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流通産業의 開放化에 따른 對應戰略方案에 관한 硏究 : 都·小賣業을 中心으로

        유정근 전주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Korean economy has made a tremendous strid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ver the past four decades since the three-year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Korea now rands 15th in the world, with gross national product(GNP) jumping to $ 237.9 billon in 1990 from $ 1.4 billion in 1953 when the Korea War ended. Korea's exports were $ 63.l billion in 1990 on a balance of payments basis, compared to $ 27.7 million in 1952 while imports expanded to $ 65.1 billion from $ 214.2 million. Korea has also witnessed rapid growth in key industries. After the American triumph in the Gulf War the world econdmic milieu has been rapidly chaning. In a recent get-together, ministers from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tion and development(OECD) a growping of 24 industrialized economics, agreed that the Uruguay Round(UR) talks on free trade were top priority and should preferably be completed by the end in 1991. Foreign retailers will be able to establish up to 10 sales stores in Korea if the floor space of each shop does not exceed 1000 square meters(l,000㎡) beginning July 1 in 1991. Pres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ermitted a foreign retailer to set up a single shop with floor space of less than 700 square meters. The sane criteria on foreign investments in the domestic retailing industry will also be applied to chain stores operated by foreigners. Such restrictions will be lifed gradually under the government's market liberalization program. Korean Distribution Market faces challenges with influx of foreign wholesalers and retailers. Our country's distribution market is likely to contront enormous challenges from July 1 in 1991 when powerful foreign wholesalers and retailers are expected to rush in under market liberalization. Several foreign wholesale businesses and retail businesses are gearing up to make a foray into the Korean distribution make a foray into the Korean distribution market could be disastrous in view of foreign stores' unique tactics-aimed at a massive sale of goods at cheap prices. Specially ahead of their inroads into the Korean distribution market Japanese wholesalers and retailers have threatened that they can ruin the Korean market within six months, taking Taiwan as a good example. It look less than two years for Japan to eat up the Taiwanese distribution market its electric Republic of China opened its electric appliance market in 1986, Japanese market share almost doubled or tripled. Some of the Japanes department store chains already have business cooperation contracts with Korean retailers. Therefore, at the point of trends is wholesale and retailing, I have thrown in the study to the point which must be taken countermeasuers according to opening of Korean distribution market.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businesses must be organized. The special strateges of organization(grouping, cooperation, chain operation) must be improved. Distribution managers always must think in terms of the best oppertunities for growth of their outlet when deciding on a philosphy of location for their organization. Small and medium distribution businesses must be reinforced on a large scale. Retail information system(RIS) in commercial scale system must be established. The financial policy should be enlarged for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activities of after-service should be enforced. The counter measures for the inflex of foreign wholesalers and retailers must be provided. Therfore, I am sure this above study will help the Korean distribution industry to be take a countermeasure the inflex of foreign wholesalers and retailers.

      • 웹 환경에서 ActiveX를 이용한 DB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유정근 광운대학교 전산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인해 컴퓨팅 환경은 메인프레임 환경에 서 웹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발달하고 있다. 웹 브라우져에서 서버의 DB를 조작하는 방법에는 HTTP에 의한 DB 엑세스 방식과 직접 DB 액세스 방식이 있는데, 전자는 브라우져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본적인 구조로써 서버에 미치는 과부하의 문제가 있고, 후자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를 실현하는 기술로써 웹과 서버를 분리 관리할 수 있어 DB운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웹 환경에서 DB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 전사적이고 체계화된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 Activex DB 엑세스 컨트를을 이용해 서버부하의 최소화와 DB 제어함수를 모듈화하고, 웹상에서 스테이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웹 환경에서 DB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여러 웅용분야에 이용되어 구현의 용이함과 어플리케이션의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omputing environment which is progressed to hardware and software has been development into Client/Server System in mainframe environment. In the Web browser the method which is manufactured database of Server is a DB Access method using HTTP and direct DB Access method, the former is a basic structure that is sending and receiving data in browser and has a overloading problem, and the latter is a technique which implements a component software, manages Web and Server separately, and rise a safety of DB manage. In this thesis we are presented a structured design methodology that is developed with application using DB in Web environment, minimized a Server overloading using ActiveX DB Access control, moduled DB control function, and proposed a algorithm which is aided Web State Broken. The proposal thesis is used a variety application of DB control application in Web and is able to enhancement a application and to implement easily.

      • 사각단면 주위에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소음의 예측

        유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직렬배열된 두개의 직사각단면 주위에서 난류유동(U=350km/hr)에 의해 발생하는 공력소음을 예측하였다. 공력소음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속도와 압력의 분포를 얻을 수 있는 유동 해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고속의 비압축성, 점성 유동은 물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 및 와류의 반복적인 생성 및 소멸로 표현될 수 있다. 전산유체역학적 수치해석을 통해 나오는 데이터들은 전체 유동의 특성을 파악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공력소음 해석을 위한 입력 자료로서도 활용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공력소음의 예측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Ffowcs Williams-Hawkings (FW-H) 방법을 사용했다. FW-H식은 유체의 연속 방정식과 운동량 방정식을 파동 방정식의 형태로 유도한 것으로서, 두 개의 표면 소음원과 하나의 체적 소음원으로 이루어진다. 해석 모델은 단면의 형상과 단면 간의 거리에 따라서 다양한 경우를 선택하였으며, 공력소음에 있어서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 각 모델에 대한 방향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경우에 대해 유동장해석 및 근거리/원거리 소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단면 간의 거리와 단면 형상과 같은 설계인자의 변화에 따른 공력소음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저소음형 단면모델에 대한 경향을 제안하였다. Flow induced sound noise is important in airplane and high-speed train. Speed of 350km/hr is expected to generate the considerable amount of aerodynamic pressure variations, aeroacoustic noise and structural vibration.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prediction of flow induced sound noise around two-element rectangular and modified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andem arrangement. Aeroacoustic noise prediction requires the airflow simulation to obtain velocity and pressure distributions. The flow of U=350km/hr is characterized by the von Karman vortex street, resulting in the fluctuating forces acting on the surfa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irflow simulation is important since it provides not only the understanding of flow-field around rectangular cross sections but also the asset of useful CFD data which will be used as input to the aeroacoustic calculation in both mid- and far-fields. To predict the airflow induced sound noise around rectangular cross sections in tandem arrangement, a numerical method of aeroacoustics is used. The Ffowcs Williams-Hawkings (FW-H) equation is used to calculate the aeroacoustic noise induced by turbulence flow around rectangular cross sections. Variations in distance between cross sections and shape of cross section are considered for prediction of aeroacoustic noise. The thesis proposes low noise cross section model.

      • 한미 FTA 체결시 산업별 무역창출효과 분석 : 쌀시장 개방시 사회후생 변화분석을 포함하여

        유정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한·미 FTA 체결시의 경제적 효과를 패널모형 및 연립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주제에서는 FTA 체결시 관세철폐로 인한 산업별 무역창출효과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주제에서는 FTA 체결시 쌀시장이 완전개방되었을 경우의 사회후생효과를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DDA 및 FTA에 관한 분석은 주로 연산일반균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모형 및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CGE모형은 관계당국의 정책변동이 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분석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없다는 점과 추정 결과값이 parameter 값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한다는 단점이 있다. 중력모형은 계량분석결과를 표준 통계방법의 기준으로 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경제통합시 정책변화가 가져오는 효과들 가운데 일부만 측정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패널모형분석은 추정결과값에 대한 검증의 절차를 거쳤고 산업전체의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방법과 차별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연립방정식모형 분석을 근거로 국내 쌀시장 수요·공급곡선 도출을 통한 미국 쌀시장 개방시의 사회후생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미 FTA체결과 관련 기존연구들에서의 쌀시장 개방시 비용편익분석과는 차별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한·미 FTA 체결을 통한 관세철폐시 우리나라와 미국의 각 산업별 무역창출효과를 패널모형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일반차량/부품 및 기타수송기기, 통신기기에 대해서 각각 1억 810만불, 414만불 가량의 수출이 증대되고, 미국은 정밀기기, 통신기기, 컴퓨터에 대해서 각각 2,516만불, 442만불, 27만불 가량의 수출이 증대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여타산업을 제외한 쌀시장 개방만을 고려하고 미국 칼로스쌀과 우리쌀의 질이 같다는 전제하에서, 우리나라 쌀시장에 미치는 사회후생효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 칼로스 쌀이 미국 현지가격으로 우리나라에 국내쌀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국내 총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유통될 것을 가정하게 될 경우, 총사회후생 규모는 약 1조 9,816억원 가량 증대될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소비자 잉여효과와 생산자 잉여효과로 구분하면, 미국쌀시장 개방시 국내 쌀수요자들은 약 8조 6,759억원 가량의 후생증가의 혜택이 예상되지만, 국내 쌀산업 종사자의 경우 약 6조 6,942억원 가량의 후생손실을 감수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shows the economic effects after Korea-U.S. FTA through Panel Model and Simultaneous Equation Model. The first topic analyses industrial trade creation effects due to the tariff elimination after Korea-U.S. FTA. The second topic analyses the social welfare effects in the case of opening the rice market after Korea-U.S. FTA. The recent studies regarding DDA and FTA were usually analysed by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CGE Model) and Gravity Model. CGE Model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estimated the economic impacts due to the changes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policies systematically. However, this model has disadvantages that estimation results can not be tested statistically and estimators are changed by parameters sensitively. Gravity Model has an advantage that econometric results can be tested in the way of standard statistic methods. However, this model has a disadvantage that can be estimated only certain parts of economic effects due to the changes of government policies after economic integration. Panel Model analysis in this paper is though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ormer articles since the estimation results are tested statistically and all of the industries are concerned. Moreover, on the basis of Simultaneous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ocial welfare effects in the rice market of Korea are estimated. This also can be distinct from cost-benefit analyses in the former studies. First of all, the panel analysis results of industrial trade creation effects due to the tariff elimination after Korea-U.S. FTA are like below. It can be expected for Korea to increase the amount of exports, 108.1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transport industries (automobiles / parts and other transportation instruments) and 1.14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e U.S.,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exports, 25.16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precision industries, 4.42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and 0.27 million dollars in the field of computer industries. In addition, the social welfare effects in the rice market of Korea are like below. i.e. supposing that only the rice market is opened and the quality of the rice harvested in Korea and the U.S. is the same. In case the Calrose rice can be distributed fully in Korea market and the rice price in the U.S. is applied in Korea, total social welfare is estimated to increase about 1,981.6 billion wons. If the social welfare effect is divided into consumer's surplus and producer's surplus, it can be expected for consumers in Korea to be benefitted about 8,675.9 billion wons. However, it can be expected welfare loss about 6,694.2 billion wons for workers in the rice industries of Korea.

      • CDMA를 위한 저 잡음 증폭기 설계

        유정근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CDMA 방식에 이용할 수 있는 저 잡음 증폭기를 중심 주파수 1855[MHz]를 기준으로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지수, IP3, 이득, 전력손실 등을 최대한 고려하여 현재 CDMA 단말기에 사용되고 있는 LNA의 성능에 비해서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PCS용 1.9 GHz CDMA Low Noise Amplifier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회로는 비선형 설계 도구를 사용하여 최적화 하였으며, Power PCB를 이용하여 Routing 후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제작된 LNA의 V_(CE)는 2[V], 전류는 3[mA]이다. 측정된 LNA의 Gain은 18.83[dBm], 잡음지수는 1.58[dB]이다. This thesis describes a design of LNA(Low Noise Amplifier) for 1.8-GHz band CDMA. A designed LNA is considered Noise Figure, IP3, Gain, Power Dissipation all in aspects. An ADS(Advanced Design System) of the nonlinear design tool is used for simulation of the LNA. The fabricated LNA has an operating voltage of 3.8[V], V_(CE) of 2[V] and current of 3[mA].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a Gain of +18.81[dB] and Noise Figure of +1.58[dB].

      • 코딩을 융합한 초등학교 사각형 개념 지도 프로그램 개발

        유정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사각형 단원에 제시된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의 개념과 코딩을 융합하고 이에 맞는 수업 모형과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시사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사각형 단원에 대한 학습 요소와 코딩 관련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수학과의 개념지도 모형인 속성 모형과 이철현(2016)이 개발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문제 해결 모형(CT-PS 모형)을 융합한 새로운 형태의 코딩 융합 속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코딩 융합 속성 모형에 따라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개념과 코딩을 융합한 지도 프로그램 즉, 코딩을 융합한 초등학교 사각형 개념 지도 프로그램 3차시를 개발하였으며, 중소도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11명의 학생들에게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 사각형 단원의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와 관련된 학습 요소와 코딩 관련 요소를 추출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은 4학년 학생들이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고, 각 사각형의 성질을 코딩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코딩을 융합한 초등학교 사각형 개념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코딩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은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코딩을 위한 전략을 세우거나 각 사각형의 코딩 알고리즘을 설계할 때, 코딩 알고리즘을 테스트하거나 디버깅할 때, 교사 또는 다른 학생들과 의사소통하며 각 사각형의 정의와 성질을 각 사각형 코딩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다만, 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습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수학 성취 수준이 낮지만 코딩 구성 능력이 뛰어난 학생에게는 코딩을 통한 사각형 개념 지도가 효과적일 수 있지만, 수학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이라고 할지라도 코딩 구성 능력이 부족하다면 코딩을 통한 사각형 개념 지도가 비효과적일 수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1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일반 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이다. 또한, 이 연구의 대상은 코딩 동아리를 통해 코딩을 많이 접해 본 학생들이므로 코딩에 대해 경험이 없거나 자주 접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코딩에 대한 사전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초등 수학에서 코딩을 융합할 수 있도록 도형 영역뿐만 아니라 다른 내용 영역에서도 코딩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개선점을 지속적으로 발견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핵심어(key word): 사각형 개념, 코딩 융합, 코딩 융합 속성 모형, 코딩을 융합한 초등학교 사각형 개념 지도 프로그램

      • 17世紀 木造 八角座臺 硏究

        유정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wooden octagonal pedestal of the 17th century. Although Jwa-dae(座臺) was usually called as Dae-jwa(臺座) in history, yet there are many historical scripts in historical scripts such as Bok-jang-bal-won-mun(腹藏發願文)(scripture written to explain how the Buddha statue was made and hidden inside the Buddha’s stomach) and Jwa-dae-muk-seo-myeong(座臺墨書銘)(inscriptions written on the reasons for building the pedestal) in the 17th century, that recorded the mentioned pedestal as Jwa-dae. Therefore, the term Jwa-dae is used throughout the thesis. The origin of the wooden octagonal pedestal in the 17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form such as its three-layered structure and octagonal plane. First of all, it is assumed that the three-layered structure appeared in India, closely related to the notion of Mt. Sumeru(須彌山), and believed that China imported this notion through the notion of Mt. Kunlun(崑崙山). Next, octagonal plane appeared in North Qi and North Zhou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when the three-layered structure was common and it is related with the appearance of lotus pedestal within the three-layered pedestal. Moreover, in China, the number eight was believed to be the number connecting heaven and earth from the ancient times, which is believed to have influenced the imported notion of Mt. Sumeru. The Octagonal pedestal in China continued into Ming dynasty through North Qi and North Zhou era. Many changes appeared during this time: the division of Bok-ryun-seok(覆蓮石)(stone with lotus engraved facing downwards) and Pal-gak-seok(八角石)(the octagonal ston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Bok-ryeon-seok in the Sui dynasty, the separation of Yeon-hwa-seok(蓮華石)(lotus flower engraved stone) and Sang-dae-seok(上臺石)(the upper portion of a stone pedestal structure) from the lower Pal-gak-seok-jwa-dae in the Tang dynasty, the appearance of A-gak(牙脚) and the universalization of Hwal-ju(活柱) in the Liao and Song dynasty, and the installment of railings and two-layered structure of middle level. In Korea, lower level Bok-ryeon-seok-Jwa-dae(lower level pedestal of the stone with lotus engraved facing downwards) was created from Unified Shilla and early Goryeo, and the lower level Pal-gak-seok-jwa-dae(lower level octagonal pedestal) appeared around early 11th century.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wooden Pal-gak-seok-jwa-dae was already in place in the late Goryeo era. In early Chosun, octagonal pedestals in the 15th century and in the 16th century can be identified by the method of combining Ma-dae(馬臺), ornament painting in the whole plane of the middle level, and rectangular shape of the octagonal plane. In the 17th century when the damages of war were restored, Buddhist temples and statues of Buddha were actively constructed, and in particular active creation of statues of Buddha meant that the production of the octagonal pedestal was prevalent. In the 17th century, the use of Hu-bul-byeok(後佛壁)(wall used to hang paintings of Buddha) and the wooden floors became common and the tendency to retreat the Buddhist altar was also common. These changes brought about a space that centered on the front-side of the altar within the temple. This influenced the formativeness of the pedestal and created the tendency to build rectangular plane structures and ornamentation on the front-side. The structure of wooden octagonal pedestal in the 17th century is made up of upper, middle, and lower level, and each part has lotus pedestal, railing, upper and lower layer wood, upper and middle level support, Dong-ja-mok(童子木)(narrow weaved wood), Ma-dae, and footstool. The format of the 17th century wooden octagonal pedestal can be classified as unified form, combined form, complex form and laterally combined form according to the coupling method with Ma-dae. Sculptor monks created wooden octagonal pedestal in the 17th century. Sculptor monks, who were active in this era, include Hyeon-jin(玄眞), Eung-won(應元), In-gyun(印均), Mu-yeom(無染), Cheong-heon(淸憲), Cheong-heo(淸虛), and Seung-il(勝一) in early period, Hee-jang(熙藏), Do-u(道祐), Un-hye(雲惠), and Hye-hee(惠熙)(Ma-il(摩日)) in the middle of period, and Dan-eung(端應), Tak-mil(卓密), and Saek-nan(色難) in late period. Out of pedestals in the early 17th century, Hyeon-jin's pedestal has the characteristic of diagonal composition seen from Peony motif. Characteristics of Eung-won's and In-gyun's pedestals is the absence of the railings, and Jok-tong where ‘S’ shape body and reversed trapezoidal heel are combined. The characteristics of Mu-yeom's pedestal has the ‘▷’ shape twisted Cloud and Dragon motif, and vertically long and horizontally narrow head of Ru-yi(如意) shape Ge-nun-gak. Cheong-heon's pedestal has the characteristics of half-frontal-side of An-sang(眼象) motif of Svadeva is hotizontally long, An-sang motif of the assisting Buddha statue is proportional throughout. Cheong-heo's pedestal is characterized by two flower motifs that are connected by arabesque motif with 'V' shape petals. Seung-il's pedestal is characterized with a molding with round internal side on the center with upper and lower layer wood and Dong-ja-mok. Additionally, complicated placements of dragon shaped railing and Jok-tong, and An-sang motif ornament in the middle layer are the characteristics of Mu-yeom and Cheong-heon. Hee-jang's pedestal in the mid 17th century is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Peony motif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Dong-ja-mok, which has flattened the upper edges only. In the composition of dragon shape railing and Peony motif, influence of Mu-yeom, Seung-il and Cheong-heo is demonstrated. Do-u's pedestal shows influence of Mu-yeom in Dragon and Cloud motif and the influences of Hee-jang in the round cloud shapes. Un-hye's pedestal is distinct in outer leaves driven to the center, and Gye-ja-gak(鷄子脚), which goes down to the bottom of upper layer support and then goes up. Hye-hee's and Ma-il's pedestals is characterized by complicated coupling method of Ma-dae. Dan-eung's and Tak-mil's pedestals in the late 17th century are special in lateral coupling of Ma-dae. Saek-nan's pedestal is characterized by the carving of Pa-ryeon-gak(波蓮刻) inside the arabesque stem. Additionally, tiger paw shaped Jok-tong and slim iron column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ung-won, In-gyun and Un-hye. Wooden octagonal pedestal in the 17th century can be divided into three eras. In the first era(1601~1640), the followed the early Chosun style but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railings, designing them without ornaments in the sides of the back and back half-side, methods of combining Ma-dae, and arabesque shaped Jok-tong. Therefore, the first era can be described as the time to search for the new chapter of wooden octagonal pedestal through some changes although following the previous styles. In the second era(1641~1670), although they partially followed previous styles, some changes such as various patterns of Gye-ja-gak, the middle layer where motifs of two different patterns are expressed or combined together, and asymmetry of Un-gak(雲脚) are seen. Additionally, new styles appeared such as lotus pedestal with colored lotus leaf, 'U' shape composition of Peony motif, Dragon and Cloud motif with various kinds of clouds, combined method of combining Ma-dae, and vertical type Jok-tong. The second era can be summarized as a change of styl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previous stage. In the third era(1671~1700), although some new styles appeared such as railings decorated with '亞' shape and leaf shapes combined An-sang motif, additional rock on Peony motif, and lateral method of combining Ma-dae, most of the previous styles were followed in ornamentation of railing, grandeur method and motif expression in the middle layer, and Ma-dae combining method. Especially aspects of the increase in omission of railing ornamentation, less elaborate dragon shaped Gye-ja-gak, formalization of Peony motif and Dragon and Cloud motif, and asymmetry of Un-gak were seen in the building of the pedestals. In the third era, previous styles were followed without big changes and they were remarkably deteriorated. Finally, wooden octagonal pedestal in the 17th century are meaningful in art history in that octagonal pedestal were very popular in Chosu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unlike China, where the pedestals originated. Also it is essential to the field that it is evident that the inclination of pedestal production can be found through the combining method of Ma-dae, monk sculptor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ir characteristics shown on the pedestals, and they standardized wooden octagonal pedestal style in late Chosun dynasty. 본 논문은 17세기 목조 팔각좌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座臺는 대개 臺座로 명명되고 있지만, 17세기의 腹藏發願文과 座臺墨書銘 등에는 좌대로 기록된 예가 많아 본 논문에서도 좌대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17세기 목조 팔각좌대의 연원은 형태적 특징인 삼단 구조와 팔각 평면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삼단 구조는 須彌山 관념과의 밀접한 관련 속에 인도에서 출현하였으며, 이를 중국에서는 崑崙山 관념을 통해 수용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음으로, 팔각 평면은 삼단 구조가 보편화된 6세기 중반 北齊 ? 北周代에 출현하였는데, 이는 삼단 좌대 내 蓮華座臺의 등장과 관련이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八’을 하늘과 지상을 연결하는 숫자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중국으로 유입된 수미산의 관념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에서의 팔각좌대는 북제 ? 북주대부터 明代까지 지속되었는데, 隋代에 覆蓮石의 유무에 따른 覆蓮石과 八角石 좌대로의 분화, 唐代에 하대 팔각석 좌대에서의 蓮華石과 上臺石의 분리, 遼 ? 宋代에 活柱의 보편화 및 牙脚의 출현, 南宋代에 난간의 설치 및 中臺의 2단 구조와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하대 복련석 좌대가 조성되었으며, 대체로 11세기 전반부터 하대 팔각석 좌대가 출현하였다. 그리고 고려 말기에는 이미 목조 팔각좌대가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전기에는 馬臺의 결합 방식, 중대 全面의 장식화, 팔각 평면의 장방형화를 통해 15세기와 16세기의 팔각좌대를 구분할 수 있다. 전란의 피해가 복구되었던 17세기에는 佛殿과 불상의 조성이 활발하였는데, 특히 불상의 활발한 조성은 그만큼 팔각좌대의 제작도 성행하였음을 의미한다. 17세기에는 이전 시기부터 나타난 後佛壁과 마루 바닥의 상용화 및 佛壇의 후퇴가 보편적인 경향이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불전 내부의 정면 중심의 의식 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는 좌대의 조형성에도 영향을 끼쳐 장방형의 평면 구조와 정면 중심의 장식화 경향을 불러일으켰다. 17세기 목조 팔각좌대의 구조는 上臺部 ? 中臺部 ? 下臺部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부분은 연화좌대, 寶座欄干, 上 ? 下臺木, 上 ? 中臺 받침, 童子木, 馬臺, 足臺 등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17세기 목조 팔각좌대의 형식은 내부 구조물 가운데 마대의 결합 방식에 따라 크게 일체형 ? 결합형 ? 복합결합형 ? 측면결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7세기 목조 팔각좌대는 불상처럼 개별 조각승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조각승은 시기별로 전반은 玄眞, 應元, 印均, 無染, 淸憲, 淸虛, 勝一이, 중반은 熙藏, 道祐, 雲惠, 惠熙(摩日)가, 후반은 端應, 卓密, 色難이 대표적이다. 17세기 전반의 좌대 가운데 현진작 좌대는 모란문에 보이는 사선 방향의 구도 등이 특징적이다. 응원작과 인균작 좌대는 寶座欄干의 미설치, S자형의 몸통과 역사다리꼴의 굽이 결합된 족통 등이 특징적이다. 무염작 좌대는 몸통의 앞부분이 ‘▷’형으로 꼬아진 운룡문, 상하가 길고 좌우가 좁은 여의두형 게눈각 등이 특징적이다. 청헌작 좌대는 본존의 중대 정반측면 안상문은 좌우가 길지만, 협시의 안상문은 상하 좌우가 동등한 비례로 조성된 점이 특징적이다. 청허작 좌대는 V자형의 꽃잎이 있는 당초문에 의해 2개의 다른 화문이 연결된 중대 장식이 특정적이다. 승일작 좌대는 상 ? 하대목과 동자목 등의 중앙이 안둥근면으로 쇠시리된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龍形 寶座欄干과 족통의 복합적 배치 및 중대의 안상문 장식 등에서 무염과 청헌의 특징이 나타난다. 17세기 중반의 좌대 가운데 희장작 좌대는 한쪽에서 반대쪽으로의 모란문의 구도, 상부 모서리만 납작한 동자목 등이 특징적이다. 또한 용형 보좌난간과 모란문의 구도에서 무염과 승일 및 청허의 영향이 나타난다. 도우작 좌대는 운룡문 등에서 무염의 영향이, 원형 구름 등에서 희장과의 관련성이 보인다. 운혜작 좌대는 중앙으로 몰린 겉잎사귀, 상대 層級받침의 최하단까지 내려갔다가 위로 올라간 鷄子脚 등이 특징적이다. 혜희작과 마일작 좌대는 마대의 복합결합형 방식 등이 특징적이다. 17세기 후반의 좌대 가운데 단응작과 탁밀작 좌대는 마대의 측면결합형 방식 등이 특징적이다. 색난작 좌대는 波蓮刻이 좌우 돌출된 당초줄기 안에 장식된 점 등이 특징적이다. 또한 虎足形 족통과 가는 철제 기둥에서 응원 ? 인균 및 운혜의 특징이 나타난다. 17세기 목조 팔각좌대의 양식 변천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1601년경~1640년경)는 전반적으로 조선 전기의 양식을 계승하였지만, 후반측면이나 후면이 장식되지 않은 보좌난간, 마대의 결합형 방식과 당초형 족통 등과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제1기는 선행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일부 양식의 변화를 통해 17세기 목조 팔각좌대의 새 장을 모색한 시기였다. 제2기(1641년경~1670년경)는 부분적으로 선행 양식을 계승하였지만, 다양한 형태의 계자각, 두 속성의 문양이 함께 표현되거나 결합된 중대 장엄 방식, 생동감 있는 중대 장식 문양, 雲脚의 비대칭성 등처럼 변화된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연판이 채색된 연화좌대, 모란문의 U자형 구도, 다양한 구름이 표현된 운룡문, 마대의 복합결합형 방식, 수직형 족통 등과 같은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였다. 이상의 제2기는 양식의 변화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전 시기에 비해 발전된 모습이 나타났다. 제3기(1671년경~1700년경)는 아자형과 잎형의 결합 안상문으로 장식된 보좌난간, 모란문의 바위 추가, 마대의 측면결합형 방식 등과 같은 새로운 양식이 출현하였지만, 보좌난간의 장식 경향, 중대의 장엄 방식과 문양의 표현, 마대 결합 방식 등에서 선행 양식이 큰 변화 없이 답습되었다. 특히 더욱 증가한 난간 장식의 생략화, 치밀하지 못한 용형 계자각, 모란문과 운룡문의 형식화, 운각의 비대칭성에서 퇴색화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이상의 제3기는 선행 양식이 큰 변화 없이 답습되었으며, 현저하게 쇠퇴화된 시기이기도 하였다. 끝으로, 17세기 목조 팔각좌대가 지니는 미술사적 의의로는 팔각좌대의 발원지인 동 시기의 중국과 달리 17세기 조선에서 팔각좌대가 크게 성행하였다는 점, 마대의 결합 방식을 통해 당시 좌대의 제작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 좌대에 보이는 조각승마다의 특징을 통해 무기년명 불상의 조각승을 밝힐 수 있다는 점, 조선 후기 목조 팔각좌대 양식의 정형화를 이루었다는 점이다.

      •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성 연구 : 광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정근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advent of big data in marketing and advertising has made its industry to face a challenge in adoption of the Big Data Analytics System. The industry recognizes its usefulness and powerful analytic ability, however, the users of the system still in the middle of confusion in adoption in several reasons.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doption of the analytics system by advertising experts by a survey of 189 employees.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includes that the benefits from the analytics system of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consumer’ was recognized all employees regardless of its ranks and positions. The benefits of macro-perspectives from the system were well recognized by high-ranked employees while more-detailed benefits from the system were adopted by middle and low-ranked employees. As expected, employees who are involved with planning and whose task is related with big data analytics system are more likely to adopt the system.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doption of analytics system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levels of knowledge of the employees in big data analytics system while the benefits and usefulness of the systems in his/her tasks are less deterministic.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management are explained and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이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Big Data Analytics System)에 대한 광고대행사 임직원의 수용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최근 일부에서부터 상용화하기 시작한 마켓 인텔리전스를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분석 도구와 모델에 대한 연구에 비해 사용자의 수용도와 같은 시스템 정착을 위한 연구는 미미하다. 반면 기업은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한 전략 수립을 중요한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의 안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 제공하는 편익 별 수용도를 파악하고,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기존 일반적인 혁신수용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된 사전지식과 직무 관련성 및 직무 내 효용성이라는 개념이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과정에서도 유용한 것인가를 규명하여 향후 학술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광고대행사에 재직하는 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 제공하는 편익 중 ‘소비자 행동의 정확한 이해’는 모든 직무, 직급에서 높은 수용도를 보였다. 반면 직급별로는 부서장일수록 거시적인 편익에, 사원대리급에서는 보다 실무 중심적 편익에 높은 수용도를 보였다. 또한 직무별로는 플래닝 업무의 비중이 높은 직무에서 더 높은 수용성을 보였으며, 각 직무 별로 자신의 업무와 연관성이 높은 편익에 대한 수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도는 직위 특수성, 직무 별 관련성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사전지식의 수준에 따라 대부분의 편익에서 유의한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 수용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내 효용성 또한 수용도의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직무 관련성은 사전지식과 직무 내 효용성에 비해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세 변수 모두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향후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인과 관계를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도에 있어 직급 및 직무의 영향력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나아가 사전지식과 직무 내 효용성, 직무 유사성이 수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에 대한 보다 정교한 연구를 통해 영향요인들과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 뿐 아니라 다른 조직적 혁신에서도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전지식의 영향력과 직무 내 효용성이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실무적 의의가 있다. 기존 혁신수용에서는 개인의 기질 등과 같은 관리가 불가능한 요인의 영향력이 중요하게 다뤄졌지만 이 연구에서는 사전지식과 같은 관리 가능한 요인의 영향력이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므로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같은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는 전사적 규모의 혁신에서 임직원들의 사전지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및 정보제공, 그리고 직무 내 효용성 개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전사적 차원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향후 각 개인의 빅 데이터 활용에 대한 지식 제고와 편익 개발을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빅 데이터의 효용성과 유용성에 대해서 아직까지 다소의 논란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마케팅 차원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우선은 이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이 연구는 빅 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정교한 실험 또는 정교한 설계 아래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아니므로 그 성격상 한계가 있다. 또한 단일 회사 근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로서 대표성 또한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나타난 변수들에 대한 반응의 차이는 향후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규명이 필요하다. 첫째, 이 연구는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므로 각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 사전에 설계될 수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연구의 진행을 통해 전사적 차원의 혁신수용 과정을 보다 정교화하게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활용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동일한 회사에 근무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일반화에는 한계가 따른다. 또한 조직구조 상 일부 직급 또는 직무는 충분한 표본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나아가 광고대행사 차원의 빅 데이터에 대한 이해나 수용도도 뿐 아니라 마케터들의 인식도 파악함으로써 대행사와 고객 간의 이에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토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여구는 후속 연구를 위한 가능성의 발견으로 한정해야 하며, 향후 더 정교화 된 일반화 가능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