (left testicle), the maximum mean dose was 153.47 μ㏉ dose difference about 15 times. In the testicle, the ‘A’ do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 device (right-4.4, left-3.16 μ㏉), In the ovary (right-2.03, left-0.3 μ㏉) and lumbar spine (1-48.37, 254.70, 3-47.67, 4-52.18 μ㏉) in the kidney (right-21.49, left-18.64 μ㏉) in the liver (inside-22.07 μ㏉) the ‘B’ do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 device Liver(outside-0.85 μ㏉) the dose of ‘A’ devic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B’ devi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merely intended to compare the fact that a product of a particular equipment company has a higher or lower dose. This i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of dose that irradiated not only vital organ for scan but also other organs. To minimize exposure of unnecessary radiation by retake test or problem with QC, radiographers need to develop a proper shielding system to reduce the medical exposure of patients, guardians and radiation workers.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한 고령화와 그에 따른 삶의 질과 건강증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건강하게 살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해 발생되는 부작용, 즉 과한 다이어트 및 심각한 약물(스테로이드 등) 오남용으로 인해 골다공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흡연, 알코올, 류미티스관절염, 소아 암환자, 갑상선 암 환자의 치료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골다공증 환자의 증가는 단순한 폐경기를 거치는 여자환자에게만 국한됐던 질병에서 남, 녀 노소를 막론하고 전 국민의 중요한 공중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골다공증의 진단방법 중 선량이 적고, 검사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DXA 장치를 대상으로 검사 시 발생되는 실제 피폭되는 선량을 장치 전체, 장치제조사, 부위(장기), 설치연한 별로 파악하여 환자선량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원의 장치를 포함한 서울시내 및 경기남부 일원에 위치한 종합병원급, 개인병원급, 검진센터, 보건소 등에 설치된 DXA 장치 40대를 비교하였다. 검사방법으로는 인체 모형 팬텀(ART Phantom)에 형광유리소자를 고환(우, 좌), 난소(우, 좌), 요추(1,2,3,4번), 신장 우측(안, 밖), 신장 좌측(안, 밖), 간(안, 밖)의 위치에 부착 및 삽입하고, 검사 테이블에 위치시켜 방사선을 노출하여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40대 장치의 전체 총 선량은 178,295.27 μ㏉ 였으며, 평균흡수선량은 445.74 μ㏉, 표준 편차는 평균 167.94 μ㏉ 였으며, 최소값 227.28 μ㏉에서 최대값 877.93 μ㏉ 범위에 있고, 제3사분위값은 평균 585.09 μ㏉ 였다. 40대 전체 부위별 평균 제3사분위값은 고환(우-17.01, 좌-16.13 μ㏉), 난소(우-17,45, 좌-17.45 μ㏉), 요추(1-70.77, 2-84.22, 3-82.21, 4-86.41 μ㏉), 신장 우측(안-43.24 밖-31.91 μ㏉), 신장 좌측(안-43.18, 밖-35.30 μ㏉), 간(안-32.88, 밖-28.87 μ㏉)이 측정되었다. 장치회사 별로 비교한 결과 ‘A’사 장치에서 측정된 총 평균선량은 22.29 μ㏉ 이었고, 3/4분위값은 29.87 μ㏉, 최소평균 선량이 0.96 μ㏉(간의 안쪽), 최대평균 선량이 71.00μ㏉(요추 4번째)로 약 7배의 선량 차이가 나타났다. ‘B’사 장치에서 측정된 총 평균선량은 41.39 μ㏉ 이었고, 3/4분위값은 60.42 μ㏉, 최소평균 선량이 0.99 μ㏉(왼쪽 고환), 최대평균 선량이 153.47 μ㏉(요추 4번째)로 약 15배의 선량 차이가 나타났다. 부위별로 고환에서는 ‘B’사에 비해 ‘A’사가(우-4.4, 좌-3.16 μ㏉) 높게 나왔으며, 난소(우-2.03, 좌-0.3 μ㏉), 요추(1-48.37, 2-54.70, 3-47.67, 4-52.18 μ㏉), 신장(우-21.49, 좌-18.64 μ㏉), 간(안-22.07 μ㏉) 으로 ‘B’사 장치가 ‘A’사 장치에 비해 선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간(바깥-0.85 μ㏉)에서는 ‘B’사 장치보다 ‘A’사 장치의 선량이 약간 높게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어느 장치회사제품의 선량이 많이 또는 적게 나왔다는 비교를 하려는 것이 아니라, 비록 작은 선량이라도 검사주요 부위 이외에도 주변 장기에 피폭된다는 사실을 인지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방사선사는 재검사 및 장비 관리(QC)의 문제로 인한 불필요한 방사선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향 후 적절한 차폐 시스템을 개발하여 환자 및 보호자,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의료피폭 저감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전자정부 활용성과의 인과관계 실증연구 : 한국 기초자치단체(시군구)의 업무활용을 중심으로

        윤정수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Regardless of the studies that E-Government efforts were much effective in the civil service offering, citizen's participation and administrative reform, they continuously argued that e-government investment outcomes were not satisfactory. This paper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 of E-Government utilization in Korea local governments Dividing the Korea local e-government period in the first one (I period) which focused on the internal back-office informatization and the second one (II period) which emphasized the civil service offering linked with back-office system and introduced mobile equipments such as mobile 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devices to maximize the E-government utilization, this paper compared the causes which impact the E-Government utiliz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pplied the input-output-outcome analysis model by adding the output factors as the intermediate variables and analyzed the causal path of E-Government utilization in the II perio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 of input-outcome variables, input variables of e-government budget, public officials training, policy implementation efforts of chief information officer (CIO) were found as the direct causes of E-government outcome. In the I period, CIO policy implementation efforts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and e-government budget, public officials training variables were the second and the third respectively, but in the II period e-government budget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and CIO policy implementation efforts, public officials training variables were the second and the third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of input-output-outcome analysis of the II period, the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efforts affected their E-government utilization, but the centr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efforts made no differentiated outcome. On the causal path of E-government utilization, informatization budget and CIO policy implementation efforts affected the utiliz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Informatization human resources affected the utilization indirectly just through the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efforts, but public officials training affected the utilization directly. This study implies theoretically that E-government evaluation on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 should be based on the input-output-outcome model to maximize and secure the informatization investment outcome substantially. While various variables can be defined the outputs as the intermediate variables, the output variables reflecting the causal path can be helpful to find the E-government policy outcome. This study focused on the subject and strategy of local E-government development, and revealed that local government utilizing their own business should initiate their E-government policy. The local government has the primary role to enhance the outcome of local E-government by maximizing their utilization. 전자정부가 시민에 대한 서비스 수준과 시민참여, 행정혁신에 많은 성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전자정부의 투자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시군구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전자정부의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인과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무원당 1인 1PC 수준이 달성되고 전자결재비율이 85% 수준을 달성하여 행정정보화를 중심으로 전자정부가 추진되었던 시기를 I기(2000~2002)로, 그리고 시민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내부 행정정보시스템과 연계되며, 핸드폰, PDA 등 모바일 기기가 본격적으로 활용되는 시기를 II기(2004~2006)로 구분하여 전자정부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였고, 이와 별도로 II기에 대해서는 매개변수로 산출을 추가, 투입-산출-성과 모형에 기초하여 전자정부의 활용성과가 도출되는 인과경로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정보화예산, 정보화인력, 정보화교육(공무원), CIO 정책추진노력을, 매개변수로는 전자정부 추진방식과 관련하여 중앙정부 프로그램(중앙정부의 직접적인 개발, 보급 방식)과 지방정부 프로그램(지방정부의 자체적인 구축, 운영 노력)을 산출로 규정하였으며, 전자정부 성과로는 전자정부 활용성과에 대하여 인과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투입과 성과의 인과분석결과, I기와 II기 모두 정보화예산, 정보화교육(공무원), CIO 정책추진노력이 활용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밝혀졌는데, I기에는 CIO 정책 추진노력, 정보화예산, 정보화교육(공무원) 순으로 인과관계가 높았으나 II기에는 정보화예산, CIO 정책추진노력, 정보화교육(공무원) 순으로 인과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정내부 효율 제고를 주요한 목표로 하는 전자정부 추진 초기 단계에서는 CIO 정책추진노력이, 그리고 시민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모바일 전자정부가 본격화되는 고도화단계에서는 정보화예산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II기의 경우 산출변수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개발, 보급방식보다는 지방정부의 자체적인 구축 운영 노력이 활용성과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경로 측면에서는 정보화인력 변수가 지방정부 프로그램이라는 산출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비해, 정보화예산과 CIO 정책추진노력 변수는 활용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정보화교육 변수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시사점은 전자정부의 투자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조직과 기관을 대상으로 전자정부를 평가함에 있어 투입-산출-성과를 기반으로 한 전자정부 평가인과모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성과를 구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자정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매개변수로서 산출변수를 규정함에 있어 다양한 범주를 고려할 수 있는데, 전자정부를 추진하는 정책적인 접근방법을 반영하여 인과경로를 설정할 경우 정책 추진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전자정부 추진주체와 방식을 반영하였는데, 정책적인 측면에서 지방전자정부를 추진할 경우 중앙정부에서 직접 개발 보급하는 방식보다는 해당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전자정부 추진을 주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방전자정부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활용을 극대화하여 성과를 확보하는 작업은 궁극적으로 해당 정부기관의 몫이라는 점이다.

      • 남·여 고등학교 농구경기의 스코어북 결과에 의한 경기내용 분석

        윤정수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Using the data of 48 males’ and girls’ high school teams’ Rebound, Assist, Intercept,Good Defense , the researcher wants to get the factors of scoring point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results on the victories or defeats using the program of SPSS 12.0(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cludes the followings; 1). The influence of males’ high school basketball team from 2006 to 2008 about the score points including the variable of Rebound, Assist,Intercept,Good Defense is analyzed. 2). The influence of females’ high school basketball team from 2006 to 2008 about the score points including the variable of Rebound, Assist,Intercept, Good Defense is analyzed. 3). The influence of males’ high school basketball team in 2006 about score points including the variable of Rebound, Assist, Intercept, was analyzed. The influence of females’ high school basketball teams’ score is also affected by the variable of Rebound, Intercept. 4). The influence of males’ high school basketball team in 2007 including the variable of Rebound, Assist, Intercept, is analyzed. The female high school basketball team is affected by the variable of Rebound, Assist, Intercept, Good Defense . 5). In 2008, males’ basketball team was affected by the variable of Rebound most. But females’basketball team was affected by the variable of Rebound and Intercept. Overall, the score of males’ high school basketball team was affected by the variable of Rebound and Intercept most was analyzed. In case of female basketball team, the influences of score points showed the various factors such as Rebound, Assist, Intercept, and Good Defense. I think, these attributes were from the women’s delicate personality. T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bout scores commonly were Rebound (1st), Assist (2nd) from 2006 to 2008.

      •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단백질과 체온의 관계

        윤정수 계명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보이는 저체온증의 원인은 일부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등이 억제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떤 원인 물질이 체온저하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말기신부전으로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사람들의 체온과 각종 요소(factor)들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말기신부전으로 진단받고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혈액투석실에서 처음으로 혈액투석 치료를 한 1,371명 중 732명의 환자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온과 단백질, 알부민, 혈액요소질소 및 혈청 크레아티닌 치와 각 체온의 수치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 t-검정, 카이자승 검정, 분산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말기신부전 환자의 평균 체온은 36.7 ± 0.5 ℃였다. 체온 37 ℃를 기준으로 보면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체온은 젊은 나이, 작은 키, 적은 혈중 단백수치, 혈액요소질소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었다. 카이자승 검정에서는 단백질, 알부민, 혈액요소질소 및 혈청 크레아티닌 치 중에서 말기신부전 환자의 체온은 단백질의 감소 및 혈액요소질소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말기신부전 환자의 체온은 단백질과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선형회기분석을 시행한 결과 단백질만이 체온과 유의한 음의 관계에 있었다. 다중회기분석 결과 단백질과 알부민이 높은 사람에서 체온이 높은 사람의 비가 낮으나, 혈액요소질소가 높은 사람에서 체온이 높은 사람의 비가 높았다. 이를 종합하면, 말기신부전 환자의 체온은 단백질 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단백질 치가 높은 사람에서 체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말기신부전 환자들의 체온은 기존의 연구 보고보다는 높았지만, 정상인에 비해서는 낮았다. 또한 말기신부전 환자의 체온에 단백질 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단백질 치가 높은 사람에서 체온이 낮은 것은,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단백질이 증가한다면 요독이 단백질과 결합하여 분자량이 증가하여 쉽게 제거되지 못하고 이렇게 제거되지 못한 요독은 체온 조절에 관여하는 각종 효소 등을 억제하여 체온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원격지 교육장비를 이용한 비대면 실습 교육 플랫폼 개발

        윤정수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 19로 인하여 비대면 교육이 불가피해짐에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온라인 개학을 시행하였으며, 대부분 학생은 동영상 강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같은 비대면 교육을 경험하고 있다. 이처럼 온라인 강의가 일반화되었으나 강의자/학습자의 모습과 화면만 공유하는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교육장비를 이용한 실습 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실험장비와 실습 교구를 원격 환경에서 접속하여 실습 교육을 수행하고 교육 진척도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습 장비는 원격 실습실의 부스(booth) 내에 배치되고, 학습자는 부스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실습 장비의 동작을 확인한다. 학습자별 실습 진행 상태와 내용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재접속 또는 같은 종류의 교구 사용 시에도 실습을 이어 나아갈 수 있다. 또한, 실습이 필요한 교과목에서 실습 교구의 이동 없이 원격지의 실험실에 접속하여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하는 플랫폼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 제작한 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 후 설문을 통해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비대면 교육 시스템 대비 39%의 만족도와 47%의 몰입도 향상을 가져온다. 또한, 현실성은 49% 유사하다는 평가를 얻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원격지의 교육 장비에 접속하여 실습하는 보조도구의 역할만 수행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본 플랫폼을 활용한 평가도구 개발과 실시간 쌍방향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고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실증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As non-face-to-face education has become inevitabl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countries have opened schools online, and most students have been experiencing non-face-to-face education such as video lectur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Although online lectures have become common,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nduct practical education using educational equipment with the existing systems that only shares the appearance of the lecturers and learners and their computer scree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ystem that allows learners to access experimental equipment and practical teaching aids in a remote environment to conduct experiments and hands-on education and manage the learners’ progress. Training equipment is placed in a booth of a remote classroom and learners check the operation of the training equipment through camera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ooth. The progress and contents of each learner's practice are automatically saved so that the practice can be continued even when reconnecting or using the same type of teaching aid.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learn by connecting to a remote laboratory without moving the practice teaching aids in subjects that require practic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latform, educ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educational content that we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the education. As a result, it brings 39% satisfaction and 47% improvement in immersion compared to the existing non-face-to-face education system.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presence is 49% simila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only plays a role as an auxiliary tool for learners to practice by accessing educational equipment at a remote location.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using this platform and to implement a function that enables real-time interactive education at the same time and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to verify the learning effect.

      • 넙다리네갈래근 등척성 운동 방법이 초기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근력, 균형에 미치는 영향

        윤정수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으신 분들에게 두가지 방법의 넙다리 네갈래근등척성 운동을 통증과 다리근력, 균형능력을 알아보기위해 실시하였다.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인해 슬관절전치환술을 받으신 분들에게서 통증, 근력약화, 균형능력의 저하가 나타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후 초기 넙다리네갈래근 등척성운동의 방법에 따라 통증과 하지근력, 균형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으신 초기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넙다리네갈래근 등척성 운동을 하는 그룹 15명과 수정된 넙다리네갈래근 등척성운동을 하는 그룹 15명을 두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통증에 대한 각각의 그룹 내 전․후 검증을 위하여 윌콕슨 검정(Wilcoxon)을 실시하였고, 두 그룹에 대한 비교는 만휘트니검정(Mann-Whitney U)을 실시하였다. 근력과 균형에 대한 그룹 내 전․후 검증을 위하여 대응 비교검사(Paired t-test)를 실시하고, 두 그룹에 대한 근력, 균형능력의 차이는 독립 t-검정(indi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중재 후 통증에 있어서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05), 근력에서는 넙다리네갈래근은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5) 종아리근과 큰볼기근에서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o.o5). 균형에 있어서도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o.o5).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슬관절전치환술 초기 환자 치료에있어 수정된 넙다리네갈래근 등척성운동이 하지 폄근들의 근력과 균형성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ose who received a total knee arthroplasty two four-pronged method of femoral muscle pain and isometric leg strength exercise, balance ability. Pain, muscular weakness and lowering of balance ability are shown in those who received total knee arthroplasty due to knee osteoarth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pain and lower limb muscular strength,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method of early quadriceps muscle of thigh isometric exercis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30 patients at the initial stage who received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the group with 15 people performing general quadriceps muscle of thigh isometric exercise and group with 15 people performing modified quadriceps muscle of thigh isometric exercise. For pre․post verification in each group for pain, Wilcoxon test was carried out and Mann-Whitney U was conduct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For pre․post verification in the group for muscular strength and balance,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balance ability for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ain after intervention (p>0.05) and quadriceps muscle of thig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muscular strength(p>0.05)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eroneus and gluteus medius (p<o.o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balance (p<o.o5).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odified quadriceps muscle of thigh isometric exercis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muscular strength and balance of low extremity extensor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the initial stage of total knee arthropl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