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기장대의 poltergeist 돌연변이 배경에서 선별된 두 개의 약한 지상부 결함 돌연변이들의 특성 규명

        윤영빈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애기장대의 poltergeist 돌연변이 배경에서 선별된 두 개의 약한 지상부 결함 돌연변이들의 특성 규명 윤영빈 지도교수 : 송상기 생명과학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돌연변이가 치사성이나 기관의 소실 등의 심각한 결함을 초래하는 경우, 부분적인 기능 상실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정교한 기능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poltergeist (pol) 돌연변이는 야생형 배경에서는 거의 발견되기 어려운 미약한 경단 분열조직 돌연변이를 선별하기 위한 적절히 민감한 배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pol-6 배경에 활성표지를 도입한 돌연변이 식물의 pool 에서 산발적으로 실 모양의 암술군을 형성하는 열성돌연변이인 filamentous gynoecium-1 (fig-1) pol-6 이중돌연변이를 선별하였다. 차세대 시퀀싱 분석을 이용하여 T-DNA 는 homeodomain 전사인자를 암호화하는 SHOOTMERISTEMLESS (STM)의 프로모터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1 단일 돌연변이는 꽃 받침의 융합으로 인하여 꽃 ix 기관의 탈리에 결함이 나타났다. STM 프로모터에서 T-DNA 가 삽입된 두 개의 약한 돌연변이인 stm-p1 과 stm-p3 도 꽃 기관의 탈리에 결함과 함께 약한 화서 결함 표현형을 나타냈다. 또한, stm-p1 pol-6 이중돌연변이는 실 모양의 암술군의 표현형을 재현하였다. Reverse-transcription PCR 의 결과 fig-1, stmp1, 그리고 stm-p3 돌연변이에서는 야생형 식물에 비하여 낮은 수준으로 STM 이 발현되었다. 흥미롭게도 fig-1, stm-p1 및 stm-p3 의 탈리대의 폭은 야생형의 것에 비하여 감소한 반면, 세 돌연변이들의 silique 의 길이는 야생형의 것과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stm-p1 돌연변이에서 HAEpro:GUS, KNAT2pro:GUS, KNAT6pro:GUS 및 KNAT1pro:GUS 등의 꽃 기관의 탈리대 관련 리포터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은 야생형에서의 발현양상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STM 이 전형적인 꽃 기관의 탈리대 발달 경로에 관여하기보다는 꽃받침의 경계형성과 탈리대의 생장에 관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단백질 탈인산화효소를 암호화하는 POLTERGEIST (POL)와 POL-LIKE1 (PLL1)은 배발생과정에서 경단 및 근단분열조직의 형성에 필요하다. 강한 pol pll1 이중돌연변이는 배의 중축에서 관다발을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유식물 치사성이며, 접목 없이는 후기 영양생장단계와 생식단계의 표현형을 관찰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접목에 의해 야기되는 인위적인 효과를 피하고자, 약한 pll1 대립유전자(pll1-4)를 T-DNA 삽입 돌연변이들 중에서 선택하여 부분적인 기능상실 이중 돌연변이(pol-6 pll1-4)를 제조하였다. pol-6 pll1-4 의 유식물 중에서 약 10%가 관다발을 형성하여 자발적으로 생장하여 후배발생적 표현형을 나타냈다. pol-6 pll1-4 의 지상부에서는 CLV3pro:GUS 의 발현이 감소하였고, 부정기적인 잎차례 및 꽃차례, 그리고 암술이 결핍된 결함이 있는 꽃의 표현형을 나타냈으며, 이는 wuschel 돌연변이의 표현형을 모사하는 것이었다. pol-6 pll1- x clv2-1 과 pol-6 pll1-4 clv3-2 삼중돌연변이의 표현형은 pol-6 pll1-4 이중 돌연변이의 표현형과 대등하였으며, 이는 POL/PLL1 과 CLV 들 사이에 유전학적인 상위 관계가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pol-6 pll1-4 에서는 근단분열조직이 심하게 감소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WOX5pro:GUS 와 SCRpro:GUS 같은 근단분열조직 표지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된 것에서 잘 나타났다. 예상 밖의 현상으로, 약한 pol-6 pll1-4 이중돌연변이를 유도하는 pll1-4 돌연변이는 PLL1 프로모터 지역의 T-DNA 삽입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보존된 PP2C 모티프의 점 돌연변이에서 유발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Characterization of weak shoot defective mutants in the background of poltergeist mutant in Arabidopsis Young-Bin Yun Advisor : Assistant Prof. Sang-Kee Song, Ph.D. Department of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artial loss-of-function mutants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fine functions of a gene of which a null mutation leads to severe defects such as lethality and lack of organ development. poltergeist (pol) mutant provides a proper sensitized background to screen for weak shoot defective mutants that is hardly found in the wild-type background. Here, filamentous gynoecium-1 (fig-1) pol-6 double mutant displaying slightly reduced floral meristem has been screened from a mutant pool induced by the introduction of activation tags in the pol-6 background. The T-DNA insertion site was localized in the promoter region of a homeo-domain gene, SHOOTMERISTEMLESS (STM) by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fig-1 single mutant exhibited vi defects in floral organ abscission mainly due to the fusion of sepals. Two additional weak alleles, each possessing a T-DNA insertion in the promoter, stm-p1 and stm-p3 also exhibited weak inflorescence defects together with abscission defects. Furthermore, stm-p1 pol-6 displayed filamentous gynoecium phenotype. The reverse-transcription PCR analysis showed that STM expression in fig-1, stm-p1 and stm-p3 was reduced compared with that in wild-type plants. Interestingly, the width of abscission zone (AZ) of fig-1, stm-p1, and stm-p3 was shorter than that of WT while the length of the siliques. The expression pattern of floral abscission related genes such as HAESApro:GUS, KNAT2pro:GUS, KNAT6pro:GUS, and KNAT1pro:GUS in the stm-p1 was not changed as compared with that in WT suggesting that STM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sepal boundary and the growth of AZ rather than in the canonical pathway for the floral AZ development. POLTERGEIST (POL) and POL-LIKE1 (PLL1) coding for related protein phosphatase 2C (PP2C) are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hoot and root meristems during embryogenesis. As strong pol pll1 double mutants are seedling-lethal due to the lack of vasculature along the embryo axis, their lat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henotypes could only be observed only after grafting. To avoid any artificial effect possibly led by grafting, a weak pll1 allele (pll1-4) has been selected among the T-DNA insertion mutants and a partial loss-of-function double mutant (pol-6 pll1-4) has been prepared. About 10% of pol-6 pll1-4 seedlings developed vasculature in the hypocotyl and were able to exhibit post-embryonic phenotypes vii spontaneously. The above-ground organs of pol-6 pll1-4 phenocopied wuschel mutant displaying adventitious phyllotaxis and inflorescence and defective flowers lacking any gynoecium together with reduced CLV3pro:GUS expression. The phenotypes of pol-6 pll1-4 clv2-1 and pol-6 pll1-4 clv3- 2 were similar to that of pol-6 pll1-4 suggestive of the epistasis between POL/PLL1 and CLVs. In addition, pol-6 pll1-4 exhibited severely reduced root meristem as shown by the reduced expression of root meristem markers such as WOX5pro:GUS which was further confirmed with reporter expression such as WOX5pro:GUS and SCRpro:GUS, Unexpectedly, the pll1-4 mutation leading to the weak pol-6 pll1-4 was identified as a point mutation in an amino acid located in one of the conserved PP2C motifs instead of the TDNA insertion localized in the promoter region of PLL1.

      •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조사

        윤영빈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nce education by examini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vitalization of dance education and to present empirical data and directions for understanding middle school dance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proved the differentiation and logic of the study by conducting a vertical study of the survey composition, a quantitative study presented based on data such as class management, survey, and perception survey of previous studi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In a quantitative study, which is a vertical study, four middle schools in Jeollanam-do, which operate school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were surveyed, and the data of the final 245 studen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Meanwhil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22.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dance classes showed that they were more than 'yes', and in particular, they were highly aware of functional aspects such as artistic talent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econd, most of the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ance classes were 'yes' or higher,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high perception of the change in perception of d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art instructor's teaching method after class.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of recognition of class management, 'broadcasting dance' was the most preferred physical activity, and the desired dance class time was 'one hour a week', and the desired dance class method was 'practice-oriented class operation'.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ways to revitalize dance education, most of them were 'normal' or higher,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n opinion that professional teachers who majored in life dance should be assigned rather than pure dance. In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a horizontal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fter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o students taking classes as school dance art instructors. The questionnaire for in-depth interviews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data from previous studies and selected into 8 questions, and transcribing was performed using interview techniques. Transcription work applied content, one of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duplicate words and sentences were selected and encod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dance was recognized as a creative dance, and dance was considered a free subject for students as a class through communication and anaerobic power with friends. It was found that the dance class was recognized as a class that learns dance and correct posture, develops creative thoughts, and expresses them with the body. Second, there was an opinion that dance was recognized as a tool for self-expression and confidence wa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contributes to the cultural understanding and accessibility of dance classes by encountering not only Korean dances but also various foreign folk dances. Third, unlike the injection method of major subjects, dance classes were found to increase interest in dance classes by directly experiencing and expressing what was suggested. Fourth, there were opinions that a dance room was needed and that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classes such as a full-body mirror should be arranged. In addition, more diverse classes should be conducted by showing interest in creative dance during dance classes.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hool dance art instructors' classes were positive.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facilities or environmental restrictions to support this. These results can reduce the interest in dance classes and eventually affect the satisfaction of dance classe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steady research of various classes, profess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students to increase the prop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dance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교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무용교육에 있어 중학생의 생각과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무용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에 대해 논하고 중학교 무용수업을 이해하는데 실증적인 자료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수업 운영 및 실태조사, 인식조사 등의 자료를 근거로 제시한 양적 연구인 설문구성의 수직적 연구와 현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실증적인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구성한 질적 연구의 수평적 연구를 진행하므로 연구의 차별화 및 논리성을 입증하였다. 수직적 연구인 양적 연구에서는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을 운영하는 전라남도 지역의 중학교 중에서 4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최종 245명의 자료를 실증적인 분석에 활용하였다. 한편, 수집된 자료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22.0의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 r o s s t a b 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업 가치의 인식에 대한 결과에서는 대부분 ‘그렇다’ 이상의 응답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술적인 재능 개발, 창의성 개발, 신체표현 능력 향상 등의 기능적 측면에 높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업 효과의 인식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 ‘그렇다’ 이상의 응답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진행 후 무용에 대한 인식변화, 예술강사 수업 방식에 대한 만족도에서 높은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운영에 대한 인식결과를 살펴보면 희망하는 신체활동으로 ‘방송댄스’를 가장 선호했고 희망하는 무용 수업시간은 ‘주 1시간’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무용수업 방식은 ‘실기 위주의 수업운영’이라 응답하였다. 넷째,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보통이다’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순수무용보다 생활무용의 관심과 무용을 전공한 전문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다른 연구와는 달리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의 비율보다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사회적 이슈인 K-POP, 스트릿 댄스 등의 여파가 미치는 영향이라 볼 수 있다. 더불어 무용교과에서 또한 이러한 이슈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고 전문 무용수의 체계적 양성과 배치가 요구되어야겠다. 수평적인 연구인 질적 연구에서는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을 받는 학생에게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 후 개별면접을 통해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하였다. 심층면담의 질문지는 선행연구의 자료를 근거로 재구성하여 8문항으로 선별하였고 인터뷰 기법을 활용한 전사 작업(Transcribing)을 하였다. 전사 작업은 귀납적 범주분석의 하나인 내용을 적용하였으며, 중복된 단어와 문장들을 선별하여 부호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을 창의적인 춤이라고 인식하고 친구들과 소통 및 혐력을 통한 수업으로 무용은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교과로 여겨졌다. 무용수업은 춤과 올바른 자세를 배우고 창의적인 생각을 길러 몸으로 표현해내는 수업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을 자기 표현의 도구로써 춤의 다양함을 인식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 민속무용을 접하면서 무용수업의 문화적 이해와 접근성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수업은 주요 교과목의 주입식과는 달리 직접 체험하고 내제된 것을 표현함으로써 무용수업의 흥미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실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전신거울과 같은 수업에 필요한 기자재들이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무용수업 중 창작무용에 관심을 보이며 더 다양한 수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중학생들의 학교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 해줄 시설이나 환경적인 제약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업의 흥미를 떨어트리고 결국 무용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수업의 개발과 꾸준한 연구로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을 하여 무용교육의 올바른 인식과 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함수적 상황 번역 능력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윤영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func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ideas in mathematics, it has a difficulty in learning. Because many students don't understand various representations of function eff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lation ability among representations of function of the fir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For this study, a translation performance test was done and I analysis error which students make when they translate representation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found from the research. 1. While students tend to take the task easy when they translate functional situations given by tables into other various table, they felt difficult when a process of verbal description is needed. 2. In processing of translation, many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offered informations or questions of problem. The result shows they tend to focus only on the most obvious relations and information on problem solving. And they are dependent on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by the test rather than translate the functional situations by themselves. 3. Although on the same process of translation were given, students show more interests when the problem reflects their real world experiences and the translation ability increa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상황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로부터 표, 그래프, 대수식으로의 번역 능력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도와 어려움의 경향을 파악하여 함수 교수 학습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상황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에서 표로의 번역 능력은 어떠한가? 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상황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에서 그래프로의 번역 능력은 어떠한가? 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상황을 포함하고 있는 문제에서 대수식으로의 번역 능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전 조사로 수학적 태도 검사지와 수학적 성향 검사지를 선행하였고, 지필 검사를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필 검사는 함수 번역 능력 검사로 표, 그래프, 대수식으로의 번역 문항으로 총12문항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전시 소재의 고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고, 3개의 반 9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총 45분동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어떤 형태로의 변화가 이차함수로 표현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함수적 상황에서 변화의 양상이 어떠한지에 대하여 인식하고 표현할 기회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표 번역 문항에서, 학생들은 초기값을 마음대로 정하였다. 이는 표 구성 과정에서 초기값 파악에 대한 집중적인 학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그래프 번역 문항에서, 학생들이 제시한 좌표 평면상에 그래프를 그릴 때 처음 시작이 원점을 지나는 지 원점을 지나지 않는 지에 대한 것과 어떤식으로 시작을 해야 할지 축이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수들을 표시해야 되는지에 대한 좀 더 기초적인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그래프 번역 문항에서, 학생들의 그래프는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가 뒤바뀌어 있었다. 이는 그래프 교수-학습 시 현재처럼 변수를 모두 제공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변화 현상을 관찰하게 함으로써 변하는 대상과 그 대상을 변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고민할 기회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대수식 질적 번역 문항에서, 물줄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스키점프를 한뒤 운동 모양이 어떠한지에 대해 단순히 오르락 내리락 한다고 답하였다. 이차함수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여러 가지 함수에 대한 학생들의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윌리엄 워즈워스의 픽처레스크와 숭고미 : 자연의 모방에서 영혼의 고양으로

        윤영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natural landscape in Wordsworth's poetry and the change in the way Wordsworth deals with the landscape through the beautiful, Picturesque and the sublime. The poet, who lived near nature for most of his life, shows the landscapes he faces in many of his works.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and his imagin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Wordsworth's poems. Picturesqu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like a picture’ or ‘like a painting’, means beauty that is agreeable in a painting. For his contemporaries like William Gilpin, Thomas West or Joseph Addison, Picturesque,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way to represent nature. He applies the picturesque rules to his early poetry. Wordsworth paid attention to Picturesque because he discovered the possibility there that beauty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armony of shapes. In other words, even objects that are out of harmony like “roughness” can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a landscape in Picturesque. The poet sets a frame according to the picturesque theory and draws the nature in the poem according to that standard. In this process, the poet does not portray nature as it is, but expresses it through evaluation and correction. However, despite these modifications, the problem of imitation related to Picturesque becomes serious. As a creator, he couldn't ignore the issue. Wordsworth begins to intervene his experiences and imagination more actively in writing his poetry. This change appears in the his poetry as a process of the sublime. This thesis analyzes Picturesque and the sublime in the poet's works, focusing on Wordsworth's An Evening Walk and The Prelude or, Growth of a Poet's Mind.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An Evening Walk. This is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etween 1787 and 1789 and published in 1793. This period is before the start of the full-fledged Romanticism, in other words, it is also a transition period towards Romanticism. The picturesque theory became very popular at the time due to factors such as the demand for a concept other than the sublime and Beauty, the popularity of the grand tour, and the increased interest of people in the landscape itself. This concept of Picturesque is further refined by scholars like William Gilpin, Thomas West, or Joseph Addison. Wordsworth's An Evening Walk is a poem depicting a natural landscape from a general sketch of a lake to the appearance of a quarry, an artificial space. In addition, in this work, the poet effectively shows the contrast of light and shade. Since An Evening Walk is evaluated as the most picturesque poem among his works. After facing the problem of imitation of Picturesque, however, Wordsworth is confronted with the controversy over imitation of Picturesque, showing regret for sticking with superficial things later.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sublime, focusing on "The Sublime and the Beautiful". It is one of Wordsworth's prose works. he left his own critical study of the sublime and the beautiful. This thesis studies the process of the sublime in more detail through the Prelude. The spots of time remain distinct moments that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ordinary times, giving the poet an opportunity to reminisce. The spots of Time are refined through retrospective writing. By pursuing the sublime, Wordsworth overcomes the problem of imitation and is able to more actively engage the poet's process of experiences and realization in his works. Through this, Wordsworth achieves growth of a poet's mind with writing poetry. He shows a unique sublime that arises from not only the size and power of the subject, but also from the memory, temporality in retrospective writing. 본 논문은 워즈워스의 시 속에 나타난 자연 풍경과 워즈워스가 그 풍경을 다룬 방식의 변화를 픽처레스크와 숭고미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워즈워스는 인생의 대부분을 자연 가까이에 살며 자연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다양한 자연의 모습을 작품들을 통해 보여준다. 시인이 마주하는 자연과 그의 상상력 사이의 관계는 시인의 작품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림 같은’, ‘그림이 될 만한’ 등으로 해석할 수 있는 픽처레스크는 그림에 어울리는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낭만주의의 선두에 있던 워즈워스에게 당시 유행했던 픽처레스크라는 개념은 자연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방식으로 다가온다. 시인은 픽처레스크 이론에 맞추어 그림 같은 틀을 잡고 그 기준에 맞게 시 속의 자연을 그려낸다. 이 과정에서 시인은 보이는 그대로의 자연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대한 평가와 수정을 통해 자연을 묘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에도 불구하고 픽처레스크와 관련된 모방의 문제는 점점 강해진다. 워즈워스에게 모방의 문제는 창작자로서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워즈워스는 픽처레스크적 기준에 적합하게 자연을 수정하기 위해 개입시켰던 상상력을 강화한다. 워즈워스는 시 쓰기에 자신의 경험과 상상력을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시키기 시작한다. 이 단계는 숭고미의 과정으로 시인의 시 속에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워즈워스의 『저녁산책』(An Evening Walk)과 『서곡』(The Prelude or, Growth of a Poet's Mind)을 중심으로 시인의 시에서 나타난 픽처레스크와 숭고미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 다루는 『저녁산책』은 그의 첫 시집으로 1787년에서 1789년 쓰이고 1793년 출판된 작품이다. 이 시기는 본격적인 낭만주의 운동이 시작되기 전으로 다시 말하면 낭만주의로 가는 과도기이기도 하다. 픽처레스크 이론은 숭고미와 아름다움과는 다른 개념의 필요에 대한 요구, 그랜드 투어의 대유행, 풍경 자체에 대해 증가한 사람들의 관심 등의 요인으로 당시에 큰 인기를 끌게 된다. 이러한 픽처레스크의 개념은 길핀(William Gilpin)이나 웨스트(Thomas West)에 의해 더욱 더 다듬어진다. 워즈워스의 『저녁산책』은 호수 모습에 대한 일반적인 스케치부터 인위적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채석장의 모습까지 자연의 풍경으로 그려낸 시이다. 또한 시인은 이 작품에서 해가 비치는 낮 시간의 모습부터 달빛이 비치는 밤의 모습까지 시 속에 담아 명암의 대비를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저녁산책』은 그의 작품 중 가장 픽처레스크적인 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이 시에 나타난 워즈워스의 픽처레스크적 시 쓰기에 대해 연구한다. 그러나 픽처레스크에 관한 모방의 논란을 직면한 워즈워스는 후에 피상적인 것에 매달렸다며 후회하는 모습을 보인다. 3장에서는 워즈워스가 직접 숭고미와 아름다움에 대한 비평적 연구를 남긴 「숭고미와 아름다움」(“The Sublime and the Beautiful”)을 중심으로 숭고미를 살펴본 후 『서곡』 13권의 스노우던 등반 일화, 1권의 누른도요 훔치기 일화, 갈가마귀 일화, 보트 훔치기 일화, 11권의 크리스마스 일화와 교수대 일화의 순서를 통해 숭고미의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수많은 시간 속에 흘러내려가지 않고 기억으로 남아 시인에게 회상의 기회를 주는 “시간의 점들”(spots of time)은 회고적 글쓰기를 통해 순화된다. 워즈워스가 스노우던을 방문하였을 때의 시점을 보여주는 13권의 스노우던 일화는 여전히 도보 여행을 사랑하는 시인이지만 시 쓰기의 방식은 변화되었음을 가장 잘 보여준다. 1권의 공포의 일화들인 누른도요 훔치기 일화, 갈가마귀 일화, 보트 훔치기 일화는 공포의 감정이 거기서 끝나지 않고 회고적 글쓰기를 통해 순화되고 숭고미를 이끌어냄을 보여준다. 11권의 크리스마스 일화는 경험할 때와 시를 쓸 때의 시간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숭고미를 잘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11권의 교수대 일화는 시간의 영속감이 워즈워스식 숭고미에서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는 일화이다. 숭고미를 추구함으로써 워즈워스는 모방의 문제에서 벗어나 시인의 경험의 과정과 깨달음을 더욱 더 적극적으로 개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시 쓰기와 영혼의 고양을 통한 성장을 함께 이루어 냈음을 보여준다. 워즈워스는 칸트와 달리 숭고미에 대상의 크기나 힘뿐만 아니라 시간성―회고적 글쓰기를 통한 묵시적인 풍경, 무서운 기억을 단순히 지시하는 사형수의 이름 등―에서 발생하는 독특한 숭고미를 보여준다.

      • 이명이 동반된 수면장애 환자들의 수면다원검사 특징 분석

        윤영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 이명은 청신경 섬유의 자발적인 탈분극으로 외부의 청각자극 없이 신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자각하는 증상이다. 이명에 대한 정확한 발병기전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지만, 변연계의 편도체(amigdala)와 연관되어있는 대뇌피질(cortex)과 피질하(subcortex)의 기능적인 변화 및 이로인한 자율신경계의 기능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전기생리학적 가설이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다. 수면장애 또한 중추의 망상 활성계(ascending reticular system)와 각성계(central arousal system)와 지각계(congnitive system), 감정통제계(emotional regulating system)등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현재까지 이명, 수면장애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많은 국 내외의 연구들이 있었지만, 이명설문지(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와 수면다원검사를 모두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명과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저자는 THI와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명과 수면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고 이와 더불어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 중 자각스트레스척도(PSS), 환자 건강설문지(PHA-15), 백 불안척도(BAI), 역학연구 우울척도(CES-D)를 작성한 환자들을 분석하여 정신신경학적 증상과의 상관관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21년 08월부터 2023년 05월까지 본원을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와 한국어판 이명설문지(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를 모두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명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의 임상학적 특징, 수면다원검사 결과, 정신신경학적 증상 설문지점수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이명설문지 점수에 따른 수면다원검사 결과 및 설문지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 이명이 있는 군과 없는군의 PLM(Periodic limb movement) index, Sleep latency, lowest SpO2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명이 있는 군이 이명이 없는 군에 비해 낮은 PML index, 높은 Seep latency, 높은 lowest SpO2를 보였다. THI에 따른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THI와 REM latency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명이 있는 군과 없는군의 설문지(ESS, SSS, PSQI, PSS, PHA-15, BAI, CES-D) 점수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도 THI와 설문지 점수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 이명, 수면장애, 우울증은 앞서 언급했듯이 변연계를 통한 자율신경계 과활성과 연관되어있다. 수면다원검사와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명, 수면장애,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는 수면패턴, 자율신경기능, 전기생리학적 모델을 더욱 잘 설명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며, 해당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전차 기술의 발전추세 분석 방법론 연구

        윤영빈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1916년부터 2023년까지의 정형 데이터인 전차 제원 데이터 와 비정형 데이터인 최근 3년간의 전차 기술 연구 관련 텍스트 데이터를 활 용해 전차 기술의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미래 기술 발전 방향을 해석하였다. 제1 · 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된 전차와 현대 전차를 비교해 볼 때, 현대 전차 는 기술적으로 상당히 성숙한 단계에 이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은 군인, 전략가, 과학자 등 많은 이들의 노력의 결과이며, 현재도 전차 기술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헌신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차 관련 논문이 나 역사서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전차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현재의 추세가 어떤지를 보여주는 정량적 지표나 시각화 자료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전차와 관련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시대별 전차의 특징에 대해 요약하고 기술 궤적 이론을 바탕으로 전차 기술이 발전해온 경로를 도식화하였으며, 미래 기술 궤적을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1960년대 이전 까지는 화력과 기동력 중심으로 전차 기술이 발전하였고, 이후에는 방호력, 화력, 기동력이 모두 발전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는 기간 동안 방호력에 대한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근의 전차 기술 연구들에서도 장갑 소재와 위장 기술, 그리고 새로운 방호개념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는 미래 전차 기술 발전에 있어 화력이나 기동력보다 방호력 혁신이 전차 기술 발전의 핵심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전장 환경에 적 합한 전차 기술 발전에 주요 함의를 도출하였다.

      • 축산용 깔짚으로써의 억새의 활용 가능성 평가 및 퇴비품질 개선 방안 연구

        윤영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livestock industry achie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as the demand for livestock products increas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ncome due to economic growth. Eighty percent of domestic livestock manure is composted and returned to the soil. The composting of livestock excrement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domestic excrement treatment methods, and the composting of livestock excrement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livestock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excessive chemical fertilizers and the promotion of customized intensive agriculture without consider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should improve soil quality by utilizing high-quality composting as it leads to a decrease in soil organic matter. However, since livestock manure with high moisture content alone cannot produce high-quality compost, proper moisture should be controlled using Bulking Agent. Sawdust is used as a Bulking Agent for composting and as a bedding in a barn to improve the breeding environment. Sawdust, which is generally used by poultry farmers, is mainly dependent on imports due to a lack of domestic supply, and as the price of sawdust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n livestock farmers, the replacement cycle of straw is increasing, negatively affecting the livestock environment and productivity.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soil organic matter by producing high-quality composting by developing sawdust substitutes, which are mainly used as water control materials for straws and composting in domestic livestock farms.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giant Miscanthus was utilized to develop high-quality compost, which is mainly used as a bulk agent for bedding and composting in domestic livestock farms, to produce high-quality compost and to improve soil organic matter. The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chopped Miscanthus(CM) and pelletized Miscanthus(PM) by processing type using giant Miscanthus as a treatment tool and sawdust(SD) as a contro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behavioral monitoring analysis of livestock cattle per treatment group and the compost quality was evaluated through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ompost and the content of humus in the collected mixture(bedding + manure),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Miscanthus for livestock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sample during the bedding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M is measured as the lowest moisture content(40%)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and thus it can be used in the long term in terms of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bedding. In the case of CM,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edding in the feed bowl with drinking fountain was measured higher than in other areas and was 77%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ut this was judged to have been due to the manure of livestock cattle and the inflow of drinking wat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D.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all treatments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e relative humidity graph. As a result, PM has the highest moisture absorption rate(water holding capacity, WHC) and can be used without replace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sawdus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breaks were shown to be PM(52.9%) > SD(49.1%) > CM(48.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M and SD(p>0.05).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PM and CM will have no problem to replace SD.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all the treatment tools temperature rise, CM and SD were 55 to 60°C respectively, while PM recorded the highest temperature of 70°C, which is expected to negatively affect microbial activity due to the high temperature. Final composting, both nitrogen and organic matter were reduced based on the volume weight and, the pH was stabilized in alkalinity in all treatment groups. The seed germination index was measured as CM(101.7) > PM(81.8) > SD(70.2). PM and CM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he amount of final humic acid(HA) bu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D (p<0.05). In the case of fulvic aicd(F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M and PM(p>0.05), but were different with SD(p<0.05). Finally, if Miscanthus is produced as bedding to cope with sawdust,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cost of sawdust import,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livestock farm and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by positively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farm floor environment when calculating the proper exchange cycle. In addition, composting experiments using Miscanthus can produce more humic substances than sawdust,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il improvement effect and crop growth through the supply of soil organic matter in terms of natural circulation agriculture. Keywords: Bedding, Miscanthus, Sawdust, Water holding capacity, Composting, Humic substances 우리나라 축산업은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 향상과 함께 축산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면서 양적ㆍ질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국내 가축분뇨 발생량 중 80%는 퇴비화되어 토양으로 환되고 있고, 가축분뇨 퇴비화는 국내 분뇨처리 방법 중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며,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서 가축분뇨 퇴비화는 필수적이다. 한편, 과도한 화학비료의 사용과 농업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맞춤 집약적 농업추진은 토양 유기물의 감소를 초래하기 때문에 양질의 퇴비를 활용하여 토양질을 개선 시켜야한다. 그러나 수분함량이 높은 가축분뇨만으로는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수분조절재를 이용하여 적정 수분을 조절해 주어야한다. 톱밥은 퇴비화용 수분조절재와 사육환경을 개선시키는 축사 내 깔짚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축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톱밥은 국내 공급이 부족하여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톱밥 가격 상승으로 축산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커짐에 따라 깔짚 교체 주기가 증가하여 축사환경과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자생종인 거대억새를 활용하여 국내 양축농가에서 축사 내 깔짚과 퇴비화 시 수분조절재로 주로 이용하고 있는 톱밥 대체 물질 개발을 통해 양축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나아가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여 토양 유기물 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거대억새를 처리구로 하여 가공형태별로 세절억새(chopped Miscanthus, CM), 펠렛억새(pelletized Miscanthus, PM)으로 구분하였고 대조구로 톱밥(swdust, SD)을 활용하여 깔짚 및 퇴비화 실험에 이용하였다. 또한, 실험기간 중 처리구별 축우의 행동모니터링 분석과 수거한 혼합물(깔짚+분뇨)의 퇴비의 성분변화 및 부식질 함량을 통한 퇴비품질 평가를 통해 축산용으로써 억새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깔짚 활용기간 중 각각의 시료를 분석한 결과 PM의 경우 실험기간 중 가장 낮은 수분함량(40%)으로 측정되어 깔짚의 기능적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M의 경우 사료조와 음수대 부분의 깔짚의 수분함량이 다른 구역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우방 전체 수분함량은 실험종료 시점에 77%로 나타났으나 이는 축우의 분뇨배출과 음수의 유입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SD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모든 처리구의 수분함량은 상대습도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PM의 수분 흡수율(보수력)이 가장 높았으며, 톱밥보다 더 장시간 교체 없이 사용가능하다. 실험기간 중 휴식시간은 PM(52.9%) > SD(49.1%) > CM(48.3%)으로 나타났으나, CM과 SD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따라서, PM과 CM이 SD를 대체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퇴비화기간 중 온도는 모든 처리구가 상승하였으며, CM과 SD가 55 ~ 60℃로 사승하였다. 반면, PM이 70℃로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하여 고온으로 인해 미생물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퇴비화 종료 후 질소와 유기물은 용적중을 기반으로 하여 모두 감소하였다. 퇴비화 종료 후 pH는 모든 처리구가 알칼리성에서 안정화 되었다. 종자발아지수에서는 CM(101.7) > PM(81.8) > SD(70.2)로 측정되었다. 또한, 깔짚과 퇴비의 부식질 함량에서 최종 humic acid(HA)의 생성량의 경우 PM과 CM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05), SD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fulvic aicd(FA)의 경우 깔짚에서는 CM과 PM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SD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퇴비의 FA의 경우 모든 처리구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과적으로 억새를 깔짚으로 생산하여 톱밥을 대체한다면 톱밥 수입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적정 교환주기산정 시 축사 바닥환경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양축농장의 생산성 향상과 경제적 부담 절감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억새를 활용한 퇴비화 실험 결과 톱밥보다 더 많은 부식질을 생성 할 수 있어 자연순환농업 측면에서 토양 유기물공급을 통한 토양개량 효과와 작물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주제어 : 깔짚, 억새, 톱밥, 수분 흡수율, 퇴비화, 부식질

      • 最近 國內의 Tuberculin 陽性反應 乳牛에 對한 疫學的 調査 硏究

        윤영빈 建國大學校 大學院 197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observe on the bovine tuberculosis by the epizootiological investigation in dairy cattle with tuberculin reactor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Incidence rate of tuberculin reactors in dairy cattle in 1974 was 65.0 Per 100,000 but it was increased up to 104.2 per them in 1978. (2) Distribution of geographical incidence in the tuberculin positive reactors of dairy cattle during 1974-1978 showed; 78.4% of the incidence occured in Gveong-gi province. This area could be considered as the enzootic area in term of bovine tuberculosis. (3) The seasonable incidence rate of tuberculosis (tuberculin reactors) Showed in the order of Winter (35.5%), Autumn (22.6%), Spring (22.0%) and Summer (19.9%) respectively. (4) The incidence rate of tuberculin positive reactors in dairy cattle from 1964 to 1968 were higher than that of 1974-1978.

      • 不動産仲介業의 現代的 課題에 관한 硏究

        윤영빈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 부동산중개업의 형태는 외국업체의 종합적이고도 능력적인 고도의 서비스 활동에 비해 매우 영세적이다. 우루과이라운드 협정 중 “서비스 교역에 관한 일반 협정(General Agreements on Trade in Services)”에 의해 우리 나라 부동산 서비스시장이 개방되게 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국내 부동산 중개업체의 외국부동산업체에 대한 경쟁력 방안모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영세한 우리 나라 부동산중개업의 실상을 돌아보며 부동산중개업데 관련된 학문의 이론들을 기본으로 부동산시장개방 상황 하에서 우리 나라 부동산중개업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간추려 보았다. 첫째, 근대적인 경영마인드를 갖춘 경영적 중개활동을 할 수 있는 경영능력의 고조화를 위한 전문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외국 부동산중개업체와의 경쟁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 나라 부동산중개업의 범위를 확대해야한다. 셋째, 부동산관련서비스를 단일화시킨 부동산종합서비스업 개념을 도입시켜야 한다. 넷째, 법정부적인 부동산 종합정보망구축을 기하여야 한다. 다섯째, 부동산거래의 안전보장을 위한 제도적 보완으로써 배상책임한도를 중개업자의 자유의사에 의해 상향조정시키거나 excrow제도의 도입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조속히 개선해야 될 방안 외에도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부동산산업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마련해나가야 될 것이다. In Korea, realtor businesses are very petty, unlike the foreign realtor businesses which are very composite and specialized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Agreements on Trade in Services" signed as a series of Uruguay Round of Trade Negotiations, our real estate service market is open. Thus, it is very urgent to help domestic realtor businesses sharpen their competitive edge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is aimed at surveying the conditions of our petty realtor businesses, and thereupon, reviewing the theories about realtor businesses, and thereby, exploring the ways to help our realtor businesses sharpen their competitive edges in the open real estate market. The reform measures for our realtor businesse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mplement a spe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help realtors to be engaged in their businesses with an advanced management mind. Second,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scope of realtor services in order to help them cope with the foreign counterparts.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omposite real estate service concept streamlined. Fourth,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pan-national general real estate information network. Fifth, it is desirable to adjust up the compensation liability limit or introduce the escrow system in order to ensure safe real estate transac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 reform measures, it is also deemed necessary to arrange a comprehensive and longer-term real estate industry developmen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