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近·現代의 韓國과 外國都市計劃史 比較硏究 : 韓國을 中心으로

        윤정섭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elaborated in the purpose of the thesis, it is seeking to extrac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planning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e ages and regions from the primitive age through to the modern age covering the oriental and occidental area of the world. Because it is expected that now is the time to set the orientation of urban planning in Korea, this thesis aims at the case study of the oriental and occidental urban planning with the particular relevance to the Korean urban planning history between the Lee-dynasty and the modern age and the urban structure as such. By the way, this study shall not be confined simply to collecting and summing up the available materials of the process of development which earlier urban plannings have followed. But, with a thorough grasp of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of above findings, the major purpose of this thesis is another trying to shed light on urban planning in general, and extract some valuable contents which are especially applicable to Korean urban plann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ypical metropolis or primate cities at the modern age and contemporary age respectively, is made as follows: In case of the modern age Hangang under Lee-dynasty and Peking under Ming and Chung dynasty are taken as representive cities of the same age but different region. And again Hanyang under Lee-dynasty and Paris at the middle age, as representative cities of the different times and different region at contemporary age, Seoul and Tokyo are compared as representative cities of the same age but different region. Seoul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London post 2nd World War are compared as representative cities of the different times and different region. - Hanyang and Peking: An brief abstract of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as above reveals the followings: Both Hanyang and Peking the modern age being the capital cities under feudalism, both: show symmetric order in their urban pattern, with emphasis on the central axis around the royal palace. And the site or the location were deliberately taken on the basis of ground configuration theory (風水地理說). These features are apparent especially in Peking. In this respect, it may be generally accepted that cities and citadels of Korea and Japan are very much influenced by those of China. But while adimitting this, the Korean overlaped much more liberal variations on the Chinese architype, when compared with rather naive and stiff variation which the Japan did. And the Chinese seems to hold excessively fast to their geometric layout of the public facilities. -Hanyang and Paris : Both cities, planned as primate city, were closed-type having citadel around it. The citadels of Hanyang have been preserved even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but in case of Paris, manifold citadels were constructed constantly to accomodate the population growth. Both cities were political ones under the royal sovereignty, but while the topographical condition of Hanyang constricted the city expansion, Paris, having the advantage of being located above plain area, was to expand rather with ease. So the street network was ring-radial-shaped, and the city development was appeared mainly along the riverside of the Seine. -Seoul and Tokyo: Seoul after the Liberation, went through so-called dark age in urban planning, and it was not until 1952 when the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in the contemporary sense was worked out. On the other hand, Tokyo, although left as total ruins after World War II before long put on a quite a modern aspect by a series of active performance of the land subdivision work and thus grew to the regional metropolis having over 10 millions of population. Its rapid recovery was made possible by accumulated base since early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now, its progress in urban planning well ranks with the metropolis of Europe and United States. -Seoul and London: Many common features are to be found between the two cities, and similar urban planning techniques are applied such as their evolution to the regional metropolis and the designation of green belt-surrounding city. As revealed in the above abstrac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t seems undeniable that Korean urban planning has been influenced by that of China in the past, and by those of Japan, Europe, and U.S.A. up to now. But we must take great care to avoid injudicious and rash adoption of the principle, technique and philosophy of urban planning of those advanced countries. By assimilation of their merits on the one hand, and by revitalization of the unique merits and tradition of Korea on the other hand, Korean urban planning shall find a breakthrough in shaping and remoulding the urban space in the near future. Then in return, it can provide planners of other country with rich materials of Korean case study. Hereby, let me conclude this theis with that hope.

      • 한국 여성의 地方議政 참여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윤정섭 西江大學校 經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presents the measures to increase women’s entry into regional assemblies and to vitalize theirparticipation within the greater context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olitics. Towards this end, Korea’s autonomous regional entity system,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realities of women’s entry into regional assemblies, structural problems and initiatives for improvement were examined. As for the enhancement of female representativeness, increase in the number of female leaderson the political and systemic levels and systems developed from the gender cognition aspect emerge while the structure of population changed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 and while women’s economic activities are becoming active. Likewise, women’s status in the society is changing,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Moreover, elements such as the efforts made by the citizens’ groups on the cultural level, advance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women’s increased education levelare leading to increase participation by women in the autonomous regional entity system. The foremost change that took place in the 4th regional elections held nationwide on May 31 2006 is the adoption of system of public recommendation by political party, the medium constituency (electorate) system,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paid system and reserve candidate system when it comes to the basic assembly. Along with these structural improvements, political parties too recognize regional politics as every day life politics as well. Thus, greater number of women were recommended publicly under the regional district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compared to the regional elections in 2002. As for the policies that ensured increased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elections at the autonomous regional entities, they include expanded implementation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and revision of the election law to specify system of allocating women. As such, 13.7% whichtranslates into dras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women select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resulted in the regional elections held on May 31, 2006. However, entry of women into the regional assemblies is still at the level of developing nations. Accordingly, the following are the set of initiatives required to overcome obstacles that impeded women’s participation in thepolitics, and to vitalize participation; ①hange in the awareness of the voters, ②urning the system of allocating public recommendation for female candidates withinpolitical parties into reality, ③evelopment andexpansion of training to increase women’s ability to provide political leadership, and, ④ncreased support for the female politicians. Towards this end, active efforts by each political party, government and women are needed. 본 연구는 여성의 정치 참여라는 맥락 아래 지방 의회를 중심으로 진출과 의정활동 참여 확대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와 여성의 정치 참여, 지방의회에서의 여성 진출 실태, 제도적 문제점 및 개선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여성대표성 향상의 배경은 정치·제도적으로 여성지도자의 수가 증가하고, 성 인지적 관점의 제도들이 등장하였고, 경제·사회적으로 인구구조가 변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위치가 중요하게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화적으로 시민단체의 노력,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여성의 고학력화 등의 요인들이 지방자치제도에 있어 여성의 참여 향상을 가져오게 하였다. 지난 2006년 5월 31일 실시된 제4대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기초의회에 정당공천제, 중선거구제, 비례대표제, 유급제, 예비후보제의 도입이다. 이러한 제도적 개선과 함께 정당들도 지방정치를 생활정치로 인식하여 2002년 지방선거 때보다 보다 많은 여성들을 지역구와 비례대표제에 공천하였다. 지방자치선거에서 여성 참여 향상을 가져온 정책으로는 비례대표제의 폭넓은 시행과 여성할당제의 명문화를 선거법개정에서 실현시킴으로서 2006년 5·31지방선거에서 예년에 비해 여성 당선자가 대폭 증가된 13.7%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하지만 우리 지방의회 여성진출은 여전히 후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정치참여 장애 요인을 극복하고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써 ① 유권자의 의식변화 ② 정당 내 여성후보 공천할당제의 현실화, ③ 여성의 정치지도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의 개발 및 확대, ④ 여성정치인의 지원확대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각 정당과 정부, 그리고 여성자신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Study on the evolutionary patterns of product : agent-based simulation approach

        윤정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술혁신의 발생 주기가 짧아지면서 기술변화와 그에 따른 산업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많은 예측 연구들이 기술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로 인한 산업의 탄생과 같은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들은 산업이 변하는 과정에서 기업이 산업에서 성공적으로 생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려는 시도도 하였다. 그러나 점차 산업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산업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워졌다. 이에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한 방법 중 하나는 복잡계 시스템의 성질을 보이는 산업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생물진화와 유비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생물진화논리 중 하나인 다윈주의는 모든 복잡계의 진화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존 연구들은 다윈주의의 핵심인 점진적인 변이, 선택, 그리고 전승 프로세스를 제품의 진화프로세스에 적용하기 위한 합의점을 찾으려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제품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자로 기업과 소비자를 정의하였다.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제품의 진화과정에서 기업과 소비자의 의사결정루틴이 제품의 발현을 결정하는 유전형이며, 발현된 제품은 표현형으로 정의한다. 유전형과 표현형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진화적 패턴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산업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진화시스템을 정의하고 이를 분석하여 산업의 변화의 동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제품진화시스템으로 제품의 진화 패턴을 도출하여 제품이 속한 산업의 변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2) 산업의 변화 과정 중, episodic change로 정의되는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의 동인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3) 어떠한 역량을 행위자가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을 촉발하는가?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진화 연구는 현상 규명에 집중하기 때문에,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실증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제품의 진화과정을 행위자기반모형으로 모사하여 제품의 진화 패턴을 확인하고, 시나리오에 따라 산업의 변화가 달라지는 양상을 도출하고자 한다. 행위자기반모형은 기업과 소비자 등과 같은 행위자들의 의사결정과 이들 간 상호작용에 의해 환경이 변하는 과정을 보이는데 적합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행위자기반모형은 기업과 소비자의 의사결정루틴과 그들의 역량에 의해 제품이 발현되고, 그 결과가 산업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제품의 진화 생태계를 정의하고, 진화 생태계 내에서 발생하는 제품의 진화 패턴을 정리한다. 또한 제품진화 프로세스를 모사하는 행위자기반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의 행위자기반모형에서 다룬 의사결정프로세스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제품진화패턴 중 제품혁신의 우연성을 설명하기 위한 굴절적응, 행위자들 간 공진화를 설명하기 위한 유전 정보 전이, 새로운 산업으로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episodic change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이를 한국의 휴대폰 사례에 적용하여 규명한다. 4장에서는 episodic change를 추동하는 요인인 episodic event를 기술적변화, 제품의 종분화, 그리고 생산자의 변화로 정의하고, 한국의 휴대폰 산업에서 나타난 episodic event들을 확인한다. 4장의 결과는 휴대폰 산업이 피처폰 산업에서 스마트폰 산업으로 전환될 때 발생한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며, 이러한 변화는 누적적인 사건들의 합에 의한 것임을 규명한다. 5장에서는 제품진화환경의 행위자인 기업과 소비자의 역량이 episodic change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Episodic change에서 신규진입기업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업의 역량은 신규진입자의 사전 경험을 통해 정의되며, 소비자의 역량은 제품 종류에 대한 정보 획득 양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는 제품의 진화 패턴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고, 변화 속도가 가장 빠른 제품 중 하나인 휴대폰의 진화 패턴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물진화에서 나타나는 일부 패턴들이 제품 진화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향후 제품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산업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진화적 논의가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휴대폰 산업에서 피처폰이 스마트폰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episodic change임을 확인하고, 전환과정에서 나타난 기술적 변화, 제품의 카테고리의 변화, 그리고 신규진입기업의 출현이 episodic change를 발생시키는 episodic event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품진화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행위자기반모형을 통해 기업의 사전 경험의 유형과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 역량이 episodic event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산업의 변화를 촉발하기 위한 기업 전략과 산업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신산업육성 및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제시된 행위자기반 모형은 향후 경제 발전 연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으로도 확장될 수 있으므로, 미시수준의 복잡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제 성장을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echnological change has been accelerated and the forecasting and prediction of the industrial change becomes hard, new attempts have risen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survival in the industry. One of the approach is the evolutionary approach, which considers the industry as the complex system and analyzes the system by analogies with the biological evolution. Analogies with the biological evolution has been applied to the research on the product evolution. The product is regarded as evolving entity in the ecosystem composed of economic agents such as firms and consumers and their interactions that caus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long with the stream of the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 new approach to predict the industrial change by using the concept of the evolutionary patterns of products. As the studies on the product evolution have limitations on the empirical case study only presenting the phenomena, this research uses the agent-based simulation model for the product evolution. The agent-based simulation model is helpful to interpre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gents such as firms and consumers and their sequential impact on the evolution of products. This research constructs the ecosystem of the product evolution and reviews the evolutionary patterns of the products and the simulation methodologies in Chapter 2. The empirical findings on the evolutionary patterns of the products are presented in Chapter 3, focusing on the three important evolutionary patterns for the industrial change—exaptation, genetic information transfer, and episodic change.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the episodic change that drives the emergence of the new industry, the driving forces for the episodic change are defined as the episodic events and investigated by the example of the Korean mobile phone market in Chapter 4. Following the empirical studies, the role of the capability of the economic agents on the industrial change is identified by using the agent-based simulation model in Chapter 5.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help to expand the range of the research on the product evolution. As this research confirms the applicability of the biological evolution to the product evolution, the industrial change is expected to be predicted by the evolutionary patterns in the product market. Furthermore, focusing on the episodic change, the industrial change, the emerging patterns of the episodic change are investigated, and the capability of the agents affecting the variation and selection of products is also significant to emerge the episodic change as the simulation results present.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evolutionary patterns and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models help the decision-makers in firms and the government set up the industrial policy and market policy to enhance the competence.

      •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요인과 인식 분석 -초등학교와 대학교 평생교육 참여자를 중심으로-

        윤정섭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 중 초등학교와 대학부설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성인학습자의 참여 요인과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초등학교와 대학교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참여요인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그리고 이를 두 유형의 성인 학습자들은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연구를 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평생교육 참여 학습자의 인적사항에 관련된 6문항, 참여 실태와 동기에 관련된 14문항, 평생교육 인식에 관한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성인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수원과 주변 지역의 20세 이상의 남녀 성인 학습자로서 학습자가 본인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성인교육기관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총 360부를 배포하여 304부를 회수하여 84.4%의 회수율을 보였다. 배포는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서 회수하거나 기관 실무자의 도움을 얻어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윈도우용 SPSS 11.5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수집된 측정값을 평생교육 참여 기관별,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가정의 월 수입별로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 X²검증, t-검증, F-검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 참여 요인에서는 초등학교 평생교육 기관 참여 학습자의 경우는 지속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해 왔으나 대학부설 평생교육 기관은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학습자들은 평생교육 참여시 프로그램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 그러므로 기관별로 학습자의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설해야 한다. 기관별로 초등학교 평생교육은 학습자의 참여도와 맞추어 취미와 여가교육에 대학부속 평생교육기관은 전문성과 자격증 취득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학습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기관에 상관없이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60대 이상의 학습자의 만족도가 떨어진다. 사회의 발달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사회적 추세에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정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시키기 보다는 고령화 인구가 갖는 젊은 층과는 다른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에 맞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평생교육에 관한 인식으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선택 시 두 기관의 평생교육 학습자 모두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을 가장 우선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의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동기유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직업군의 요구와 평생교육 참여 비용이 만만치 않은 평생교육으로부터 소외받은 저소득층이 저렴하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되거나 재정적 지원방안이 필요하겠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학습자들은 학습 참여 시간 부족과 인근 지역 내 교육시설의 부족, 교육비의 부담을 평생교육의 문제점이라고 지적을 하였다. 학습 참여 시간 부족은 평생교육 기관 수강자의 95.2%가 여성임을 감안할 때 육아나 탁아시설에 관한 문제의 해결이 가장 우선시 된다. 그리고 인근 지역 내 교육시설의 부족은 지역사회에 많이 있는 초등학교 시설을 평생교육을 원하는 학습자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 개방하여 평생교육 기관으로 동참을 시키면 훨씬 많은 잠재학습자들이 평생학습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 사물(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과 사군자(인삼, 백출, 복령, 감초)의 환제형 유통활성화를 위한 인지도 조사연구 : 사물과 사군자의 환유통 연구

        윤정섭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한약은 오랜 세월 사람들의 보양식으로 복용되어 왔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는 그 편리성과 검증된 약효, 양약이 주는 부작용에도 한약보다 양약이 더 사랑을 받고 있으며 좀더 다양화된 양약으로 인해 젊은세대로부터 한약은 점차 외면당하고 있고 구세대에서도 다양한 양약의 보편화로 환영받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세태에 좀더 다양한 방법으로 한약을 알리고자 환의 형태로 가공한 한약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진 탕이나 다시마, 홍화, 어성초등 한가지 약재로 만든 환만 판매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의 연구를 토대로 사물과 사군자환의 소비자 인지도 및 유통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응답자의 85%정도가 사물탕, 사군자탕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고 잘알고 있다고 답하여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사물탕, 사군자탕에 대해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2. 사물탕, 사군자탕의 효능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55%가 효능에 대해서는 알고 있다고 답하였고, 반면에 모르겠다라고 답한 사람이 45%로 관심은 많지만 정확한 효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모른다고 할수 있었다. 3. 사물탕, 사군자탕의 효능에 대해 55% 이상이 알고 있으나 그 효능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질문하였다. 응답자 중 35%가 당뇨에 효능이 있다고 답하였고 그 다음이 고혈압(20%), 비만(18%), 암(14%), 혈액순환 및 원기회복(13%)에 효능이 있다고 답하였다. 4. 사물탕, 사군자탕을 환으로 만들면 어떠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8% 정도가 환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였고 탕(40%) 보다 환을 좋아하는 응답자가 18% 정도 높게 나타났었다. 5. 제형의 형태에 대해 환이 좋겠다고 답한 응답자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어서(37%), 복용하기 쉬워서(31%), 보관하기 쉬워서(25%), 그리고 휴대하기 편해서(7%)의 순으로 나온 것을 알수 있었다. 6. 사물환, 사군자환의 판매에 관한 조사에서 한약업사(한약방)에서 구입을 하고 싶다는 것이(66%), 한의원(30%), 한방병원(2%), 기타(2%) 순으로 많은 이들이 한약업사(한약방)에서 사물환, 사군자환 제품 구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앞의 설문조사 결과, 왜 한약업사(한약방)를 방문하는가 라는 설문조사에서 한약업사(한약방)에는 가격이 저렴할 것 같다(49%)와 신뢰가 가서(38%)라는 답변이 주를 이루었고 청결해서라는 답변은 13%를 차지하였다. 소비자들의 반응은 사물과 사군자의 인지도는 좋으나 그 효능에 관한 이해는 많이 부족해서 소비자들에게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탕보다는 환을 선호하고 쉽게 구입할수 있도록 한약업사(한약방)를 통해서 유통이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결하게 해서 위생적으로 판매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한방식품의 과학화에 중요한 과제이다.

      • FMEA를 활용한 철도사고분석 및 중점안전관리 항목 도출방안 : 궤도결함으로 인한 탈선사고를 중심으로

        윤정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안전한 교통수단으로 인식되고는 있지만, 사고는 계속 발생되고 있다. 많은 하위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철도시스템의 특성상 사고위험을 완전히 방지하기는 어려우며, 철도사고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하나의 사건으로 표출되기 때문에 사고의 근원적 예방을 위해 사고모드를 분석하고, 사고모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FMEA(Failure Mode Effect Analysis:고장형태와 영향분석) 위험도 평가기법을 통하여 철도사고·장애 발생현황을 분석하고 중점안전관리항목 도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위험도 기반의 철도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궤도결함으로 인한 철도사고·장애 발생현황을 분석하고, FMEA를 활용하여 시트를 작성, 사고·장애 발생 원인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수치화함으로써 안전관리 우선순위를 정하고 코드화한 중점관리항목을 도출함으로써 철도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시설물 중점안전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사고·장애 발생 위험요소에 따라 중요도 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체계적인 안전관리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 함께 중요도가 높은 요소에 따라 중점적 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안전관리 활동이 수행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sugges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railway accident ∙ failure through FMEA(Failure Mode Effect Analysis) technique and to present the priority safety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analyzes the railway accident ∙ failure caused by defects in the track, to create a sheet using the FMEA, and the accident ∙ failure cause derives priority management items that are encoded with a safety management priority to quantify quantitatively the importance, present the priority safety management method.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importance of risk factor ​​are different It is believed to be performed efficiency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factors of high importance with database building.

      • 대전광역시 공동주택의 발전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윤정섭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 나라 전체 주택 중에서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52.7%이고, 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을 포함한다면 훨씬 더 많은 국민들이 공동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전시의 경우도 1971년도에 중구 지역에서 168세대의 공동주택이 건설된 이래 2009년말까지 총 319,500세대가 건설되므로써, 전체 주택 수 대비 77.5%가 공동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동주택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아파트만 하더라도 67.0%이다. 이와 같은 아파트 건설의 수요‧공급증가의 의의를 살펴 보면, 첫째는 아파트의 대량건설은 국내 건설 산업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전기를 마련하였고, 둘째는 아파트 건설은 우리들의 주거 생활양식을 변모시키는 선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2019년부터는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더불어 주택 수요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은 우리 나라도 주택 수요가 줄어 부동산 시장이 장기 침체에 빠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급격히 늘어날 독신자‧맞벌이 부부의 주거선택이 주택시장 판도를 크게 좌우할 전망이다. 독신자‧맞벌이 부부가 편의성을 중시하여 교외의 넓고 쾌적한 주택보다는 출퇴근 시간이 덜 들고 문화‧편의시설이 많은 도심지역을 선호하고 있다. 은퇴 계층도 기존 주택을 처분한 후 노후자금을 마련하고, 그 대신 주택가격이 저렴하면서 역세권이 좋은 시내 중심가로 소형주택을 찾아 이주하려고 할 것이다. 미국에서도 자녀를 결혼시킨 부유층들이 넓은 교외주택을 팔고, 주거‧편의시설‧직장이 밀집되어 있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를 찾아 이주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공동주택은 가용 토지가 부족한 우리 나라의 경우 반드시 필요한 시대적 산물임에는 분명하며, 앞으로도 국내 건설시장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공동주택을 웰빙(Well-bing)하기 위한 첨병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택정책적, 건축계획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많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공동주택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히 공동주택에 대하여 역사적‧체계적으로 발전과정이 정리된 바가 아직 없기 때문에, 대전시의 공동주택 발전과정을 사례로 정리하여 보고자 한다. 아울러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공동주택 문화의 새로운 트랜드를 설문지조사를 통하여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도시의 공동주택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의 범위를 정하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공동주택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로써 공동주택의 의의와 주택시장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우리 나라 주택정책의 변천과정을 각 정권의 시대별로 특징을 살펴 보았다. 나아가 오늘날 주택시장의 현실을 알아보고, 향후 주택시장의 새로운 트랜드로 출현할 가능성이 큰 콤팩트시티의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한국 주택공급제도의 변천과정을 살펴 보았다. 제3공화국 이후부터 현 정부에 이르기까지의 주택 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 보았다. 우리 나라의 주택정책은 1960년대 이후부터 일관되게 규제와 완화를 번갈아 시행하면서 유지되어 왔다. 이와 더불어 경제 활성화와 발맞추어 그 기조를 함께 하여 왔다. 그러다보니 지방에서도 주택이 중앙정부의 주택정책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제Ⅳ장에서는 대전시의 일반적인 현황과 여건들을 사려 보았다. 대전시는 앞으로 철도교통(KTX)의 중심축으로써, 또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인근 거대도시로써, 또 국토의 중심지로써 향후 새로운 거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큰 지역이다. 제Ⅴ장에서는 대전시의 공동주택의 발전과정을 시대별로, 지역별로 살펴 보았다. 그리고 주상복합아파트, 임대주택 등의 실태도 살펴 보았다. 지역‧시대별로 발전과정의 특성을 살펴 보면, 우선 지역별로는 초창기에는 도심지 주변인 동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공동주택이 증가하다가, 차츰 서구 둔산동 쪽으로 건축의 붐이 이동하다가, 마지막으로는 유성구 노은동 쪽으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또다시 도심지가 재개발되면서 시내의 중심가 쪽으로 공동주택의 건축 붐이 일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제Ⅵ장에서는 대전 시민들의 공동주택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를 통하여 알아 보았다. 특히 공동주택의 발전요인을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으로 나누어 설문지 분석을 하였다. 그결과 첫째로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한 의식을 보면 만족보다는 불만족이 많았고, 중앙정부 보다는 지방정부가 조금 불만이 적게 나타났다. 이는 일선 지방정부가 시민들의 기대에 더 호응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로 주택공급가격에 있어서는 매우 불만스럽게 나타났다. 공동주택 공급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의미이다. 셋째로 주택의 규모(크기)에 있어서는 불만과 만족이 보통을 포함하여 큰 편차는 보이지 않고 있다. 넷째로 주택의 층고(높이)에 대해서도 불만과 만족이 보통을 포함하여 큰 편차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섯째로 주택의 입지에 있어서는 비교적 만족한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로 임대주택에 대한 의식에 있어서는 불만족의 편이 조금 많게 나타났다. 일곱째로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의식은 불만과 만족이 보통을 포함하여 큰 편차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시작한지도 얼마 안되었을 뿐만 아니라, 홍보가 덜되어 있는 것 같다. 여덟째로 주택재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 만족도도 불만과 만족이 보통을 포함하여 큰 편차는 보이지 않고 있다. 아홉째로 향후의 공동주택의 형태로 아직까지는 공동주택을 가장 성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번째로 공동주택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편리한 생활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그 다음이 매매의 수월성을 들었다. 열한번째로 현재 대전시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둔산동‧노은동‧월평동‧송촌동‧관평동‧관저동 등의 순인데, 그 이유로는 교육시설‧교통‧문화시설‧생필품구매시설 순이었다. 열두번째로 앞으로는 어느 지역이 대전시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예상되느냐는 질문에는 둔산동‧노은동‧서남부권(도안동)‧관평동‧관저동‧월평동‧신탄진‧가오동‧학하동‧은행동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의 살기 좋은 곳의 지역과는 차이나 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지역이 살기 좋을 것이라고 한 이유로는 교통‧문화시설‧교육시설‧생필품구입시설 순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도 현재의 살기 좋은 지역의 선호도와는 차이가 나는 현상이다. 대전시의 공동주택 발전과정과 이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조사를 하여 본 결과, 공동주택단지가 한 싸이클을 이루면서 지역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지금은 도심지를 향하여 서서히 이동하려고 하는 준비 중에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과거와는 다른 공동주택의 형태들이 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주상복합아파트, 오피스텔, 원룸, 도시형 생활주택의 출현 등이 그것들이다. 시민들의 공동주택에 대한 인식도 바뀌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과거에는 자산증식의 수단으로써 가치나, 교육시설 등을 찾아 보다 큰 평수의 공동주택을 찾아서 다녔지만 지금은 보다 교통이 편리하고, 문화시설이나 병원들이 가까이에 있고, 생필품구매시설 등 각종 서비스시설이 가까이에 입지하고 있는 주택을 선호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하면서 대전시의 공동주택이 발전되어 가는 공간적 축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공동주택의 선호 형태도 바뀌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대전시에서는 현장감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시민들이 원하는 공동주택의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