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동선수, 일반인, 그리고 비만인의 인슐린 저항성 지표 및 레지스틴의 비교에 관한 연구

        윤국진 안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insulin resistance markers and resistin were associated with long term exercise training and obesity in athletes, non-athletes, and obesity. A total 24 young men of university students ( 7 of athletes, 8 of non-athletes, 7 of obesit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dy composition (i.e., weight, body mass,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gerence) , blood pressure, blood chemistry (i.e., glocose, insulin, lipids, HOMA-IR, resistin) were measured using our standardized protocols. CRF was measurred as the maximum volume of the minute oxygen consumption during a graded treadmill testing. From the current study,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The athletes and obesity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SBP, CRF than the non-athletes, and the athl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HDLC than the obesity, and the obesity had significantly higher insulin and HOMA-IR than athletes and non-athletes. No such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in and athletes, non-athletes, obesity korean young men.

      • 國民學生의 스트레스 經驗 水準과 學校 生活 適應과의 關係

        윤국진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abd stress experienc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set up: 1.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stress experience levels. 2.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tress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exual distinction. 3.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exual distinction. 4.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the stress experience levels and sexual distinction. Ⅱ. METHOD 1. Subject To test these hypothesis, 464 four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Seoul, Tae-jon, Tae-chon elementary school were sampled as subjects of this study. 2. Instruments Following instrum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 1) A stress reaction test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Youn, Kook-Jin (1994). 2) A criteria of school life adaptation developed by An, Sang-Pil (1990) 3. Data analysi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of two-way ANOVA, taking advantage by Spss/Pc+++ Ⅲ.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aptation levels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low group of the stress experience.(P < .001) 2) There are significant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tress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exual distinction.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exual distinction, (P < .001)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exual interaction. Ⅳ. DISCUSSION From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the stress experience and the adaptation of the school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ubjects are limited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re are problems to generalize this study.

      • 전도성 페이스트용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로의 응용

        尹國進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composite of carbon nanotube and metal was prepared and its conductive paste was investigated based on an electrical properties. In addition, the electrode of dye-sensitized solar cell was prepared by metal-loading on the surface of carbon nanotube and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ased on effects of loaded metal. The composite of carbon nanotube and metal was prepared by using polyol process. The shape and amount of loaded metal was analyzed by SEM, TEM, EDS and AA analysis methods. All of prepared CNT-ag, CNT-pt and CNT-ni composites showed a highly metal loaded carbon nanotube composite. In case of CNT-ag, the nuclear and particle growth was accelerated by a higher amount of PVP. In addition, the dispersion of particles was improved based on particle capping effect of oleylamine. The prepared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of CNT-ag was coated on a slide glass and then the sheet resistance and adhesion stability were tested. In case of ethylcellulose binder only, the high sheet resistance was obtained by poor adhesion stability between a slide glass with prepared paste. The sheet resistance reduced by improved adhesion stability based on effect of alkyd resin additive as an adhesion assistant. The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was investigated by using CNT-pt paste as a working electrode. The improved efficiency of dye-sensitized solar cell was obtained showing 1.46%.

      • 東海岸 沿岸域 景觀의 認識特性에 關한 硏究

        윤국진 慶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硏究は沿岸域一帶において定住地の開發と港灣施設、海岸親水空間及び海岸道路建設などの各種人爲的な新開發、再開發、復元、保全及び專用などと關連して今後、沿岸域景觀の正しい利用·開發·保全のために、多樣な眺望景觀を對象にする視覺的認識特性を把握することが本硏究の目的である。そして、この硏究の期待效果としては、わが國の沿岸域資源の價値を再設定するようになり,健全な沿岸域の利用·開發·保全のため、沿岸景觀の管理體系樹立に政策的「ガイドライン」で提供されるのだろう。 硏究實驗の對象地としては、東海南部沿岸域景觀一帶と選定した。選定の主な理由とは、東海南部圈域一帶の沿岸景觀地域は自然環境的な景觀美が秀麗だけでなく、所所に長く伸られた砂浜や岩、斷崖や崖錐、沙柱や河口などの景觀構成が比較的多樣であり、人爲的環境の面でも立地的·環境的特性によって構造物あるいは,施設物などが適切な分布樣子を表しており、沿岸景觀の力動感と變化感、纖細感と粗い感、及び「スケイル」感などが多樣に表出されているからである。 沿岸域景觀の認識特性を評價するための體系は3個の評價分野と5個の測定分野そして、32個の測定變數と構成した。評價分野としては、景觀の認識特性、景觀保全及び管理その他、一般事項などの3個と構成し、測定分野に對しては景觀の認識特性評價分野の3個の測定分野(景觀お好み、主要境觀要素、景觀認識程度など)と沿岸域の景觀保全及び管理評價分野と一般事項評價分野より各各1個の測定分野と構成した。そして測定變數は景觀認識程度測定分野25個の測定變數(5個の因子軸)と個人身上に關する4個の測定變數以外に、各各の測定分野別に1個の測定變數を包含し、全部32個の測定變數と構成した。 このように、各景觀類型別比較·考察で沿岸を構成する物理的對象によって視覺的景觀認識お好みにはっきりした差があることと分析された。單純で、特徵のない單調な構成の自然景觀より、多樣な景觀對象が調和し、特徵的な對象があり、動的な彎曲の海岸線との俯瞰できる眺望点が確保された景觀を比較的選好した。一方、無分別な沿岸域の利用·開發による沿岸域の資源要素ら間の不調和な人工要素は景觀の質を惡化させることがわかった。これらと反對に各地域の正體性を反映した特徵的であり、景觀資源要素らとの均衡で、調和した人工施設物の場合は景觀の質を向上させることがわかった。 このような結果からみると、わが國の沿岸域景觀を健全に利用·開發·保全するためには、各地方の沿岸景觀の特性を明確に分析し、開發の諸弱點を綿密に把握し、わが國の沿岸域環境に觀する總體的な沿岸域景觀管理體系樹立が何より先行すべきだと思料される。こういった沿岸域景觀管理體系樹立は、從來の無分別な沿岸域の利用·開發による沿岸域景觀の價値が低下された傾向を止揚し、環境的特性を考慮した持續可能な沿岸環境の利用と開發·保全への政策的「ガイドライン」と提供されるのだろう。 沿岸域景觀に關した今後の硏究方向は、わが國の沿岸に適した類型の設定でから新たに出發すべきだとみられる。從來の沿岸域景觀の類型分類においては,外國の硏究を通じた理論的考察による景觀の類型分類が大部分だったので、わが國の沿岸域の景觀類型とは異質的な要素が內在されており、わが國の沿岸域景觀の類型設定のため、實?的な硏究が必要であろうと思われる。また、このような沿岸域景觀を保全しつつ、より健全で、正しい利用·開發のためには、沿岸域景觀管理のため「沿岸域景觀管理モデル」の樹立が切實に必要であろうと思料される。したがって、續續可能な沿岸環境の構築のためには,沿岸景觀の美的接近ばかりでなく、人文·社會的、經濟·制度的及び文化·環境的接近などの必要性が何より求められる。

      • 현대지역사회의 목회 갱신 방안 : 웨슬리의 소그룹 운동 중심으로

        윤국진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1장 서 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웨슬리에 대해서 알아보다 보면 웨슬리는 당시에 필요한 그리스도적 존재라고 보여진다. 웨슬리는 어떠한 사람이기에 당시의 영국을 변화시켰던 사람이었을까? 이러한 웨슬리의 모습이 지금의 사회에서도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먼저 웨슬리의 이러한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당시 웨슬리가 살았던 시대인 18세기 영국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시기였다고 보여진다. 당시의 영국은 사회 발전과 맞물려 교회 및 교권의 타락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잃어가던 시기였다. 또한 당시의 사람들은 이러한 타락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희망을 못 주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으로 인해 당시의 사람들 생활의 수준이 높지 못한 사람들은 더욱이 궁핍한 삶을 살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을 개혁시킨 것이 웨슬리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웨슬리는 당시의 잃었던 교회의 열정과 희망을 다시 회복시켰다. 성화 중심의 목회로 당시 영국 교회의 회복시켰으며 사회를 회복시켰던 모습을 알 수 있다. 지금의 지역사회를 보면 많은 고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논해야 할 것은 지역사회의 인식이라 생각된다. 교회의 모습을 보면 웨슬리 당시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은 상당한 과학적 발전과 수도권 중심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고충을 겪고 있다. 수도권 중심으로 인한 많은 발전으로 인해 대부분의 인구가 수도권에 머물러 있다고 보여진다. 수도권이 아니면 많이 낙후되었다거나 또는 사회의 문화에 머무를 수 없다는 것이 지금 사회의 모습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모습에 일부의 대형교회도 한 몫을 하고 있지는 않는가 생각된다. 이러한 지역 사회의 모습 이외에도 지금의 기독교적 인식에 대해서 논할 수 있다. 지금의 기독교적 인식은 상당히 비판적이라 보여진다. 반 기독교 단체의 활성화 모습이나 인터넷의 기독교 기사를 보면 알 수 있다. 기독교에 대한 기사나 인터넷을 보면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 기사가 대부분이다. 또한 기사의 댓글에 달리는 대부분이 비평적 모습을 가지고 있다. 지금의 기독교의 모습은 18세기 당시의 모습과 크게 다를 바 없다고 생각된다. 웨슬리가 있던 시대의 사회는 발전과 교권의 타락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고통을 받은 시대라고 이야기 한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지금의 시대도 많은 사회적 발전으로 윤리적 타락과 사람과의 불신이 가득한 시대이다. 교회조차도 일부 대형교회의 교세적 싸움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부정적 인식이 강한 시대이다. 웨슬리 시대와 비슷한 지금시대의 모습을 웨슬리적 목회의 방식으로 풀어가도록 하고자 한다. 이것을 지금의 수도권 중심이 아닌 지역적 발전과 지역목회의 활성화 방안과 맞물려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목회란 잘 알고 있듯이 교회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동체의 돌봄이다. 교회란 무엇이며 그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역사 속에서 지역교회에 대한 성서적인 모습을 보려고 한다. 역사속에서 지역 교회가 어떤 모습을고 나타났으며 지역 공동체 속에 들어가 뿌리내리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웨슬리의 교회론은 18세기 어두웠던 영국 교회를 갱신한 갱신적 교회론이다. 성도의 교제로서의 교회 그리고 소그룹 운동으로 평신도 지도자 양성이라는 요소들이 있다. 이러한 갱신적 요소들을 한국 교회의 상황에 비추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이 두가지 모습 지역적 목회와 웨슬리적 교회의 성장을 비추어 두가지 요소가 어떻게 정립되어질 수 있을지 논의 하고자 한다. 웨슬리의 밴드, 소그룹 또는 평신도 사역자와 같은 개념을 지금의 지역 사회에 적용시켜 그 모습을 지역사회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모습을 지금 비교하면서 현 대형화에 집착되어진 교회를 다시 생각하고 그것이 올바른 교회의 모습인지 생각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성장의 교회가 과연 지역적 목회와 맞는지 아님 지역적 목회에 맞지 않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지역에 맞는 올바른 목회를 고잘하고자 한다. 지역교회에 올바른 목회를 기존에 있었던 웨슬리의 목회와 맞추어 지금의 교회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18세기의 문명화의 교회 타락에 대해 개혁하였던 웨슬리의 모습을 다시한번 이 시대의 모습에 적용시키고 목회의 회복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 이종망 연동 3DTV 방송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T-STD 모델에 관한 연구

        윤국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디지털방송의 출현으로 방송국에서 일방적으로 송출한 신호를 시청하던 전통적 방송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 만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또한 인터넷 망과의 연동으로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면서 대화형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광대역 전송 기술의 발전으로 대역폭 한계를 극복하면서 시청자에게 4K 이상의 고화질 실감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실감형 방송서비스가 실현되고 있다. 실감형 방송서비스는 공간과 시간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감각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로, 해상도를 증가하여 초고화질 콘텐츠를 제공하는 UHD 방송기술과 시청자가 자연스럽게 3차원 입체영상을 몰입하여 즐기도록 하는 3DTV 방송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실감형 방송서비스 가운데, 3DTV 방송 방식은 서비스 호환, 디지털방송 화질 유지 및 최대 4K 고해상도 지원을 목표로 기술 개발 및 표준화가 이뤄지고 있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는 기존 DTV화질열화 없이 고화질의 3DTV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하이브리드 망 기반의 3DTV 방송서비스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였으며, 현재 추진 중인 ATSC 3.0표준화에서도 하이브리드 3D UHDTV 방송서비스를 하나의 요구사항으로 반영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3DTV 방송서비스는 요구되는 대역폭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방송망과 및 인터넷 망(IP)을 통하여 시청자에게 고화질의 3차원 입체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핵심 이슈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이브리드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3차원 비디오는 서로 다른 타임스탬프(Timestamp) 정보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어 수신기에서 프레임레벨(Frame-level)의 3D비디오 재생을 위해서는 보다 강건한 동기화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수신기에서 안정적인 3D 비디오 재생을 위한 하이브리드 T-STD(Transport System Target Decoder) 모델이 새롭게 요구된다. T-STD 모델은 기존 디지털방송에 적용되는 것으로 전송된 미디어 스트림의 안정적인 버퍼링 및 재생을 위한 타이밍 관리에 대한 가상참조 복호화 모델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기준영상과 달리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부가영상은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시스템 프로세싱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수신 및 재생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적인 3D 비디오 재생을 위한 새로운 T-STD 모델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3D 비디오를 안정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동기화 방안 및 부가영상 전송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프로세싱 시간을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T-STD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3DTV 방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그널링 및 방송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동기화 방안은 별도의 메타데이터기반의 미디어 타임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ISO/IEC 13818-1 표준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프레임 레벨의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개발한 하이브리드 3DTV 방송시스템을 통하여 기준영상 및 부가영상의 부/복호화 및 재생되는 시점에서의 프레임 별 PTS(Presentation Time Stamp) 값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TS 대비 약 0.0023% 정보량을 가지면서도 기존 T-STD모델에 아무런 영향 없이 효과적으로3D 비디오 타임라인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T-STD 모델은 기존 T-STD 모델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3D 비디오 재생을 위하여 기준영상 스트림을 버퍼링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버퍼가 새롭게 추가된 형태로써, 하이브리드 버퍼는 기준영상 스트림을 역 다중화 하기 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T-STD 모델은 방송망으로 전송되는 스트림의 최소 버퍼링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하이브리드 실감미디어 방송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모델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상기 제안한 기술은 ATSC에 제안되어 2015년 4월 ‘ATSC A/104 Part 4 – Service Compatible Hybrid Delivery 3D using Broadband or ATSC NRT’의 표준 기술로 채택됨으로써 실용적인 산업화의 기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윤국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hool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t up as following subject inquiry. First, how is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structured? Second, how does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how does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happiness?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reflecting the needs analysis, review, and consultation of 26 experts of literary research, preliminary research, and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evaluation. This programs are examined to accord with the current system and laws, and tools and procedures are developed so that they can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e of the quasi-experimental designs was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25 elementary schools of 6 elementary schools in D city, and the testimony of 14 teachers and data of 456 students were collected. The students were assigned 278 students in 16 classrooms as experimental groups and 178 students in 9 classrooms as control group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irst, we compared the pre-test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compare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before the program application. Second the pretest-posttest design for heterogeneous group was considered as a 'between subjects design' for two factor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inspection tool, the degree of positive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whole scal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This supports the fact that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scale of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varia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uch as motivation, cognition, and behavioral control. This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b-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goal directedness and intrinsic value, which are sub-variants of self-regulated learning category and cognitive strategies, metacognition strategies, which are sub-variants of cognitive regulation category as well as time, study and effort control, which are sub-variants of learning behavior control categor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test anxiety of the motive control category and the learning behavior control factors of the learning behavior control categor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on school happiness, the whole scale score of the school happi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core. This result shows that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happiness. Fourth,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ub-variants of school happiness, such as friend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 environmental satisfaction, enjoyment of learning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cale, positiv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in all sub-variables. This result shows that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variants of school happines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who conducted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when designing the class to apply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ment program, the level or position of the student is considered first. Second, it is reasonable to conduct this program as a process of learning. Third, applying this program increases students' motivation to study. Fourth, it is observed that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mproves in the class that applies this program. Fifth, applying the program will enable teachers to better discover and underst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students. Sixth, a cooperative learning atmosphere is created during the process of this program. On the negative side, it was suggested that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student's objective academic level through the student-led individualization evaluation. This study h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concept of student-led and differentiated assessment of the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and developed and applied a differentiated assessment tool that matches the student's learning speed, learning habit, and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possibility that the student-led differentiated assessment can be a useful tool for solving the main problems of educational counseling. Keyword: Student-led Assessment, Differentiated Assessment, Self-Regulated Learning, School Happiness, Self-growth assessment 본 연구는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수행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하는가? 둘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및 초등학교 학업성취 평가 전문가 26명의 요구분석 검토와 자문을 반영하여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은 현행 제도와 법령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여 초등학교 일반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 및 평가 수행절차를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준실험설계 중 하나인 이질집단 전후검사설계를 사용하였다. D시 소재 6개 초등학교 25개 학급에서 실험을 실시하고 학생 456명으로부터 자기조절학습 검사와 학교행복감 검사 결과 및 교사 14명으로부터 프로그램 적용 소감을 수집하였다. 학생은 16학급 278명을 실험집단에, 9학급 178명의 학생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여 자기조절학습과 학교행복감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여 프로그램 적용 이전의 집단 간 동질성을 비교하였고 둘째, 이질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1피험자 간 1피험자 내 설계로 간주하여 이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의 전체 척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에 긍정적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이 자기조절학습의 전체 척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점을 지지하는 것이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전체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학생주도 개별화평가가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자기조절학습 범주의 하위변인인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내재적 가치, 인지조절 범주의 하위변인인 인지전략, 상위인지전략, 학습행동조절 범주의 하위변인인 시간과 공부조절, 노력조절 요인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변인 중 동기조절 범주의 시험불안, 학습행동조절 범주의 학습행동 조절 요인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학교행복감 전체 척도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하여 긍정적 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이 학교행복감 전체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넷째, 학교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친구관계, 교사관계, 환경만족, 학습활동 즐거움, 심리적 안정 척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모든 하위 변인에서 실험집단의 긍정적 점수가 높아졌다. 이는 학생주도 개별화평가 프로그램이 학교행복감의 모든 하위변인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프로그램을 진행한 교사들의 소감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를 적용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에는 학생의 수준이나 입장이 우선 고려되었다. 둘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를 학습의 한 과정으로 실시하는 데 무리가 없었다. 셋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를 적용하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학습 의욕이 높아졌다. 넷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를 적용하는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가 향상되는 것이 관찰된다. 다섯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를 적용하면 교사들이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더 잘 발견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동학습 분위기가 조성된다. 부정적인 측면으로 학생주도 개별화평가로는 학생의 객관적 학업수준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학업성취평가의 학생주도성과 개별화평가의 개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으며, 학생의 학습속도, 학습습관,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부합하는 개별화된 학생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는 점과, 학생주도 개별화평가가 학습상담의 주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는 데 상담학적 의의가 있다. 주요어: 학생주도평가, 개별화평가, 자기조절학습, 학교행복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