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팝업스토어의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지역활성화 및 활용 전략 제언

        유혜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코로나19로 장기간 온라인 마케팅이 주목 받았으나,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해 대면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팝업스토어’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이용이 확대되었다. 특히, MZ세대 사이에서 새로운 소비 및 문화 활동으로 ‘팝업 스토어 마케팅’이 각광받고 있어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 플랫폼 썸트렌드를 통해 SNS 데이터를 수집하고 언급량 분석, 연관어 분석, 감성분석을 시도하여 소셜미디어와 언론 미디어에 나타난 ‘팝업스토어’의 인식 및 현황과 화제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팝업스토어’의 지속적인 활용과 브랜드 전략 및 지역 활성화 기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기적 범위로는 2023년 5월 1일부터 2023년 9월 30일까지로 코로나19 엔데믹 시점을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팝업스토어’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높은 언급량을 통해 화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팝업스토어의 주요 현황과 지역의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전반적인 인식과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추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initially heightened the focus on online marketing, but as the situation improved and in-person activities resumed, there was a notable rise in public interest in 'pop-up stores,' especially among the MZ gen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status, and popularity of 'pop-up stores' through social media and press media analysis, using SNS data collected via the SomeTrend big data platform. Employing mention, association, and sentiment analysis, the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ntinued use of 'pop-up stores' and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 brand strategies and regional activation. The study covers the period from May 1, 2023, to September 30, 2023, aligning with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The analysis reveals an overall positive image of 'pop-up stores,' supported by high mention rates, leading the paper to examine key trends and explore the comprehensive perception and impact through regional data text mining, offering additional considerations.

      • 대장암 환자의 건강정보 추구와 건강통제위, 통합성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유혜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levels of health 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health locus of control(HLC), as general resistance resources, sense of coherence(SOC), and self-rated health(SRH) among Korea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elf-rated health. This study was based on Antonovsky’s salutogenesis theory. With correla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6 to March 2017 with total 122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via convenience sampl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health 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HLC, SOC, and SR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for with statistical program named IBM SPSS version 2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of participants had health 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heir most used information sources were internet and health professionals like doctors or nurs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 between two sources. Their most found information contents were cancer diet, ways to improve health, therapy methods, and carcinogenesis or metastasis, and in this process,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2. The mean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IHLC),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PHLC),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CHLC), SOC, and SRH were 25.34, 23.27, 57.66, and 9.89 respectively. The factor influenc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were age and education level. There were a differences of PHLC among income status and information monitoring behavior. In case of CHLC,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having job, metastasis status, and information monitoring behavior. There was a differences of SOC among income status. There were differences of SRH among gender, having job, having caregiver, metastasis status, and colostomy status. 3. The factors influencing SRH were gender, colostomy status, and SOC that explained 19.2% of the variance in scores on SRH. In conclusion,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was influencing being male, not having colostomy, and higher levels of sense of coherence. In order to improve SRH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strategic intervention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who is female or having colostomy or having lower level of SOC. Further study needs to explor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health status of these patients, and to consider measuring objective health measures according to diagnosis periods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 20대 남성의 알코올 섭취가 주관적과 객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유혜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적 알코올 섭취 기간이 짧은 20대의 알코올 섭취가 주관적과 객관적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D 지역에 거주하는 20대 남성 200명 중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를 통해 15명씩 네 집단(정상 음주, 문제 음주, 알코올 남용, 알코올 의존), 총 60명으로 선별 후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 Rey-Kim 기억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에 따라 각 집단군 별로 주관적 기억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에 따라 각 집단군 별로 객관적 기억검사에 미비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알코올 사용 기간이 비교적 짧은 20대의 알코올 의존 집단이 정상 음주 집단에 비해 알코올 섭취 기간과 상관없이 높은 섭취량에 있어서 심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며, 젊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도 만성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처럼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장애를 유발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memory effects of alcohol intake in people in their 20s who have relatively short alcohol intake. In the study, Among the 200 men in their 20s who reside in the D area, AUDIT was used to test four groups of 15(normal drinking, problem drinking, alcohol abuse, and alcohol drinking), and a total of 60 patients were screened for SMCQ and Rey-Kin memory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DIT for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ubjective memory test results. Second, the AUDIT for each group showed only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Objective memory test results. As a result, alcohol-dependent groups in their 20s, whose alcohol use is relatively short, have a greater psychological impact on their intake,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ir alcohol intake than the normal drinking group, and young alcohol-dissipated patients can also suffer from a decrease in cognitive function, such as those with chronic alcohol use disabilities.

      • 초산모의 모성정체성 설명모형

        유혜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explanatory model of maternal identity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maternal identity in Korean first-time mothers. The theoretic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Perinatal Maternal Health Promotion Model proposed by Fahey and Shenassa (2013). The model included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identity such as spousal support, parenting confidence, positive coping, maternal expectation, physical recovery, postpartum depression, and care activities. Data was collected from 313 Korean first-time mothers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June to August 2020 and analyzed using IBM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maternal identity in Korean first-time mothers was 73.5 scores which was above middle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identity according to religion, occupation, type of delivery, and type of feeding, and infant’s health problem. 2. The hypothetical model appeared to be fit the data. The model fit indexes were as follows: 𝑥2/df=1.96, Goodness of Fit Index=.98, Standardized Root Mean Residual=.04, Root Mean Squared Error of Approximation=.06, Tucker Lewis Index=.95, Incremental Fit Index=.98, Comparative Fit Index=.98. 3. Thirteen out of sixteen paths of the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variables which directly affect on maternal identity were spousal support (𝛽=.194, 𝑝<.001), parenting confidence (𝛽=.209, 𝑝<.001), maternal expectation (𝛽=.244, 𝑝<.001), as individual health-enhancing skills, postpartum depression (𝛽=-.352, 𝑝<.001), and care activities (𝛽=.097, 𝑝=.023), as postpartum maternal health. 4. The variables which indirectly affect on maternal identity were positive coping (𝛽=.027, 𝑝=.039) and physical recovery (𝛽=-.073, 𝑝=.001). 5. Spousal support, parenting confidence, maternal expectation, and postpartum depression explained 47.6% of maternal identity. In conclusion, maternal identity in first-time mother was affected on not only the core elements of a healthy postpartum but also individual health-enhancing skills such as spousal support, parenting confidence, positive coping, and maternal expec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se various factors as core elements of a healthy postpartum and individual health-enhancing skills to improve maternal identity.

      • 한국 청춘영화와 중국 청춘영화의 비교연구 : 단편영화 〈톰과 제리의 전쟁〉을 중심으로

        유혜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 요지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필자가 선정한 청춘영화 장르를 통해 단편영화 <톰과 제리의 전쟁>에서 서사 및 청소년 주인공의 이미지를 성장시키고 한중 청춘영화의 특징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톰과 제리의 전쟁>은 사춘기 소녀 지수가 모성애에 대한 갈망과 꿈을 쫓던 중 갑자기 아버지의 재혼으로 인해 생긴 동생 태오와의 끊임없는 전쟁을 그린 17분짜리 단편영화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우선 제2장 1절에서 청춘영화의 개념을 정리한 장르 영화의 개념을 바탕으로 청년영화와 청춘영화, 성장영화와 청춘영화를 비교 연구하여 청춘영화에 대한 한중 학자들의 정의를 요약하였다. 제II장 2절에서는 청춘영화의 세계 영화적 배경과 역사를 다룬다. 3~4절에서는 한국 청춘영화와 중국(대륙, 홍콩과 대만) 청춘영화의 발전과 현황에 대해 다룬다. 세계와 한중 청춘영화의 맥락 및 시기별 청년 이미지 특징을 연구한 뒤 청춘영화에 대한 기초적인 해석을 마친다. 제III장에서는 청춘영화 속 청소년 주인공의 모습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로맨틱한 청소년 캐릭터, 반항적인 청소년 캐릭터, 잔혹한 청소년 캐릭터, 새로운 시대속의 캐릭터로 분석하여 청춘영화 속 장르별 청소년 주인공의 시각을 통해 자신의 작품 속 청소년 주인공을 그린다. 제IV장에서는 한중 청춘영화의 주제에 대한 비교연구를 주로 하는데, 제1절에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한중 청춘영화의 예술적 특징과 경향을 분석하며, 제2절에서는 구체적인 서사구조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중 청춘영화의 서사를 비교 연구하여 3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절 미시적 시각에서 서사 기호라는 영화의 언어로 출발하여 청춘영화에서 흔히 등장하는 대표 이미지인 물, 나무, 하늘, 종교, 물고기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 같은 이미지가 본인의 영화 속에서 구체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한중 청춘영화의 맥락을 파악하면서 청춘영화 속 청소년 주인공의 모습, 청춘영화 주제의 세 가지 큰 방향성으로 체계적인 청춘영화 이론 연구를 구축했고, 필자도 이번 단편영화 <톰과 제리의 전쟁>을 제작하면서 실천적인 경험을 얻었다. 제V장은 자신의 작품에 대한 서사, 캐릭터 등 시나리오 창작의 구체적인 분석이다. 필자는 찾아본 여러 문헌에서 깊은 이론적 연구를 도출하였다. 의미적 가치가 있는 청춘영화를 만들기 위해 작품을 통해 얻은 모든 영감과 시행착오, 영향을 분석 진행하였다.

      • 페이스북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의해 인지된 위험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유혜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빅데이터(Big Data) 시대가 도래 하면서 여러 마케팅 기회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이하 SNS)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분석이 용이해지면서 기업들은 이를 활용하여 개인화 서비스 혹은 온라인 맞춤형 광고 등을 통해 광고 활동을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기업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가 높아지고, 비용이 절약되고, 고객 데이터를 꾸준히 축적하여 기업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별다른 노력 없이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고객의 개인정보가 제 3자에 의해 수집, 남용되면서 그들은 프라이버시 침해를 느끼고, 이것이 SNS 사용 중단으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그렇게 되면 빅데이터 산업과 맞춤 광고 및 서비스 산업의 기술적 인프라가 무용지물이 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시장과 스마트화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많은 이용자 수를 보유하고 있는 SNS인 페이스북(Facebook)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의해 인지된 위험이 사용자 저항 태도와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자가 평소에 갖고 있던 페이스북 신뢰도가 인지된 위험과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본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페이스북 온라인 맞춤형 광고로 인해 인지된 위험을 개인정보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염려, 기업 및 관리자에 대한 불신,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염려, 프라이버시 염려 등 4가지로 분류하였다. 만 15세~49세 이하의 페이스북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인지된 위험 요인 4가지 중 프라이버시 위험만이 페이스북 신뢰도, 페이스북 사용자 저항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페이스북의 주요 사용 층인 10대, 20대 층은 자신들의 개인정보가 기업에 의해 수집되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그들은 페이스북의 사용이 주는 즐거움과 효능감이 개인정보 수집으로 인한 불쾌감, 거부감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측면, 실무적 측면, 그리고 사용자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우선 본 연구는 시의적절한 주제를 갖고 페이스북의 온라인 맞춤형 광고로 인해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이 페이스북 신뢰도와 페이스북 저항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알아냈으며, 사용자 저항 태도와 행위는 분리되어 연구되어야 함과 동시에 저항 태도가 행위의 선행변인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기업은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데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사용자들에게 부각시켜야 하며,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프라이버시를 스스로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어낼 수 있었다.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타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유혜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우리나라는 매년 노후 건축물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도시의 패러다임도 이미 개발에서 재생으로 전환중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노후화된 건축물들의 에너지 절감 및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린 리모델링을 추진하여 활성화하고 탄소배출량 저감으로 탄소중립2050을 달성할 수 있게 하며, 탄소저감형 도시재생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발전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주거와 공공건축물 위주로 연구를 했다면 이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자립형으로 건축하거나 시설을 개편해주는 주민자치시설 같은 비주거 건물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오피스 빌딩에 관해 다룬다. 그 중에서도 민간건축물의 비주거 분야의 중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국내외 비주거 상업 건물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순현재가치법과 비용⋅편익비, 수익환원법 그린리모델링의 타당성을 사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상업지역에 있는 1995년도 사용승인된 지상15층 지하8층 규모 연면적 14,406㎡의 빌딩을 리모델링과 그린리모델링, 두가지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돌린 결과 그린리모델링은 일반 리모델링보다 약 20%의 추가 비용이 들었다. 두 시뮬레이션 모두 NPV, B/C는 사업성이 타당하다고 나왔고, 회수기간에서 리모델링은 8.3년, 그린리모델링은 10.6년으로 그린리모델링의 추가비용으로 인한 회수기간은 약 2년으로 추정되었다. 그린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경제적 지원 방안, 제도 개선 방안, 사회적 인식 제고 3가지로 통해 나누어 제안하였다. 경제적 지원 방안에서는 민간건축물의 컨설팅 지원 방안과 이자 지원 제도 개편 그리고 실제 에너지 효율 절감으로 평가하고 인센티브로 보상하는 제도 개편을 제시하였다. 제도 개선 방안에서는 그린리모델링 인증제 및 녹색건축인증제도와 호환방안으로 간편화를 추구하였고 그다음 일정 연면적 이상의 노후도 20년 이상인 비주거 민간건축물은 2025년부터 그린 리모델링의 의무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용적률 완화를 인센티브로 강화시키길 제안하였으며 제도 개선 방안의 마지막으로는 BEMS 보급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사회적 인식 제고 측면에서는 녹색건축으로써 ESG 평가항목 홍보, 그린리모델링 창조센터에서 자체 개발한 시뮬레이션 Greeny 홍보, 부동산 가치 상승 인식 제고로 나눠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저탄소 지향형 도시재생의 환경적인 중요성 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 극대화로 인한 건물 운영비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과 건물 수명 연장과 같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다루어 그린리모델링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도록 연구한 것에 의의가 있다. Currently, the number of old buildings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and the urban paradigm is already shifting from development to regeneration. This study aims to promote and activate green remodeling to improve energy reduction and efficiency of aging buildings in Korea, and to achieve net zero(carbon neutrality 2050) by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developmen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housing and public buildings, but this study deals with non-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community center and office building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to assert the importance of commercial builing's green remodeling, both domestic and overseas green remodeling case was analized. Three valuation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o prove feasibility. The net present value method, benefit-cost ratio, and yield capitalization method was verified by case analysis. When (i)general remodeling simulation and (ii)green remodeling simulation were applied to a building in a commercial area (with a total floor area of ​​14,406㎡ with 15 floors above ground and 8 floors below ground), the results showed that green remodeling cost about 20% more than general remodeling. In both simulations, NPV and B/C were found to have reasonable business feasibility, and for the payback years remodeling was 8.3 years and green remodeling was 10.6 years. In All, the payback period due to the additional cost of green remodeling was estimated to be about 2 years. As a way to revitalize green remodeling, it was proposed in three ways: economic support plan, system improvement plan, and social awareness enhancement. In the economic support plan, consulting financial support plan for private buildings, interest support system reform, and system reform that evaluates and compensates with incentives by checking the actual energy reduction and efficiency was suggested. In the system improvement plan the green remodeling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ere simplified, and non-residential private buildings with a certain floor area of more than 20 years were required to be green remodeling from 2025.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easing of the floor area ratio as an incentive. Finally, it was proposed to revitalize the distribution of BEMS. In terms of raising social awareness, it was proposed to promote ESG evaluation items as green architecture and promote Greeny, a simulation developed by the Green Remodeling Creation Center, and raise awareness of real estate value increase of Green build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importance of low-carbon-oriented urban regeneration, but also in terms of economic benefits from reducing building operating costs due to maximizing energy efficiency and extending building life.

      • 라이네케의 <운디네> Op.167 1악장 분석연구

        유혜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논 문 개 요 라이네케의 《운디네》 Op.167(1882)는 독일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 라이네케(Carl Reinecke, 1824-1910)의 작품으로, 1811년에 발표된 푸케(Friedrich de la Motte Fouque, 1777-1843)의 동화 『운디네』를 소재로 작곡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네케의 생애, 작품경향, 작품목록, 소재로서의 운디네와 줄거리에 대해 살펴보고, 1악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제시부의 제1주제영역에서는 제1주제를 구성하는 모티브 (a, b, c)가 곡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가공, 발전된다. 특히 제1주제의 프레이즈가 끝나기 전에 전조가 미리 이루어지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경과부는 제1주제의 재료를 활용하고 제2주제의 피아노 반주패턴을 미리 예시함으로써 두 개의 주제영역을 연결시키고 있다. 제2주제영역에서는 플루트가 긴 프레이즈의 주제 선율을 제시하고 16분음표 리듬중심의 패턴이 피아노에서 나타난다. 세 부분으로 구성된 발전부는 앞서 제시된 주제 재료들을 전조, 7화음의 사용, 병진행 등의 여러 요소들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시킨다. 재현부는 제시부를 반복하되, 길이의 확장, 피아노와 플루트의 역할 변화, 아티큘레이션의 변화 등과 함께 분위기가 보다 고조되어 있다. 형식은 구조에 있어서는 전형적인 고전주의 소나타의 구조와 형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선율은 반복과 변형, 모방을 통해서 음악의 확장을 가져온다. 이 작품은 그 창작태도가 고전주의 음악전통과 맞닿아 있는 한편, 리듬의 원형을 기본 리듬으로 삼아 점차 다른 형태로 변형시켜 전개하는 점은 낭만주의적 양식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전양식과 낭만주의 양식이 함께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화성은 조성적 중심이 명확하고 주요 3화음의 기능적 화성체계가 확실하며 완전종지가 지배적 이라는 점에서는 고전양식에 근거하고 있지만 반음계적 전조가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낭만주의적 경향도 드러난다. 제1악장은 소나타악장 형식이라는 고전주의적 틀 안에서 동화 『운디네』에서 받은 다양한 표제적 영감을 담아내고 있다. 또한 물의 요정 ‘운디네’의 움직임과 신비함을 아름다운 선율과 풍부한 화성을 바탕으로 표제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 계열별 여고생의 체육교과에 대한 만족도와 스포츠 활동 참여 관계

        유혜지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여고생의 수업내용&#8228;체육수업&#8228;체육시설&#8228;체육수업의 효과&#8228;수업평가&#8228;체육교사에 대한 만족도와 스포츠 활동 참여와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체육교과 만족도와 스포츠 참여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여학생들의 체육수업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여고생들의 체육수업 정상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2008년 현재 경기도 내 인문계, 실업계 여자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400명을 대상을 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Self-Admonistration Method)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유효 표본은 총 374부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dow 15.0 Version 을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test, x²(Chi-Square),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여고생의 계열에 따른 체육교과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체육교과 만족도는 체육수업, 체육시설, 수업효과, 수업평가, 체육교사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에서는 수업평가에 만족을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이 되며, 실업계에서는 체육시설에 만족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계열에 따른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는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고 인지적 참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과 만족이 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체육교과 만족 하위요인 중 체육수업 만족이 행동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내용, 체육시설, 수업효과, 수업평가, 체육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과 만족이 인지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체육교과 만족 하위 요인 중 체육교사 만족이 인지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내용, 체육수업, 체육시설, 수업효과, 수업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 만족이 정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체육교과 만족 하위 요인 중 체육수업, 수업효과, 체육교사가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수업내용, 체육시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으로 여고생의 스포츠 활동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포츠 활동 참여와 관계가 있는 체육교과 만족 요인에 대하여 학생들과의 적절한 상담과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체육교사는 수업을 계획적으로 운영해야 하며, 학생의 운동능력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에 맞는 개별화지도를 위해 학교마다 학생들에게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체육용구의 다양화와 시설의 중점적인 관리도 힘써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 내에서의 한정된 학습공간과 체육활동에서 벗어나 접해보지 못한 스포츠 활동참여를 높일 수 있는 체육수업이 되도록 많은 연구가 더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has studied: class contents, P.E. course, P.E. instructor, outcome from P.E. class, class evalu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satisfaction toward P.E. instructor and their participate rate; and it has been studied only with female students.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ose factors can affect to the female students' actual activities during their P.E. class period, and it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how to manage the students in better and more efficient ways so it could contribute on normalizing female students' P.E. class. For this purpose, in 2008, 400 female students who are attending liberal art and vocational high school in Kyoung Ki Do were asked to answer to the survey called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374 valid documen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o visualize the data, SPSS Window 15.0 Version was used, and for more detail analysis of the date, reliability, frequency, t-test, chi-squar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tus of students' school system-liberal art and vocational school system- the sati factional rate on the P.E. course is highly related to the class contents, P.E. course, P.E. instructor, the outcome from P.E. class, class evaluation. In liberal art schools, dissatisfaction was shown from class evaluation. In vocational schools, the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P.E. facilities. Second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tus of students' school system-liberal art and vocational school system- the students' activity participating rates were only related to the definitive particip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but it was not closely related to the acknowledgeable participation. Thirdly, the analysis on how the sati factional rate on P.E. curriculum affects on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ells that the satisfaction on P.E. course would affect on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class content, P.E. instructor, outcome from P.E. class, class evaluation, and P.E. facilities showed that they were not relevant to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tudents' satisfaction toward their P.E. curriculum affects their acknowledgeable participation, but it overall is not affected from the class content, P.E. course, the outcome from P.E. class, class evaluation, and P.E. facilities.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how the rate of students' satisfaction toward their P.E. curriculum affects on the students' definite participation, the P.E. course, outcome from the P.E. class, P.E. instructor contribute highly; and class content and P.E. facilities overall contribut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