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동복 색채 경향성 분석을 통한 색채조화감과 고급감의 상관관계

        유혜인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examines the color tendencies of high-priced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brands that are experiencing rapid growth despite the declining birth rate.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ony and luxuriousness of colors in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through subjective color image evaluations. By identifying the elements that consumers perceive as luxurious when dressing their children in premium children's clothing brands, suggestions are made to incorporate these elements into the color planning of mid-range to low-priced brand markets, where sales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The overall color tendencies of outerwear, dresses, and bodysuits from high-pric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were analyzed. The main colors observed were in the R (Red), YR (Yellow Red), and Y (Yellow) ranges, with some presence of PB (Purple Blue) and B (Blue) ranges. The major hues were found to have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They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ranges of medium brightness and low to medium chroma, but were not observed in the ranges of medium brightness and high chroma, as well as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The extracted colors from each brand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tone or similar colors, and only colors that appeared three or more times were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These classified colors were transformed into visual stimuli represented by the shape of garments to facilitate respondents' associations with clothing. The stimuli were placed on a neutral gray background N5. The suitability of colors for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luxuriousness, and color harmony was investigated through online surveys. Respondents, who were adults aged 20 to over 50 with experience purchasing children's clothing, evaluated the stimuli of 10 brand color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for three aspects. The survey targeted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children's clothing. The average values of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resulting in a strong correlation coefficient of r=0.91 between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However, the average response values for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were in the mid-range, indicating a moderate perception of luxuriousness in the overall color survey. Furthermore, the subjective evaluation revealed that colors with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among the stimuli did not match well with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and did not evoke a sense of color harmony. In the overall color survey, the evaluated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scores of the extracted colors showed higher average values for domestic high-priced brands compared to international luxury brands. This implies that consumers perceive not only luxury itself but also a sense of luxury in brands that have been harmoniously planned in terms of col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condary tendency of color harmony and evaluate the elements evaluated as "harmony" in previous studies by Ou and Luo (2006) and Lee (2015), which are related to color harmony, th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color in the same color range was selected from the colors collected in the first stage, which was pink, and a secondary analysis of color tendencie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color tendency analysis for the same color range (pink) revealed that the commonly extracted main colors were in the R (Red) range, with domestic brands using pink in the RP (Red Purple) ⋅ R (Red) range and international brands using pink in the R (Red) ⋅ YR (Yellow Red) range. It was found that domestic brands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b direction compared to international brands. The main hues used in common were found to have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the hues of domestic brands were found to be closer to medium chroma compared to international brands. The overall survey questions, scales, and targets were conducted in the same way, and the analysis after the online survey showed a strong correlation coefficient of r = 0.94 between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indicating a tendency for colors that are perceived as harmonious to be considered luxurious. Furthermore, it was analyzed that color combinations with small color differences and chroma differences, and high value difference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values of survey responses, indicating that they create harmony and luxuriousness. Consumers who purchase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showed a tendency to consider colors that are perceived as harmonious to be luxurious. It was shown that color combinations within the range of similar colors or within the same tone were perceived as luxurious, and when one of the factors in three attributes was fixed and color combinations were formed, it resulted in a perception of color harmony and luxuriousness. Analyzing the factors that make consumers perceive luxury among modern consumers who pursue luxury is very important in color planning, and for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consumers, it is an important process to align the color image between the user and the purchaser. This study conducted subjective evaluations on the elements that consumers perceive as luxurious when purchasing high-priced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and confirmed that color combinations with small color differences, chroma differences, and high value differences are perceived as harmonious and that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can evoke a sense of luxury. It showed consistent results with the conclusion of the previous study by Cho (2005) that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with small color differences and tone-on-tone color combinations, which have some commonality among color elements, are perceived as harmonious. It also indicated that factors that appear harmonious in adult fashion color harmony studies are applicable to children's clothing colors. Although proposals for harmonious color combinations or color combinations that evoke a sense of luxury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previous research on adult fashion colors, the field of children's clothing colors has not been extensively explored. Thus, this study provides differentiation by focusing on the perception that greater harmony leads to a greater sense of luxury in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colors, distinct from previous research on toddler's and children's clothing colors. 본 연구는 저출산 추세 속에서도 고속 성장하는 고가의 유⋅아동 브랜드의 의복 색채 경향성을 분석하고 색채 이미지 주관 평가를 통해 유⋅아동복 색채의 조화감과 고급감에 대한 관한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골드키즈‘들에게 프리미엄 아동복을 입히는 소비자들이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요소의 도출을 통해 매출 양극화가 심화하여 가는 중⋅저가 브랜드 시장에 색채 기획 시 반영 점을 제안하였다. 고가의 해외⋅국내 브랜드의 아우터, 원피스, 바디슈트의 전체 색채 경향 분석 결과, 주요 색상은 R(빨강)⋅YR(주황)⋅Y(노랑) 계열이고, PB(남색)⋅B(파랑) 계열도 일부 조사되었다. 주요 색조는 고명도⋅저채도로 조사되었다. 중명도⋅저⋅중채도, 저명도⋅저채도에서도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중명도⋅고채도, 저명도⋅저채도에서는 조사되지 않았다. 각 브랜드에서 추출된 색을 동일 톤⋅유사색으로 분류하여 노출 빈도가 3회 이상 되는 색만 분류하였고, 분류한 색을 설문자가 의복으로 연상하기 쉽도록 상의 모양으로 도식화한 색 자극물로 제작하여 N5 배경 위에 배치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색 자극물은 유⋅아동복 컬러 적합성, 고급감, 조화감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10개 브랜드의 색 자극물에 대하여 3가지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평가하도록 하였고, 조사의 대상 범위는 20대~50대 이상의 성인 중 유⋅아동복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중 조화감과 고급감의 평균값으로 상관관계 분석하였고, 조화감과 고급감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r=. 91로 조화감과 고급감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조화감과 고급감에 대한 설문 결과 응답의 평균값은 3점대인 보통으로 조사되어 전체색의 설문에서는 고급감을 크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체색의 색 자극물 중 저명도⋅저채도의 컬러들은 유⋅아동복 컬러에 어울리지 않고 조화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주관평가 결과가 나왔다. 전체색 조사 시 추출된 컬러의 배열에서 평가된 조화감과 고급감은 해외 명품 브랜드보다 국내 고가 브랜드의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명품 자체에 소비하기도 하지만 조화롭게 색채 기획된 브랜드 역시 고급스럽게 느끼고 소비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Ou와 Luo(2006)의 연구와 이윤진(2015)의 색채조화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조화’로 평가되는 요소 중 색상차와 크로마차를 작게 준 배색으로 2차 경향성 조사를 하기 위해 1차에서 수집된 색 중 동계색으로 가장 많이 조사된 핑크색을 선정하여 2차 색채 경향성 분석을 하였다. 2차로 진행한 동계색(핑크색)에 대한 색채 경향 분석 결과는 공통으로 많이 추출된 주요 색상은 R 계열이었고, 국내 브랜드의 핑크색 사용은 RP(자주)⋅R(빨강) 계열에, 해외 브랜드의 핑크색 사용은 R(빨강)⋅YR(주황) 계열로 조사 되었다. 해외 브랜드보다 국내 브랜드가 b* 방향에 분포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공통으로 사용된 주요 색조는 고명도⋅저채도로 조사되었고, 해외 브랜드에 비해 국내 브랜드의 색조가 중채도에 가까운 경향으로 조사 되었다. 전체색에 대한 설문 문항과 척도 및 대상은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설문 후 분석한 상관계수 r=. 94로 조화감과 고급감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조화롭다고 느끼는 색을 고급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색상차와 크로마차가 작은 유사 색상⋅유사 색조의 배색은 전체색의 배열보다 설문 응답의 평균값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와 색상차와 크로마차가 작거나 명도차가 큰 명료한 배색에서 조화감과 고급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아동복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조화롭다고 느끼는 색을 고급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사색의 범위에서 배색하거나 동일 톤의 배색에 대해서는 고급스럽다고 느끼고, 색의 삼속성의 요인 중 하나가 고정되어 컬러의 배색이 이루어지면 조화감과 고급감을 느끼는 결과를 보여줬다.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에게서 고급스러움을 느끼게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색채 기획에서 매우 중요하며 유⋅아동복 소비자는 특히 사용자와 구매자가 달라 구매자와 색채 기획자 간의 색채 이미지를 일치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고가의 유⋅아동복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고급스럽다고 느끼는 요소에 대해 주관평가를 진행하여 색상차와 크로마차가 작고 명도차가 많이 나서 명료한 배색이 조화롭게 느껴지고, 조화롭게 보이는 배색이 고급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연구이다. 조주연(2005)의 색상차와 색조차가 작거나 톤온톤 배색 등 색채 요소 간에 공통성이 어느 정도 있는 유사 조화의 조화 배색이 조화롭다는 결론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성인복 패션 색채의 조화로 보이는 요인이 유⋅아동복 색채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성인복 패션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조화로운 배색이나 고급감을 보여주는 배색 제안은 다수 연구되어 왔지만 유⋅아동복 색채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은 분야로, 색채조화와 고급감에 대한 다양한 연구 중 조화로울수록 고급스러움을 느낀다는 것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유⋅아동복 색채에 대한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유혜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the effect of the behavior problem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on maternal anxiety symptoms. To this end,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119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between 18 and 71 month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mental retardation, communication disord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affective disorder in accordance with the DSM-IV diagnostic criteria at two pediatric psychiatric departments, one rehabilitation medicine department, and one developmental disability clinic at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For the research, the mothers evaluated the problem behaviors of their children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1.5-5) and themselves with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Test(K-PSI)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MMPI-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of major variables, the infants’ behavior problem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child and parent domain stress and maternal anxiety symptoms. The total scor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 and parent domain stres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ternal anxiety symptoms. Seco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anxiety symptoms found that the more serious the behavior problems, the higher level of maternal anxiety symptoms. Thir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revealed that the more serious behavior problems, the higher the total scor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child and parent domain stress. Fourth,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symptoms in the mother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found that the higher the total scor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child and parent domain stress, the more serious maternal anxiety symptoms.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anxiety symptom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otal score of parenting stress and a sub-factor, parent domain stress, wer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anxiety symptom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the behavior problem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parent domain stress, making the mothers experience anxiety symptom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havior problem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and maternal anxiety symptoms and expanding research on maternal anxiety symptoms by specifying parenting stress.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소아정신과 2곳, 재활의학과 1곳, 발달장애 클리닉 1곳에서 DSM-Ⅳ 진단기준에 따라 지적장애, 의사소통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정서장애로 진단받은 18개월에서 71개월의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 척도(K-CBCL 1.5-5)로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평가하였고,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PSI)와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2(MMPI-2)를 통해 어머니가 자신에 대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총점, 아동영역, 부모영역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고, 어머니 불안증상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총점, 아동영역, 부모영역 스트레스는 어머니 불안증상과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둘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 불안증상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심각할수록 어머니 불안증상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심각할수록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총점, 아동영역, 부모영역 스트레스가 심각하였다. 넷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불안증상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총점, 아동영역, 부모영역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어머니 불안증상 수준도 높았다. 다섯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 불안증상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문제행동과 어머니 불안증상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 총점과 하위요인인 부모영역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 수준은 전반적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영역 양육스트레스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어머니의 심각한 불안증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 불안증상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으며, 특히 양육스트레스 영역을 구체화하여 어머니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으로 연구를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양자점-실리카 복합체의 합성과 표면개질 및 LED 적용

        유혜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LED (Light Emitting Diode)는 낮은 전력소모, 균일한 밝기, 반영구적 수명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백색 LED를 이용하여 조명시장을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현재 백색광을 구현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청색 LED 칩 위에 황색 형광체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그 제조가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연색지수에 있어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ED의 연색지수를 높이며 광효율의 감소 폭은 줄일 수 있는 형광 나노복합체 합성 방법을 연구하였다. 과거 본 연구실에서 발표한 방법을 바탕으로 표면 개질된 silica 입자와 QD (Quantum dot) 입자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silica 입자 표면에 QD를 균일하게 자기조립 (self-assembly)한 후 그 위에 silica shell을 형성하여 형광 세기가 증폭되고 광안정성과 내구성이 증가한 나노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이 때 나노복합체의 응집을 최소로 제어하여 형광 세기의 증폭을 최대화 하고자 하였고, 이렇게 합성한 복합체의 표면을 페닐기로 개질하여 LED 제작 시 silicone resin에서의 분산성을 증가시켜 광효율의 감소 폭을 줄이며 우수한 연색성을 나타내는 백색 LED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분석을 통해 silica 표면에 QD가 균일하게 도핑되고 silica shel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 방법에 비해 입자의 응집 정도가 많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otoluminescence (PL) 분석을 함으로써 양자점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형광세기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합성한 나노복합체의 표면을 페닐기로 개질한 후에도 기존 QD 보다 높은 형광세기를 나타내었고, 이를 백색 LED 제조에 사용 시 기존 QD를 사용하였을 때와 비슷한 연색지수를 나타내면서도 광효율이 많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나노복합체는 기존 적색 QD를 대체하여 백색 LED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시설 현황과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계획방향 제안

        유혜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an elderly problem has become a serious social one in Korea due to a sharp growth of senior citizen's population. As a result, an importance of senior welfare center which has helped local senior citizens to enjoy comfortable and healthy lifestyles has emerged. So far, Seoul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operated 27 welfar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However, they are still not satisfactory considering the aged population and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paper has investigated senior selfare centers in Seoul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facilities and requirements. This paper has aimed to suggest basic data for decent senior welfare center after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efficiency of 5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this study, plan, observatio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gainst 5 Seoul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n, their current use and planned meaning were analyzed through investigation on the site, the relation with neighbors, location, use of external space, structure of internal space, and users' characteristics & requirement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he specific analysis on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has turned out as follows: First, the site condi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planning the welfare cen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are formed through physical relation with neighbors. Second, an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is very important in deciding a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Actually, it has turned out that users' convenience was very related with th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ird, even though there was no particular plan for external space, the space has been properly used by the facility users and other senior citizens. Fourth, for efficient use of internal space, it has turned out that it's important to reflect local features as much as possible and minimize the users' moving distance. Fifth, a size of the internal space varied depending on users' demand. The internal space that has been ignored by users needs to be reduced. Sixth, the facility program has been used depending on users' use and requirements. However, it showed a low relevance with users' preference. As mentioned above, the suggestions on the future plan directions of Seoul senior wwelfare cent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nior welfare center should be flexibly installed where required, not just 1 center per district, Second, in case of domiciliary welfare, the facility should separately used. Third, pedestrian walkway should be strictly separated from the road for physical safety and mental stability. Fourth, the outdoor space should be used for comprehensive outdoor activities. Fifth, in connection with neighboring facilities, the disadvantages of the center should be complemented. Sixth, there should be a plan for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calm and active space by function. Seventh, a proper number of stairs and elevator should be located at a place where many people come and go. Eighth, the space with similar function should be flexibly used. Ninth, each function should be separated by floor for users' convenience. Tenth, the interior lighting and ventilation should be properly controlled through window tinting, stairway balcony, and other necessary actions. Lastly, how to remodel and utilize current facilities rather than integrating with local facilities should be reviewed. This paper has suggested future plan directions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better efficiency.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be us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by location, find and resolve their problems, and ultimately develop them into the best welfare and cultural space for senior citizen.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고령화 추세로 인한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자리 잡고 있어 지역노인들의 여가생활을 지원해주는 노인종합복지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도 각 구별로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27개소가 개관, 운영되고 있으나 공급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노인인구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건립되지 못한 단점을 지니고 있어,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설 현황과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관 5개 시설을 대상으로 각 복지관의 입지 시설특성별 이용현황과 공간구성계획을 살펴본 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시설 계획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연구목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서울시 내 입지별 특징이 두드러지는 노인종합복지관 5개소를 대상으로 도면, 관찰, 면담,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크게 입지와 주변과의 관계, 건축물 배치와 외부공간 활용현황, 내부공간 구성, 이용자 특성과 요구사항을 통해 활용현황과 계획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온 문제점과 시사점을 반영하여 노인종합복지관의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노인종합복지관을 분석관점에 따라 조사한 세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복지관을 계획할 때 입지별 현황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주변과 물리적 관계에 따라 복지관의 성격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복지관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 대중교통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대중교통 거리에 따라 이용자가 느끼는 편리성이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세 번째, 외부공간은 의도적으로 별다른 장치가 계획요소가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복지관 이용자와 그 외 외부노인들에 의해 주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네 번째,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는 것과 기능별로 분리하고 구성하여 이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섯 번째, 각 실별 면적은 이용자의 수요에 의해 변경된 공간구성에 따라 차이를 드러내고 있으며, 서울시 운영규칙에 명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례별로 이용자의 선호도가 낮은 실은 축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 번째, 시설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활용현황과 요구사항에 의해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용자의 선호도와의 연관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으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제안한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계획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은 행정구역상 1구 1개소 설치가 아닌 실질적 사용권 조사에 따라 융통성 있게 배치한다. 두 번째, 복지관 기능 중에서 재가복지 부문의 경우는 다른 기능의 공간과 따로 독립하여 사용하도록 계획한다. 세 번째, 일반 보행자 동선과 차량동선을 엄격히 분리하여 신체안전을 물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네 번째, 옥외공간은 실내에서 할 수 없거나 적절치 못한 활동들을 광범위하게 걸친 특유의 자극적인 활동 기회의 장으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다섯 번째, 주변시설과의 물리적 연결을 통한 시설부족의 단점을 보완한다. 여섯 번째, 기능별로 정적인 공간과 활동적인 공간에 대한 분리·통합에 관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 번째, 수직 동선 체계인 계단과 엘리베이터의 위치는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자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면적 대비 개수를 산정하여 계획하도록 한다. 여덟 번째, 비슷한 기능의 공간은 오픈 플랜으로 계획하여 가변성 있게 활용되도록 한다. 아홉 번째, 복지관 내부 층별로 기능을 분리해줌으로써 이용자 동선을 축소시키고, 방문 시 인지가 쉽도록 해 준다. 열 번째, 썬큰, 천창, 계단실 발코니 등을 설치하여 복지관 내부의 채광과 환기를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시설과의 복합화가 아닌 기존 시설을 개조·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이 실질적 사용권 범위에 따라 합리적인 활용현황이 진행되도록 계획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입지별·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복지관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여 노인들이 가장 적합한 복지·문화의 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아동대상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위계선형모형(HLM)을 이용한 분석

        유혜인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신사회적 위험으로 여성의 노동시장참여가 증가하여, 아동 및 노인의 돌봄 영역에 대한 공백이 새로운 문제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돌봄에 대한 서비스 수요 증가로 사회투자사업의 일환으로 2007년 사회서비스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서비스 도입 후 품질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제도적으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서비스 사업 중 품질관리가 가장 강화되어야 하고, 지역사회와 가장 밀접한 사업인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비스 품질을 살펴보고 기관의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제공기관의 서비스 품질을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으로 유형화하였으며, 이용자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 요소 만족, 사회적 만족, 만족도 총합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서비스 품질의 다섯 가지 유형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이론적 검토를 통해 확정한 척도를 바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9월 10일부터 2015년 11월 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경기도의 아동 대상 서비스 제공기관 및 기관 이용자의 보호자에게 설문을 진행하였다. 개인수준의 설문지는 총 386부의 설문이 회수되었으며 그 중 367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기관수준 설문지는 20부를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와 카이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척도를 사용에 대한 신뢰도 검증, 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이용자 만족도와 기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다층분석(HLM)을 시행하면서 종속변수인 이용자 만족도의 네 가지 유형에 따라 각각 기초모형과 조건적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품질의 유형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사회적 만족도, 만족도 총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다. 셋째, 서비스 품질의 반응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넷째, 서비스 품질의 확신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품질의 공감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서비스 기관의 신뢰성이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기관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제시하였다는 것과 본인부담금을 내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만족도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기관과 이용자의 관계형성이 필요하다는 것과 대면서비스의 특성상 제공인력의 관리가 서비스 품질과 직결되는 것이라는 점에 함의를 가질 수 있다.

      • 중년기 성인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유혜인 성균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람이 자신의 생애를 마칠 때, 품위를 갖춘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조건으로 고통 없는 임종기와 임종기 의료와 관련된 자기결정권을 꼽고 있다. 삶의 마지막 순간을 품위 있게 이별하기 위해서는 죽음이 임박할 때가 아닌 건강할 때부터 죽음에 대하여 생각하고, 나름대로 학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앞으로 이들의 품위 있는 죽음을 준비하도록 도울 수 있는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28일부터 2019년 2월 28일이었으며,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C 시의 두 개의 관공서에 근무하는 직원 또는 민원인 중 중년기 성인을 근접 모집단으로 해서 편의 추출한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 one way ANOVA 및 사후분석(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는 평균 91.82±10.89점으로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특성 중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전체 평균 15.53±4.27점(67.5%)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입원경험, 평소 죽음에 대하여 생각해본 경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실제 작성하였거나 작성 의사가 있는 경우,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을 의사가 있는 경우에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평균 46.00±9.45점으로 대부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죽음에 대하여 생각해 본 경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사,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을 의사가 있는 경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사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년기 성인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가 비교적 긍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죽음을 품위 있는 죽음이라 생각하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이전보다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임종기나 연명의료에 대하여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라는 문서에 대해서도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 이를 바로잡기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역시 대체로 긍정적이며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위해서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필요함을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품위 있는 죽음이 무엇인지 고민할 기회를 만들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잘못된 정보나 오해를 바로잡아 이에 대한 이해와 인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朝鮮時代 乾漆佛像 硏究

        유혜인 東國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dry lacquer Buddhist sculptures in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ddhist sculptures have been steadily developed in various forms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in religion, society, and culture until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earliest use of lacquer was found in China around 7000-6500 BC. Through this artifact, it is assumed that lacquer has already been used to produce lacquer-ware, and the use of lacquer earlier. Therefore, dry lacquer Buddhist sculptures had begun to be made in China for ritual purposes since the times of the Six Dynasties. There are two kinds of dry lacquer Buddhist sculptures, the first one is hollow dry lacquer, which is the contents that are completely removed, the second one is wood-core dry lacquer that lacquer-paste are attached on the top of wooden statues. Japanese dry lacquer Buddhist Sculptures were influenced by the Tang Dynasty, which began to develop in the 7th century. When they started to accept, hollow dry lacquer sculptures were a majority, however, after the 8th century, wood-core dry lacquer sculptures were made instead of hollow dry lacquer sculptures. Among East Asia, wood-cord dry lacquer sculptures were hardly found in China and Korea, but they were popular only in Japan.   In the Korean peninsula, lacquer was used from the 6th to 5th centuries BC, and Hapcheon Haeinsa temple, the dry lacquer sculpture of Master Huirang (10th), which was a combination of dry lacquer and a wooden statue was the first dry lacquer sculpture in Korea. At a subsequent time, influenced by the Song Dynasty, dry lacquer sculptures began to be developed and continued until the early 16th century. Among them, there are 22 Buddhist statues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nd 11 Buddhist statues were made in the Joseon Dynasty(the Daedunsa temple’s Amitabha Buddhist statue, the Bulhuisa temple’s Vairocana Buddhist statue, the Duksu 2253 Bodhisattva statu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oduksa temple’s Amitabha Buddhist statue, the Pagyesa temple’s Kannon Bodhisattva statue, the Naksansa temple’s Kannon Bodhisattva statue, the Silsangsa temple’s Amitabha Buddhist statue, the Juklimsa temple’s Amitabha Buddhist statue, the Silsangsa temple’s Kannon Bodhisattva statue, the Mahasthamaprapta Bodhisattva of the Seokdang Museum of the Donga University, the Gilimsa temple’s Bodhisattva statue).   The dry lacquer Buddhist sculptures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first period is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5th century that has the design of the Late Goryeo formatted style. The second period is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when the traditional style was popular. The third period is the period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that the traditional style was also continued but the exotic style was begun to be seen through their decoration methods and facial expressions.   The dry lacquer Buddhist sculptures in the Joseon Dynasty were made with costly materials and went through complicated processes of production, moreover, they were mainly enclosed in the Royal Buddhist Temples, so they are important that represent their spirits and the Buddhist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