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외상경험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윤성욱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well as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To do this, we conducted a survey on a total of 340 college students aged 18 or olders in Cheongju city. A total 327 data were used in the study after excluding missing and/or invalid cases. The following scales were used: Trauma Antecedents Questionnaire: (TAQ), Self-Esteem Scale,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hildhood trauma experienced were reported in the order of emotional abuse, separating, family secrets, other traumatic experiences, witnessing violence, neglect, substance abuse environment, physical abuse, and sexual abuse. Second,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had impact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mor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e less interpersonal problems affected by trauma experiences,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Unfortunatel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self-esteem.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raumatic experiences on children in early adulthood provides evidence of the need for an early treatment intervention and social services. Second, we propose an improved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need to offer parent education and family support services at the community and national level as well as clear and specific administrative guidelines for children and youths’improved ment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 남녀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27개의 자료가 연구에 사용 되었다. 연구도구는 외상경험 질문지(Trauma Antecedents Questionnaire: TAQ),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부모양육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외상경험 빈도는 정서적 학대, 분리, 가족 내 비밀, 기타 외상경험, 폭력 목격, 방임, 술과 약물남용,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외상경험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 또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외상경험에 따른 대인관계문제 정도가 낮았고, 부모양육태도는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아쉽게도 본 연구에서는 기대와는 다르게 외상경험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에 포함되는 대학생의 외상경험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파악하고, 아울러 부모양육태도가 아동기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종류의 외상을 경험할 수 있는 아동·청소년 및 초기 성인기에 외상경험에 따른 부정적 결과에 대해 조기치료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에 따라 복지 서비스 확충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둘째, 외상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의 주양육자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및 가족지원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 및 국가차원에서의 전달체계 개선 및 확립을 제안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인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Molecular Genetic Diversity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Donkey (Equus asinus) in Korea : 당나귀의 형태학적 특성 및 유전학적 다양성

        윤성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on donkey in South Korea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due to lack on criteria and information compare to other livestock, companion animals. In this study, we carried on research of physical characterization, meat differentiation through molecular biological method in domestic donkey to identify donkey meat from horse meat. We studied on body height, body color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79 domestic donkeys which share 10% of total donkeys in South Korea and did a research on meat identification through molecular biological method using horse meat including dokney meat. The result on research of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79 domestic donkeys in South Korea is that the ear length is from 17 to 28cm (mean 23 cm), the body height is from 90 to 135cm(mean 118.3 cm), the body length is from 109 to 150 cm(mean 131.2 cm), and the body color is white, chestnut, gray, black, brown widespread. We observed 620bp in donkey meat, and 600bp in horse meat as a result of meat differentiation. The research on domestic donkey has little information and criteria comparing to other livestock, companion animal. In this study we present standard karyotype of domestic donkey through G-banding technique to set on essential database of genetic disease in domestic donkeys. We analyzed karyotype data of blood cultivation in three different equine species(1 thoroughbred, 1 Jeju hanla horse, 1 mule) including 1 donkey through G-banding technique. The result on karyotype of domestic donkey from their blood cultivation is that the total chromosome number is 62 consisting of 30 pairs of homologous and 2 pairs of sex chromosome. We used thoroughbred racing stallion, Jeju hanla horse mixed breed as a control group to compare karyotype analysis, and the result is that 2n=64 in thoroughbred and Jeju hanla horse, and the mule got a result of 63,XY karyotype analysis from union between female haploid n=31,X and male haploid n=30,Y The research on domestic donkey has little information and criteria comparing to other livestock, companion animal in South Korea. We analyzed genetic database of domestic donkey using microsatellite marker to clarify domestic donkey identification and paternity test. It is the first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on domestic donkey in South Korea. We studied 179 horse samples from 50 thoroughbred, 50 Jeju Hanla horse, including 79 donkeys then analyzed 15 microsatellite marker (AHT4, AHT5, ASB2, ASB17, ASB23, CA425, HMS1, HMS2, HMS3, HMS6, HMS7, HTG4, HTG10, LEX3 and VHL20). We observed genetic diversity from biostatic analysis of them. The number of alleles on total average is 6.00 Observed from 1(ASB17), 2(HMS1) to 14(AHT5). The observed heterozygosity is from 0.0000(ASB17, HMS1) to 0.8608(ASB23) which is mean value of 0.4861, the Expected heterozygosity is from 0.0000(CA425) to 0.9104(AHT5) with mean value of 0.5915, and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PIC) on each group of Microsatellite marker is from 0.0000(ASB17) to 0.8968(AHT5) observed as a mean value of 0.5374. Among 15 markers AHT4, AHT5, ASB23, CA425, HMS2, HMS3, HTG4, HTG10, LEX3 is observed above 5.000. The result on 15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of 3 horse groups is that the donkey had 0.5915 Expected heterozygosity , 0.4861 Observed heterozygosity on average, thoroughbred had 0.6721 Expected heterozygosity , 0.6587 Observed heterozygosity on average, and the Jeju hanla horse had 0.7898 Expected heterozygosity , 0.7093 Observed heterozygosity on average observed. Futhermore the mean alleles value is observed as 6.00, 4.83, 8.00 in donkey, thoroughbred, Jeju hanla horse breed in each. The research on domestic donkey has little information and criteria comparing to other livestock, companion animal in South Korea. So far no precise database on domestic donkey has been researched regarding the origin presuming that most Korean domestic donkeys were migrated from Northern regions such as China, Mongolia. We carried on research to shed light on phylogenetic character, migratory route of domestic donkeys. It is the first mtDNA analysis on donkey in South Korea. We presumed phylogenetic character, migratory route of domestic donkeys after analyzing entire mtDNA base pairs on five donkeys and then proceeded biostatics. In total, 16,670 base pairs were observed, which turned 38 gene out to be associated with donkey. We observed 22 gene encoding tRNA (tRNA-Phe, tRNA-Val, tRNA-Leu(UUR), tRNA-lle, tRNA-Gin, tRNA-Met, tRNA-Trp, tRNA-Ala, tRNA-Asn, tRNA-Cys, tRNA-Tyr, tRNA-Ser(UCN), tRNA-Asp, tRNA-Lys, tRNA-Gly, tRNA-Arg, tRNA-Ser, tRNA-Leu, tRNA-Glu, tRNA-Thr, tRNA-Pro, tRNA-His), 2 gene encoding rRNA (12SrRNA, 16S rRNA), and 13 gene associated with supplying information on protein synthesis.(NADG S1, NADG S2, NADH S3, NADH S4, NADH S5, NADH S6, L-stran, CytC S1, CytC S2, CytC S3, Cyt_B, ATP S8, ATP S6), and 1 control region etc. After analyzing haplotype in CytB region which mostly researched among 38 observed genes in donkey, the polymorphism area is 5, haplotype number is 3, the haplotype diversity is 0.800, nucleotide diversity is 0.00211 which entirely observed in low. Based on this study, after phylogenetic research, we presume that the Korean domestic donkey is originated in Somali wild ass species migrated from China.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에 대한 기준 등 타 동물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육 당나귀의 형태학적 특징 및 말고기가 당나귀고기로의 둔갑에 대비하여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식육감별을 수행하였다. 국내 사육 당나귀의 약 10%에 해당하는 당나귀 79두를 대상으로 체고 및 모색 등 형태학적 특징과 당나귀 고기를 포함한 말과 동물의 고기를 공시동물로 사용하여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 79두를 대상으로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귀의 길이는 17-28 cm (평균 23 cm), 체고는 90-135 cm (평균 118.3 cm), 체장은 109-150 cm (평균 131.2 cm)로 관찰되었다. 모색은 흰색, 밤색, 회색, 검정색, 갈색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식육감별 결과 당나귀고기는 620 bp, 말고기는 600 bp에서 관찰되었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에 대한 기준 등 타 동물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육중인 당나귀의 유전성 질병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G-banding 기법을 통해 표준 핵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당나귀 1마리를 포함하여 말과 동물 3마리(더러브렛 1마리, 제주말 1마리, 노새 1마리)의 혈액을 배양하여 G-banding 기법으로 핵형을 분석하였다 혈액 배양법에 의한 당나귀의 핵형분석 결과 염색체의 수는 총 62개로서 30쌍의 상염색체와 2개의 성염색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당나귀의 핵형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대조말로서 경종마인 더러브렛과 잡종마인 제주 한라말의 핵형을 분석한 결과 2n=64로 관찰되었고, 노새는 암말의 반수체 n=31,X와 수 당나귀 n=30,Y가 결합한 63,XY의 핵형양상을 나타내었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에 대한 기준 등 타 동물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육중인 당나귀의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에 활용코자 초위성체 마커(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당나귀에 대한 microsatellite marker 분석이 국내에서 처음이다. 당나귀 79두를 포함하여 더러브렛 50두, 제주한라마 50두 총 179두를 대상으로 15개 microsatellite marker (AHT4, AHT5, ASB2, ASB17, ASB23, CA425, HMS1, HMS2, HMS3, HMS6, HMS7, HTG4, HTG10, LEX3 and VHL20)를 분석한 후 통계처리하여 유전적 당양성을 관찰하였다. 대립유전자의 수는 1개(ASB17)와 2개(HMS1)에서부터 14개(AHT5)로 평균 6.00개가 관찰되었다. 관측된 이형접합도(Observed heterozygosity)는 0.0000(ASB17, HMS1)에서 0.8608(ASB23)로 평균 0.4861, 기대된 이형접합도(Expected heterozygosity)는 0.0000(CA425)에서 0.9104(AHT5)로 평균 0.5915, Microsatellite marker별 집단에 대한 다형성 정보량 (PIC)은 0.0000(ASB17)에서 0.8968(AHT5)로 평균 0.5374로 관찰되었다. 15개 marker중에서 AHT4, AHT5, ASB23, CA425, HMS2, HMS3, HTG4, HTG10, LEX3은 5.000 이상으로 관찰되었다. 3개의 말 집단에 대해 15개의 microsatellite marker로 분석한 결과, 당나귀의 경우 평균 Expected heterozygosity와 Observed heterozygosity 는 각각 0.5915, 0.4861, 더러브렛의 경우 0.6721, 0.6587, 제주 한라마의 경우 0.7898, 0.7093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당나귀, 더러브렛, 제주 한라마에서 각각 6.00, 4.83, 8.00으로 관찰되었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에 대한 기준 등 타 동물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는 대부분이 중국이나 몽골 등 북방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 정확한 연구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당나귀의 계통학적 특성 및 유입경로 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당나귀에 대한 mtDNA 분석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당나귀 5두를 대상으로 mtDNA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통계처리하여 계통학적 특성 및 유입경로를 추정하였다. 당나귀는 전체 16,670개의 염기가 관찰되었고, 그 관련 유전자 수는 총 38개가 관찰되었다. tRNA를 지시하는 유전자 22개(tRNA-Phe, tRNA-Val, tRNA-Leu(UUR), tRNA-lle, tRNA-Gin, tRNA-Met, tRNA-Trp, tRNA-Ala, tRNA-Asn, tRNA-Cys, tRNA-Tyr, tRNA-Ser(UCN), tRNA-Asp, tRNA-Lys, tRNA-Gly, tRNA-Arg, tRNA-Ser, tRNA-Leu, tRNA-Glu, tRNA-Thr, tRNA-Pro, tRNA-His), rRNA를 지시하는 유전자 2개(12SrRNA, 16S rRNA), 그리고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를 제공하는 유전자 13개(NADG S1, NADG S2, NADH S3, NADH S4, NADH S5, NADH S6, L-stran, CytC S1, CytC S2, CytC S3, Cyt_B, ATP S8, ATP S6), control region 1개 등이 관찰되었다. 당나귀에서 관찰된 38개의 유전자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바 있는 CytB 영역의 haplotype을 분석한 결과 다형성 부위는 5개, 반수체 수 3개, 반수체의 다양성은 0.800, 핵산의 다양성은 0.00211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계통분류 결과 국내에서 사육중인 당나귀는 소말리아 계통 당나귀에서 유래하여 중국을 거쳐서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산헤드린 심문에서 드러난 예수의 자기이해 : 마가복음 14:53-63을 중심으로

        윤성욱 대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역사적 방법과 인지언어학에서 의미론을 중심으로 예수 자기이해를 통해 현재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마가복음에 기록된 예수 재판(막 14:53-65)을 선택했다. 그리고 필자는 예수의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구약부터 예수가 살았던 시대까지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관습, 풍습, 생활 습관들을 통해 본문을 해석하였다. 이것들을 통해 예수의 증언이 산헤드린 공회원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메시야 사상에 대한 것임을 발견하였다. 유대인들은 메시야를 통해 다시 회복될 것이라는 유대종말 사상이 있었다. 이 사상의 핵심은 하나님이 보내신 메시야를 통해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깨진 관계를 회복하는 사상이었지만 역사적,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유대인들 속에 있는 메시야 종말론 사상은 하나님과는 점점 멀어진 정치적, 사회적 해방으로 사상이 변질되었다. 예수 역시 이 모든 상황을 알고 있기에 산헤드린 공회 재판에서 대제사장의 질문에 대해 ejgw v eijmi(내가 그 이다.)라는 대답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밝히고 있다. 또한 다니엘 7:13-14에 있는 인자의 개념을 통해 예수가 하나님 대신 해야 할 일들을 증언하고 있다. 예수가 인지하고 있는 자기 이해는 이스라엘 회복을 위한 예수, 절대적 주권을 가진 예수, 심판자의 권위를 가진 예수이다. 하나님께서 이 땅에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교회와 백성은 동일한 권세를 하나님이 주셨다는 것을 인식하고 살아간다면 방향을 잊지 않고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ath churches should take through the research of Jesus’ self-understanding. Cognitive semantics and historical methods were used for the research. It was chosen for the study that the text of the Sanhedrin trial of Jesus in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MK. 14:53-65). This paper surveyed diverse contexts to identify the intention of Jesus’ saying, including historical, political, and social conventions, life styles, and customs throughout the ears of the Old Testament and Jesus’. They shown that Jesus' testimony indicated that the Messiah, Sanhedrin have waited, was Jesus himself. Jewish people had their own eschatology which believed Messiah will redeem Israel in the end of days. The original core idea of Messianic concept was restoration of the broken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but it gradually changed to social and political liberation due to Jewish political contexts. Jesus knew all those things so he answered to the High Priest's first question that εγ ω ειμι (I am) to reveal his self identity at the trial of Sanhedrin. Also Jesus testified his identity as Daniel’s son of man (Dan. 7:13-14) and his missions that God has entrusted him with. According to Jesus' self understanding, Jesus has the sovereignty and the authority to judge, and also he is the redeemer of Israel. God has given this authority to Jesus. Therefore churches should recognize the fact that they who have received salvation through the faith in Jesus Christ have the same authority Jesus had. Churches would be able to fulfill the duty, being the salt and light of the world, when they remember that.

      • 소셜미디어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Covid-19 백신 부작용 분

        윤성욱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 is a highly contagious epidemic worldwide and governments have actively recommended vaccination to overcome it. However, during the vaccination process, many people are reluctant to receive the COVID-19 vaccine, which is due to the short development period of the vaccine, simplified clinical trials, false rumors, and side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resolve the objection to these vaccines. The side effect monitoring system is one of the methods of providing vaccine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rigorous and difficult to verify, resulting in high user dissatisfaction. As social media is very popular and people are sharing their daily activities on social media.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vaccine is obtained from social media by analyz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de effects of the COVID-19 vaccine based on text mining and graph mining techniques on Twitter, one of the representative social media. First,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oactively detect not only the side effects of previously known official vaccines, but also the side effects of previously unknown vaccines. In addition, the results with the text mining and graph mining methods are analyzed comparatively and through this, a connectivity analysis between vaccine side effects is performed.

      • A365-T6 알루미늄합금 다이캐스팅 판재의 마찰교반점접합에 관한 연구

        윤성욱 蔚山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CO2 배출량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현재, 자동차 산업에서는 차량 경량화, 대체연료 개발, 동력 전달효율 향상 등 다양한 기술들을 적용하여 CO2 배출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차량의 경량화를 위해 고 비중의 철강재를 경량의 알루미늄합금으로 치환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용융용접 시 알루미늄의 자연산화막 및 높은 열전도도 때문에 기존의 용융용접으로는 요구되는 용접특성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마찰교반점접합기술은 이러한 알루미늄합금 용접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접합기술로 주목을 받아 국내외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이캐스팅공법으로 제조한 두께 3 mm의 A365-T6 알루미늄합금 판재의 접합에 마찰교반점접합을 적용하여 접합용 공구의 회전속도, 삽입 속도 및 깊이가 접합부 조직, 경도, 인장전단하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구의 회전속도, 삽입속도, 삽입깊이의 변화에 의한 접합부 미세조직의 급격한 상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조대한 primary 알루미늄 및 Al-Si의 공정조직으로 구성된 모재의 미세조직과는 다르게 교반부에서는 Si입자가 Al기지에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된 미세조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접합부 부근의 경도는 모재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접합변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접합부의 경도 분포는 모재에 비해 크게 편차가 줄어들었다. 이는 미세조직 관찰에서 밝혀진 것처럼 접합부에서 Si이 Al기지에 비교적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인장전단시험 결과, 모든 접합조건에서 공구의 probe가 삽입/이탈로 형성된 hole부근에서 파단이 발생하였다. 공구의 회전속도, 삽입깊이 및 삽입속도를 각각 2000 rpm, 5.1 mm 및 100 mm/min인 조건에서 제조한 접합체에서 가장 높은 약 5.4 kN의 인장전단하중을 나타내었다.

      • 일일 잇솔질 빈도와 흡연이 구강보건 증진에 미치는 영향

        윤성욱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One of main cause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significant stomatosis causing deterioration of oral health and loss of teeth is dental plaque and smoking is known as its environmental cause also. The most effective way to control dental plaque is tooth brushing and daily tooth brushing frequency is a major factor to prevent significant stomatosis. Accordingly,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s of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smoking on oral conditions by analyzing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 depending on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smoking. Second, it is intended to assess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smoking on cotinine level by analyzing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smoking. Third, it is intended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by investigating correlation of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of study subjects with their general features, health activities, and oral health behaviors. First, for PHP index depending on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smoking, questionnaire survey and oral examination were conducted against 111 men in their 20s and it was found that their overall PHP index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was ‘poor’ level as 2.60. For their PHP index according to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it was identified that subjects with lower tooth brushing frequency has lower PHP index as 2.84 in subjects brushing their teeth less than 2 times a day and 2.17 in subjects brushing their teeth more than 3 times a day. For non-smokers, it was found that their PHP index was 1.84 in over 3 times a day of tooth brushing frequency. For smokers, it was found that their PHP index was 2.96 in less than 2 times a day of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2.78 in at least 3 times a day of the tooth brushing efficiency, showing that their PHP index were in ‘poor’ level. For PHP index depending on the number of cigarettes, it was found that the more cigarettes they smoked, the higher their PHP index was, showing that their PHP index smoking more than 10 cigarettes a day was ‘very poor’. In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lower tooth brushing frequency, smoking, and more number of cigarettes were related to higher PHP index.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daily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urinary cotinine level was drawn from the results of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erform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from 2007 to 2010. A part of the results were re-analyzed focusing on their oral health against 1,810 adults over their twenties. It was found that mean tooth brushing frequency was 2.49 and general features th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average tooth brushing frequency were sex, age, academic background, marriage, income, job, exercise, and smoking (p<0.05). For sex, women showed higher value; a group with high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had higher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for marriage, married group showed lower value than unmarried group. By jobs, the value of experienced workers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was the highest and the value of office workers was the lowest. For exercise, the subjects who exercise and smoke no cigarette had higher tooth brushing frequency. It was shown that the general feature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urinary cotinine level were sex, age, religion,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Men showed higher value than women and the subjects who had higher age, drink no alcohol and had a relig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cotinine level. For the cotinine level of total subjects against their tooth brushing frequency, it was found that when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increased, the cotinine level was reduced as 442.38 μg/L for 0 time a day and 60.0 μg/L for 4 times a day,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For the cotinine level of the subjects who answered to smoke against their tooth brushing frequency, it was found that when e tooth brushing frequency increased, the cotinine level was reduced as 793.36 μg/L for 0 time a day and 233.64 μg/L for 4 times a day. As results of a regress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increased, the cotinine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7) decrease as Y=-236.08X (tooth brushing frequency) +744.16. For the cotinine level of non-smokers depending on their tooth brushing frequency, it was found that when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increased, the cotinine level decreased,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The cotinine level of indirect-smokers in non smokers depending on their tooth brushing frequency was analyzed as 554.08 μg/L for 0 time a day, 30.72 μg/L for 1 time a day, 17.66 μg/L for 2 times a day, 52.14 μg/L for 3 times a day, and 41.03 μg/ for 4 times a day. Although it did not decrease with increase of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as shown. As result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step choice, Stepwise) of multiple regression model between general features and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using the urinary cotinine a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identified that Y(urinary cotinine level) = 634.75 + 350.31X1(smoking) - 7.92X2(age) - 82.49X3(frequency of tooth brushing a day) and each factor was significant (p<0.05). Third, for relationship between tooth brushing frequency, general features and health behavior oral health condition a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400 adults over their twenties in some areas from Dec., 2010 to Jan., 2011.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was divided into from 1 time a day to 3 times a day and for general features affecting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it was found that sex, age and incom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t was found also that women had higher value as 67.3% of women and 41.2% of men and for the age, subjects in their thirties had the highest value. For incom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ith higher income had higher tooth brushing frequency. For health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non-smoker had higher tooth brushing frequency, as 47.4% of smokers and 58.5% of non-smokers. For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it was identified that higher oral health atten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for the tooth brushing regio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ubjects who brushed well and as a whole had higher tooth brushing frequency. In terms of oral health, it was suggested that the tooth brushing played a role in reducing influx of nicotine (exposure) after smoking as well as oral health. This indicates that tooth brushing has a potential to reduce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ous factors and presents need of below related studies in future.

      •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윤성욱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직장생활을 하고 있고, 특히 업무적으로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비사무직 영업직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의 성인애착에 따라 얼마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아울러 대인관계문제는 직무만족에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인애착의 차원에 따라 대인관계문제로 인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이 어려운 직장인들을 이해하고, 대인관계 향상 및 직무만족을 통하여 직장 내에서의 효율적인 업무 능률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제약 및 의료기기 관련 제조 및 유통 업체들 중에서, 주로 외근이 주 업무인 비사무직 영업 직종의 직장인 236명(남자 162명, 여자 74명)이었으며, 방법은 지면 설문 또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실시하였다. 직장인들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을 김성현(2004)이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원주순(2008)이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문제 측정을 위해서는 홍상황 등(2002)이 한국판으로 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각 조사도구의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성인애착, 대인관계문제,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장인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살펴보면,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고,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대인관계문제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성인애착의 하위변인인 애착불안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성인애착의 또 다른 하위변인인 애착회피는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접적 효과가 있는 것과 더불어 대인관계문제를 통한 간접적 효과도 증명되어 이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인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직장인의 직무만족을 위한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입증하였고, 성인애착의 하위변인 중 애착회피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도 입증하였다. 또한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입증함으로써 직장인에게 있어서 애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를 지니고 있는 영업직종 직장인들에게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특정 지역과 특정 직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