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사회에 있어 소통을 통한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윤인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그간 연구되어온 미술관의 교육 기능에서 출발하여 미술관의 소통을 통한 교육적 기능와 역할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미술관이 사회전반에 걸쳐 논의되고 있는 역할과 사회적 가치에 대해 재고하고, 현대에 들어와 대두되고 있는 미술관과의 ‘소통’이라는 맥락을 통해 제기 될 수 있는 현대 미술관의 기대욕구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오늘날 중점적으로 고찰 되는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고, 현재 수행하는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교육 활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자는 소통을 통한 미술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게 되었다. 첫째, 미술관의 매개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현대적 미술관의 개념에서 더 나아가 미래지향적 미술관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미술관은 방문객과 소통할 수 있는 매개자이며, 다양한 서비스를 강화하면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레지던스 프로그램과 교육활동을 통해 국제 교류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미술관의 교육 효과를 얻는 것이다. 둘째, 미술관 조직에 교육 전문 부서를 편제하여 운영해야 한다. 현재 관람객 유치가 가장 중요하며, 만약 교육부서가 전문화된다면 마케팅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미술관에 전문적 지식을 가진 ‘미술관 에듀케이터’를 도입하여 미술관 교육 업무를 맡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작가, 관련 전공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시급하다. 앞으로 그들이 국제적인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세미나, 강연 등 교육 지원과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술관의 본질인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통과 교육적 역할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이유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미술관이 되기 위한 것이다. 국내 미술관에서 교육은 존재하지만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참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그 원인으로 소극적인 교육 활동과 교육 전문가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교육프로그램 구성이 부족하고, 지역사회와 미술관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미술관의 교육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미술관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후속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우리 미술관 교육의 발전가능성을 기대해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role of art museum through 'communication' in society today. First of all, we have been reconsidered for the roles and social value of art museum through by general society, and could been deducted the desirable expectation by communicate with art museum in contemporary. Also, we considered the educational value, and investigated about the educational activity by particular program in society today. As a result, we can suggest the way of education of art museum by communication. Firstly, we have to make a opportunity for better education of art museum beyond the concept of general art museum by acceptance of perlocutionary characterization. The art museum is a mediator as a communication method with visitor, and we can have a promote effect by higher and various service for visitor. Also, we can have an educational effect in newly art museum by residence program and educational behaviors. Secondly, we have to manag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pecialty in art museum network. In now,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udience invitation, and if it is confirmed to specialize,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marketing to have a audience. Also, we need to have a specialized educator in art museum. Thirdly, the activation of retraining program for artist in local society and majored person are urgently needed. It must be activated to have a international specialist by seminar, lecture, educational supporting and international exchange. Lastly, we can achieve the educational value in essence of art museum by exhibition and interaction of educational progra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roles in art museum. Also, we can found the most important things of communication and roles of education by the result in this study. The important things mean active and enthusiastic. The education of art museum is existed, but it is not famous to a populace and still has shortage. In this sense, we realized that don't have any specialist for educational behavior. Also, the system of educational program is not good, we always need to have a developmental program for local area and art museum, have been research for activation. In this study, we will have a continuous research for developmental program for future oriented museum. We can have an expectation of developmental possibility for our art education in the long term.

      •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을 추구한 3인의 작가 되어가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윤인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을 추구한 세 연구 참여자의 '작가 되어가기' 과정과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해하고 이들의 경험이 제공하는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그동안 미술 영역과 교육 영역의 경계에서 서서 학습자이자 교육자로 살아가며 미술교육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거듭하였다. 또한 그 과정 중에 만난 다양한 성인학습자의 모습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대부분의 성인학습자들이 취미로 미술을 접하게 되지만 몰두하는 정도와 깊이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자는 특히 학습의 과정 중에 드러나는 진지하고 심층적 접근의 미술 경험에 주목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이 작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의 특성과 변화과정에 호기심이 생겼다. 최근 취미나 여가로 미술을 하고 '작가'가 되어 창작활동을 하는 추세가 늘고 있는 점도 이 연구의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새로운 경로를 통해 미술계에 존재를 드러내는 이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미술을 학습하고 성장하며 미술계에서 활동하며 뿌리를 내려가는지 학문적으로 논의할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퍼즐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취미 또는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을 접하기 전 가정과 학교 및 사회 속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미술 경험 양상과 작가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을 변화시켜 가는가. 셋째, 연구 참여자들이 스스로를 작가로 인식하는 과정과 삶의 전환 경험이 미술교육 분야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이다.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퍼즐을 맞추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미술을 취미 또는 여가로 시작하여 작가가 되는 과정에 대한 경험을 생생한 이야기에 보다 질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다. 2021년 4월부터 사전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2021년 10월부터 2022년 5월까지 본격적으로 현장 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었다. 각 연구 참여자별로 각 4회씩 1회당 최소 1시간에서 2시간의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가노트, 포트폴리오, 작품 사진,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 다양한 현장 텍스트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 내용을 반복적으로 청취하여 전사 작업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 주제를 둘러싼 이야기 된 경험을 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을 기반으로 통합적 계보를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들의 삶의 경험과 양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통합적으로 탐구하고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처럼 질적 연구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수행된 연구의 주제는 다음과 같이 해결되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 창작활동과 작가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연구 참여자들이 학교 교육과정 이후에 다시 미술을 접하게 된 계기와 상황은 각자가 살아온 삶의 전경과 관련하여 매우 다채롭게 나타났다. 김서영의 경우 학업 성취도가 뛰어난 학생으로 장래에 의대 진학을 목표로 하였으나 현실의 벽에 여러 번 부딪히는 계기를 통해 진로를 모색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대학 졸업 이후 생명과학분야 연구원의 꿈을 안고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나 결혼, 출산과 육아를 기점으로 이 마저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녀는 우연히 시작하게 된 미술 학습을 통해 내면의 열정을 쏟으며 삶의 의미를 재확인하였고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지태민은 미술에 줄곧 관심이 없었으며 미술 교과 또한 내신 성적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신경 써야 하는 과목 중 하나였다. 그는 학업 성취도가 뛰어났으며 특수목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찰대학에 합격했다. 대학 졸업 후 입직하였으나 경찰공무원이라는 신분으로 자신이 가진 자유로운 가치관과 생각을 공공연히 표현할 수 없다는 현실에 알 수 없는 답답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는 소셜 미디어에서 직접 쓴 글을 올리고 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소통을 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해학적인 글을 좋아하는 마니아층이 형성되었다. 지태민은 점차 자신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다층적인 성찰을 계기로 시각예술 분야인 디지털 페인팅으로 관심을 옮겼고, 꾸준히 독학한 결과 어느덧 미술 작가로 불리고 있었다. 진유화는 부모님께 순종하는 맏딸로서 어릴 때부터 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조용히 삼켜왔던 자신의 모습을 고백했다. 누구나 선망하는 좋은 대학을 졸업하고 좋은 회사에 입사했지만 가슴 한 켠에 늘 공허함이 존재했다. 그녀는 회사에서 인정받는 개발자였으나 답답한 조직 분위기와 기계 부품처럼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에서 삶의 염증을 느꼈다. 어릴 때부터 무언 가에 심취하여 탐구하는 것을 즐겼던 진유화의 관심은 색채 탐구로 연결되어 미술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이처럼 각자 작가로서 미술계에 진입하게 된 계기는 다양했으나 그 안에서도 접점이 되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모두 성인이 된 이후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재능을 발견하고 삶의 전환기에서 미술을 자신들의 삶 속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미술 경험 양상과 작가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자신의 삶을 변화시켜 가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이 각자의 삶 속에서 미술을 진지하게 인식하고 작가로 이행하는 과정과 진입 경로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그 과정에서 공통적인 양상과 맥락이 드러났다. 이들의 내러티브 요소를 토대로 '기대와 흥미', '탐색과 혼란', '미술 창작의 본질에 대한 고민과 탐구', '변화와 적용' 이라는 의미를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을 통한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변화 경험을 내재적·외재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 참여자들이 미술을 접하게 된 배경에는 개인적,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서 유기적 경험과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각각 삶의 전경에서 선택과 조율의 과정을 거쳐 본격적으로 미술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미술을 통한 삶의 변화 또한 내재적 관점과 외재적 관점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진지한 여가를 통해 미술에 더 가까워지는 데 기여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테면 '열정과 몰입, 미술을 통한 정화작용과 일상에서의 해방감, 즐거움, 노력과 도전, 편견에서 벗어나기'와 같은 내재적 변화와 '다양한 조형언어 탐구, 창작 기술과 형식 습득, 새로운 인맥의 형성, 타인의 칭찬과 인정, 외부로부터 관심'등 외재적 변화는 이들이 작가로 거듭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나아가 작가가 되는 과정에서 '자기이해와 성찰, 작업에 대한 고찰, 작가로서 부담과 책임감, 수익의 창출, 정신적 신체적 고통'등의 유의미한 경험의 양상이 도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자신들이 하고 있는 미술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반성적 성찰과 변화에 기반하여 작가로서 스스로를 정련하고 있는 특징에 다다를 수 있었다. 아울러 미술을 통한 내재적 변화 양상을 통합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유의미하게 드러나는 맥락을 찾아 미술에 대한 몰입도, 자기이해와 자기 표현의 변화 양상, 작가 정체성 형성 과정에 초점하여 논의하였다. 연구 참여자별로 변화 양상에 조금씩 차이는 있었으나 진지한 여가 활동의 특성과 이들 경험의 특성이 유사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진지하게 미술의 세계를 추구하고 몰입한 결과 미술계에 진입할 수 있었음을 상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미술에의 몰입, 자기이해와 자기표현, 작가로서 정체성 형성의 세 가지 맥락이 모두 미술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연구 참여자들 하여금 반성적 성찰과 변화를 통해 작가로 도달할 수 있는 진지한 여가의 전문화 과정임을 밝힐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이 스스로를 작가로 인식하는 과정과 삶의 전환 경험이 미술교육 분야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들의 최종 연구 텍스트를 통합하여 해석한 결과, 본 연구의 세 번째 퍼즐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이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을 추구하는 양상은 미술이 갖는 배타성에 대한 한계를 넘나들 수 있는 미술학습 경험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더불어 진지한 미술에의 추구는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스스로 동기와 열정을 촉진하는 학습의 실천적 행위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자기주도적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풍부한 성인 미술 교육과정의 구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미술교육자 또는 미술계와의 적극적인 소통과 촉진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술과 동떨어진 삶을 살던 연구 참여자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미술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배움의 창구가 되어주고 견인해주는 역할이 중요했음을 재고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을 단지 '취미 미술가'로만 한정하지 않는 인식을 통해 작가로 성장하는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논의한 내용을 통해 진지한 여가로서 미술 경험이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진지한 여가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 표현'과 '자기 이해'를 실현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학교 미술학습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할 수 있었다. 취미로 시작한 미술에서 작가가 된다는 것의 의미는 진정으로 그 세계를 탐구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미술이 지닌 고유성을 인식하고 자기 표현의 의미를 강화함으로써 삶에의 긍정적 효과를 드러낼 수 있었다. 나아가 미술을 둘러싼 배타성에서 벗어나는 노력을 통해 새로운 발전을 거듭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최근 현대 사회의 복잡하고 모호한 패러다임은 미술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매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는 미술계의 현상과 그 이면에 강한 배타성을 가진 주류 미술의 흐름에 대해 시사점을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전문 작가와 아마추어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 미술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교육적 의식은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성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