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행정 통폐합에 관한 주민만족도 분석 : 서울시 강동구 암사1.4동 주민을 중심으로

        유희수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소규모 동 통폐합 추진으로 인해 주민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주민편의와 행정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성공적인 지방자치의 전제가 되는 동행정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치행정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주체는 서울시 강동구 암사1?4동 지역주민으로 동행정 통폐합에 따른 행정서비스에 대한 기대감과 지각정도를 파악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민만족도 평가를 위한 지표체계의 기본모형을 바탕으로 서비스 수혜자인 주민을 평가주체로 선정하였다. 둘째, 분석적 측면은 동행정 통폐합의 인지도, 필요성, 효율성 측면과 공무원의 업무수행태도 측면의 6개 민원행정 서비스 질(접근성, 친절성, 편리성, 전문성, 업무처리태도, 쾌적성)이 제시되었다. 셋째, 성과변수는 동주민센터 및 주민자치센터 이용 후 서비스의 결과와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암사 1?4동을 통폐합하여 동주민센터 및 주민자치센터로 각각 설치한 것에 대해서 보통으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사1동이 암사4동에 비해 찬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동주민센터 및 주민자치센터의 방문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한 동통폐합 후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쾌적성이 가장 높았고, 접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민원행정서비스에 대해서 동주민센터와 주민자치센터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민자치센터가 동주민센터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민원행정서비스 요인이 동주민센터를 이용하는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접근성, 친절성, 업무처리태도, 쾌적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자치센터에서는 접근성, 쾌적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주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행정 통폐합 발전방향에 대한 다중응답분석을 한 결과, “주민이 필요로 하는 문화?복지시설 확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독거노인, 장애인 등 저소득주민을 위한 찾아가는 복지기능 활성화”, “다양한 프로그램개발로 주민자치센터의 주민참여 활성화”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동 통폐합 및 기능개편의 정착을 위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서비스의 수준 향상 방안으로 동행정 통폐합에 따른 주민불편 최소화와 여유인력 재배치로 찾아가는 방문행정을 강화하는 것이다. 둘째, 폐지청사를 활용한 주민자치센터 활용방안으로 주민이 필요로 하는 문화·복지시설 확충과 주민자치센터 기능을 활성화시켜 지역공동체의 장으로 자리메김 하는 것이다. 셋째, 주민자치위원회의 위상과 기능 강화이다. 세부방안으로는 주민자치위원회의 구성의 합리화, 주민자치위원의 권한 부여, 주민자치위원의 역할 강화를 들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주민참여 및 자원봉사자의 육성과 활용방안이다. 즉, 주민참여를 위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능한 자원봉사자와 강사의 적극적인 확보 및 관리가 필요하며, 자원봉사자의 육성과 교육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단계 동 통폐합 후 시범자치단체로부터 출범하여 운영되고 있는 강동구 암사1동-4동 운영현황을 검토하고, 이용주민들의 운영에 대한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동사무소 통폐합 및 기능개편의 정착 및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 접근성, 친절성, 업무처리태도, 쾌적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동주민센터를 이용하는 주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 쾌적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하는 주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행정 통폐합으로 인한 주민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접근성, 친절성, 업무처리태도, 쾌적성과 같은 민원행정서비스 요인이 일차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요인에 대한 공무원들의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s to improve people's conveniences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of 'dong' office services in the wake of small-scale 'dong' offices amalgamated at the level of unit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ways to enhance the 'dong' office services as a ground for a successful local autonomy in the age of localization,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nd thereby, conduce to development of the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ampled the people living at Amsa 1-4 dongs, Gangdong-gu, Seoul to survey their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ing from amalgamation of the 'dong' offic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used a basic model or frame of analysis to assess the beneficiaries' or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administrative services of 'dong' offices. Second, in terms of aspects of analysis, recognition, need and efficiency were set together with 6 elements of civil administration services related to officials' attitudes toward their performance of duty (accessibility, kindness, convenience, professionalism, attitude toward service, and comfort). The variables of performance were set as results of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them.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 ways to reform the ways to amalgamate 'dong' offices and reorganize their func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door-to-door administrative services by redeploying the reserved officials in order to minimize people's inconveniences caused by amalgamation of 'dong' offices and thereby, improve the level of administrative services.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cultural and welfare facilities of people's autonomous centers needed by people and activate the functions of people's autonomous centers and thereby, promote the centers as arenas of communities. Third, it is essential to reinstate status and function of People's Autonomy Committees. To be more specific, the committees should be organized in a reasonable way, their members should be authorized and their role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facilities and programs. Name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etwork among people's autonomous centers to induce people's participation, while developing and supporting the programs befitting the local conditions. Fifth, it is required to encourage people's participation, train the volunteer social workers, develop strategies and programs for people's participation, recruit and manage able volunteer workers and instructors and foster and educate the volunteer social workers.

      • 차량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전송시스템에 관한 연구

        유희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동차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계장치 위주에서 전자기기들이 부가되어 전자시스템화 되어가고 있다. 점차 편리와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제어 장치의 장착이 확대되어 전자제어 장치간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개발이 늘고 있으며, 신뢰성 및 안정성 이슈가 많이 대두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휴대기기를 이용한 차량의 운행, 고장, 이상 정보의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 망(In-Vehicle Network)에 연결된 엔진, 트랜스미션, 브레이크, 에어백 등의 제어장치인 ECU(Electronics Control Unit) 및 각종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 획득을 위해 차량내의 OBD-II(On-Board Diagnostics) 커넥터에 차량 정보 수집 장치를 연결하고, 휴대폰, iPAD, PMP, Galaxy TAP 등의 휴대기기에 차량 진단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운행, 고장, 이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이상 징후 발생 시 알림 메시지를 발생하여 차량의 이상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휴대기기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 데이터는 무선망을 통해 차량 관리 전문회사의 서버로 전송되어 체계적인 차량 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차량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모든 운전자에게 휴대기기나 유선망 웹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차량 관리를 용이하도록 해줌으로써, 안전운전 및 경제운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진단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Wiring Harness에 의한 각종 노이즈가 유입되어 커넥터 내구성이 나빠질 우려가 상존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니터링 및 전송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와 운전자가 사용 중인 개인의 휴대기기로 차량 진단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통신망연계를 위한 통신프로파일을 구성하고, 차량 정보 및 상태 자료 공유 연동 플랫폼의 정의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자료의 획득 및 연동기술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 모바일 기기 및 관리화면에 대한 예시를 들었고 제시된 시스템의 각각의 요소에 대한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차량상태 정보를 다양한 관리 화면으로 제시하여 여러가지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훑어읽기와 특정 정보 검색 전략 훈련 및 학습자의 장독립성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희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육 경향에 따라 독해 전략과 인지 양식이 학습자의 의사 소통 능력과 자율적 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학습의 개인차를 줄이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외국어 교육 분야의 주요 연구 과제로 떠올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들의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훑어읽기(skimming)와 특정 정보 검색(scanning)독해 전략을 지도하고, 독해 전략 훈련이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독립성―장의존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인지 양식과 독해 전략 훈련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독해력 향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N중학교 2학년 159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독해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은 통제반 1학급(36명)과 실험반은 특정 정보 검색반 2학급(78명)과 훑어읽기반 2학급(75명)으로 나누었다. 독해 전략 훈련은 중학교 1학년 영어 8종 교과서의 읽기 부분을 사용하여 10주간 정규 수업 시간에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로는 일반 독해 능력 평가지, 특정 정보 검색/훑어읽기 전략형 독해 능력 평가지, 독해 전략 사용에 관한 설문지, 도형 잠입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독해 전략 훈련 과정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험반에 한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 능력 평가에서 실험반만이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여, 독해 전략 훈련은 독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정 유형의 전략 훈련이 다른 유형의 전략 훈련보다 독해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지를 입증하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독해 전략 훈련 기간이 짧았고, 독해 전략 훈련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독해 전략 훈련은 전략 유형별 독해 평가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은 훑어읽기반만이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임으로써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는 하향 과정인 훑어읽기 전략 훈련이 상향 과정인 특정 정보 검색 전략 훈련보다 독해 능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전략 사용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독해 전략 훈련은 독해 전략 사용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정보 검색반은 특정 정보 검색 전략 사용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나, 훑어읽기반은 훑어읽기 전략 사용이 줄었다. 따라서 훑어읽기반 학생들의 일반 독해 평가 점수 향상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높았지만, 설문 조사에서 자신의 전략 사용을 잘 표현하지 못하였거나, 전체 내용을 파악하여야 하는 훑어읽기 전략이 초급 학습자에게 다소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인지 양식에 따른 전략 훈련의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의존형은 교사의 전략 사용 요구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독해 전략의 특성과 잘 부합되는 인지 양식을 가진 학습자의 독해력 향상도가 가장 낮았다. 이는 자신의 인지 양식과 맞지 않아서 잘 사용하지 않던 독해 전략을 훈련받은 학습자가 보다 다양한 독해 전략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독해 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독해 전략 훈련을 통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독해 전략 사용을 촉진할 때 보다 큰 독해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훈련받은 독해 전략의 유형에 따라 특정 정보 검색반에서는 장독립자의 수가, 훑어읽기반에서는 장의존자의 수가 증가되었고 이는 훈련받은 독해 전략의 특성과 부합되는 성향으로 학습자가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험 대상들은 독해 전략 훈련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식하였고 영어 독해 속도와 이해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독해 전략 훈련이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는 별로 효과가 없었다. 독해 전략 훈련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모르는 단어가 많아서라고 한 응답자가 가장 많아서 어휘력의 부족이 독해에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좀더 능률적이고 우수한 독해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에게 전략 훈련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인식시키고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영어 교사는 전략 훈련으로 인하여 학습자의 인지 양식이 변화할 수 있으며 전략 훈련의 효과가 인지 양식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으므로, 영어 교사는 학생들 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독해 전략을 개발하여 교실 수업에서 사용하고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본다. 또한 독해력의 향상을 위하여 어휘력 향상을 위한 전략 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략 훈련 효과에 대하여 좀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전략 훈련 기간을 늘리고 효과적으로 동기를 유발하여 전략의 유형에 따른 독해력 향상의 유의한 차이가 입증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전략 훈련이 인지 양식에 미치는 변화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좀 더 필요하다고 본다. Recent research on second language reading has focused on the role of students' reading strategies and their cognitive styles. It is recognized that teaching reading strategies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build students' autonomy. However, they cannot be taught properly without considering students' cognitive style, which bring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language competence. Even though English teachers might admi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ading strategies, students seldom receive reading strategy training in their classroom. Besides,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raining of the reading strategies for Korean EFL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training and learners' field-independence cognitive style on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Scanning is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specific piece of information and skimming is the process of reading to get the gist, outline or main idea of a piece of writing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lso the mode of perception which is strongly dominated by the prevailing field is designated ‘field-dependance’ and ‘field independence’ means the cognitive style perceiving items as more or less separate from the surrounding field.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field independent students are advantageous to scanning, as field dependent students to skimming.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scanning/skimming and field independency/field-dependency wa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s was assigned to a scanning group and a skimming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real classroom. For ten weeks the scanning group received scanning training and the skimming group received skimming training, but the control group had a reading lesson by using the grammar translation teaching method.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subjects took two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nd two questionnaires and a group embedded figures test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s consisted of general reading proficiency tests and scanning/skimming tests. One of the questionnaires asks the students' use of reading strategies and the other one, their attitudes and responses about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cours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of reading strategies improved the experimental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canning and skimming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use of strategi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It is assumed that the hypothesis was not proved because of the short period of training and the lack of motivation. Second, it was not verified that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 of cognitive style on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y training.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field-dependents seem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to the training course than the field-independents because of their cognitive style which is well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learners' cognitive style can be changed into the advantageous 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strategies for which they have been trained. Finally, even though the learners perceived the necessity and effect of reading strategy they did not show any enhancement on their motives for the training course itself and for the learning of English. The lack of vocabulary was shown as the major problem prohibiting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reading strategies such as scanning and skimming in the classroom is desirable to make students' reading activity more effective. So, it is required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teach more reading strategies appropriate to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offer the chances to practice them in the classroom.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facilitat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s for teachers to infor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ading strategies to the students and to encourage students to practice them.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y training,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between reading strategies and between the cognitive styles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희수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B구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아동 대상으로,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을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6월부터 9월까지이며, 실험집단에 한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주 1회 70분씩 진행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정서표현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검사,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표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정서표현의 하위요인인 감정표현, 감정억제, 무관심의 3가지 하위영역 모두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검사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행동 하위요인인 적극적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소극·회피적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의 4가지 하위영역 모두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검사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또한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의 사전-사후 차이를 양적으로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자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전그림에서는 많은 양의 비를 표현하였으나 사후그림에서는 비의 양이 줄어들고, 대처자원인 우산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을 지각하고 적극적으로 대처자원이 활용하고 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어 집단 구성원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앞으로 본 연구가 임상현장 뿐만 아니라 학교장면의 교육현장에서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향상을 도모하여 또래관계 및 대인관계를 비롯한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에 도움을 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know how the group art therapy have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hild welfare cent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5th grade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participate in child welfare center located in B-gu, K-city, the 5 experimental group and the 9 controlled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of 2019. It was total 12 times, 70 minutes per time once a week excluding pretest-protest. The measruement tools were emotional expression tes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est and PITR(Person-in-The-Rain) drawing test.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group art therapy effects on emotional expression of child from the child welfare center. There are meaningful changes on post-score is compared to pre-score on all the 3 factors of emotional, suppression of emotion, and indifference. Second, there is the group art therapy effects on stress coping strategies of child from the child welfare center. There are meaningful changes on post-score is compared to pre-score on all the 4 factors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ggressive stress coping strategies, passive·evas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tress coping strategies. Also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PITR(Person-in-The-Rain) drawing test, it is showed score increase. Also in the quality analysis result of the PITR(Person-in-The-Rain) drawing test, there was heavy rain in the pre-PITR(Person-in-The-Rain) drawing test-drawing test. But in the post-PITR(Person-in-The-Rain) drawing test, it was showed less rain and umbrella that is coping resource. This impli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were realized their stressful situation and improved their stress coping strategies. These results are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child from the child welfare center. Also, this study expects the art therapy program to be utilized not only experimentally but also in school and educational institute to enhance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therefore help the child to adapt to the daily life and make good 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 24주간 비대면 홈트레이닝이 대사증후군 전 단계 한국 성인의 신체조성, 심혈관 기능,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유희수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24 weeks of non-face-to-face home exercis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 body composition, cardiovascular functi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ofiles in Koreans adults at the pre-metabolic syndrome stage, thereby, improving the health of people and reducing chronic disease morbidity to look at the effect.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dul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65 years, having pre-metabolic syndrome, who visited J health center in Chungcheongbuk-do, Republic of Korea. They exercise thrice a week for 60-70 min for 24 weeks with a heart rate reserve of 60-70%, recorded the exercise time, number of sets,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received feedback from exercise experts. Body composition, cardiovascular functi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ofi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3.0 using an independent of paired t–tes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05.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blood glucose levels(p> .05). However physical fitness factors such as hand-grip strength, sitting rising test, muscular strength balance, and blood profiles improved significantly(p< .05). Conclusion: The 24 weeks of non-face-to-face home exercise has proven its effectiveness by significantly improving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ofiles. It is thought to be useful as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in the digital era. Nevertheles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 Algorithm for non-triviality of shafarevich-tate group using heegner points for certain elliptic curves

        유희수 Johns Hopkins University 1999 해외박사

        RANK : 247615

        이 논문에서 우리는 Shafarevich-Tate그룹에 있는 기본 원소가 아닌 특정 원소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algorithm을 만든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Heegner점들의 구체적 좌표를 j(N\tau)와 j(\tau)에 의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ring class field K_p가 K위에 정의된 Galois그룹과 특정 방정식들의 집합과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것은 위의 Shafarevich-Tate그룹을 다루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이 Heegner 점들의 localization을 통해 Shafarevich-Tate그룹에 기본원소가 아닌 다른 원소가 있는지를 공부한다. 끝으로 이 algorithm은 특별한 경우의 2차 D-twisted elliptic curve에 대해 Birch-Swinnerton-Dyer conjecture를 증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