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에서의 INO80의 전사 조절에 의한 세포 주기, 세포사멸 및 분화 조절

        유선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아줄기세포의 세포 주기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은 배아줄기세포의 자기증식능과 분화에 매우 중요하다. 배아줄기세포의 세포 주기는 체세포와 다르며 세포배양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후성유전학적 메커니즘을 통한 배아줄기세포의 세포 주기 조절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ATP 의존성 크로마틴 리모델러인자인 Ino80가 배아줄기세포의 세포 주기 유전자를 primed 조건에서 조절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Ino80의 결손을 유도했을 때 G1기의 연장을 확인했다. Ino80는 전사 시작 부위에 직접 결합하고 세포 주기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Ino80 결손에 의한 세포사멸이 확인되었다. 한편, 분화가 진행된 배아줄기세포에서 역시 Ino80 결손을 유도했을 때 세포 주기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에서와는 다르게 연장된 S기가 확인되었다. 분화가 진행된 배아줄기세포에서의 RNA-seq 분석은 장기 발달 중 세포 주기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변화 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는 Ino80에 의한 세포 주기 조절이 배아줄기세포에 국한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아줄기세포의 세포 주기에서 전사적 조절을 통한 Ino80의 일부 기능을 확립했다. 또한, 이 Ino80 기능은 다른 세포 유형들에서도 보편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recise regulation of the cell cycle of embryonic stem cells (ESCs) is critical for their self-maintenance and differentiation. The cell cycle of ESCs differs from that of somatic cells an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ell culture conditions. However, the cell cycle regulation in ESCs via epigenetic mechanisms remains unclear. Here, we showed that the ATP-dependent chromatin remodeler Ino80 regulates the cell cycle genes in ESCs under primed conditions. Ino80 loss led to a significantly extended length of the G1-phase in ESCs grown under primed culture conditions. Ino80 directly bound to transcription start site and regulate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related genes. Furthermore, Ino80 loss induced cell apoptosis. However, the regulatory mechanism of Ino80 in differentiating ESC cycle slightly differed; an extended S-phase was detected in differentiating inducible Ino80 knockout ESCs. RNA-seq analysis of differentiating ESC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organ development cell cycle is persistently altered in Ino80 knockout cells, suggesting that cell cycle regulation by Ino80 is not limited to undifferentiated ESCs. Therefore, our study establishes the function of Ino80 in ESC cycle via transcriptional regulation, at least partly. Moreover, this Ino80 function may be universal to other cell types.

      • 버스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면인식 모델 설계 및 구현

        유선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 버스 내 안전사고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버스 운행 중 급출발, 급제동으로 차내의 승객이 시설물에 부딪치거나 바닥에 넘어지는 차내 전도사고가 있고 승/하차 과정에서 넘어지거나 차량 밖으로 넘어지는 사고가 있다. 이러한 빈번한 차량 내 안전사고로 인하여 버스 탑승자들의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버스 하차 시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하차 태그 행동을 통해 하차하는 과정은 급정차 사고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중 하나이다. 이를 예방하고자 하차태그 행동을 대신 할 수 있도록 안면인식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승객의 교통카드 승차정보와 안면정보를 매칭 하여 승객 ID, 승차시간, 승객의 안면이미지를 분류하고 하드웨어를 접목하여 버스 내 환경에서 안면 인식 및 승/하차 정보를 실시간 통신 할 수 있는 버스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면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안면 이미지 데이터는 전처리를 통하여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에 적용하여 안면특징을 추출하고 분류한다. 또한 버스 내 환경에 맞추어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와 버스 내 승객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MCU 보드를 사용하고, 승객의 카드 정보 추출을 위해 RFID를 사용한다. 5V 250mA의 라즈베리파이(Raspberry 4B) 모델을 활용하여 웹 스트리밍 서버를 구축하고,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와 통신을 위해 Socket 통신을 이용해 버스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면인식 모델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하차 태그 액션 없이 안면 정보만으로 승객의 하차정보를 인지하여 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해당 모델을 통한 안전 경고 등 다양한 버스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활용 및 응용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전기방사된 1차원 PVP/TiO2 다공성 나노섬유의 광촉매 분해 연구

        유선호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ncreases, the energy resources we consume continue to be depleted. After the industrialization stage, more energy was requir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accordingly, the discovery of petroleum and fossil fuels enriched mankind. However, fossil fuels used extensively have become one of the causes of air and water pollution while generating carbon dioxide, nitrogen oxides (NOx), and sulfur oxides (Sox) as they are burned. As research on these environments progresses, it is known that TiO2, which is harmless and has excellent chem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is suitable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hotocatalysts and semiconductor gas sensors. However, it has a disadvantage that commercialization is difficult due to low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find various ways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porous nanofibers with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were prepared using the electrospinning method to increase the photocatalytic efficiency by improving the surface of existing TiO2 nanofibers so that they can produce more electron carrier concentration through an increase in active sites. Mesoporous pores were obtained on the surface of conventional TiO2 nanofibers using polyvinyl pyrrolidone (PVP; K-90, K-30) and a foaming agent and surfactant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DIPA) with the heating rate as a variable. The morphology and crystalline properties of the TiO2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 field e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SEM) and X-ray diffraction (XRD). In additio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characteristics of each nanofiber sample were compared using the Brunauer-Emmett-Teller (BET) method. TiO2 nanofibers prepared by adding K-30 polyvinyl pyrrolidone and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to the precursor showed more porosity than TiO2 nanofibers without them, and mesoporous nanofibers containing K-30 and DIPA had a higher specific surface area than TiO2 nanofibers. It was confirmed that this improved from a minimum of 38.4% to a maximum of 64%. In addition, the photolysis efficiency was up to 100%. 1-D g-C3N4/TiO2 with excellent photocatalytic performance was obtained by synthesizing g-C3N4, a material with excellent conductivity through melamine using the data of improved mesoporous TiO2, and then doping it on mesoporous TiO2 nanofibers with improved surface morphology. Successfully synthesized nanofibers. The photocatalytic adsorption rates of MB and AO7 in these materials showed up to 95.1% and 42.1% efficiency.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은 계속 고갈되고 있다. 인류는 산업화 단계를 지나 과도기에 접어들면서 인 구의 증가와 동시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석 유 및 화석연료의 발견은 인류를 풍요롭게 하였다. 하지만 방대하게 사용 된 화석연료는 연소되면서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NOx), 유황 산화물 (Sox) 등을 생성시키면서 대기 및 수질 오염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 러한 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무해하고, 우수한 화학적 및 전기 적 특성을 가지는 TiO2는 광촉매, 반도체 가스 센서 등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광전 변환효율이 낮아 상용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찾는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TiO2 나노 섬유의 표면을 개선하여 활성 부위의 증가를 통해 더 많은 전자 캐리어 농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광촉매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기방사법을 사용하여 비표면적이 넓은 다공성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polyvinyl pyrrolidone (PVP; K-90, K-30) 와 열처리 승온 속도를 변수로 거품제 및 계면 활성제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DIPA)를 사용하여 기존의 TiO2 나노 섬유의 표면에 mesoporous 기공을 얻을 수 있었다. Field e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SEM)과 X-ray diffraction (XRD)을 이용하여 TiO2 시료들의 형태 및 결정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Brunauer-Emmett-Teller (BET) 방법 을 사용하여 각 나노 섬유 샘플의 비표면적 및 기공 특성을 비교하였다. 전구체에 K-30 polyvinyl pyrrolidone과 Diisopropyl azodicarboxylate를 첨가하여 제조한 TiO2 나노 섬유는 이들이 없는 TiO2 나노 섬유보다 더 많은 다공성을 보였고, K-30과 DIPA를 포함하는 mesoporous 나노 섬유 는 TiO2 나노섬유에 비해 비표면적이 최소 38.4 %에서 최대 64 %까지 향 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분해 효율 최대 100% 보였다. 개선된 mesoporous TiO2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melamine을 통하여 전도 성이 뛰어난 소재인 g-C3N4를 합성한 후, 표면의 형태가 개선된 mesoporous TiO2 나노 섬유에 dopent하여 광촉매 성능이 우수한 1-D g- C3N4/TiO2 나노 섬유 합성하였다. 이러한 소재의 MB와 AO7의 광촉매 분해율은 최대 95.1 %와 42.1 % 효 율 보여주었다.

      • 전북지역 내 급성 A형 간염 환자들 중 심각한 합병증을 갖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위험인자

        유선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Aims: Symptomatic acute hepatitis A virus (HAV) infection in adulthood is increasing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clinical severity of patients with acute HAV infection and investigate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ree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prolonged cholestasis, acute kidney injury, and acute liver failure.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726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HAV infection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0 at three tertiary hospitals in Jeonbuk Province, Republic of Korea. Results: Of 726 patients, the mean age was 30.3 years, 426 (58.6%) were male, and HBsAg was positive in 34 (4.7%). Severe complications of acute HAV infection occurred as follows: prolonged cholestasis in 33 (4.6%), acute kidney injury in 17 (2.3%), and acute liver failure in 16 (2.2%).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age (≥40 years) (Odds ratio 2.63, p=0.024) and peak PT (INR) ≥1.5 (Odds ratio 5.81, p=0.035)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prolonged cholestasis. Age (≥40 years) (Odds ratio 5.24, p=0.002) and female (Odds ratio 3.11, p=0.036)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cute kidney injury. Age (≥40 years) (Odds ratio 6.91, p=0.002), HBsAg positivity (Odds ratio 5.02, p=0.049), and peak total bilirubin (Odds ratio 1.11, p=0.001)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cute liver failure. Conclusions: Age (≥40 years), female, HBsAg positivity, peak PT (INR) ≥1.5, and peak total bilirubi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evere complications in acute HAV infection.

      • 새로운 소프트 스위칭 풀브리지 컨버터 및 하이브리드 컨버터

        유선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위상천이 풀브리지 컨버터는 산업형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 이유는 각 스위칭 소자가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하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 이였다. 그러나 소프트 스위칭을 얻기 위하여 복잡한 PWM 스위칭 방식과 Zero voltage Switching(ZVS) 범위가 협소하고 경부하시에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추가적으로 변압기의 누설인덕턴스에 의해 듀티 손실이 발생하며, 순환전류 구간동안 에너지 전달 없이 발생하는 손실 또한 단점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 제 1장에서는 기존의 위상천이 풀브리지 회로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극복한 새로운 소프트 스위칭 풀브리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2차측에 추스위치와 다이오드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에 위상천이 풀브리지들의 문제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1차측 스위치의 ZVS뿐만 아니라 ZCS(Zero Current Swtiching)이 가능하게 하였다. 3kW급 프로토 타입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제안된 컨버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논문의 제 2장에서는 제안하는 소프트 스위칭 풀브리지와 공진형 LLC컨버터를 결합한 차량탑재용 충전기를 위한 DC-DC컨버터를 제안하였다. LLC 컨버터는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시켜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최적 전력 배분을 통해 하이브리드 컨버터의 효율을 높을 수 있도록 하였다. 10kW급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여 제안하는 컨버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최근 차량탑재용 충전기들에서 요구되는 고 전력밀도용에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Conventional Phase Shift Full Bridge (PSFB) converter has been widely employed in the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its capability of soft switching to get higher efficiency than that of the hard switching converter. However, the soft switching is achieved with the cost of the complex PWM switching scheme and the topology suffers from narrow Zero-Voltage-Switching (ZVS) range and the low efficiency at the light load. In addition the duty loss caused by the leakage inductance and the large circulating current during the freewheeling period can be considered as additional drawbacks. In this paper a novel soft switching full bridge converter is propo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PSFB converter to achieve a higher efficiency. With the help of additional switch and diode at the secondary side, all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PSFB converter can be eliminated. A 3-kW prototyp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converter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proposes a DC-DC converter for the proposed soft-switching full-bridge equipped with a vehicle that combines the LLC resonant converter. By operating at a fixed resonance frequency and operation at the maximum efficiency point, it was possible to achieve high-efficiency converter with an optimum power distribution in a hybrid.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nverter is used to produce a 10kW class prototype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ower density converters required in the charger for the vehicle it was recently verified its effectiveness.

      • 고등학교 전해질과 이온 단원에서 MBL과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에 의한 학생들의 전기전도율에 관한 이해도 변화 분석

        유선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전해질과 이온 단원에서 MBL과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에 의한 전기전도율(전해질 용액이 갖는 전도율)에 관해 학생들의 이해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 양천구에 소재한 인문계 K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9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특히 클럽활동으로 과학반을 하고 있는 학생에서 뽑았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전도율 영역에서 MBL과 가설 연역적 탐구 수업에 대한 7차시 분의 실험지도안을 개발하여 투입하였다. 각 차시별 3인(과학과목에 대한 성적이 매우 우수한 1명, 중간 성적을 갖는 1명, 낮은 성적을 갖는 1명)이 한 모둠이 되어 전기전도율 관련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모든 차시의 실험이 끝난 후 개별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 및 전사 기록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작성한 탐구 보고서 1~3차시 내용과 학생들과 개별 심층 면담한 6가지 질문을 통해, 7명의 학생들에서는 금속 도선과 전해질 수용액에서 전기가 통하는 것을 ‘자유전자, 전위차(전압), 이온의 존재, 이온의 이동도’와 같은 개념을 가지게 되어서, 과학적 사고력 및 분석력이 점차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떨어진 2명의 학생(S3, S6)에서는 과학적 현상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정확한 개념은 아직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작성한 탐구 보고서 4~5차시 내용과 학생들과 개별 심층 면담한 질문 3가지의 면담을 통해 전해질 수용액에서 전기전도율을 변화시키는 첫 번째 요인으로 ‘농도의 영향’을 가장 쉽고 확실하게 이해하였다. 그리고 다른 요인으로는 ‘온도’, ‘이온의 종류(1, 2, 3가 양이온(음이온)’을 생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작성한 탐구 보고서 6~7차시 내용과 학생들과 개별 심층 면담한 질문 3가지의 면담을 통해 6명의 학생에서는 전기장이 걸렸을 경우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이 다른 이온들 보다 움직임(이동도)이 빠른 이유를 7차시 실험을 통해 예전에 생각한 사고의 변화를 볼 수 있었지만, 과학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떨어진 3명의 학생(S3, S6, S9)에서는 여전히 과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해서 그런지 자기 나름의 생각을 발표하고 표현하는 것을 조금 주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또한 가설 연역적 탐구 수업을 통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설계 및 실험수행을 실시해 본 결과,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과학 관련 태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올바른 과학 개념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선호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프로그램을 위한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 현대무용 전공자 1학년으로 즉흥무용경험이 적은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 프로그램을 6주에 걸쳐 주 2회씩 90분간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무용표현능력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 중 느끼는 변화에 대한 세밀한 탐색을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의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 한 결과, 하위요인인 독창성, 구성력, 유창성, 다양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안무가와 무용수들에게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활용된다면, 주제에 맞는 표현과 독창적이고, 다양한 움직임 발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창작에 대한 두려움과 표현능력의 소극적인 태도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