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분자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 개발

        유의순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분자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 개발 유의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 해 일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분자의 운동’ 단원에 포함된 실험 중에서 중단원 단위로 3개의 실험주제를 선정하여 기본·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맞는 수준별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기초·기본 교육을 충실히 하고, 과학 탐구능력을 향상시키고, 개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을 지향하며, 제7차 과학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준별 학습자료 부족 문제로 인한 교사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고, 기본·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여 봄으로써 수준별 실험안내서 제작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의 운동’ 단원의 3개 주제의 실험에 대한 기본·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행 중학교 1학년 과학 8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기본형 실험안내서를 작성하였고, 기본 실험내용을 보충·반복하는 내용으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이 스스로 쉽게 실험할 수 있는 보충형 실험안내서, 기본 실험내용을 보다 심화시키는 내용으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의 사고력과 탐구력을 높이는 심화형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였다. 각 주제에 대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는 학생용과 교사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여 일선 현장에서 적용할 때 교사가 준비할 사항, 실험시 주의점, 실험결과, 발전학습 문제 풀이를 제시하여 자세한 지침서가 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개발한 자료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보완한 다음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중학교 1학년 학급 중 4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개 학급은 기본형 실험안내서를 수업시간에 적용하였고, 나머지 2개 학급은 기본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후에 학습자의 적성, 희망을 고려한 자율적 선택과 교사의 판단을 절충한 심화·보충과정 대상자를 구분하여 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인 4개 학급의 학습자한테 탐구 능력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가 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로서 타당한가를 t검증하였다. t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두 집단 즉 기본형 실험안내서만 적용한 집단(비적용반)과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집단(적용반)은 동질집단으로 밝혀졌다. 2. 개발한 자료를 적용한 후에 적용반이 비적용반보다 과학 탐구 능력 향상도가 크게 나왔다. 3. 적용반 내에서 남녀별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4. 적용반 내에서 과학 탐구 능력 사전 검사의 평균점수보다 높은 집단(상위 수준)과 낮은 집단(하위 수준)사이에 과학 탐구 능력 향상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가 남녀별, 수준별 집단과 관계없이 모든 학습자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을 가져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시간에 관망자였던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이 쉽게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기본내용을 보충·반복학습하는 계기가 되어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반면에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단순한 실험내용보다 심도있는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발전학습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고력과 성취감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중단원별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가 심화·보충형 수준별 실험안내서로 타당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수준별 학습자료를 적용하는 것이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새로운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전에 다양하고 질 높은 교사들의 충분한 연수가 이루어져 교육과정을 이해한 상태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2.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관련 지침(시기, 횟수, 수업 방법 등), 수준별 집단 편성을 위한 객관적 기준, 충분한 과학실 확보, 과학실 실험 보조원이 필요하다. 3. 수준별 수업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기본 수업 시수 축소와 업무 부담 감축이 필요하며, 창의적재량활동을 확보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4. 학생의 수준을 잘 아는 교사가 직접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로 어려움이 많이 따르므로 교과별 모임, 학교간 자료 교환, 인터넷 등에 탑재되어 있는 자료를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5. 심화·보충 학습내용 기준, 수준별 집단 구분 기준의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6. 새로운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전에 시·도 교육청 및 연구기관에서 수준별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현장의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Basic,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for the Unit of the Motion of Molecule in Middle School Science for Grade 1 Yu, Eui Soon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basic,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s for three selected themes in the unit of the motion of molecule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r grade 1 in a bid to help make a differentiated experiment in a manner to suit student learning capabilities. It's ultimately meant to solidify fundamental education, improve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provid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his attempt was additionally expected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ted experimental guides and alleviate teachers' difficulties caused by the shortage of level-oriented teaching materials in implemen- ting the 7th differentiated science curricula. After the current eight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grade 1 were analyzed, basic,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level-oriented experimental guides were prepared about three selected themes for the unit of the motion of molecule. The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 was designed to help underachievers make an experiment on their own, and two kinds of enrichment guides were developed separately for student and teacher in order to boost the thinking faculty and inquiry process skills of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These guides gave a detailed explanation about what should be prepared by teacher and kept in mind, and described possible experimental results and how to solve applied problems.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modified after their content validity was tested. The subjects were the students in four different classes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grade classes in middle school where this researcher has worked. The four classe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two-class control group made the basic experiment only, and the students in the two-class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ourses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hope and by the teacher's judgment, and then they were separately engaged in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s. All the classes took pretest and posttest in inquiry process skills, and t-test was employed to check out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ateri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The two groups turned out to be homogeneous. 2. The experimental group made a greater progress in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did, after th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pplied. 3.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gap in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between the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between its two subgroups of different level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aterial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e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of every learner, regardless of gender and original level. The underachievers who had been onlookers in the past took active part in the experiments and had a chance to make up for fundamental learning deficit, and they eventually had a more active learning set. The students with higher achievement improved in thinking faculty and their sense of achievement became greater in the course of making a deeper experiment, analyzing the results and solving the applied problems. Th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valid as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experimental guides, and these types of level-oriente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put to use to make the differentiated curricula successful.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1. A wide range of quality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before new curricula are implemented. 2. It's required to secure differentiated instruction guidelines for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ourses, which will offer information about proper time and frequency of instruction, teaching methods, objective criteria for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laboratories, and assistant for scientific experiment. 3. To put differentiated setting class on the right track, teacher's teaching load and workload should be reduced. 4. It's needed to further meetings between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subject matter and interschool information interchange, and how the Internet materials could be utilized should be studied. 5. More specific criteria for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instructions and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should be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