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문화이용권의 무동기 참가자에 관한 연구 :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연채 추계예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정부는 문화복지라는 정책이념을 사회복지와 동등한 영역으로 간주하고 있다. 복지차원에서 경제적 취약계층에게도 문화향유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사회적 논의가 제기되면서 2005년에 문화 바우처 제도를 시범사업으로 도입하였다. 2011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문화 바우처 사업은 오늘날 문화복지의 대표적인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2014년에 문화 바우처, 여행 바우처, 스포츠 바우처가 통합하여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은 다양한 사업 유형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제적 취약계층의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고 문화예술을 항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문화이용권’ 사업에 대한 정부의 빈번한 정책 변경과 매해 바뀌는 사업지침은 참여자의 민원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사업을 목표인원 달성이라는 성과 위주로 진행하고 있어 무동기자가 증가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주관처는 참여자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연구는 여가활동의 참여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문화복지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참여자에 초점을 두었다. 즉, 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참여동기가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더불어 무동기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된다. 연구자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에 맞는 하위변수를 선정하였다. 참여동기는 내적동기, 외적동기, 무동기로 분류하였으며, 만족요인은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의 세 가지 프로그램과 세 가지 사업 유형을 통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몰입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를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크게 6개로 설정하였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프로그램 몰입은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몰입은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다섯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몰입 및 만족의 관계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여섯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몰입 및 만족의 관계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의 사업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경기도에 거주하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참여자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회수 설문지 333부 중 유효 설문지 328부)는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동기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는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는 모든 만족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로 참여한 경제적 취약계층은 교육적 만족감이 가장 높고, 외적동기로 참여한 경제적 취약계층은 심리적 만족감이 가장 높으며, 무동기의 경우는 만족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프로그램 몰입은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몰입은 만족의 하위요인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몰입은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는 몰입이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으며, 외적동기는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동기는 몰입이 부(-)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변수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예술프로그램 참여동기와 몰입 및 만족의 관계는 ‘통합문화이용권’ 기획사업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유형의 측면에서는 모셔오는 프로그램은 내적동기에서 심리적 만족, 외적동기에서 교 Today, the government considers that a political idea of cultural welfare belongs to the same area social welfare does. With the arising social awareness that cultural welfare should be provided to people in economic difficulty as a part of welfare,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system was introduced in 2005 as a demonstration project. The cultural voucher program, which has been operated in its full-scale since 2011,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welfare project. In 2014, cultural voucher, tourism voucher, and sports voucher were combined into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planning project is designed to help the socially vulnerable people to participate in arts and cultural programs and enjoy arts and culture by providing various businesses and programs. However, the government’s frequent alterations on the program policies and the yearly changes on guidelines of the projects have resulted in complaints and confusion among the participators of the programs, and the operation of the project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nly, such as the achievement of the target number of participant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amotivational participators. Nevertheless, each regional management office needs to plan and develop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s.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investigation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leisure activities. However,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ticipator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which is a part of the cultural welfare project. This study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research a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financially vulnerable clas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motive on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and proposes a plan to reduce amotivation among the participators. Appropriate sub variables for the present study were select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prior research; motivation for the participation was classified into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or amotivation. 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restful, physiological, 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Also, three programs and three type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jects were used to analyze their effects on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programs among the participators and the possibl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The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6 hypotheses that are set up below. First,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immersion. Secondly,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ird, immer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Fourth, immersion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n satisfaction. Fifth, the relationships of motivation to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ll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grams. Sixth, the relationships of motivation to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ll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jects. To test these hypotheses,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prior research and was distributed to 333 participator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 living in Kyunggi-do. The returned questionnaires (328 out of 333 in total)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v.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to raise the reliability of the present study and extract practical im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site workers of the integrated cultural voucher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first hypothesis stating that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immer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motivation and the external motivation both have a positive (+) effect on immersion while amotivation has a negative (-) effect. Second, for the second hypothesis stating that motiv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satisfaction of the financially vulnerable people; vulnerabl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 intern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ople with extern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le those with amotivation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ly, for the third hypothesis stating that immer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programs will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immers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all sub factors of satisfaction. Fourthly, for the hypothesis stating that immersion will have a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on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social satisfaction for the internal motivation an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social satisfaction and the restful satisfaction for the external motiv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moti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f immersion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on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restful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except these cases, the variables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 Fifthly, for the hypothesis stating that the relationships of motivation to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ll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inviting-type programs, the internal motivation showed the highest social satisfaction while the external motivat

      • 지역축제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주요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연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국가의 경쟁력은 약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지역의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지자치단체는 각 지역의 고유문화와 문화유산, 지리적 특성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전략으로 축제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축제 프로그램의 구성·기획력의 부재·축제지원정책에 있어서 법과 제도의 미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어 오히려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국내 외 축제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요인을 고찰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축제상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자가 축제현장에서 직접 체험한 경험과 참여관찰한 결과를 정리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축제의 사례분석을 통해 축제특성에 따라 경제효과가 상이하다는 것을 도출하였으며 지역경제에 기여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예술축제, 전통문화축제, 지역특산물축제, 관광체험축제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주요사례를 선정하여 지역경제효과에 미치는 축제의 영향요소 즉, 관광·지역활력·브랜드·축제자원과 같은 네 가지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축제의 매력성 부여와 인지도, 축제운영, 인근지역의 연계관광과 인프라가 적합하게 결합했을 경우 비교적 성공적으로 개최되며 지역경제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기획 및 경제마인드·축제운영의 전략·축제 관람객의 유치·지원정책·관광상품 및 인프라 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특한 주제설정 및 기획으로 매력성을 부가하여 축제인지도를 확립해야 한다. 둘째,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축제운영관리를 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경영기법을 활용하여 축제의 자체예산증대 및 해당지역 구성원의 적절한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셋째, 축제와 지역고유문화 및 지역특성을 연계·결합하여 관람객을 유치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넷째, 현행 문화관광축제 지원정책은 축제의 특성 및 지역의 여건과 무관하게 예산이 분배되고 있으므로 축제의 지리적 여건, 재정자립도, 축제특성 등에 의거하여 차등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숙박시설의 확충과 기반시설을 정비해야 한다. 또한 지역의 이미지와 싱징성이 결합된 독특한 관광상품 및 기념품을 개발하여 지역경제에 기여하도록 해야한다. 이상으로 주요축제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지역축제를 성공시킬 수 있는 방안과 축제를 통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여 제시하였다. Amid the wave of globalization today, individual nations' competitiveness is weakening, and as a supplementary countermeasure against such a trend, the importance of boosting regional competitiveness is being emphasized. Thus, local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are developing their regional unique cultural heritage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are strategically using festivals to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However, a lack of festival program arrangement and planning capabilities, and an insufficient preparation of laws and institutions with regard to festival support policies, and other diverse problems are caused, thereby adversely influencing regional economies in worst cases. With an awareness of such problems, this paper aims to study success factors for regional economies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festival cases, and to induce ideal festival images that can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we brought our hands-on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and observing festivals to this paper. Cases of various festivals were analyzed, thereby inducing the conclusion that the economic effects generated by festivals var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Festivals as a method of contribution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were categorized into artistic festivals,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s, regional native products festivals, and tourist experience festivals, and they then were explored. Also, various major festival cases were studi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four festival factors influencing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namely, tourism, regional activation, brand, and festival resourc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n case attractiveness and recognition of a festival, operation of a festival, linkage with tourism in neighboring regions, and infrastructure were all appropriately coupled together, the festival could successfully be held and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us, to help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this study offered necessary planning and economic mindsets, strategies for festival operation, policies on attraction of and support for tourists, and problems of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development of tourist products and infrastructure. This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with introduction of and planning for unique themes, the attractiveness and recognition of a festival should be ensured. Second, a systematic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festival should be ensured by utilizing professional personnel. Also, it is necessary to use diverse management skills with a view to expanding festival budgets and appropriately sharing roles among members of the relevant region. Third, a strategy should be formulated to link and combine a festival, regional traditional cult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a view to attracting viewers. Fourth, since the current policy for supporting cultural and tourist festivals involves budget allocation regardless of characteristics of a festival and a region, budget allocation support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geographical situations of a festival, financial independenc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a festival. Fifth, lodging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should be streamlined and improved. Also, unique tourist products and souvenirs where regional images and symbolism well blend together should be developed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various major festivals, the study offered measures designed for making regional festivals successful, and regional economic activation measures through festiv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