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교명상과 인성교육의 관계 : 瞑想敎育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習慣形成'에 미치는 영향

        유소정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최근들어 불교명상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명상센터가 많이 생기고 다양한 명상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명상 수행에 있어 念佛이 지니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 같다. 念佛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외에도, 戒定慧 三學과 六波羅密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한다. 이는 기존의 불교명상에서 간과되고 있는 戒律의 역할과 중요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이 논문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 소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성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에 불교 가르침에 기반한 윤리 제정이 필요하다. 염불수행은 충격완화라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정토경전 중 대경인 『無量壽經』을 중심으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念佛은 자기 자신의 행동, 생각 등을 바라보며 적극적으로 습관을 교정해가는 작업이 된다. 瞑想이 단순한 몰입의 경험이 아닌, 자기정화를 통한 긍정적 자기변화로 이끌기 위한 자각과 지혜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에서는 마음가짐과 사람됨과 관련되는 인성덕목을 인성교육의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으로 '바른 지식의 습득'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능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관계'의 문제로 수렴된다. 이에 근거하여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제시하는 인성덕목을 불교의 수행법에서 찾아보았다. 그 중 염불수행법이 '나', '나와 너', '우리' 관계 능력을 함양하는데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원리 및 역할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유소정(2016)의 연구를 기반으로 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적 실험과정을 거쳤고, 학교현장에서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한 <감사-보은 명상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청소년에게 실시한 연구결과이다. 이를 통해 염불의 근원적 의미를 기반으로 한 도덕적 품성의 함양에도 그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었다. 이는 명상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고 그들의 습관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염불수행만을 해야한다는 당위성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동안 다양한 불교와의 비교연구에서 한 이론이 다른 이론과의 관계에서 우위에 있다거나 양립 가능하다는 연구는 많았고, 이는 호기심을 충족하는 수준에 머무를 수 있다. 양립가능한 이론은 이 세상에 수도 없이 많기 때문이다. 이제 비교연구에서 더 나아가 융합으로 건너가야한다. 이런 차원에서 본 논문은 불교의 명상과 인성교육과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며 두 이론의 비교를 넘어 융합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것이 본 연구가 지향하는 목표이다. Recently, the growing interest in Buddhist meditation has created many meditation centers and developed various meditation programs. However,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念佛 in the performance of meditation seems to be lacking. In addition to what we know, 念佛 also refers to the importance of 戒學學 and 六波羅密. This is something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at it can complement the role and importance of 戒律, which are overlooked in traditional Buddhist meditation. This paper starts from the need for directionality to solve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ethical legislation based on Buddhist teachings is needed. I believe that it can suggest a direction of shock relief. To this end, we will look at the possibilities of new understanding, focusing on 『無量壽經』 which is a great view during the Jeongto scripture. 念佛 is a work that actively corrects habits by looking at one's own actions and thoughts. 瞑想 plays its role not just as an experience of immersion, but as awareness and wisdom to lead to positive self-change through self-purification. The 2015 "Promo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Act" presents personality virtues related to mindset and personality as the goal of personality education. The ability to actively implement this is important for the ‘acquisition of right knowledge’, ‘ability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and ‘problem-solving ability’. To sum this up, it converges into a matter of "relationship." Based on this, I looked up the character virtues presented by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in the Buddhist practice. Among them, we look at the principles and roles of how the practice of 念佛 works to foster the ability of "I," "you and I" and "we" relationships. Based on the study of Yoo So-jeong (2016), this paper went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al process for character education and conducted a program called "Thank-Boeun Meditation Education" to school youths that complemented the limit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t school site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a moral character based on the root meaning of the 念佛. Through the course of the meditation education program, this could have a desirable effect on you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 positive effect on their habit formation. However, the study is not about the justification for having to do only 念佛.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in comparative studies with various Buddhism that have shown that one theory is superior or compatible with other theories, which can remain at a level that satisfies curiosity. There are countless compatible theories in the world. Now we have to go further from comparative research to convergence. In this respect, this paper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medit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nd approached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beyond the comparison of the two theories. This is the goal this study aims to achieve.

      • 한의학 칠정(七情)에 기반을 둔 핵심감정평가척도를 이용한 공황장애 환자의 특성 연구

        유소정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haracteristic study on panic disorder patients through The Core Emotional Assessmental Questionnaire(CEAQ), followed by a correlation analysis with STAI, STAXI and BDI.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medical records of 62 patients who had visited ○○ University hospital, oriental neuropsychiatric department and accomplished the The Core Emotional Assessmental Questionnaire(CEAQ), STAI, STAXI, BDI. Finally, 20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Panic Disorder according to DSM-Ⅴ(2013) were analyzed throug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 21.0 Version). A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1. Panic disorder patients experienced less Hui, and more Sa(思), Gong(恐), Kyeong(驚), Bi(悲). 2. Female Panic disorder patients experienced more Hui(喜) compared to male patients, while male patients experienced more No(怒). 3. U(憂), Bi(悲), Sa(思), Gong(恐), Kyeong(驚) emotions of Panic disorder patients were correlated to STAI-S, STAI-T, BDI. Conclusions In this study, panic disorder patients showe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less Hui, and more Gong(恐), Kyeong(驚), Bi(斐), therefore presenting results which were consistent with existing Oriental medicine perspectives, and prevailing studies. Key words : Panic Disorder, Seven Emotions, The Core Emotional Assessmental Questionnaire(CEAQ), STAI, STAXI, BDI, Characteristic study, correlation.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로 환자를 대상으로 핵심감정평가척도를 실시하여 공황장애 환자의 칠정유형을 분석하고, 불안, 분노, 우울 등의 다른 정서평가척도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학병원 한방신경정신과에 내원하여 핵심감정평가척도, STAI, STAXI, BDI를 실시한 62명의 환자 중 DSM-Ⅴ34) 의 진단 기준에 의거해 공황장애로 진단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 공황장애 환자군은 喜는 낮았고 思, 恐, 驚, 悲 정서는 높았다. 喜는 우울을 측정하는 BDI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怒는 상태 분노(STAXI-S)와 분노 표출(STAXI-Out)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憂, 悲, 思, 驚 정서는 상태 불안 (STAI-S), 특성 불안 (STAI-T), BDI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Development of a Task-Based Curriculum for Business English

        유소정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English is dominantly used as lingua franca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Most companies in Korea also requir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of employees to carry out their job. Corresponding to increasing demand of business English, business English courses are provided by many private institutes, colleges and in-company training cours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curriculum to teach business English based on a needs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learners’ need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3 participants currently working in business environment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tains questions about the use of English for work, current English competence, purpose of taking a business English course and attitude toward Task Based Instruction (TBI).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the sample curriculum for intermediate level of business English learners was designed in the framework of TBI. TBI can be used efficiently to teach business English by providing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practice communications dealing with authentic business matters that learners might confront in the real business world. Tasks of the suggested curriculum are designed to be carried out by a blended approach which enables learners to continue their learning through face to face in class activities as well as web-based activities outside of the traditional interactive class. The proposed task-based curriculum of this study describes several types of feasible tasks to teach business English and can be used by business practitioners as a reference resource. 국제적인 비즈니스 환경에서 영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공용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많은 국내 기업들 또한 채용과 인사평가의 기준으로 비즈니스 실무 종사자들의 영어 실력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상황에서의 영어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학원이나 사내교육 혹은 대학 등에서 경쟁적으로 비즈니스 영어 강좌가 개설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비즈니스 영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제공하고자 한다. 비즈니스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서, 현재 비즈니스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123 명의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업무상 영어 사용 빈도, 설문 참여자들의 영어실력, 비즈니스 영어강좌를 수강하는 이유 및 과업 중심 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변인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 결과를 토대로, 중급 수준의 영어 학습자의 요구에 맞도록 과업 중심 교수법에 근거하여 설계된 커리큘럼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과업 중심 교수법은 학습자들이 실제 비즈니스 상황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현실적인 비즈니스 문제를 다루면서, 외국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비즈니스 영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결합한 혼합형 학습법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도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둘째, 비즈니스 영어 관련 연구자 및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참조 자료가 될 수 있도록, 비즈니스 영어 지도의 실재에서 실현 가능한 과업을 제시하고 있다.

      • 한국 노동시장의 유연안전성 분석 : 덴마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소정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globalization, international economy has been integrated, and it requires rapid responses from companies. That is why flexibility in labor market is required. Also as labor market is flexible, dismissal could be frequent, so adequate safety nets for unemployed people are needed. Many foreign companies in Korea have mentioned that Korean labor market is not flexible because of strict restriction on dismissal. So, this paper attempted to seek for improvements in order to increase flexicurity (flexibility + security) of labor market in Korea through comparison with Denmark that has been known as precedent country in the flexicurity of labor market. In flexibility,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Denmark is whether or not having the authority to terminate the employment contract with prior notice that is one month or more on the basis of the length of service. In Denmark, the employment contract between employer and salaried employee may be terminated by the parties after prior notice. In the case of the termination of the employment contract on the part of the employer, the period of notice is appli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length of service. However, the Labor Law in Korea permits only dismissal with justice such as acquisition, transfer, merger by urgent business need. The second difference is the procedure of dismissal. In Korea, employers have to notice dismissal to a labor union and have a conference with a chairman of labor union for choosing laid-off workers. However, in Denmark, there is no regulation like Korea, so it takes shorter than in Korea. Also the possibility of conflicts that are related to dismissal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is rare. In security, although it is easy to lay off, Danes do not feel uneasy because of unemployment compensation that is as much as 70% of the salary they earned and paid for 4 years. Furthermore, Denmark's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has been improved in order to induce unemployed people's active attitude on searching for new jobs. However, in Korea, the unemployment compensation is as much as 50% of salary they earned and is paid for maximum 8 month(240 day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re also important in Denmark. Denmark's vocational training is based on lifelong learning. Also government, labor, management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program, so it is possible to reflect market demand quickl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Denmark's flexicurit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belows for improving the flexicurity of labor market in Korea. In flexibility, firstly it is necessary to release strict regulation on lay-offs. Secondly, it is necessary that the procedure for lay-offs is simpler in order for companies to adjust quickly to a new environment and technology. Thirdly, it is necessary that the protection for regular employees is applied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 length of service. In security, firstly vocational training on the basis of lifelong learning is needed. Secondly, vocational training should be demand-centered program. To do it, labor and management als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 최명익 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

        유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최명익의 해방 전 후 소설의 시간과 공간을 분석하였다. 공간과 시간은 한 인물의 행동이 변화하는 공간이자 작가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소설을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본 단위로 작용한다. 최명익 텍스트는 '노방의 타인' 의식이라는 비관적이고 염세적인 텍스트로 이해되면서 현실 참여가 부족한 텍스트로 평가받거나 /내/ 공간 지향은 부활을 꿈꾸는 적극적인 행위의 또 다른 모습이라고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의가 '자의식 과잉자의 소설' 혹은 '시대 정신의 결여'라는 부정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해방을 기점으로 모더니즘 계열의 심리주의 소설이라는 평가와 동반자적 소설이라는 다소 양분된 결론을 내리며, 그의 해방 전 후 소설의 연계점을 찾는 노력은 이렇다할 성과를 보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단편소설 「섬월이」를 통해서 해방 전 후 소설의 연계성을 찾아내고자 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구조를 통해, 최명익 텍스트의 긍정적인 면을 드러내고 그의 텍스트가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시간의 구조와 각 인물이 지향하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공간과 시간을 최소한의 유의미한 단위로 나눈 후, 공간의 이동 방향과 시간의 구조를 분석한다. 시간은 이야기 시간과 서술시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크게 3가지로 나뉘어졌다. 1.과거에서 현재로 순차적인 시간 흐름을 보이며 /외/공간을 지향하는 것, 2.과거와 현재가 인물의 의식의 흐름을 따라 진행하면서 공간은 /외/공간 혹은 /내/ 공간을 지향하는 것, 3. 인물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과거와 현재가 반복 교차되고, 공간은 매개공간을 지향하는 구조이다. 2와 3은 시간구조에 있어 심한 아나크로니 현상(무시간성)을 보여주었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구분을 근거로 하여, 인물의 성격과 시간과 공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야콥슨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첫 번째 인물은 미지의 공간을 꿈꾸거나 미래와 현재에 충실한 인물들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외/ 공간으로 나아갈수록 이들의 관계는 단절되고, 공간은 작아졌다. 두 번째 인물은 부정적인 현재의 공간을 벗어나기 위해서 /외/ 공간 혹은 /내/ 공간으로 나아가는 인물이었다. 그러나 이들 또한 타인과의 소통이 계속 미끄러지거나, 현재의 삶을 벗어날 수 있는 해답을 찾지 못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상태에 부딪히게 된다. 세 번째는 길 위의 인물로 이들은 과거를 지향하며 다시 매개공간으로 돌아온다. 이들은 매개공간을 매일 같이 오고가지만, 타인과의 소통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으며 사람에 대해서 관심을 두지 않는다. 잠시동안 타인 혹은 길 밖의 공간에 관심을 갖더라도 다시 길 위로 되돌아온다. Ⅳ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분석을 종합하여, 최명익 소설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총체적 의미를 드러내었다. 미래지향적인 인물이 비극적인 결말을 맺고, 폐쇄적인 인물이 긍정적인 결론을 맺는 이유를 밝히기 위해서 각 인물이 지향하는 욕망을 르네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구조로 분석하였다. 최명익 소설의 시간과 공간은 순환되는 원형의 구조와 직선의 구조가 서로 대립하는데 이는 신작로와 옛 길, 과거-현재, 현재-미래의 대립을 의미한다. 또한 원과 직선은 생명의 물과 소멸과 파괴의 불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미구조를 바탕으로 하며 2장과 3장에 의한 분류에 따라 A,개인이 희생되는 비밀의 공간 B.육체와 정신의 불화 C. 반복과 순환을 통한 자유획득으로 분석되었다. 즉 폐쇄적으로 보일 지라도 그것은 자유획득을 위한 순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A의 경우, 직선과 원의 세계가 만나지만 직선의 세계에 원의 세계가 동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들은 직선의 법칙을 따라서 순환과 재생이 아닌 죽음을 맞이하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적선의 공간은 신작로에서 기차, 자동차등의 신 문물의 공간으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것의 폭력성을 드러낸다. 즉 기차 자동차 신작로 등은 인간을 사물화하고, 집단과 전체라는 이름 하에 인간성과 개성이 파괴되는 공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반짝반짝 빛나거나 혹은 밤에도 화려하게 빛나는 불의 공간으로 형상화되면서, 겉으로는 화려한 이상형으로 보이지만 그 내면은 억압과 폭력이 존재하는 공간임을 드러낸다. B는 과거로 돌아가려는 순환하는 순환의 세계와 /외/ 공간으로 향하려는 직선의 세계가 만나 갈등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순환의 세계는 '책'으로 직선의 세계는 '돈'의 가치로 나타나는데, 책과 돈의 사이에는 인간간의 화합과 또한 폭력이라는 이중성을 가진 술이라는 매개항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들은 과거 즉 책의 세계를 찾으려 하지만,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서 혹은 자신의 약한 의지로 인해 점차로 직선의 공간 즉 '돈' 이라는 물질중심의 가치체계로 나아갔다. 따라서 이들은 육체는 살아있지만 정신은 죽은, 정신과 육체가 화합하지 못한 상태를 보여준다. C는 과거로 돌아가려는 순환의 세계와 매개공간을 통해 내공간을 지향하고 더 나아가 내공간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려고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원의 세계로 분석되었다. 특히 「섬월이」는 단순한 /외/ 공간 지향이 아닌 원형의 순환과 조화만이 /내/,/외/를 조화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진정한 자유를 획득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외/ 공간의 친교적인 행위는 공간침범과 폭력을 내재한다는 것을 드러낸다. 반면 무덤을 향한 매개공간은 재생과 부활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A와 B의 매개공간이 기차, 자동차 그리고 신작로라는 새로운 문물이었던 데 반해서 C에서의 매개공간은 옛 길과 대문이라는 과거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새로운 것이 직선의 공간으로 언젠가는 끝에 부딪혀 죽음과 소멸을 맞이한다면 옛 길과 대문이라는 다소 초라하고 과거를 상징하는 매개공간은 자유로운 미래와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최명익의 텍스트에서 새것과 헌 것, 그리고 화려함과 초라함, 자유와 억압, 열림과 닫힘의 의미는 전도된다. 최명익은 모든 상황이 통제되는 시대에서 이렇듯 거꾸로 말하기를 통해서 억압된 시대를 반영하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소통과 친교 그리고 보호'라는 이름 하에 침략과 약탈이 난무하던 시대상황을 최명익은 거꾸로 말하기를 통해서 핍진하게 그려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은 그의 해방 이후,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 「섬월이」에서는 보다 직설적으로 드러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space and time imagination of 최명익(崔明翊)'s novel. The object of this study includes his novels that had been published before and after Korean war. According to the special situation: Korea is the divided country, the studies on 최명익 (1903∼ ? )'s novel have been limited . So most of the researches has object of novels published before Korean War.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connection of 최명익's novels which is written before and after Korean war. Chapter Ⅱ examined the time structure and space where the main character wants to get. Time and space structure is divided three parts, 1st is regular time structure (from past to now), and character want to go to outside. The 2nd time structure is passed through stream consciousness of main character.(anarchrony) and the main character intends to go to inside or outside, 3rd time and space structure show anarchrony and main character wants to go to mediate space. Chapter Ⅲ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personality and time, space 1st type of character dreams a strange place and they have an open mind. The more they would go to outside, the more their space became smaller, and relationship has a problems. The 2nd type of character is also intend to go to outside to overcame difficulties. However they could not also get the answer, their communication with others has a much noise. At last they are in the situation, which they do not live nor die. The 3rd type of character is a person in the road. They miss the past time and always come back to the mediate space. They are at regular intervals with others; even they walk on a way day after day, so they can have many chances to meet strange people. Chapter Ⅳ reveals the whole meaning of time and space and close connection between time and space in 최명익's novel. To show the reason why future-oriented and open minded person get the negative result, why past-oriented and narrow minded person, I applied the theory of desire, especially triangle structure of Girard, Rene to the desire of the characters. There is an antagonism between, a circle structure and lineage structure in time and space of 최명익's novel. This antagonism means also between past-now and now future. Above ail, circle structure has a water image of life and revival and lineage structure has a fire image of destruction and extermination, following as the division of chapter Ⅱ and Ⅲ, it can be divided three parts. One is "secret place where a person become a victim", the other is " discord between the body and the spirit", the other is " Getting the freedom through repetition and circulation;". Even it looks like a closed society or person, it means a circulation for getting the freedom. "A- Secret place where a person becomes a victim": it shows that circular world assimilate into the lineage world. As the lineage rule, they meet the death. Also lineage world reveal the violence of new stuff; car, train, highway etc. In other words it makes human beings to be material, human personality and their individuality be destructed by totalitarianism.(or imperialism). The street is bright even in the night. Although there looks like a paradise, there is a place where is full of oppression. "B- Discord between the body and the spirit": it has a trouble between circular world, world of Books and lineage world , world of Money. There is a mediator " Beer" between the two values. They want to find the world of book, past but they become materialistic. As the result their spirit is dead even their body is alive. "C- Getting the freedom through repetition and circulation;" : they want to go back to past and also intend to go to inside through mediate space(read, door, window, etc) Especially, "섬월이(1963)" shows that only harmony and reconciliation of circulation can make people have freedom. Mediator of A and B is a new things from outside: train, car and highway but mediator of C is a old stuff from inside; narrow old road, gate etc. new and splendid things lead the person to the extinctive and destructive space however poor old mediator lead the people to the revive and harmonious way. Like this there is a reverse of good and bad in the 최명익's novel.: old and new, magnificent and poor, freedom and oppression, open and close. 최명익 would have reflected the times(1910-1945) when every things were controlled through reverse of meanings. There were armed aggressions under the name of 'communication, friendly relation and protection'. 최명익 wanted to reveal the contradictive situation through reverse of meanings.

      • 건강보험 청구자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cardiovascular implantable eletronic devices 시술현황 및 감염에 관한 연구

        유소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According to international guidelines, the number of CIED case is increasing such as US and Europe which is advanced medical countries. Approximately 10% of patients undergoing CIED procedures experience various complications, of which infection is a serious complication that can lead to death if serio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CIED procedures to generate local evidence to create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patients undergoing CIED procedures from 2009 to 2016,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A total of 34,995 patients received CIED procedures and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number of patients who newly implanted Pacemaker increased from 3.92 persons (per 100,000) in 2009 to 7.66 persons(per 100,000) in 2016, while the number of ICDs rose from 0.46 persons(per 100,000) in 2009 to 1.61 persons(per 100,000) in 2016. The number of CRTs also rose from 0.09 persons(per 100,000) in 2009 to 0.44 persons(per 100,000) in 2016, the result showed. A month after the CIED procedure, hospitalization was defined as infection with ICD 10code and antibiotics were prescribed during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Out of 31,012 patients who identified as a infection, 2,979 of them had a follow-up period of 95,020 person-years, and the CEID infection incidence rate was 3.14 per 100person-years. The risk of infection increased with older adults, and the risk of infection was found to be 1.75 times higher for those over the age of 80 (aHR 1.75, 95% CI 1.209-2.55). Based on Metropolitans classified into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it was analyzed that patients living in Rural areas had 1.15 times higher risk of infection (aHR 1.152, 95% CI 1.03-1.288). The risk of infection was 1.103 times higher when the patient’s residence and the medical institution’s site were based on the same location (aHR 1.103, 95% CI 1.024-1.189).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ED is significantly increasing, and the infection rate is similar to the infection rate found in the previous study report. It was confirmed the risk factors for infection were old age, shared disease, and non-identical places and medical institutions. This evidence is supposed to b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local infection guideline after CIED in Korea. 국제가이드라인에 따라 의료선진국인 미국 유럽과 같이 국내의 CIED시술이 활발하게 늘어나고 있다. CIED시술을 받은 환자의 약 10%는 다양한 합병증을 경험하고 있고, 이 중에 감염은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본 연구에서는 CIED시술의 증가에 따른 국내의 CIED시술의 객관적인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시술 후 감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이 시술의 질 관리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에 목표를 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6년까지 8개년 동안 CIED시술을 받은 환자의 전수자료 청구데이터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총 31,012명의 환자가 CIED시술을 받아 연구에 포함되었다. 새롭게 Pacemaker를 시술한 환자는 2009년 인구 십만명당 3.92명에서 2016년 7.66명으로 증가하였고, ICD는 2009년 0.46명에서 2016년1.61명으로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CRT는 2009년 인구 십만 명당 0.09명에서 2016년 0.44명으로 증가하였다. CIED시술 한달 이후 감염관련 상병명으로 입원을 하였고, 입원기간 동안 항생제 처방이 있었던 경우를 ‘시술 후 감염’이라고 정의하였다. 2009년-2016년 동안 CIED시술을 받은 31,012명 중에 2,979명(9.6%)에게 시술 후 감염이 발생하였다. 이 환자들의 추적관찰 기간은 95,020인년(person-years)으로 전체 환자의 CEID 감염발생률 3.14 per 100person-years로 분석되었다. 고령일수록 감염발생위험이 높아졌고(adjusted hazard ratio(aHR)=1.756, 95%신뢰구간 1.209-2.55), 20대를 기준으로 80세이상의 연령에서 감염발생위험이 1.75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aHR= 1.75, 95%신뢰구간 1.209-2.55). 환자의 거주지를 서울을 포함한 광역시로 구분된 Metropolitan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농어촌지역으로 구분한 Rural지역에 거주하는 환자의 감염발생위험이 1.15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aHR= 1.152, 95%신뢰구간 1.03-1.288). 환자의 거주지와 의료기관소재지가 동일한 환자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의료기관 소재지와 다른 지역에 거주할 경우 감염발생위험이 1.10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HR= 1.103, 95%신뢰구간 1.024-1.189). 연구결과 CIED시술량은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고, 감염발생률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감염발생률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감염발생에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동반질병, 거주지와 의료기관이 등일지역이 아닌 경우 등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검사자료나 환자의 증상 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원으로 감염원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추후 감염관리의 가이드라인의 구축을 위해 필요할 것이다.

      •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직선택동기,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유소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어떠한 변인이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조직헌신도, 전문성지원환경, 교직선택동기,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조직헌신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정숙(2006)이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Poter, Steers, Mowday와 Boulian(1974)의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OCQ)를 어린이집 현실에 맞고 보육교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전문성 지원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Williams(2000)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성 지원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PLEI)를 사용하였으며, 이금란(2004)이 유치원 상황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현실에 맞도록 ‘유아’를 ‘영아’로 수정하는 등 일부 수정 보완 후 사용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Huberman(1993) 의 교직선택동기 분류와 Choi(2006)의 교직의식에 관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Namgung(2011)이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측정도구는 보육교사직을 선택 할 당시의 동기를 묻는 도구이다.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Jorde-Bloom(1989)이 개발하고 이분려(1998)가 번안한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 조사도구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ECJSS)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 요인을 추출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고, 일원분산분석 및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이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의 주요 변인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 중 조직헌신도는 약간 높은 정도의 수준을 경험하고 하위요인별로는 충성심, 가치수용, 자발성의 순서대로 나타났으며 이는 보육교사가 자신이 근무하는 기관의 목적과 가치관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 다른 주요 변인인 전문성 지원환경은 중간보다 아주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지원환경의 하위요인별로는 교사 자율성과 의사결정,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 전문성학습 및 발달 위한 기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교사와의 공동 연구 기회’, ‘학급 활동에 대한 자율성’, ‘학생 평가 방법 선택의 자율성’, ‘교육과정에 대한 토의’, ‘교사 주도의 학급 배치’를 담은 교사 자율성과 의사결정 하위요인을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보육교사 자신의 어린이집에 대해 스스로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근무환경에 따른 개인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에 대한 변인은 능동적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다수의 선행연구도 동일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보육교사가 교직을 선택할 때에는 영유아들에게 애정을 느끼고, 영유아들과의 생활이 적성이 맞음으로 선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대체로 아주 원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어린이집의 직무스트레스는 동료교사와의 관계와는 별개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헌신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연령, 어린이집 설립유형, 총 경력에 따라 조직헌신도는 차이가 있었다. 어린이집 설립유형의 경우, 조직헌신도는 가정어린이집이 제일 높고, 다음으로 민간, 국공립, 직장 어린이집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연령이 높을수록 헌신성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경력은 7년 이상 경력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가 가장 높고 2년 미만 경력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은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차이가 있는 점들도 있었는데 이는 연구의 표집 방법 및 연구 대상이 속해 있는 어린이집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 교직선택동기,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조직헌신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은 조직헌신도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전문성 학습 및 발달을 위한 기회,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 교사 자율성과 의사결정에 대한 지원환경이 충분히 주어졌을 때 조직헌신도를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는 적성, 학생에 대한 애정,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싶은 능동적 동기나 경제적, 시간적 여유나 신분보장 및 직업의 안정성을 위한 물질적 동기로 교직을 선택하였을 때 조직헌신도를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조직헌신도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동료교사와의 원만한 관계를 맺을수록 조직에 대한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보육교사가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할 경우 자신이 속한 조직에 소속감을 느끼고 즐거움과 행복을 느낄 경우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며 조직헌신도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환경과 교직선택동기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조건이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총 경력, 설립유형 중 국공립과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전문성지원환경, 교직선택동기 중 능동적 동기가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문성지원환경이 교직선택동기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에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스스로 교육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과 어린이집 전반적인 행사나 목표 등 중요한 사항을 회의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된다. 또한 교사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해 외부 교육을 받고자 할 때 교사의 빈자리를 채워줄 대체 인력에 대한 환경도 조성함으로써 이에 대해 원장과 교사 상호간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리고 어린이집 설립유형별로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이 조금씩 다르므로 지원책을 마련할 때에 어린이집 설립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의 조직헌신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조직헌신도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변인인 전문성 지원환경과 내적 변인인 교직선택동기,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어린이집 설립유형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motive of teacher choice, and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using some of the existing tool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rganizational commitment experienced a somewhat higher level of general tendency about major variables, followed by loyalty, value acceptance, and spontaneity. Expertise support environment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In terms of sub-factors, teacher autonomy and decision-making, expectation for teacher and infant,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director, professional learning and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re the next order. The variables of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career appeared to be active. These results show that they are willing to accept the purpose and values ​of the institution they are working with and they are positive about the autonomy and decision-making of the teachers and feel affection for the infants when they choose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teachers, such as age, kindergarten establishment type, and total career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establishment of nursery, in order of home, private, national and public, and day nursery,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commitment. Thir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motivation of teacher choic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roportional to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support environment, motivation for teaching career choice and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career of childcare teachers, the national daycare center and professionalism support environment,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had more influence than the motivation for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for teachers to make their own decision-making and curriculum to expand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rai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environment,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internal choice motivation, and fellow teachers, unlike existing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plored in depth the types of childcare establishments It is meaningful.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y vary depending on the sampling method of the study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daycare home to which the study is made. In addition, since the main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s of nursery establishments, the types of nursery establishm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paring support policies.

      • 보육정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출산장려정책을 중심으로-

        유소정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글초록: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사회의 출산율저하 위기를 극복하고 바람직한 보육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출산율현황과 저출산의 원인 및 문제점,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외국의 보육정책 등을 살펴보고,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출산에 대한 의식 및 태도와 보육정책 등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출산장려를 위한 보육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로 선행연구검토 및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실증연구로 취학전 아동을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보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들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산관련 태도 및 의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현재 자녀수에서는 2명(50.3%)이 과반수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향후 출산계획에서는 대부분이 낳고 싶지 않거나 어떠한 이유에서건 더 낳을 수 없다는 식의 향후 출산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향후 출산거부 이유에서는 있는 자식만 제대로 키우려고(23.7%) 한다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교육비 부담(16.3%), 육체적으로 힘들어서(15.6%), 양육비 부담(14.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현상의 원인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41.5%)가 과반수정도로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자녀양육비부담의 증대(24.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산의 원인이 대부분 여성의 경제활동과 양육비부담으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녀에 대한 태도, 경제적 부담, 취업과 자녀양육문제, 성역할의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먼저 자녀에 대한 태도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64점으로 중간이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 자녀에 대한 물질적․정신적 측면에 대한 가치나 기대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로 인한 경제적 부담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60점으로 보통이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서, 자녀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약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취업과 자녀양육문제에 있어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85점으로 다른 문항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취업이 자녀양육과의 관련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녀양육이 기혼여성의 취업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성역할의식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2.51점으로 보통이하로 약간 낮게 나타나서, 전반적으로 남자는 가정의 생계유지를 하고 여성은 자녀양육을 해야 한다는 성역할에 대한 의식이 과거에 비해 많이 약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보육정책 수준을 살펴본 결과, 보육시설 운영주체로 합당한 곳은 정부기관(55.0%)이 가장 많았으며, 주된 보육시설 유형으로는 가족에 의한 보육을 하면서 시간제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형태(39.1%)가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정책에서 가장 개선할 사항으로는 공공보육시설의 확대 및 보육의 질 향상(52.6%)이 과반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보육시설에서 중요시 하는 측면으로는 정서적 안정과 애정면(39.5%)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보육시설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고려사항으로는 집 혹은 직장이 가까이 있어서(33.0%)가 가장 많았으며, 현재 보육시설의 문제점으로는 교사수 부족과 교육내용 부실(35.8%)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바라는 보유시간유형으로는 5-6시간 정도의 반일제(42.4%)가 과반수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보육비용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2.72점으로 보통이하로 약간 낮게 나타나, 현재 보육비용 지출액에 대해 부담이 되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비용에 대한 부담주체로는 부모와 정부가 부담해야 한다는 경우(82.4%)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보육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3.21점으로 보통이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 현재 보육시설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에서의 연령별 교사수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5점 만점에 평균 2.57점으로 보통이하로 약간 낮게 나타나, 현재 보육법에 제시되어 있는 연령별 교사수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저출산에 대비하여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무상 또는 저렴한 보육시설 서비스 등 보육시설의 공공화(27.6%)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자녀 1인당 고정액수의 현금지원(14.6%), 여성근로자 법정 출산휴가 90일의 100%보장을 위한 방안수립(9.4%)의 순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에 대응한 보육정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저출산 대응 방안으로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보장의 성평등한 노동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가족의 자녀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둘째, 보육정책 활성화 방안으로는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대 및 비영리 보육시설 지원을 강화하고, 한국적 보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육 유형의 다양화, 보육교사 인력양성 및 재교육, 정부의 행. 재정 지원의 합리화 측면으로 보육 예산의 부족으로 인해 민간의 시장 경제 원리에 의한 편중현상을 막고 예산확보를 통한 정부주도형의 보육사업과 기존 민간 시설과의 통합과 조화가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지역 보육 사업의 정기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출산장려를 위한 보육정책은 정부 재정지원의 확대와 보육서비스에 대한 공적 책임의 확립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영문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ower birth-rate, its causes and problems in Korea, domestic and foreign nursing policies, and thereupon, survey pre-school children's mothers' mentality about and attitude towards child-birth and their needs for nursing policies, and thereby, suggest nursing policy alternatives for encouragement of child-birth to overcome the crisis of lower birth-rate. For this purpose,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reupon, pre-school children's mothers were surveyed to understand the current nursing policies and their problem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nursing policies on birth-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plausible cause for lower birth-rate was women's increasing economic activities (41.5%), followed by increasing child-rearing cost (24.0%). As a result of analyzing mothers' attitude towards their children, their perceived financial burden, their perception of employment, child-rearing and gender roles, it was found that their attitude towards their children scored 3.64 on average out of the full point 5.0, a little higher than normal, and that their perceived financial burden scored 3.60 on average, a little higher than normal, too. Their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child-rearing scored 3.85 on average, higher than the other areas, while their perception of gender roles scored a little lower point 2.51 on average. Third, the area of nursing policies perceived by mothers to be reformed most urgently was expansion of public nursing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 (52.6%).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current nursing facilities was shortage of teachers and poor educational contents (35.8%). The policy alternative most required against the lower birth-rate was public nursing services free of charge or inexpensive (27.6%).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to promote the nursing policies to raise the birth-rate were put forw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