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 취업지원프로그램 성공 요인 연구

        유성은 배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4학년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방향과 전략과제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정도에 따른 적절한 취업지원이 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개인별 진로준비정도를 측정하고, 이 요인들마다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측정하여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요인간의 정성적 비교분석과 정량분석으로는 다중회귀분석, ANCOVA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수행하여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인식에 대해서는 전문가 상담 프로그램을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다음으로 취업단기프로그램, 적성 흥미검사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조절변수로 하여, 진로개발준비 요인과 취업지원프로그램간 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집근방’의 취업을 희망하는 응답자는 ‘적성 및 흥미 프로그램’을, ‘자기이해와 의사결정자신감’이 낮을수록 ‘전문가상담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등방성 피치의 제조를 위한 개질된 잔사유의 특성

        유성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Pyrolysis fuel oil (PFO) was initially pretreated by solvent extraction and then treated at 360 °C for various high heat treatment time.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time on the preparation of PFO-derived pitches was analyzed by FT-IR, electrical resistivity, and carbon yield. FT-IR spectra demonstrated that the intensities of the aromatic C–H bonds at 1600 and 3030 cm-1 of the PFO-derived pitch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intensity of the stretching vibration of the C–H bond at 2920 cm-1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 treatment time. NMR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intensity of the aromatic portion (7-11 ppm) of the PFO-derived pitche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 treatment time. The increase of the aromatic portion in the PFO-derived pitches caus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to decrease and the carbon yield to increase.

      •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열정과 운동중독의 관계

        유성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열정과 운동중독의 관계 유 성 은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과학전공 본 연구는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열정과 운동중독의 관계를 규명하여 열정과 운동중독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끌어내어 운동의 효과를 높이고 건강을 도모하며 이후 관련연구의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라켓스포츠 참여를 활성화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대상설정에 있어 2013년 서울·경기·강원지역의 라켓스포츠 참여자 중 20세 이상의 동호인을 모집단을 설정하였으며, 표집은 비확률적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420부 배포하였으며 이 중 무기입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한 416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실시하고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과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은 열정에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특성변인은 종목유형과 성별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이 참여정도와 깊은 연관이 있다. 운동에 대한 빈번하고 지속적인 참여가 열정을 높이는 것을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조화열정이 긍정적 심리상태를 이끌어 낸다는 이론에 근거할 때 본 연구의 라켓스포츠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모든 변인별 평균치가 조화열정이 강박열정보다 높은 결과가 자율적 내면화를 통해 참여자들이 긍정적 심리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둘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과 운동중독은 결혼유무와 연령은 일부 하위요인에, 그 외 특성변인에서 모든 하위변인에서 운동중독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켓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정도와 기간이 길어질수록 운동중독이 높은 것을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특성변인에서 금단증세와 강박증을 높게 인식하는 것을 볼 때 참여자들의 운동을 하지 못할 때에 느끼는 불안함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여자들이 스스로 운동중독을 인지하고 참여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때 운동중독의 긍정적 측면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열정과 운동중독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화열정은 애착과 내성에, 강박열정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화열정이 긍정적 심리상태를 이끌어 낸다는 이론에 기초할 때 활력감과 스트레스 해소를 느낄 수 있는 요인인 애착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참여자의 기분 좋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느끼려 할 때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강박열정은 통제적 내면화를 말하는데 참여자의 내적 심리 상태는 물론 외적 환경까지 스스로 통제하려하는 상황에서 신체적,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운동중독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들을 종합할 때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정도(운동시간, 참여횟수, 경력), 기술수준은 열정과 운동중독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와도 상당부분 일치한다. 또한 조화열정이 운동중독요인 중 애착(스트레스 해소 및 활력)과 내성(운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강박열정은 모든 운동중독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조화열정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촉진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라켓스포츠 참여자의 조화열정을 높이고 운동시간 및 빈도를 스스로 조절하여 운동중독의 부정적인 면을 낮추고 건강한 신체와 심리적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 바이올린 특기적성 교육의 효율적 학습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유성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바람직한 교육으로서 교양 있는 인간을 육성하려는 교육제도가 옹호되고 있으며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학교 음악교육의 실정에 미흡한 점이 많아 이를 보완하고자 도입된 것이 특기적성교육이다. 특기적성 교육이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학습 외에 특별히 행해지는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을 의미하는 활동으로,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기능의 육성이나, 특기, 취미활동 등을 도모하는 교육활동이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목적은 학생의 소질 및 적성계발, 취미특기 신장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특기적성과 연계한 동아리 중심의 학생문화를 창달하며, 학부모의 사교육비를 경감하고 , 학교의 시설 및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 활용의 극대화를 이루는 것이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교육 현실에서 교육 개혁과 함께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여 학부모로부터 신뢰받는 교육 풍토를 조성하고 진정한 의미의 전인 교육 차원에서 어린이들의 개성 신장과 소질 계발을 시켜 주는 교육은 매우 의미 있고 절실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올린 특기적성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크게 운영면, 학교 시설면, 지도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운영면에서 살펴보면 교육받는 한 그룹의 학생수가 지나치게 많고, 방학중이나 새 학기가 시작될 때 교육이 중단되기도 하며, 발표기회가 거의 희박하여 의욕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학교 시설면에서는 음악실 전용 교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가 거의 없고, 겨울철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도면에서는 교육 교사가 자신의 악기도 가지고 오지 않은 채 교육에 임하며, 부진한 학생이나 뛰어난 학생에 대해 특별한 지도가 따르지 않고 있고, 학습지도안이나 학생 평가표 또는 발달 카드를 거의 기록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조건을 갖춘 훌륭한 환경은 음악부 특기적성교육에 있어서는 매우 드물고, 학교 시설이나 운영 등의 행정적 요소들의 개선에는 여러 제약과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교육은 좋은 환경일수록 보다 나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 거의 확실하지만, 무엇보다 교사의 인격적인 환경이 가장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우리가 기대하는 음악적 배움이 이루어지려면, 음악교육자들은 자신들의 타당한 목적 아래 음악을 지도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그리고 질적으로 충실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지도하고 있는지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 바이올린 특기적성의 지도에 있어서도 올바른 교수법과 효과적인 교재의 선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올린을 처음 시작하는 아동들에 있어서 기초교본 선택의 중요성을 깨닫고 바이올린 특기적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재(시노자키, 스즈키)의 내용 구성과 특징적인 요인들 분석하였다. 첫째 운궁법에는 난이도가 다른 여러 종류가 있으며 기초교본에서 지도되어야 하는 운궁의 모양은 데타세, 레가토, 포르타토, 스타카토, 피치카토, 트레몰로, 스피카토, 마르텔라토로 나타나 있다. 시노자키 교본은 대체적으로 운궁에 대한 설명이나 악보 연습이 자세히 나온 반면에 스즈키 교본은 설명이나 악보 연습이 많이 수록되어 있지 않아서 악보 보는 능력인 음악적 예비 지식이 필요하다. 둘째 운지법에서 시노자키 교본은 A현의 운지법에서 D현, G현, E현의 순서로 지판상의 기본위치를 먼저 익히고 있어서 음악 이론적 기초체계를 세우면서 전개된다. 스즈키 교본은 A장조로 된 가장 편한 운지법의 위치를 도입하여 기초 운지법의 어려움을 최소화하였으나 운지법의 단계적인 연습이 부족하기 때문에 바이올린을 시작하기 전에 음악적인 독보연습이 더 필요하다. 또한 왼손에 대한 테크닉에 있어서는 두 가지 교본 모두 꾸밈음과 더블스톱만 제시하고 있다. 셋째 시노자키 교본은 주법에 대한 설명과 사진, 그림을 이용한 설명들이 자세히 나와 있고 그에 대한 적합한 곡들이 비교적 많이 있는 반면에 스즈키 교본은 시노자키 교본에 비해 이해를 돕는 설명이나 그림과 곡들이 적은 것이 단점이다. 교사는 위에서 언급한 각 교본의 특성을 올바르게 분석하여 학생의 수준과 시기에 적합한 교본을 선택하고 장?단점을 고려해서 각 교본을 병행하여 지도함으로써 장점을 잘 살린 흥미롭고 체계적인 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성경신학의 관점에서 본 성령론적 임재신학

        유성은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임재신학에 관한 논문이 그 주제의 무게에 비해 희소하다는 인식 위에서 성경신학적인 성령론적 관점을 통하여 하나님의 임재를 신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성령론 중심의 임재신학을 주제로 적잖은 논문들이 발표된 것이 사실이지만 그 일부는 성경의 토대를 벗어나 위험한 사변적 신학으로 변질되어 건전한 성령 운동과 교회부흥 운동을 저해한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성령 운동을 위해서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의도와 더불어 임재신학이라는 비교적 생소한 주제를 알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한 주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이다: 첫째, 임재신학의 성경신학적 정당성이다. 하나님은 임재를 통해 창조하셨고, 임재를 통하여 우리 인간을 그의 형상으로 만드셨다. 성령은 창조목적에 합당하게 하나님을 섬길 수 있도록 이끄시는 분이시며 새 언약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임재를 경험할 수 있게 하신 분이시기도 하다. 우리 안에 임재하신 성령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성화되는 삶을 살게 하신다. 둘째, 하나님의 임재와 성전 사이의 관계성이다. 첫 에덴의 창조부터 새 예루살렘까지 이어지는 하나님의 나라는 성전의 모형으로 재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오심으로 하나님의 임재는 더 이상 한 장소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에게 머물러 있게 됐으며 종말적 미래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임재의 장소는 그리스도인의 몸이 되었다. 셋째, 구약과 신약의 성경 가운데 하나님의 백성들을 통해 새 역사를 이루어 가신 성령의 주권성이다. 구약의 하나님은 이스라엘 역사의 중요한 시기마다 지도자를 세워 백성을 인도하셨는데, 이스라엘 지도자들에게 하나님의 영 즉 성령을 부으셔서 능력의 원천으로, 예언의 말씀으로 사역하셨다. 신약에서는 예수님의 탄생부터 선포, 치유, 가르침에 이르는 모든 사역 부분에서 성령의 임재를 통한 역사를 이루어 내셨다. 특별히 예수님의 고별담화를 통해 떠나시는 예수님과 오시는 성령님에 대한 명확한 성령론을 제시하셨고, 예수님의 부활 후 가르침은 제자들에게 하나님이 성령을 부어주실 것이라는 약속을 상기시키며 이러한 기름 부음은 내적이고 영원하며 광범위할 것을 알려준다. 넷째, 신약 성경의 대부분을 기록한 바울이 삼위일체 가운데서 성령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바울은 그의 서신서를 통해 성령은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한 하나님이시자, 이 두 분과 구분되는 인격으로 본 것이 분명하며, 바울은 성령을 완전한 이름 Ἁγίου Πνεύματος(Holy Spirit)으로 자주 사용한다는 자체가 바울이 성령을 그리스도와 같은 분이 아니라 구분되는 분으로 표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바울이 말하는 삼위일체를 만날 수 있게 된다. 바울 신학의 핵심은 복음이고 복음의 핵심은 구원이다. 즉 바울은 하나님을 구원론 차원에서 아버지로, 아들로, 성령으로 만났다는 뜻이다. 성령은 곧 임재신학의 주인공이시다. 성령은 어떠한 힘도 아니요, 홀로 사역하시는 우주나 지구를 떠다니는 영도 아니다. 성령은 ‘하나님의 영'이요, ‘그리스도의 영'이시다. 성령은 삼위일체 가운데 한 분으로 삼위일체를 연결하는 관계의 영이요. 인간과 그리스도를 연결하시는 중보자의 영이시다. 성령론 중심의 임재신학의 연구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연구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완성될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게 한다. 결론적으로, 성령론적 임재신학이 지시하는 하나님의 나라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나라요, 성령을 통해 ‘이미’와 ‘아직’의 긴장 안에서 역동성 있게 전진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나라이다.

      • 중등교사의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인식 연구

        유성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ed at how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ould be recognize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contents of research I set up to archive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it is to know the difference of the awareness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ccording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level of school, founded type, education career, teacher position). Second, it is to know the problem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nk. Third, it is to know the implement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ary school teacher think. The Object of study is 335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school in Jeonbuk province. Study tool is questionnaire of 21 items made in the precedent research for the admission officer. And the questionnaire be proved in significant level p<.0.5 by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awareness by teachers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as generally high, but it showed tendency of getting lower awareness as going towards the professional items, which means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ystem, should be provided. The difference on the awareness was significant according level of schools, founded type, education career, teacher position; especially, in understanding tasks and criteria of professional level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igh school teacher than middle school teacher, public school teacher than private school teacher, having long education teacher better than having short education teacher, main subject teacher better than non-main subject teacher. This contributed to what should be done: the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on the system has to be focused on middle school teacher, provate school teacher, having short education teacher, non-main subject teachers. And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basically the awarenes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is positive But they though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needs much implement. It means admission officer system needs Systematic Supple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들의 배경 변인(학교급별, 설립유형별, 교육경력, 보직여부)별에 따른 입학사정관제의 인식차이를 알아본다. 둘째, 중등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중등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입학사정관제의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중·고등학교 교사 335명이다. 연구도구는 입학사정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21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전북지역 중등교사들의 인지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배경변인에 따른 인지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전북지역 중등교사들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이것은 기존의 입시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질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전북 지역 중등교사들은 입학사정관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동시에 개선 방안에 대한 설문의 모든 항목에서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이것은 입학사정관제를 환영하지만, 동시에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에 있어 개선되어야할 사항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입학사정관제의 시행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