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유능성, 정서표현성, 보육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정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care efficacy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3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for 38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subj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care efficacy, and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of each variabl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model for the information sharing or the sub-factor of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was found significant, and one of the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namely the interpersonal conflict handling and another variable or the child-care efficacy were found significant. Namely, the better a teacher could handle a conflict with other people, and the higher her child-care efficacy was, she tended more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younger children with their parents. Secondly, the regression model for the pursuit of information or a sub-factor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was found significant, and such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s showing displeasure against others, handling of interpersonal conflicts, and child-care efficacy were found significant. Namely, the better a teacher could properly showed her displeasure against others, the better she could handle a conflict with others, and the higher her child-care efficacy was, she tended more to show an information-pursuing behaviors or a desire of being informed by parents of younger children's life at large. Thirdly, the regression model for the sub-factors of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was found significant, and such sub-factor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s showing displeasure against others and child-care efficacy were found significant. Namely, the more properly a teacher claimed her right or showed displeasure against others, and the higher her child-care efficacy was, she tended more to establish an emotional relationship with parents. Summing up, daycare center teachers' child-care 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behaviors, while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me of the sub-factors, and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s.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대인관계유능성과 정서표현성 및 보육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38곳의 어린이집 담임교사 300명이었다. 본 연구는 교사용 질문지를 통해 대인관계유능성, 정서표현성과 보육효능감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행동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사 협력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공유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갈등 다루기요인과 보육효능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교사가 다른 사람과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잘 다룰수록, 그리고 보육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는 부모에게 영유아에 대한 정보공유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사 협력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추구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대인갈등 다루기요인, 그리고 보육효능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타인과의 관계에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권리나 불쾌감을 적절히 주장하고, 다른 사람과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잘 다룰수록, 그리고 보육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는 부모에게 영유아가 경험하는 생활 전반에 대해 알고자 하는 정보추구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사 협력행동의 하위요인인 상호관계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요인과 보육효능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교사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타인에게 자신의 권리나 불쾌감을 적절히 주장할수록, 그리고 보육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는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를 잘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보육효능감은 부모-교사 협력행동 하위변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대인관계유능성은 협력행동의 하위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표현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 가정간호 대상자의 응급센터 이용실태

        유정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 개 대학병원 응급센터에 내원한 가정간호 대상자들의 이용실태와 응급 여부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07년과 2008년에 가정간호대상자로 응급센터에 내원한 298명의 전자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교차분석을 이용한 χ2-test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대상자 중 응급 판정을 받은 경우는 170명(57.0%)이었고, 비응급 판정을 받은 경우는 128명(43.0%)이었다. 응급센터에 내원한 가정간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이 53.7%, 여성이 46.3%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응급센터에 내원한 연령별 분포로는 61~80세가 50.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81세 이상(26.8%), 41~60세(13.1%), 21~40세(5.7%)의 순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8.49세(±18.33)로 나타났다. 내원방법으로는 구급차가 42.3%로 가장 높았고 일반차량 37.9%, 휠체어 10.7%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응급 판정 여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성별(χ2=0.409, p=.301), 연령(χ2=3.626, p=.459)에 따른 응급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응급센터 내원 방법에 따른 응급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χ2=10.587, p=.014). 진료과 분포에서 내과에서 의뢰한 환자들이 응급센터로 내원하는 경우가 39.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뇌신경센터 12.8%, 재활의학과 12.4%, 폐센터 7.7%, 노인의료센터 7.0%등의 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응급 판정 여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진료과(χ2=13.193, p=.281)에 따를 응급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가정간호서비스 내용을 다빈도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신체사정 및 활력징후가 277건(35.4%)로 가장 많았고 각종 튜브 간호(18.7%), 수액요법(10.4%), 상처소독(5.9%), 채혈(5.2%), 당뇨관리(5.2%) 등의 순이었다. 둘째, 응급센터 이용실태에서 응급센터 이용시간을 살펴보면 정규시간에 내원한 경우는 103명(34.6%), 비정규시간에는 195명(65.4%)이 내원하였다. 내원 주증상으로는 각종 튜브 교체가 25.5%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고 고열(20.5%), 의식변화(10.9%), 호흡곤란(10.5%)등의 순이었다. 응급센터 이용시간 중 정규시간과 비정규시간에 내원율(χ2=1.371, p=.147)과 내원 요일율(χ2=5.582, p=.472)의 응급 판정 여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응급센터 체류시간에 따른 응급 여부가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χ2=10.829, p=.055). 그러나 응급군과 비응급군 간의 주증상 분포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χ2=21.829, p=.003). 세부 증상에서는 각종 튜브 교체로 내원한 경우 응급19.6%, 비응급 33.7%를 차지하였고 고열, 기침 & 가래는 21.7% 응급, 18.8% 비응급, 의식변화시 15.9% 응급, 4.0% 비응급으로 나타났다. 호흡곤란 시 응급센터에 내원한 경우는 14.5% 응급, 5.0% 비응급으로 분석되었다. 내원 이유와 응급 판정 여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응급센터 내원 이유 9개 문항 각각에 대해서 응급 및 비응급 판정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응급군과 비응급군 간의 가정간호서비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 15개 종류의 가정간호 항목별 서비스 제공 유무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이 응급센터에 가정간호 대상자들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내원 원인, 응급상황 요인 등을 파악하여 사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가정 전문 간호사의 처치나 환자 및 보호자 교육 등을 개발하여 비응급 환자로써의 응급센터 내원율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응급상황 발생을 지각하여 가정간호 응급상황에 대한 기초지식과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간호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가정간호 체제의 변화 즉 가정전문간호사의 전화상담 서비스, 근무시간 외 탄력적 적용 등의 가정간호 체계의 변화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로마카톨릭 미사비판에 나타난 칼빈의 성찬성례관 : 기독교강요 중심으로

        유정숙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16세기의 종교개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차지하는 것 중에 하나가 ‘성찬성례’이다 당시에 로마카톨릭에 있어서 미사를 통한 성찬성례는 종교개혁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이슈가 되었고 이에 대한 개혁을 단행을 했다. 현재에 와서는 WCC적 에큐메니칼 운동에 있어서 ‘신앙과 직제위원회’가 추구한 “세례, 성만찬, 직제(Minstry)”로서 교회가 하나됨을 선포하는 것이며 그리스도 안에서 예배와 공동체의 일치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논문은 당시의 로마카톨릭의 미사의 신학적 의의와 칼빈이 미사비판을 통해서 칼빈의 성찬성례관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그 내용으로 현재에 있어서 일치운동에 대해서 본인의 입장에서 성경적인 일치운동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로마카톨릭교회의 미사는 희생제사이다. 왜냐하면 트렌트공의회는 속죄의 제사인 성찬성례에 대하여 “ 제물은 하나이며 동일하다. 곧 십자가 위에서 단 한번 당신 자신을 받치셨던 분이 지금 사제의 직무를 통해서 봉헌하시는 바로 그분이다. 성찬례에서 바치시는 봉헌제물은 바로 그리스도다”라고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희생제사를 통해서 빵과 포도주는 예수님의 실체적 변화가 일어난다. 이것이 “화체설”이다. 이는 곧 하늘에 계신 예수님을 다시 이 세상에 오시게 해서 사제들의 손에 의해 찢겨지고 나누어져서 각 신자들에게 ‘영성체’를 해 주게 할 뿐만 아니라 ‘떡’과 ‘포도주’는 바로 예수그리스도의 자체에 신성과 인성을 갖추는 분으로 추앙하고 있기 때문에 성체성사후에 남은 떡은 감실이란 곳에 보관해서 떡 속에 계신 예수님께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다. 이에 반대해서 16세기 종교개혁은 일어났다. 여기에 대해서 가장 강력하게 반대했던 사람중의 한사람이 칼빈이다. 기독교 강요 1559년도에서 칼빈의 로마카톨교회 미사비판을 살펴보았다. 칼빈의 로마카톨릭의 비판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예수그리스도의 기독론적인 관점에서 비판을 했다. 둘째는 예수그리스도의 완전한 속죄제사라는 것이다. 섯째는 성찬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은 이신칭의론 적으로 주어졌고 담보물이며 하나님의 선물의 ‘표징’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서 칼빈의 ‘성찬성례’의 성경적인 입장에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한다. 즉, 성례의 의미와 말씀과 성례의 관계, 성례에 있어서 성령의 역할, 그리고 성찬의 제정목적과 성만찬이 우리에게 주는 유익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또한, 성찬에 있어서 합당한 집행과 참여에 대해서 피력하고 있다.

      •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회복을 돕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유정숙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이혼 가정 청소년 자녀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적응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는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혼가정 청소년의 특성과 발달적 과제, 그리고 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청소년의 적응과 회복에 도움을 주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혼 가정 청소년 자녀들의 발달적 과제와 선행 프로그램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 필요한 구성요소룰 도출하고. 도출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6개의 하위목표를 두었다. 첫째, 지지적 집단 환경을 조성, 둘째,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가족 구조의 변화에 대해 이해와 수용, 셋째, 부모에 대한 분노와 비난의 감정 명료화, 넷째, 이혼과 관련된 잘못된 개념 명료화, 다섯째,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손상된 자존감 회복과 부모나 다른 성인들로부터 정서적인 독립을 이루기, 여섯째, 현실적인 문제 대처 능력 증진 등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제 1회기 ‘만나서 방가방가’, 제 2회기 ‘나랑 친구해’, 제 3회기 ‘나는요…’, 제 4회기 ‘동물가족 그리기’, 제 5회기 ‘나도 감정이 있단 말야’, 제 6회기 ‘내 잘못이 아니야’, 제 7회기 ‘지금부터는 내 삶을 살거야’, 제 8회기 ‘너는 울트라 캡숑 짱’, 제 9회기 ‘나도 멋진 사람’, 제 10회기 ‘문제해결방법 학습하기’, 제 11회기 ‘문제해결 방법 적용하기’, 제 12회기 ‘문제해결 방법 적용하기’, 제 13회기, ‘모두들 안녕’ 등 총 13회기로 구성되었다. 회기당 시간은 80분에서 90분(1시간 30분)이고 프로그램은 1주일에 2번씩 진행하여 2달 안에 마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진행절차는 매 회기마다 들어가기 - 활동 - 소감나누기 - 다음시간 기대감 갖기 순으로 진행한다. 매 회기마다 지지적인 집단의 분위기로 자연스런 감정 표출과 피드백을 통해 감정을 교환하도록 하고, 타인으로부터의 공감적 이해, 따뜻함, 수용, 지지의 경험을 통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도모하게 하였다. This thesis aims at developing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adolescents of divorce to adjust their transformations of family and recover from their losses. Their developmental tasks, distinc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djustmental processes are surveyed in the literature. The survey produced 6 subtasks for this Recovery Program for Adolescence of Divorce. They includes supportive environment,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familial transitions, understanding of their responsive feelings, reframing on divorc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ecovery of self-esteem, and flexible coping skills. This program is composed of 13 sessions, each of which takes from 80 to 90 minutes. Each session is consisted of introduction, activity, wrap-up, and mapping for next session. In the activity, the participants are supposed to learn by doing. Active listening, empathic understanding, self-disclosure, feedback, warmth, acceptance, and support are encouraged.

      • Hybrid-EHR을 위한 의무기록서식의 온톨로지 개념모델링을 통한 서식축 구축 및 활용 : 전문병원 의무기록 대상으로

        유정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EHR (Electronic Health Record)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since the revision of the Medical law recognized the legal authority of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in February 2002. Except for the newly opened hospitals, however, many hospitals have to find an effective way for scanning the previous paper-based medical records and integrating them with the newly developed EM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a way to maintain a linkage between the paper-based system and EMR by mapping document names and to develop the location point address for structuring image documen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ontology-based document format that may be effectively used for searching for various medical records.In this study, clinical documents from one specialty tertiary hospital were analyzed for developing location point address and defining document ontology. The results were classified by the FCA tool and validated for accuracy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patient charts. Based on the validated document axes and other information, the Document Information Model was developed by using the Protégé/OWL.This paper developed the ontology-based document axes by conceptualizing the hierarchy of document taxonomy and demonstrated its use in EHR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2002년 2월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의료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병원시스템의 전산화 방향은 EHR(Electronic Health Record) 구축에 관심이 모아져 있다. 새로 개원하는 병원을 제외하고는 기존에 보관하고 있는 종이기록의 전산화 문제에 고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Hybrid- EHR환경에서 기존의 종이기록을 이미지화 하여 관리하는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와 새로 개발된 EMR과의 통합 및 상호운용성 문제에 고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과거의 종이기록을 이미지화 한 EDMS와 현재의 전자 의무기록 간의 기록의 연속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시스템간에 공통된 자료 형식인 서식명을 연결고리로 하여 연속성을 유지하게 하였으며, 이미지 기록의 구조화를 위한 위치표식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생되었고 발생될 다량다종의 의무기록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온톨로지기반의 서식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시스템들을 제안 하였다.이 연구를 위해 일개 전문병원에서 사용되는 서식을 대상으로 서식명과 내용분석을 통하여 이미지 서식의 위치표식법을 제시하고, 서식축을 구축 하였으며, 서식의 축속성을 정의하여 FCA Tool을 이용하여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를 환자기록과 비교하여 서식분류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서식축을 중심으로 서식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모아 Protégé/OWL을 이용하여 서식정보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이의 활용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의 대상이 속해있는 서비스환경을 축으로 설계하여 그 의미를 형식적으로 개념 계층화 하여 온톨로지기반의 서식축을 개발함으로서, 연구의 결과와 방법이 의료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는 EHR, DSS, KMS, EIS 등의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 초등학교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깔끔이교실'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정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Life Practice Program for Oral Health Promo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Jung- Sook Yoo Dept. of Health Scienc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Yoon-Shin Kim, DrHSc.,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w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care program effect Children on their PHP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to establish positive health promoting program at school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nd similar experimental survey with unequal comparis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4 Children in all who were 164 Children of G primary school in E-gun Chung-buk, experimental group and 100 Children from S primary school are comparing group the number of respondents are, 35 teachers and 198 parents. Data were collected form November 11th 2008 to February 11th 2009.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with SPSS WIN 17.0 program.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ositive changed in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PHP(Patient Hygiene Performance) of primary Children health-promoting behavior. Active group in oral health promotion showed positive changes in result from promotion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PHP.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ime in measurements in such sub-areas as 'I select snack containing little sugar to prevent tooth decay', 'I can tell which is dental plaque', 'I minimize foods containing sugar', 'I select and use toothpaste containing fluorine', 'I have snack once or twice per day' which demonstrated that the program improved children's health-promoting behavior. 3. Children in the high-PHP group showed continuous improvement in PHP even over tim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and media, children in the group using activity policies showed more improvement in PH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4. The area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al health was eating habit, followed by hand-washing, mental health, and smoking, all of which showed high correlation of .40 and abov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each area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PHP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firmed that oral health was highly correlated with health practice areas. 국 문 요 지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깔끔이 교실’은 건강관리 분야 중 구강건강과 연관성이 있는 영역들로 생활 속에서 아동들이 실천할 수 있는 항목들을 연계하여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을 접목시킨 연구로는 처음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의 하부영역 선정에 있어 아동의 건강생활실천 형성 및 습관화시키기 위해서 구강건강, 구강병의 원인이 되는 식습관 및 흡연, 건강증진행위에 연관성이 높은 정신건강과 손씻기를 접목시켜 구성하였다. 특히 보건교육의 방법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체험활동과 더불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학교환경을 최대한 조성하여 실천적 프로그램이 되도록 시도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인 ‘깔끔이 교실’ 개발 및 적용으로 아동의 구강환경관리능력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학교보건교육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2008년 11월 17일부터 2009년 2월 11일까지 초등학생 264명, 학부모 198명, 교사 3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도구의 건강증진행위와 구강검사를 통한 구강환경관리능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깔끔이교실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아동의 구강환경관리능력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구강환경관리능력과 건강증진행위가 상위그룹인 아동이 하위그룹 아동과 비교하여 구강환경관리능력 증진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둘째, 깔끔이교실 프로그램 실시에 의한 효과로 영역별 세부항목 중 측정시기별 시간경과에 따라 아동의 실천적 건강증진행위가 향상되었으며, 구체적인 항목은 ‘간식은 충치예방을 위해 설탕이 적은 것을 선택한다.’, ‘치면세균막이 무엇인지 구별할 수 있다.’, ‘설탕이 들어있는 음식은 최대한 줄인다.’, ‘불소가 들어있는 치약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간식은 하루 1-2회 이하 먹는다.’ 등이었다. 셋째, 구강환경관리능력이 상위그룹인 아동은 프로그램 실시 후 시간이 경과하여도 구강환경관리능력 증진에 지속적인 효과가 있었다. 교육방법 및 교육매체는 강의식 수업과 더불어 활동책을 활용한 그룹의 아동이 비활용그룹 아동보다 구강환경관리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넷째, 구강건강과 가장 상관관계가 큰 영역은 식습관이었으나 손씻기, 정신건강, 흡연의 순서로 영역별 모두 .40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실험집단 아동의 구강건강관리능력 그룹간 영역별 건강증진행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구강건강과 건강실천영역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깔끔이교실은 구강건강과 전신건강 분야의 연계와 체험활동 및 탐구식 수업방식으로 적용한 결과 아동의 구강환경관리능력과 건강생활실천행위가 증진되었으며, 12주 동안의 반복측정으로 관찰한 결과 아동의 건강생활 습관 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 노인요양시설 화재 안전성 측면에서의 취약요인 및 개선방안연구 : 이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유정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 초록 지속되는 저 출산과 의학발달로 인해 우리나라는 지금 급속한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2010년 통계청의 “2010고령자 통계„ 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고령자인구는 전체의11%이며 2018년에는 14%로 고령화 사회, 2026년에는 20%, 2030년에는 인구 4명당 1인이 노인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65 세 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라고 한다 )급속한 고령화의 주된 원인은 급속한 출산율 감소, 의료 기술의 발달, 생활수준 개선 등으로 평균수명의 증가와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에 따른 출산율 감소로 볼 수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65세 이상 노인이나, 65세 미만일지라도 노인성 질병을 가진 자로서 현저히 거동이 불편하여 장기요양이 필요한 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노인서비스 제공의 확대는 노인 복지시설의 양적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 중 2008년 이후 노인 요양시설과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은 다른 노인 복지시설에 비해 급속도로 늘어났다. (2010년 기준 노인요양시설 시설 수 1346개, 노인요양 공동 생활가정 시설수 1,346개) 노인 요양시설의 이용자들의 대부분은 노인성 질환을 앓코 있거나 심신에 장애가 있는 노인들이 그 대상이다. 화재가 발생 했을 경우 대처할 수 있는 방어 능력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한번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방화 또는 실화 혹은 여러 부주의로 인하여 노유자 시설의 화재 사례는 점차 빈번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으로 연도별 화재 건수는 2003년도 52건, 2004년 71건, 2005년 87건, 2006년에는 79건으로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노인요양시설의 양적 증대에도 불구하고 그 질적인 수준은 그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적 화재 통계 자료에 비춰 볼때 노인들의 화재 위험성은 일반인보다 높은 편이다. 80세 이상의 경우는 젊은 사람들보다 10-20배 정도 화재에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노인들에 대한 화재 위험성은 단순히 고령화의 문제라기보다는 인지력, 이해력 및 운동 능력의 감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노인들의 화재 취약 및 유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상의 배경으로 노인 요양시설에서의 화재 사고 시 재실자를 성공적으로 안전한 장소로 유도해낼 수 있는 시설계획 및 소방설비 측면에서의 고려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증가하는 노인관련시설과 관련하여 그 중 노인요양시설의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 등을 앓코 있는 재실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특징과 국내. 외 관련 법령 비교분석 및 현황 분석, 화재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시설계획 측면과 소방설비 측면으로 나누어 제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시설계획 측면에서는 설치기준에 있어 자력대피가 곤란한 시설 입소자들의 특징을 고려한 입지조건에 대한 설치기준, 건축물 층수 제한, 위험도가 높은 시설들과의 용도 제한이 없다는 점과 피난계획시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의 미흡, 수평피난계획의 필요성 등의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소방설비 측면에서는 시설 이용자들의 유형별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시설규모만으로 적용되는 소방설비기준에 대한 문제점과 노인요양시설에 적합하지 않은 소방설비들에 대한 측면을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로 나누어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개선방안을 크게 시설계획 측면과 소방설비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시설계획 측면에서는 시설 이용자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영유아보육법의 어린이집 설치기준에 준할 만큼 시설기준을 강화하여 층수제한, 입지의 건물 용도에 대한 강화된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과 자력대피가 어려운 재실자들의 피난을 위한 공간 마련으로 안전구획을 설정 할 것과 그 대안으로 층별 발코니 설정, 층별 안전구역 확보를 제안하였다. 또한 피난의 이동 용이성을 위한 자체 시설의 복도, 경사로 등에 대한 활동 공간 확보를 제의하였다. 소방설비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시설 규모에 따른 구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노인특성과 운영특성을 고려한 탄력적인 소방시설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점과 시설의 이용자 특성에 맞는 소방시설 등을 설치 개선 할 것을 소화기구, 경보기구, 피난기구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화재위험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계획 측면과 소방설비 측면의 방면에서 실질적인 검토를 통하여, 재실자들의 안전을 확보 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응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핵심어: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유자시설, 피난계획, 화재안전,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Abstract With continuous low fertility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Korea is facing an aging society. According to the "2010 statistics of aged people", people above 65 takes 11% of the whole population, in 2018, it will be 14%, in 2026 20%, and in 2030, 25% of the whole population will be composed of aged people. (when it is more than 14% above it is called again society, and if it is above 20% we call it ultra-aging society) The main reason for this rapid aging society is the rapid reduction of fertility,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enhancement of life-style, which we can expect higher average life expectancy and low birth from women's social activitie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Korea is acting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This is on regard of those who are above the age of 65, or people who have illness of aged that are having difficulties on daily life conduct.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aged, increase in service for the aged and facilities on welfare for the aged is shown. Among them, after 2008, there were growth in the number of recuperation joint living family of aged, and recuperation facilities for the aged. (in 2010, 1346 recuperation facilities for the aged, 1346 recuperation joint living family of aged) Most of the recuperation facility for the aged users have illness of aged people, or ha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indrance. It has been judged that they have no ability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fire, there is a possibility on loss of lives. Actually, the case of fire due to carelessness on recuperation facility of aged people is occurring often. In 2003, 52, in 2004, 71, in 2005, 87, in 2006, 79 fire accidents were reported. Even if the expansion of recuperation facility of aged people is taking place, the quality is not satisfying.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international fire accidents, aged people are more insecure that ordinary people. It can be said that people above 80 are 10~20 times more dangerous than young people. Danger of fire on aged people is not simply due to oldness, but loss of awareness, understanding, and exercise capacity. It can be thought importantly to regard situation of fire, and improve fire fighting equipments and facility plan to evacuate aged people and occupants successfully.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ink about vulnerable factors in the case of fire accidents by comparing internationally occurred fire accidents, and regarding physical condition of occupants in the recuperation facility that have dimentia, stroke, and other illnesses, and to suggest ways of enhancement by dividing into facility plan and fire fighting equipment. Firstly, the fact that there is no limit on the number of layers, installation standard in regard of facility users who have difficulties on evacuation, and no spaces for old people on the plan of evacuation, necessity of horizontal evacuation plan rose as problems. On the factor of fire fighting equipments, disregarding the facility users' characteristics, standard of fire fighting facility only applying the size rose as problems, and it has been criticized dividing it into fire extinguisher, alarm, and evacuation facility.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study suggested on dividing institutional ways of enhancement into facility plan factor and fire fighting equipments. On the case of facility plan, to secure users' safety, standard on the facility should be strengthened, by limiting number of layers and law revision on the use of the building. Also, providing places for occupants who face difficulties on evacuation in ways of balcony per layers, and securing safety zone was suggested. At the same time, securing places on corridors and slope ways for effective evacuation was also suggested. On the aspect of fire fighting equipments, it has been suggested to develop and install fire fighting equipments on regard of the users dividing into fire extinguisher, alarm, and evacuation, and that there should be a standard of resolving limits of division in the facility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aged people and management. This study is aimed to find effective ways to secure safety of occupants through substantive examination on fire fighting equipments and plans for enhancement in the case of fire in recuperation facility of aged. Keyword : medcial welfare facility for aged people, recuperation facility aged people, facility for children and aged, evacuation plan, safety of fire, fire fighting facility alarm facility, evacuation fac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