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자의 성향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법 개발에 관한 연구 : 피아노 수업에서 아동의 행동분석을 중심으로

        윤영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xisting piano lesson is the fixed method of teaching which delivers techniques to students. It‘s regarded to make it difficult to bring the voluntary motivation and each individual’s pluralistic growth. Because the unilateral method of guidance in the teacher-oriented way does not satisfy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desire, it‘s unable to expand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and creative thinking. The researcher has been teaching children in the music educational field about 20 years. When children are consistently guided in the same passion and concern, some of children make great educational strides while others are not applied with the identical way. Therefore the alternative to cope with the relevant cases has been studied after the researcher regarded such matter for many year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observe students‘ response and concentration with trials of various lesson method and approach to find out which method is more effective with the diversified perspective in accordance of the different methods of guidance in each lesson. Different children‘s faces are, different each child’s personality and their learning desires are. The defect of ineffective method of guidance was found to use the same teaching materials and provide the same lesson hours with one consistent method of guidance. Due to this observation it indicated the necessarily of studying the principal of guidance which correspond to child‘s individual learning tenden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s unique tendency through a learner’s attitude or behavior observed in the lesson and the customized education plan which corresponded to the child‘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base of analyzing the features toward each different tendency and the principal of guidance, the study was to put an effort to interpret the practical language in the educational field in order to make general piano instructors feel convenient to converse their viewpoint toward the learner-oriented less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ustomized principal of guidance for each type in accordance of each individual child‘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ield research. The researcher observed children‘s behavior response in each lesson, the element which drew their interests in learning and what led to the effective results by applying various methods. Similar behavior patterns were found from the results. It indicated there wa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behavi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tendency. From the year 2006 in earnest the report was accumulated with 120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response to be observed and recorded. With the deep observation of each child’s study attitude and behavior shown in the piano lessons, significant reports were collected from lesson‘s daily records, photos and video. The study was to collect the numerous relevant observed cases to what method of guidance became the key element to draw a child‘s motivation in the meantime of investigating into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n order to interpret the collected original materials as the inductive approach they have been sorted out with the method correspond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hile reviewed for one year of the time. The 40 children who showed the distinct learning behavior were selected as the collection group out of the 120 children. After their learning behaviors were repeated to record in the perspective of the observer,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As the materials introduce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analysis of materials was processed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1988)‘s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e phase of the open coding, the secondary collection group, the 40 children’s behaviors were observe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in each item and written down on the re-adhesive recording paper. The described 1200 data in each item were randomly placed on the ground. So it was possible to see the whole picture at one glance which gave the intuitive understanding and insight. After collecting the relevant descriptive writing and classifying them into subgroups, the process of the axis coding was repeated to unify the language and group them with the similarity. The 320 subgroups were deducted throughout these phas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selective coding which made the concept deducted from these groups again and theorized, the whole materials were systematized through the linguistic systematization and deducted into the super ordinate concept from the 14 categories with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on the deducted super ordinate concept the study categorized into the 5 core catego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following the stream of the grounded theory’s paradigm. With the core categories deducted from the selective coding as the center, the type was designated as the term to represent the unique tendency’s characteristics internally effecting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ehavior. As the study verified the deducted type through the lesson cases from each type group, it indicated the customized method of guidance. The result is shown below: The first type is the ‘Arranging Child’ who prefers the step-by-step learning. These children’s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to like the orderly and systematized lesson. It is effective to guide them with the realistic explanation and visual teaching aids. They show the tendency to strictly observe the time, to be responsible of their homework and to follow teachers’ guidance well. The second type is the ‘Playing Child’. They tend to easily lose their interests in the repeated studying and prioritize what they’re interested in. It is the effective method of guidance to draw their interes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and extra-stimulation such as group lessons. The third type is designated as the ‘Imagining Child’. They are imaginative, having a great linguistic performance and trying to find out pleasure in their own way. When they meet the teacher who are sympathetic and understanding, their motivation of learning is likely to be doubled. Tendency with a strong motive of accomplishment and desire for winning, is named as ‘the Competitive Child’. Rather than following a teacher’s authority, this group has a strong self-assertiveness. If a teacher does not understand this child’s characteristics, the conflict between a teacher and a child might be occurred. Since they are goals-oriented, it recommends to allow them to decide the amount of study for themselves and give them their learning which they can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With the result to research, the coding categories of the behavior analysis, children are shown as some who can’t be explained with one characteristic out of the four, or others who can be explained with two or more distinct characteristic behaviors. It’s necessary to design the guidance plan for the effective learning to adjust each type of children. As this child’s characteristics show the two of the strong characteristic behaviors such as using with the both-handed, they are indicated to be ‘the Both-Way Child’ and are classified as the fifth type of children. The result indicates the individual guidance plan to adjust to children’s tendency in accordance of types. Since the study is written in the language from the educational field which will make piano teachers easily understand, it’s expected to conveniently apply to the educational field. 기존의 피아노교육은 기술 전달식의 고정화된 교수법으로 획일적인 교육 환경에서의 배움은 자발적인 동기 유발과 개개인의 다원적 성장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교사중심의 일방적 지도방식은 개인의 특성과 학습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아동의 능동적 참여와 창의적인 사고를 신장시키지 못한다. 아이들이 서로 다른 얼굴만큼이나 각기 성격도 다르고 학습욕구도 다른데, 교사의 일관된 한 가지 지도방식으로 같은 교재를 사용하고 학습시간을 똑같이 정해주는 비효율적인 지도법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아동의 개별적인 학습 성향에 맞는 지도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서 관찰되는 학습자의 태도나 행동을 통해 개인의 고유한 성향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아동들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춤식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현장연구를 통해 각 아동의 성향에 따른 유형별 맞춤식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매 수업마다 아동의 행동반응을 관찰하고 학습에 흥미를 가지게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무엇이 효과적인 결과를 이끌었는지 탐색하였다. 그 가운데 일련의 유사한 아동들의 행동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행동과 개인성향의 특성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2006년부터 10년의 기간 동안 120명의 아동의 특성과 행동반응을 관찰, 기록하였다. 피아노 수업에서 보여 지는 각 아동의 학습태도와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의미 있는 장면을 레슨일지, 사진 및 영상의 기록으로 수집하였다. 어떠한 지도방법을 적용했을 때 그것이 아동의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요소가 되었는지에 관한 수많은 관찰 사례를 수집하고 연구의 방향성을 찾으며 탐색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원 자료를 귀납법적인 접근으로 해석하고자 1년간 검토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그 중 학습행동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40명을 수집집단으로 삼았고, 관찰자의 입장으로 재 기록하여 학습행동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자료는 근거이론방법론(Grounded Theory Methodology)을 도입하여 Strauss와 Corbin(198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에 따라 분석이 이루어졌다. 개방코딩 단계에서는 2차 수집군인 40명의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개인별로 각 항목마다 특징을 기술하여 재 접착성 기록지에 적었다. 연관이 있는 기술문을 모아 소그룹으로 분류한 후 언어를 통일하고 유사성이 있는 것끼리 그룹핑을 하는 축 코딩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320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그룹들에서 다시 개념을 도출하여 이론화하는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쳐 언어적 체계화를 통해 전체자료를 체계화 하고 근거이론방법론을 통해 14개의 범주에서 5개의 상위개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상위개념을 근거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의 흐름에 따라 의미를 해석하여 5개의 핵심범주로 유형을 범주화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계획적이고 단계적인 학습을 선호하는 유형을 ‘정리하는 아이’라고 하였다. 이 아동들의 특성은 질서 있고 체계화된 수업을 좋아하며 사실적인 설명과 시각적인 교구가 효과적이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시간을 정확하게 엄수하며 과제의 책임감이 있고 교사의 지시를 잘 따르는 양상을 보인다. 두 번째 유형은 재미가 있어야 수업에 집중을 하는 ‘놀이하는 아이’다. 반복 학습에는 금방 흥미를 잃고 자기가 관심이 있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는 아이다. 교구의 활용이나 그룹수업 등 외부의 자극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효과적인 지도방법이다. ‘상상하는 아이’라고 명명한 세 번째 그룹의 아동들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적 표현력이 좋으며 자기만의 방식으로 즐거움을 찾는 아이들이다. 공감하고 이해해주는 선생님을 만나면 학습의 동기가 배가되는 학생이다. 승부욕이 강하고 성취동기가 강한 성향은 ‘경쟁하는 아이’라고 하였다. 교사의 권위에 따르기보다 자기주장이 강한 그룹으로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지 않으면 교사와 갈등이 생길 여지가 있다. 목표지향적인 성격이라 스스로 분량을 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학습을 내 주는 것이 좋다. 행동분석의 코딩범주를 탐색한 결과, 이 네 가지 성향의 특성 중 하나로는 설명할 수 없거나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뚜렷한 특징적 행동을 가지는 아동이 발견되었고 그들에게 맞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지도방안이 따로 고안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아동의 특성은 마치 양손을 다 사용하는 것처럼 한 방향이 아닌 두 가지의 강한 특징적 행동을 보이므로 ‘양방향의 아이’ 로 하여 다섯 유형의 아동으로 분류하였다. 결론에서는 성향에 맞는 개별적 지도방안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는데 일선의 피아노 교사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현장의 언어로 해석하였기에 적용하기에 용이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전자상거래 해외시장 진출에 관한 연구 : 한국 중국 전자상거래시장 사례중심으로

        윤영미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국내의 전자상거래 기업과 중국의 전자상거래기업 사례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전자상거래 해외시장 진출 방안도출과 무역의 흐름이 전자상거래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직접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해외직접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둘째, WTO 출범이후로 자유무역주의에서 보호무역주의로 퇴화해가고 있는 현 경제상황을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타개해 나가는 것이다. 국가별로 무역 제한조치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무역방식으로 거듭나게 될 전자상거래의 잠재성을 인지하고 적극 활용한다면 새로운 활로의 개척과 동시에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이 실증적 연구가 아닌 문헌, 사례연구라는 점에 있어서 전자상거래의 정확한 시장규모와 전망을 예상할 수 있는 1차 자료가 부족한 것이 한계이다. 전자상거래는 계속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 전자상거래에 대한 정확한 시장규모와 전망에 대한 연구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가 요구된다.

      • 시민참여실천공동체 '참누리평화교육' 구성원들의 학습경험 질적 사례 연구

        윤영미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시민교육의 확대와 함께 시민참여실천공동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평화교육을 매개로 한 시민참여실천공동체‘참누리평화교육’구성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의 평화문화 확산을 목표로 하는 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학습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주목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사회 통합과 공동체 형성 지원과 같은 시민참여를 강조하며 학습을 함께 나누는 시민참여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은 일반 실천공동체와는 어떤 다른 특징을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총체적 영어 교육 방안 : 호손의 단편소설 「큰 바위 얼굴」 활용

        윤영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문학 교재가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해 효과적이라는 것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총체적 영어교육에 있어서 영문학 교재의 활용이 학습동기와 집중도를 자극하여 학습자의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4장으로 구성된다. 제 1장은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입부분이다. 제 2장에서는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을 토대로 총체적 영어 교수법의 정의와 특징 및 교육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총체적 영어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재료로써의 영문학 교재에 관해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교육을 위한 교재 선택 시 고려해야 하는 결정적인 요소들을 언급하면서 나다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을 총체적 영어교육 지도를 위한 최적의 읽기 자료로 선택한 것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이 장은 「큰 바위 얼굴」을 활용하여 계획한 수업 안을 제시하고 교육현장에 적용 후 그 효과를 나타낸다. 3장에서는 또한 수업 안을 바탕으로 한 교실수업 후, 시행했던 설문조사와 그 결과를 분석하고 선행연구들과 비교한다. 제 4장에서는 조사결과에 관한 내용요약과 본 연구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적인 제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으로 부터의 연구내용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58.18%의 학생들이 영문학 작품을 읽은 경험이 있으며,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문학작품에 흥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의 총체적 영어교육 후 시행된 조사에 의하면 학생들은 단편소설이 총체적 영어교육 상황에 쓰여 졌을 때, 더욱 강렬한 학습동기와 반응을 나타낸 걸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료가 풍성한 읽기 재료로써 영문학 교재가 학습자들이 그들의 읽기 단계에 있어서 더욱 적극적이고 집중력 있게 읽기를 수행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rgues that English literary works are resourceful textbook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It also suggests that English literary texts used in the whole English teaching situation help the learners to be more motivated and concentrated on their reading processes. This study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ory part that explains the purpose, the necessity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introduces the defin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the whole English teaching, followed by the discussions on the existing theoretical views about this teaching approach. It also discusses a literary text as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Chapter 3 delineates the rational for this study's choice of Nathaniel Hawthorne's “The Great Stone Face” as a primary reading material for the whole English teaching lesson plan by introducing a list of determining factors for the choice. In addition, the same chapter includes a lesson plan based on “The Great Stone Face” and shows how it worked in classroom teaching. Chapter 3 also analyz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after classroom teaching based on the lesson plan,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of the pre-survey. Chapter 4 combines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nd conclusive remarks on this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paper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pre-survey shows that 58.18% of the students have had an experience of reading English literary works, which signifies that they are basically interested in literay texts. Thus, as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classroom teaching suggests, the students were more strongly motivated by and responsive to the short story, especially when it was used in the whole English teaching situation. Another implication of such results is that a literary text as a resourceful reading material helps the learners to be more actively and attentively engaged in their reading processes.

      •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연구

        윤영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전공 윤 영 미 본 연구는 노인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자는 수원시 소재 평생교육기관과 노인종합복지관 컴퓨터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컴퓨터에 대한 태도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컴퓨터 관련 변인으로는 사용빈도(F=6.46, p<.05), 교육경험기간(F=5.20, p<.05), 컴퓨터 작업중에는 블로그·카페를 포함한 홈페이지 작업(t=-3.04, p<.05)와 음악·영화보기(t=-2.64, p<.05)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빈도 중에는 ‘매일 30분 정도’ 사용이 종합적인 태도 평균 2.27이었으며, 자신감이 2.64, 호감도 2.61로 높았다. 불안감은 2.99로 높게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많은 것보다는 매일 적당히 하는 것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또 이전 교육경험 중에는 ‘1-6개월 미만’이 종합적인 태도 평균 2.15를 보였으며, 자신감(2.44), 호감도(2.46), 불안감(2.76)으로 높았다. 셋째, 학습환경에 따른 만족도와 태도의 관계는 강사만족도(F=4.14, p<.05) 와 교육 내용에 대한 만족도(F=3.37, p<.05)와 태도의 관계가 유의미한 차이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인력에 관한 연구 : 미래유망기술분야(6T)를 중심으로

        윤영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 변화에 따른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다른 접근 방식인 혁신적 방안을 고안해야 한다. 융합연구는 이러한 사회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국가 성장을 위한 필수적 요소로 등장하였다. 우리나라는 이미 우위를 점한 선진국들을 따라잡기 위한 과학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별적인 투자와 산업 구조 개편을 통한 우리나라만의 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아직 연구개발 전반에 융합을 촉진하는 기제가 미흡하며 융합연구 활성화 수준이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분야 간 융합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연구자 간 상호연계를 중요한 요소로 많은 연구자들이 주장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환, 세계화, 산업 가치사슬의 환경 변화 등 빠른 변화 및 성장으로 인해 필요한 분야별 인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없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인력과 관련된 특성을 고려한 성과 조사 등의 연구 및 일련의 정책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인력 및 성과 관계 특성을 고려한 우리나라만의 융합연구개발과제 전략 틀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래 성장의 기반이 되는 6개의 미래유망기술분야(6T)를 중점으로 학력, 전공 등의 인력특성과 논문, 특허 등의 연구성과 관계를 네트워크 분석, 회귀모형 분석을 통한 다각적인 접근으로 전략도출을 위한 결과를 고도화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해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를 설립한 연도인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개년도에 실행되었던 모든 국가연구개발과제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다음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융합연구과제에서는 참여연구의 학력의 높낮이가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두 번째, 융합연구의 목적에 따른 전략적 참여연구인력 투입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 각 분야별 연구성과별로 좋은 시너지를 내는 연구인력의 특성이 상이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혁신적 연구성과를 위한 미래유망기술(6T)분야 내 전공 협업연구를 장려해야 된다는 것이다. 일부 분야는 폐쇄적인 협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분야에 특화된 전공 간의 협업만 이루어지고 있어 융합연구 본 목적에 부합하지 않아 전략적으로 전공의 다양성을 확보한 협업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다음과 같은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설립된 이후의 국가연구과제데이터를 활용해 회귀분석, 네트워크 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미래유망기술분야(6T) 융합연구활성화를 위한 연구인력 전략을 도출했다는 것이 기존의 연구와 차별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중장기 융합연구개발계획을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