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유산관광지 커뮤니케이션수단의 태도변화 분석 : 만족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자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문화유산관광지에서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이 관광객에게 에듀테인먼트 즉, 즐거운 배움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설득 커뮤니케이션수단으로서 역할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체험프로그램의 체험성과 문화유산관광지 만족 및 태도변화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득 커뮤니케이션, 문화유산관광지 체험성, 만족, 태도변화에 대한 이론고찰, 예비조사와 1, 2차에 걸친 사전조사를 바탕으로, 수원 화성행궁에서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체험프로그램의 체험성 요인이 문화유산관광지에 대한 방문 만족에, 만족이 문화유산관광지 방문에 대한 태도변화에, 체험성이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론적으로 문화유산 체험프로그램은 관광객의 문화유산관광지에 대한 방문 만족을 증가시키며 나아가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중요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는 관광객의 재방문, 관련 유산지 방문, 추천 등의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행동적 태도변화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즐거움과 진정성 요인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유산 체험프로그램 체험성 중 관광객의 문화유산관광지 방문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정성, 즐거움, 배움호기심 순이며, 이탈유대감(이탈감과 유대감)의 경우 본 연구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문화유산관광객은 이제 더 이상 문화유산관광지 체험활동에서 일상에서 벗어난 느낌이나 동반자와의 유대감의 증가를 경험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를 통하여 문화유산 체험프로그램은 관광객들의 문화유산관광지 방문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문화유산관광지 방문에 대한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논의되어왔던 만족과 태도변화 간의 관계를 한 번 더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결론은 문화유산관광 분야뿐 아니라 다른 관광분야에서도 체험이 관광객의 만족 및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문화유산관광에 있어 체험프로그램은 관광객에게 즐거움과 배움을 제공함으로써 만족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제 행동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행동적 태도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진정성 요인은 중요한 변수로 다뤄져야 하며, 근본적으로 문화유산관광지에서 진정성 있는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설문조사가 화성문화제 기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축제의 영향이 조사결과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문화유산관광지의 관광객이 주로 어린 자녀를 동반한 가족단위가 많기 때문에 직접 체험자(자녀)와 설문조사자(부모)가 다른 점이 한계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관광일반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새로운 ‘문화유산관광지 체험성 측정척도’를 제안하였으며, 체험성과 만족, 태도변화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for identifying the role of participation programs at cultural heritage site as persuasive communication tool to deliver edutainment to tourists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done at Hwaseong-Haenggung located in Suwon, and total 254 of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ourists who participated in on-site program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ffects of ‘on-site experience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on attitude change’ and ‘on-site experience on attitude change’ were determined.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At first, consequently a participation program at cultural heritage site is an important persuasive communication tool to increase tourist's satisfaction and positive attitude change toward the destination. Especially, to derive behavioral attitude change which has a strong chance to extend to a real action - revisit, visiting other related destination, recommendation etc. - into positive direction, ‘entertainment’ and ‘authenticity’ factors should be managed importantly. Secondly, the important factors of participation programs affected to satisfaction of visiting cultural heritage site are ‘authenticity’, ‘entertainment’ and ‘learning-curiosity’ in order. And in case of ‘escape-fellowship’, since it was nonsignificant in this study, it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heritage tourists to experience the sense of escape from daily life or fellowship with companion at cultural heritage site any more. Lastly,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participation program at cultural heritage site affects the satisfaction of visiting the destination, but also the attitude change toward the destination. Through these results, participation program at cultural heritage site increases tourist's satisfaction, providing edutainment. In addition, authenticity factor which affects attitude change equal to real action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experience factor, and basically it is assured that providing authenticity at cultural heritage site is fundamental.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follows. Since the survey was done during the Suwon Hwaseong Cultural Festival, it may have aff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ly,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heritage tourists who visit often with young children might not be a participant. Thus it might be inappropriate to generalize these results to other tourism fields generally. Nevertheless, this study provided a new scale to measure on-site experiences at a cultural heritage site,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on-site experience, satisfaction and attitude change.

      • 반도체용 특수가스 누출 시 대기확산모델링 분석

        윤자연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제 시장에서 한국의 반도체 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따라 반도체용 특수가스의 사용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산업에서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는 반도체용 특수가스에 대한 관리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용 특수가스의 경우 기업기밀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아 정보공개를 꺼리고 있어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문제점이 많은 현실이다. 하지만, 휴브글로벌 구미불산 누출사고 등 여러 가지 화학물질 사고를 통해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고, 2015년 1월 1일 이후부터 유해화학물질에 관리 및 취급에 관한 규제가 화학물질 관리법 및 화학물질 평가 및 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해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의 경제 발전에 주의를 기울여 반도체용 특수가스의 안전 관리에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또한, 국내반도체산업에서 사용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경우 소량누출에도 광범위한 피해를 미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반도체용특수가스 중 수입량 · 유통량과 사고통계 등을 분석하여 반도체용 특수가스 중 독성영향이 큰 모노실란, 포스핀, 디보레인을 선정하여 이에 따른 독성영향 거리를 산출하여 미국 교통국이 개발한 ERG book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호활동거리와 비교하였다. 또한, 반도체용 특수가스 저장탱크가 대부분 실내에 있는 것을 고려하여 실내누출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거리를 제안하였다. 영향범위를 산정하기 위해 사고영향평가 프로그램 ALOHA 5.2.6 과 DNV_GL사의 PHAST ver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기존에 연구가 잘 수행되지 않은 반도체특수가스물질을 대상으로 사고 피해범위를 예측하였다. 또한, 측정한 영향거리를 미국 교통국에서 개발한 있는 방호활동거리와 비교하였고, 반도체용 특수가스 저장시설이 주로 사업장 내 위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밀폐조건에 따른 영향을 측정하여 보다 한국에 적합한 영향거리를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용 특수가스를 취급하는 플랜트의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되어 사고발생시 피해를 저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지체·뇌병변장애인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에 관한 연구 :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활용

        윤자연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R&D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brain lesions by analyzing the required demands of assistive technology, analyzing factors which bring the difference of the required demand level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understanding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ferring ICF index.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paper were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brain lesions who have many potentialities to participate and act in society and have the various required demands. For this study, I have classified questionnaires to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objects of 81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brain lesions who are working or visiting in Independent Living Center for the disabled and its related institutes or associations in Seoul, and the selection was referred from data『A research for required demand of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for old & feeble persons and the disabled』which was researched by the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 frequency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gett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the required demand level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required demand level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ccording to disability properties and situation of using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in difficulties on each par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anipulation on using cellular phone & telephone(2.65), walking on different surfaces on walking(3.72), using manual wheelchairs on moving around using equipment(2.58), riding buses on moving around using transportation(3.19), caring of toenails on caring for body parts(3.59), taking medicines on maintaining ones's health(2.36), shopping of traditional market in shopping(2.72), peeling the fruits & vegetables on preparing meals(2.35), using household appliances without the remote control in doing housework(2.35), complex economic transactions in economic life(2.28). Second, the result of the required demand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on each par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that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moving around using transportation was 30.7%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moving around using equipment was 17.0%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doing housework was 10.6%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walking was 10.3%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preparing meals was 8.2%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using cellular phone & telephone and caring for body parts were each 7.7%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shopping was 5.3%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economic life was 2.1% of all required dem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maintaining ones's health was 0.4% of all required demand. Third,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the required demand level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mong disability properties and situation of using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using level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tatistically (p<.05).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biggest difficulty they have in thei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s in walking and moving and we found out that required demands for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their moving and transportation are increasing. Therefore, we think R&D for various and wide range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s required primarily to help moving for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brain lesions. And not only for the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brain lesions who have many chances to participate and act but also for those who has less chances and other disabled persons, continuous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to find required demand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ir daily lives. In conclusion, we could understand what are the requir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their daily lives through this study. The date from this study anticipate to be used as useful and practical resources reflecting needs of disabled people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urther, it could be utilized to understand demand of customers in the industr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본 연구는 활동과 참여의 기회가 많고 다양한 요구수요를 가지고 있는 지체·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를 활용하여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에 대한 어려움 정도를 파악하고,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 분석과 함께 요구수요 수준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 지체·뇌병변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의 『노약자와 장애인의 재활보조기술 요구수요』중 서울에 소재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장애인복지관 및 협회에 근무하거나 이용하는 지체·뇌병변장애인 총 81명을 대상으로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문항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의 어려움 정도는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는 범주화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특성과 보조공학기기 사용현황에 따른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 수준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영역별 주된 어려움을 살펴보면, 휴대폰·전화기 사용에서는 조작하기 2.65, 보행에서는 상이한 지면 보행 3.72, 장비를 이용한 이동에서는 수동휠체어를 이용한 이동 2.58, 운송수단을 이용한 이동에서는 버스를 이용한 이동 3.19, 신체 일부 관리에서는 발톱관리 3.59, 건강유지에서는 약 먹기 2.36, 쇼핑에서는 재래시장 쇼핑 2.72, 식사준비에서는 과일·야채껍질 벗기기 2.35, 가사돌보기에서는 기타 가전제품 사용하기 2.35, 경제생활에서는 복잡한 경제활동 2.28로 나타났다. 둘째,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 결과, 운송수단을 이용한 이동 관련 보조공학기기 30.7%, 장비를 이용한 이동 관련 보조공학기기 17.0%, 가사돌보기 관련 보조공학기기 10.6%, 보행 관련 보조공학기기 10.3%, 식사준비 관련 보조공학기기 8.2%, 휴대폰·전화기 사용 및 신체 일부 관리 관련 보조공학기기 각 7.7%, 쇼핑 관련 보조공학기기 5.3%, 경제생활 관련 보조공학기기 2.1%, 건강유지 관련 보조공학기기 0.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장애특성 및 보조공학기기 사용현황에 따른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 수준을 분석한 결과, 보조공학기기 사용수준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지체·뇌병변장애인은 보행과 이동에 있어 가장 많은 어려움이 있고,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는 운송수단 및 장비를 이용한 이동에 있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지체·뇌병변장애인의 대중교통과 같은 이동수단을 위한 다양하고 폭넓은 보조공학기기가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활동과 참여의 기회가 극히 제한된 지체·뇌병변장애인과 시각 및 청각장애인과 같은 다른 장애유형에 대한 일상생활 보조공학기기 요구수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지체·뇌병변장애인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장애인의 요구를 반영한 실용적인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공학기기 산업에 소비자의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농식품 브랜드 인지도 및 선택속성에 따른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대형마트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윤자연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 research on preference research on agrifood product brand awareness and selection property focusing on the customers of the large markets in Seoul area. Since 2000, the single household increased by 23.9%, and according to the future household estimation, the single household is estimated to increase by 34.3% by 2035. Therefore, based on this tendency with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integrated, the purchase behavior would change more. Based on the tendency, the awareness about agrifood and the agrifood demand would change upon FTA. In this respe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on the customer awareness about agrifood(fresh food, processed food) sold in large markets and which factor they regard as important when purchasing the products at retail stores. This study has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background, purpose, range, method,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study and advanced research. The second chapter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general theory about brands,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distribution markets(large markets, super markets, department stores, convenience stores), the purchase theory depending on agrifood selection property, and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 customer type. The third chapter suggest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of the study. The forth chapter conducted a survey through the study model and hypothesis set in the chapter 3. The number of the questionnaires was 300, but the sample analysis was conducted for 265 due to the failure of collecting. The analysis used quota sampling using non-probability sampling,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the random sampling survey. This chapter explains about the design, data collecting method and questionnaire composition method, and stated the result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actual proof analysis(population statistics analysis, preference analysis, factor analysis). In the fifth chapter, according to the summary and conclusion of the study, the customer showed a lot lower the fresh food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than the processed food brand, because the large companies produce the processed food and they have systematic advertising and promoting strategies. Therefore, the fresh food brand lacks marketing strategy and branding, and they needs to improve the brand vitalizations as the preference of the fresh food brand is remarkably low. Therefore, the points this study lacks are recommended to have further studies in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rther study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