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총체적 영어 교육 방안 : 호손의 단편소설 「큰 바위 얼굴」 활용

        윤영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문학 교재가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해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총체적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문학 교재의 활용이 학습동기와 집중도를 자극하여 학습자의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4장으로 구성된다. 제 1장은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입부분이다. 제 2장에서는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을 토대로 총체적 영어 교수법의 정의와 특징 및 교육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재료로써의 영문학 교재에 관해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교육을 위한 교재 선택 시 고려해야 하는 결정적인 요소들을 언급하면서 나다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을 총체적 영어교육 지도를 위한 최적의 읽기 자료로 선택한 것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이 장은 「큰 바위 얼굴」을 활용하여 계획한 수업 안을 제시하고 교육현장에 적용 후 그 효과를 나타낸다. 3장에서는 또한 수업 안을 바탕으로 한 교실수업 후, 시행했던 설문조사와 그 결과를 분석하고 선행연구들과 비교한다. 제 4장에서는 조사결과에 관한 내용요약과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적인 제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으로 부터의 연구내용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58.18%의 학생들이 영문학 작품을 읽은 경험이 있으며,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문학작품에 흥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의 총체적 영어교육 후 시행된 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단편소설이 총체적 영어교육 상황에 쓰여 졌을 때, 더욱 강렬한 학습동기와 반응을 나타낸 걸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료가 풍성한 읽기 재료로써 영문학 교재가 학습자들이 그들의 읽기 단계에 있어서 더욱 적극적이고 집중력 있게 읽기를 수행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rgues that English literary works are resourceful textbook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It also suggests that English literary texts used in the whole English teaching situation help the learners to be more motivated and concentrated on their reading processes. This study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ory part that explains the purpose, the necessity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introduces the defin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the whole English teaching, followed by the discussions on the existing theoretical views about this teaching approach. It also discusses a literary text as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Chapter 3 delineates the rational for this study's choice of Nathaniel Hawthorne's “The Great Stone Face” as a primary reading material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lesson plan by introducing a list of determining factors for the choice. In addition, the same chapter includes a lesson plan based on “The Great Stone Face” and shows how it worked in classroom teaching. Chapter 3 also analyz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after classroom teaching based on the lesson plan,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of the pre-survey. Chapter 4 combines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nd conclusive remarks on this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paper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pre-survey shows that 58.18% of the students have had an experience of reading English literary works, which signifies that they are basically interested in literay texts. Thus, as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classroom teaching suggests, the students were more strongly motivated by and responsive to the short story, especially when it was used in the whole English teaching situation. Another implication of such results is that a literary text as a resourceful reading material helps the learners to be more actively and attentively engaged in their reading processes.

      • 방과후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조사

        윤영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방과후 학교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음악치료에 대한 평가와 인식, 기대와 필요를 조사함으로써 방과후 학교에서의 음악치료 실행에 있어 성찰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근무하는 특수학급의 특수교사 828명과 특수학교 특수교사 493명으로 총 13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각 학교로 일괄 우편발송 하였으며 한 달간의 응답기간 내에 응답한 428명 중 무기입한 항목이 전체설문의 30%이상이 되거나, 정확히 답을 기입하지 않은 7명을 제외한 421명의 설문지를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가 직접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방과후 학교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학교 음악치료 활동참관 경험, 음악치료 운영시행지 근무경험, 근무환경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형태(그룹유형, 그룹인원)의 관련성에서 활동참관 경험, 운영시행지 근무경험, 근무환경과 그룹유형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5), 그룹인원 과의 관련성에서는 근무환경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모두 4∼6명이 가장 적당하다고 응답하였으며, 7∼9명이라고 응답한 특수학급의 비율이 10.4%로 특수학교의 2.2%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학교 음악치료 활동참관 경험, 음악치료 운영시행지 근무경험, 근무환경과 음악치료 환경적 요소(필요성, 치료공간, 연계성, 전담교사)에서는 필요성은 운영시행지 근무경험에서 현재 근무가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p< .05). 치료공간과 연계성은 활동참관 경험과 운영시행지 근무경험이 없는 그룹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 .05), 근무환경은 특수학교가 특수학급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필요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담교사에서는 운영시행지 근무경험이 없는자가, 근무환경에서 특수학급보다 특수학교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 .05). 셋째, 방과후 학교 음악치료 활동참관 경험, 음악치료 운영시행 근무경험, 근무환경과 음악치료 목적영역에 대해서는 음악치료 활동참관경험에서 경험한 사람이 경험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의사소통 향상, 표현력 향상, 자아 존중감 향상, 구조/조직화 기술 발달, 긍정적 상호작용 및 사회성 발달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음악치료 운영시행지 근무경험에서는 의사소통 향상, 운동기능 향상, 긍정적 상호작용 및 사회성 발달, 여가선용 증진에서 현재 근무하는 그룹이 과거근무와 근무경험 없는 그룹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근무환경에서는 표현력 향상, 자아 존중감 향상, 정서적 행동 향상, 긍정적 상호작용 및 사회성 발달에서 특수학급이 특수학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 .05). This study is to introspect on after school music therapy program practice through the research of the valuation, understanding expectation and needs of the music therapy in the special education. The population is made of 1321 teachers who are 828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d 493 special education teachers. 428 questionnaire was sent by mail to the school and 421 answer sheets replied for one month were analyzed except the 7 which had not answered the questionnaire exactly and had not fill the questionnaire more than 30% of the whole. The research method was created by the previou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research compiled statistics on cros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music therapy program, experience of working in the place conducted music therapy and work environment and the type of music therapy(type of group, the number of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group and work environm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swer that 4-6 student is the most suitable member for the music therapy class. Moreover 10.4% is the ratio which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swer that 7-9 student is suitable for the music therapy class, which is 2.2 %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ly, in the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music therapy program, working experience in the place conducted music therapy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music therapy environment(the necessity, the place to therapy, the connectivity, the responsibility teacher) in terms of the necessity current working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p< .05). In terms of the place to therapy one not to participate in music therapy program and not to work in the place conducted music therapy are significantly higher(p< .05). In terms of working environment speci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special class. Finally in terms of the responsibility teacher non-working group in the place is significantly higher and in terms of speci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special class(p< .05). Thirdly, in the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music therapy program, working experience in the place conducted music therapy a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one to participate in music therapy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one not to participate in terms of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express, improvement self-esteem, development of structure/systematization skill, development positive interaction/social skill. In terms of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motor skill development positive interaction/social skill and making good use of spare time, current working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st working group and non-working group. In terms of improvement express, improvement self-esteem, increase of emo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positive interaction/social skill special education clas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special education(p< .05).

      • 시민참여실천공동체 '참누리평화교육' 구성원들의 학습경험 질적 사례 연구

        윤영미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시민교육의 확대와 함께 시민참여실천공동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평화교육을 매개로 한 시민참여실천공동체‘참누리평화교육’구성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의 평화문화 확산을 목표로 하는 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학습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주목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사회 통합과 공동체 형성 지원과 같은 시민참여를 강조하며 학습을 함께 나누는 시민참여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은 일반 실천공동체와는 어떤 다른 특징을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 페루 까라바이요 지역 여성의 성인지 태도 영향요인 분석

        윤영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der norm attitude of Peru urban poor area wome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women’s right and health in Peru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Latin America. This study used data from a baseline survey of 'Peru Urban(Carabayllo) Low-income Women's Healthy Family Self-support Center(HFSC) Establishment Project’ which is a Civil society Partnership Program of KOICA at 2017.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PC+25.0 for windows, frequenc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rban Poor women showed more egalitarian beliefs on the rights and privileges of men compared to the equity for girls. Second, subjects showed more egalitarian beliefs on gender norm attitude in following cases; more educated, literacy, came from large city, higher family income, experience of gender violence, higher family APGAR score, self-awareness as the subject of change of life. Third,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gender norm attitude were duration of residence in urban poor area, experience of gender violence, region of origin and family APGAR score. Integrating the results of above researches, there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reflect family health-enhancing factors with long-term residence of family members and with reducing urban and regional gap. Especially for preventing gender violence, there need to develop and carry out tailor-made program which can strengthen woman's subjective authority by enhancing self-determination and aut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페루의 대표적인 도시빈민 지역 여성의 성 인지 태도 수준, 젠더 폭력 경험, 여성의 주관적 권한 부여, 가족 건강성 정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성인지 태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여 페루 및 라틴아메리카 개발도상국 지역 여성의 인권 및 건강 향상을 위한 개발협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2017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민관협력사업인 ‘페루 도시빈민지역(Carabayllo) 여성자립형 건강가족자활센터 구축 사업’의 1차 년도 기초선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25.0 for window를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빈민 여성들은 남성 및 소년의 권리와 특권에 대한 태도가 여성 및 소녀의 평등에 대한 태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평등을 지향하고 있었다. 둘째, 대상자들의 교육수준이 높고 문해력이 있을수록, 대도시 출신일수록, 까라바이요 지역 거주기간이 길수록, 대도시 출신인 경우, 가족 소득이 높을수록, 부모로부터 젠더폭력을 경험하거나 가족 건강성이 높을수록, 삶의 변화 주체를 본인이라고 인지하는 경우 성인지 태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인지 태도와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거주기간, 가족건강성, 의사결정의 자율성, 의사결정 자율성의 변화가 성인지 태도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성인지 태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거주기간, 젠더폭력경험, 출신지역, 가족 건강성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페루 여성의 성인지 태도 향상과 여성 개발을 위한 제언으로 도시와 지역의 격차를 줄이고 장기간 가족이 거주하면서 가족의 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젠더 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자기 의사결정권 및 자율성을 강화하여 여성의 주관적 권한을 강화시킬 수 있는 맞춤식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하다.

      • 방송언어 오용 사례의 장르, 채널, 직업별 분석 연구 : KBS 방송언어 심의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윤영미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ords in broadcast greatly affect the general language of a society and the way of thinking of its people. Thus, observing and following the standard linguistic methods in broadcasting do not only preserve but also improve the quality of language.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wrongful effects the 'pollution' of a language caused by the broadcast as an indirect educational system performing a great role on leading and changing the general language in a society. This research for linguistic misusage in broadcast is based on 'broadcast language review cases', which had been internally conducted by KBS, dated from January, 1999 to May, 2000. Also, a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ver the variation of misusage and its differences due to the genres and anchors of programs. For the last, this thesis suggests the possible way to improve the languages used in broadcasting. The mostly misused linguistic category was the pureness followed by politeness, formality, refinement, and impartiality. Especially, incorrect use of diction was the largest cause through out the cases. In general, 'review of input with care' was the largest correction requested; however, there were more 'request for the prevention of reoccurrence' specifically or the formality and the politeness. There appeared the differences between channels. 1st radio channel had most problems in pureness and refinement, while formality for 2nd radio channel and politeness for 2TV were major causes of misuse. By the genre, entertainment programs had the most correction requests, and 'information for living' was the second genre with large number of misuse. As 1TV had the most misuse in drama, 2-TV did over entertainment, talk-show, and comedy. 1st radio channel had especially large amount of misuse in news compare to other channels. The analysis of cause over different occupation also has been conducted. The major driving group was 'producers' since they managed the subtitles and scripts, as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 programs. Actors/actresses and professionally related groups were next major groups for misuse. For the 1st radio channel, main anchors and professionals for news and 'information for living' had the most problems, and 2nd radio channel had the most problem in general actors/actresses group. Generally, main correction requests for actors/actresses group, comedians, producers, and general non-professional groups were from entertainment programs. On the summary, the major category with the most improper usage of words was pureness, and entertainment programs for genre, and producers and actors/actresses were for occupational group. Overall, the most and worst cases were all for pureness. Thus indicated, it means that current broadcast is conducting poor use of standard diction and linguistic rules. Therefore, based on this result, there should be an instructive effort to educate producers and anchors to reduce the misleading usage of language through out the society. Moreover, the enhancement of review would also greatly improve the quality of programs.

      • 노래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 증진에 미치는 영향

        윤영미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래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노래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자아통합감의 하위개념인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 지혜로운 삶, 생에 대한 태도,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노령과 죽음에 대한 수용의 5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D구의 노인복지관에 소속된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에서 24점 이상이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 서명한 자들로 선정하였다. 기관의 추천을 받아 H경로당의 8명의 실험집단과 A경로당의 8명의 통제집단으로 2016년 3월 21일에서 2016년 4월 30일까지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노래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경로당에서 시행하는 자체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자료처리는 두 집단간 동질성을 확인하고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전․사후 시행하였고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별 사전․사후검사 간 점수 차이를 SPSS 21 프로그램을 통해 활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래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음악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통합감 점수가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자아통합감의 하위개념인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 지혜로운 삶, 생에 대한 태도,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노령과 죽음에 대한 수용의 5가지 항목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노래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와 직접 관련된 노래를 통해 자신의 삶을 회고하고 자신의 삶을 투사함으로 안전하게 인생을 회고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내담자의 과거 인생의 중요했던 사건, 사람, 감정 등을 되돌아보고 자신을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 뿐 아니라 과거를 재조명하여, 지금 여기에 최선을 다할 수 있으며, 나아가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더해 줌으로 자신의 삶 전체를 수용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였다. 이에 노래 자서전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일반 노인의 성공적인 노후의 삶을 위한 자아통합 증진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둔다.

      •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연구

        윤영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전공 윤 영 미 본 연구는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자는 수원시 소재 평생교육기관과 노인종합복지관 컴퓨터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컴퓨터에 대한 태도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컴퓨터 관련 변인으로는 사용빈도(F=6.46, p<.05), 교육경험기간(F=5.20, p<.05), 컴퓨터 작업중에는 블로그·카페를 포함한 홈페이지 작업(t=-3.04, p<.05)와 음악·영화보기(t=-2.64, p<.05)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빈도 중에는 ‘매일 30분 정도’ 사용이 종합적인 태도 평균 2.27이었으며, 자신감이 2.64, 호감도 2.61로 높았다. 불안감은 2.99로 높게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많은 것보다는 매일 적당히 하는 것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 이전 교육경험 중에는 ‘1-6개월 미만’이 종합적인 태도 평균 2.15를 보였으며, 자신감(2.44), 호감도(2.46), 불안감(2.76)으로 높았다. 셋째, 학습환경에 따른 만족도와 태도의 관계는 강사만족도(F=4.14, p<.05) 와 교육 내용에 대한 만족도(F=3.37, p<.05)와 태도의 관계가 유의미한 차이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 전자상거래 해외시장 진출에 관한 연구 : 한국 중국 전자상거래시장 사례중심으로

        윤영미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국내의 전자상거래 기업과 중국의 전자상거래기업 사례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전자상거래 해외시장 진출 방안도출과 무역의 흐름이 전자상거래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직접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해외직접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둘째, WTO 출범이후로 자유무역주의에서 보호무역주의로 퇴화해가고 있는 현 경제상황을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타개해 나가는 것이다. 국가별로 무역 제한조치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무역방식으로 거듭나게 될 전자상거래의 잠재성을 인지하고 적극 활용한다면 새로운 활로의 개척과 동시에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이 실증적 연구가 아닌 문헌, 사례연구라는 점에 있어서 전자상거래의 정확한 시장규모와 전망을 예상할 수 있는 1차 자료가 부족한 것이 한계이다. 전자상거래는 계속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 전자상거래에 대한 정확한 시장규모와 전망에 대한 연구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