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중년여성의 노부모부양에 따른 스트레스 연구 :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40대 여성을 중심으로

        유광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ctu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about the stress for old parents support with a subject of the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and what are the causes and factors induced the stress in accordance with it.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one hundred twenty-seven middle-aged women supporting old parents resided in Jeollanam-do.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old people popula tion in Rural Area, Role change of the women in Rural Area, characteristic of middle-aged women, and concept and stress of old people support and the stress of the old parents support for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through the method of Questionnaire Sheet.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 First, the stress of old people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emography showed that the more old people age, the higher score the stress. Second, the stress of old people suppor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farming showed that the case of whole working is highest score. Third, the stress of old people support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daughter's in law showed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stress for second daughter's in law is the highest. it can be interpreted because first daughter's in law shows the behavior of the consent for old parents support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Fourth, If we look into the stress according to the supporting time. in case of more than 4 hours support, the stress is highest. Fifth, If we verify the condition of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Demography, the more age, the more condition of mental health showed negative. it can be showed that the stress of support is higher because the higher old parents age, the worse the health. From this result, old parents support gave the stress women in Rural Area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tress have an effect on mental health. Based on this result, I think that the method is needed to solve the stress of the supporters. As a method for this, the system to express the tension and dissatisfaction of the supporters is needed above all. Socially to help overcome the stress of the supporters supporting old parents, it is desirable that the program is developed and spreaded and travelling medical service & emotional service should be carried out positively by taking consideration into circumstances of Rural Area which medical service is in shortage. Throughout this, because mental & physical damage occurred from alienation about old parents support, farming and city culture can be healed. Also, by construction of overall welfare building, if various culture, medical service and program are provided, we can get more positive effect.

      • 중·소형 공공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 분석

        유광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및 1~2인가구 증가에 따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변화 및 가구분화 현상에 따라 주택시장이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에도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것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파트는 현재 우리나라 주택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 유형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아파트 계획사에 중요한 변곡점이었던 발코니 확장 합법화에 대한 영향 분석으로, 기존에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현재, 주택시장의 중심에 있는 중·소형 공공아파트를 대상으로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006년부터 시행된 발코니 확장 합법화는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흘렀으나 제도 시행의 영향으로, 중·대형 규모 아파트에서 실제 사용하는 전용면적이 대폭증대 되었다는 것 이외에 면적변화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형 규모의 아파트에 대한 발코니 확장 합법화의 영향을 분석코자 하였으며, 그에 따라 발코니 확장 합법화 전·후의 전용면적 20~84㎡의 77종 평면의 각 24개 공간 면적분석을 하였고, 면적분석 결과의 상호체크 및 검증을 위해 전용면적별, 년도별, 시기별, 중·소형 규모별 분석과 증감율을 검토 및 종합하여 결과의 방향성 도출에 객관성 및 신뢰도를 담보코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중·소형 공공아파트의 발코니 확장 전·후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형규모인 전용면적 60㎡초과~85㎡와 소형규모인 전용면적 60㎡이하 간의 면적 불균형이 더욱 심화 되었다. 초소형 규모라 할 수 있는 전용면적 20㎡~39㎡에서는 아예 발코니 확장이 일어나지 않아 실생활 면적 증가가 없었으며, 그 외 40㎡~59㎡의 소형규모에서는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8.51㎡의 실생활 면적 증가가 있었으나, 전용면적 60㎡초과~85㎡인 중형규모에서는 실생활 면적이 21.80㎡가 증가하여 중형규모가 소형규모의 2.6배가 넘는 실생활 면적을 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중·소형 규모간 실생활 면적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었다. 둘째, 발코니 공간이 대부분 소멸되었다. 세탁·건조 기능의 주침실 전면 발코니와 주로 대피공간과 연계된 창고기능의 주방/식당 발코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발코니는 전용공간으로 편입되어 소멸되었다. 셋째, 단위세대내 거실, 주방/식당과 같은 공동생활 영역의 면적증가 현상이 뚜렷하였다. 발코니 확장으로 거실은 5.78㎡, 주방/식당은 3.99㎡ 면적이 증가 하였으며, 단위세대 공간중 두 공간이 제일 많은 면적증가가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이것의 의미는 공동생활 영역을 중시하는 LDK 공간구성 방식의 대중화로 인하여,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생긴 여유면적을 주로 거실 및 주방/식당 등에 배분하였기 때문이였다. 넷째, 단위세대 공간의 위계 변화가 나타났다.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주방/식당 공간이 주침실 공간을 제치고 거실 다음의 큰 공간으로 변모하였다.그 이유는 앞서 언급했듯이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거실 및 주방/식당 공간이 공동생활 영역의 중심이되는 LDK 공간구성 방식의 대중화에 기인한 것 이었고, 침실3 공간도 침실2 공간보다 면적우위를 차지하며 두 공간의 물리적 경계가 허물어졌는데, 이것은 모든 침실을 전면으로 배치하는 전면배치 방식의 확산으로 두 공간의 위계가 대등해졌다. 더불어 드레스룸도 큰 면적증가가 이루어져, 발코니 확장전 단위세대내 제일 작은 규모의 부속공간 이였으나, 발코니 확장후 욕실 및 현관공간보다 더 큰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이것은 1~2인가구 증가 및 평균가구원수 감소에따라 조그마한 개실을 늘리는 것 보다는 수납공간을 확충하고자하는 드레스룸의 대형화 및 소형규모에도 적용되는 등의 일반화 현상에 기인한 것이었다. 다섯째, 수납공간의 면적이 대부분 증가하였다. 욕실수납을 제외한 모든 수납공간의 면적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의 발코니가 담당하였던 수납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수납공간 중에서도 주방/식당 수납이 1.34㎡ 증가하여 제일 큰 면적증가를 나타냈으며, 드레스룸 수납이 1.01㎡ 증가하여 그 뒤를 이었다. 이것은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진 공동생활 영역의 중심화 및 드레스룸의 대형화·일반화 현상의 결과라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발코니 확장 합법화 전·후의 단위세대 면적 변화 특성의 결과가 현재 진행중인 급격한 인구·사회구조 및 주택시장의 변화에 맞추어 중·소형 아파트 단위계획 방향 설정시 의미있는 자료로서 제 역할을 다 할것이라는 기대를 해본다. According to radical population and society changes and family differentiation phenomenon because of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and growth of 1~2 person households, current condition in Korea has been revised into a new housing market that focus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and it could be predicted that need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would be being increased. It means that it is time to research in-depth studies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than any other time. Also, apartment is a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housing that accounts for about 60%. Depending on these reasons, as an impact analysis on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that was an important inflection point of apartment planning,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unit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balcony extension,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that has not been researched until now but becomes the center of housing market.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enforced in 2006, has been operated for 10 years, but rarely there are in-depth studies on area changes except that the exclusive area, actually used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was increased hugely due to the system’s enforc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so this study conducted area analysis for each 24 spaces of 77 flat types of 20~84㎡ exclusive area before and after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In order to operate mutual check and verification of results from the area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secure objectivity and credibility to deduce direction of the results by reviewing and synthesizing analysis and a percentage change about each exclusive area’s size, each year, each season, and each small size and medium size. As researches of the results, characteristics of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balcony extension in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apartments are as same as follows. First, area imbalance became more serious between medium-sized exclusive area from over 60㎡ to 85㎡ and small-sized exclusive area under 60㎡. In a very small-sized exclusive area from 20㎡ to 39㎡, balcony extension did not happen at all, so real area did not be increased. Actual area of other small-sized housing from 40㎡ to 59㎡ was increased up to 8.51㎡ due to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but actual area of medium-sized housing from over 60㎡ to 85㎡ was increased up to 21.80㎡, so that the medium-sized housing has over 2.6 times larger actual area than the small-sized housing. In conclusion the area imbalance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housing becomes more severe. Second, balcony area mostly disappeared. Most of balcony is incorporated into exclusive area except for a balcony in front of a main bedroom in charge of laundry and dry and for a kitchen/dining room balcony related to emergency shelter in charge of storage. Third, community living area such as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in the housing unit was increased distinctly. From the balcony extension, living room area becomes bigger as 5.78㎡ and kitchen/dining room area becomes bigger as 3.99㎡, and the two are the most increased areas among the areas of unit housing. It is because, due to a popularized LDK space configuration method, which considers community living areas as important, extra areas that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could produce were distributed into mainly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Fourth, hierarchical changes in housing unit areas happened.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kitchen/dining room became the second largest area following living room to surpass a main bedroom. It is because, as it mentioned, LDK space configuration method that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are center of community living areas became popular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and area of bedroom 3 took the larger area than bedroom 2, so physical boundary between the two spaces disappeared. It drove a front placement method that every bedroom is arranged in front of a house, so the two spaces have equal hierarchy. In addition, area of a dress room was increased hugely, so that it had been the smallest appendix space in a housing unit but after balcony extension the room became the larger space than a bathroom or entrance space. According to increasing 1~2 person households and decreasing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t depended on a general phenomenon that a dress room becomes bigger to expand storage space and it is applied into a small-sized housing rather than expanding each small room. Fifth, most of storage space has been increased. Except for bathroom’s storage space, every storage space is increased. It means that this phenomenon is a kind of effort to compensate storage function, which balcony was responsible for in the past. Among storage spaces, storage space in kitchen/dining room was increased as 1.34㎡ so that it is the biggest increase, and a dress room was increased as 1.01㎡ as following it. This would be a result from centralized community living area and enlargement and generalization phenomenon of a dress room, fitting to the changing lifestyle. This study expects that derived results in this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unit area changes before and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tension would be a role of significant data by fitting ongoing radical changes of population and social structure and housing market when planning a small and medium-sized public housing unit.

      • The Transcription Repression Mechanism of Estrogen Receptor Alpha Gene Expression by Hypoxia : 저산소 신호에 의한 전사수준에서의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 발현 억제 기전

        유광희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strogen receptor (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nscription factors in breast tumor growth and development. We and others have previously showed that hypoxia induces rapid estrogen receptor alpha (ERα) protein degradation by proteasome mediated pathway in breast cancer cells which is linked with ERα activation. However, no report has shown the effect of hypoxia on ERα gene (ESR1) regulation at the transcription level. In this report, we examined the effect of hypoxia on the transcription of ESR1 and the effects on SNAIL expression which is intimately linked with E-cadherin. Hypoxia repressed the expression of ESR1 in MCF-7 and T47D human breast cancer cells but not in human endometrial Ishikawa cells although ERα degradation under hypoxia was observed in Ishikawa cells as well. This indicates that ESR1 transcriptional repression and ERα protein downregulation by hypoxia is regulated by a distinct mechanism. Repression of ESR1 transcription under hypoxia is mediated by PI3K pathway and occurred at the transcription level as a result of decreased recruitment of RNA polymerase II at the proximal promoter of ESR1 locus in response to stabilization of HIF-1α protein under hypoxia. SNAIL and SLUG, a famous repressor of E-cadherin expression, play a key role in induc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breast cancer cells. The expression of SNAIL and SLUG mRNA level was increased with hypoxia which was preceded by ESR1 repression temporally. Reexpression of ERα gene under hypoxia delayed expression of SNAIL protein level. However, reexpression of ERα gene did not affect expression of E-cadherin protein level under hypoxia condition. Our data shows that hypoxia induces repression of ESR1 which may facilitate hormone insensitivity under tumor microenvironment. 에스트로젠 수용체 (ER)는 유방암 종양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 중 하나이다. 우리와 다른 연구실에서는 이미 유방암 세포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ERα)의 단백질은 저산소 상태가 유도하는 프로테아좀 매개 과정에 의해 급격히 분해된다고 밝힌바 있다. 그러나 저산소 상태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 (ESR1)의 전사수준 조절은 보고된 바 없다. 이 보고서는, 저산소 상태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의 전사수준 조절과 스네일 발현의 영향이 이-캐드헤린과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저산소 상태는 휴먼 유방암 세포인 MCF-7과 T47D 세포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지만, 휴먼 자궁내막암 세포인 Ishikawa 세포에서는 그러한 현상을 관찰 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산소 상태에서 Ishikawa 세포의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단백질 수준은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것은 저산소 상태에 의해 조절되는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의 감소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단백질의 분해는 다른 기전을 통해 일어난 다고 말할 수 있다. 저산소 상태에서 일어나는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의 전사 감소는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에 RNA polymeraseⅡ 감소와 PI3K 과정, HIF-1α 단백질의 안정성이 결과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저산소 상태에 의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의 감소가 EMT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네일, 슬러그 mRNA 발현 수준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처럼 보였지만, 이-캐드헤린의 mRNA 발현 수준과 단백질 수준에는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우리는 저산소 상태에 의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유전자의 감소를 보았고, 이 부분은 향후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 Flow Dynamics in Combustors with Single and Multi-Element Swirl Injectors

        유광희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non-reacting turbulent flow characteristics and acoustic oscillations in combustors with single and multi-element swirl injectors. The analysis is based on a three-dimensional LES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dominant coherent structure, the POD method is used for post-processing. Vortex breakdown, corner and central recirculation zones in the swirling flow field are clearly observed. The unsteady turbulent flow dynamics are simulated so that the flow motion can be characterized in detail. It is observed that the turbulent motion of swirl flow directly affects acoustic oscillation in the combustor with single swirl injectors. The swirl flow expand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pressure fluctuations are significantly damped down due to the cooling flow injection. The annular combustor with multi-element swirl injectors is simul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among the injectors. In this case, the pressure oscillations are significantly amplified, as well as become more complex when compared to the combustor with a single injector. To identify the swirl direction effects in the combustor with seven swirl injectors, the counter-swirl-injectors combustor and co-swirl-injectors combustor are simulated. In the counter-swirl injector combustor, the flow direction on the border of the adjacent injectors affects significantly not only swirl flow structure but also the entire flow field in the combustor. Especially, the seven-clockwise injectors produce the strong rotational flow near the wall, which may induce tangential preference.

      • 〈龍飛御天歌〉破格章 硏究

        유광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Yongbeeochunga was composed of two paragraphs, in which the former sang of tile historical relics in China and tile latter sang of those of the first six kings in Chosun dynasty That was highly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s, who were not a vague and fictional one but a real and concrete one ordained by Heaven's decree. Due to those characteristics, the work counted as a toadyism literature or a subjective literature based upon the motif of the subject matters. The focus was, accordingly, on what its writers intended to tell. In this study, the chapters with a consistent form were defined as the regular style and the chapters that deviated from the consistent principle were defined as the exceptional style, by analyzing the structural principles in 250 units of total 125 chap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istent aspects and meaning of the exceptional chapters that were written by the exceptional style. The existent aspects in the exceptional chapters were classified into the exception in the expressional medium, the formal exception and the chapter in which the historical relics of China and Chosun didn't coexist. The meaning of the exceptional chapters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aspects, First, the unified and complete expressional medium was used. Even though just 7.2% of the whole chapters exclusively used the Korean language, creating Yongbeeochunga with the Korean script before its promulgation was a representation of independent and self-respecting spirit and a transitional efforts toward a perfect conversion into the Korean language system. That also pursued an ideal that the whole of the work could be made and sang with a pure Korean language. The exceptional chapters that employed only the Korean style or used it in large part were found just in the preface and the main parts. This indicated that the writers used the Korean script, as much as possible, to recollect and ruminate the ancestor's great achievements and life. Namely, it suggested that the Korean-styled chapters, close to the colloquial style, was utilized in announcing founding the Chosun dynasty and describing the trial, struggle and victory that the hero Lee Sung Kye, the founder, went through and won. Second, there was one line for Chapter 1, two lines for Chapter 2 Through 124 and Three lines for Chapter 125. This was based upon the cosmology of the philosophy. Its logic that argued a principle existed before the beginning of the whole materials was taken as a proof to justify the legitimacy of founding new dynasty, and it was determined to start tile work with one line on the ground of it. The form from Chapter 2 to 124 was seen just to fulfill the specified duty to express the continuing respect for Myung country, with another intention to parallel the historical achievements between China and Chosun. The final chapter's three line represented the humanity, suggesting the king in monarchy Namely, the humanity was a symbol of the royal road. The circle punctuation mark was used to prevent the kings' great achievements from being ignored or downgrading due to the lack of context, or being treated as an interrogative sentence. Third, the narrative principle of the work was to record our kings' achievements after describing those of the old kings first But while the story about the first six kings in Chosun dynasty kept a consistency in the order of time and duration and the standpoint, that of China omitted something or didn't keep the order of time. This fact suggested that the focus was on the Chosun dynasty and the Chinese achievements were used as a means to acquire justification, rationalization and reliability That was given no significance other than the psychological tactics. Nine chapters that had no description about the Chinese achievements more clearly emphasized that Chosun was an independent country maintained her own history and tradition, not being subject to Myung Through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he exceptional chapters,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e spirit of Yongbeeochunga was identified as an outcome of a deep deliberation to inspire a nationalism and elevate the eternal history It was believed that the exceptional chapters made firm the work's position as the subjective, national and instructive literature.

      • 타일과 洗面器에 관한 陶瓷造形 연구-시간의 흔적을 중심으로-

        유광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환경에 예속되어 있고 환경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누구나 아름답고 쾌적한 공간 속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재의 환경을 개선하여 더 나은 환경으로 발전시키려고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건축도자의 중심 아이템인 타일과 세면기는 이미 뛰어난 예술적 디자인과 첨단화된 산업시스템으로 제작되어 더욱 손쉽게 넓은 공간을 꾸밀 수 있는 상태에까지 와있다. 또한 건축도자는 특성상 도시의 거친 환경을 견디는 견고성과 위생성, 장식성 등으로 인해 인간의 주거활동을 위한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도심 속의 공공장소를 위한 우수한 자재임이 검증 되었다. 본 연구는 타일과 세면기를 이용한 표현 연구란 주제로 산업체의 제품과는 차별화된 수공의 공정으로 제작된 타일과 세면기를 통해 감성적 측면의 제품들을 제안하고자한다. 구체적인 아이템으로 간단히 손을 씻을 수 있는 노출형세면기와 타일 디자인의 세트화에 초점을 맞추었고, 표면적 접근방법은 세면기와 타일 등에 자연물의 질감과 인공물 등을 부각시켜 조형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작업을 하고자 한다. 시간의 흔적이란 소주제로 어떤 특정의 소재 및 대상에 이미 현장감을 상실한 지나간 시간을 암시하고자 하며 시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미의식 및 미적 감각을 개입함으로써 주관적 해석에 의한 형태, 그러나 보여주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무언가를 느끼며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도구로서 세면기와 타일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감 및 감성과 교류하는 물적 존재로서의 세면기와 타일을 제시하여, 도자예술과 현대인의 생활을 접목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인의 작품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는 타일과 세면기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예술과 표현에서 시간과 흔적에 대한 개념 및 철학을 살펴보았다. 둘째, 현대예술에서 시간의 추상성을 구체화시켜 주는 흔적의 개념은 어떤 불변하는 상태가 아니라 변화와 비교에 의해 그 실체가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에서 흔적은 생성되어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내포하는 것으로, 흔적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표현기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셋째, 본인의 작업은 세면기와 타일의 일차적 기능을 만족시키면서, 그 위에 개인적인 감성을 조형화한 수공의 과정이 부각되는 흔적의 이미지를 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제작계획 및 과정을 서술하고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덧붙였다.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존재하면서도 문화적 가치의 조명을 누리지 못하고 있던 위생도기가 예술적 개념으로 접근할 때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을 보여주며 앞으로 산업체의 제품과 차별화된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타일과 세면기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Man is dependent on the environments and cannot exist, if moved away from them. Therefore, everyone has desires to live in the beautiful, pleasant space. To satisfy them, he/she makes ceaseless efforts to develop the present environments for the better. The tiles and washbasins, the central items of architectural ceramics, have already reached to the state where we could produce them with artistic designs and state-of-art industrial systems and decorate the roomy space with them more easily. Moreover, architectural ceramics have been tested to be excellent building materials for interiors and exteriors of the buildings for the human housing activities and for public places in city because they are characterized with its durability, sanitation, and decoration. This present study aims at suggesting products in the aspect of sensitivity through handmade tiles and washbasins manufactured differently from the industrial products, with the subject of expression using tiles and washbasins. As specific items, the focuses were put on the washbasins in exposed styles and a new set of tile designs. As for the external approach, molding and practical works would be pursued by making natural texture and artificial matters highlighted. The study will imply the past time which has already lost site-specific sense for a particular theme or subject with the sub topic called traces of time, by intervening the researcher's sense of aesthetics and sense of arts in the process of passing time, not just showing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but the users would be induced to feel and think about it. Through this, they are not just washbasins and tiles as simple tools. One direction will be pointed out so that ceramic arts and the modern life could be integrated, by suggesting washbasins and tiles as material existence which could communicate the existence and sensitivity of human beings. First, the examination of tiles and washbasins would be don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study my works, and then the concept and philosophy on the time and its traces would be researched in the aspects of arts and expression.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of traces which materialize abstraction of time is not a certain unchangeable state but through change and comparison its reality is revealed in the modern art. Thirdly, my works aims at containing the image of traces which makes craft process of molding my personal sensitivity on it stand out, satisfying their primary function as tiles and washbasins. Based on this, the production plans and process of my works have been described, and the explanations have been added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my works. Those sanitary wares have never been recognized on its cultural values, even though they are deeply immersed in our daily lives. But this study shows how it could be interpreted in making access to the concept of arts, and aims at suggesting new plans for tiles and washbasins by presenting new differential designs from the industrial products.

      • 20주간의 주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광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20주간의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스포츠의·과학전공 유 광 희 지도교수 이 정 아 본 연구의 목적은 20주간의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 남성의 신 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거주하는 40-50대 중년 남성으로 최근 3개월 내에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각종 질환이 없어 운동 검사 및 저항성 운동 처치에 참여하는 데 문제가 없으며, 특별한 식이요법을 하지 않는 자 총 30명이 본 연구의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운동 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무선할당(Randomized Controlled Trial) 하였다. 운동집단의 대상자는 20주간, 주1회, 회당 준비운동 5분, 저항성 운동 35분, 정리운동 5분, 총 45분의 운동과정이 녹화된 영상을 보고 따라하는 방식인 비 대면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대상자는 평소의 생활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모든 결과는 SPSS PC+for Windows(version 25.0)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두 집단에서 얻은 종속변인의 기술통계량을 제시하 기 위하여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그리고 두 시기 간 평균 차이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이원변량분석 (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의 주효과, 시기의 주효과, 또는 집 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경우 각 집단 내 두 시기 간의 차이는 종속 t-검증 (paired t-test)으로, 그리고 각 시기 내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독립 t-검증 (independent t-test)으로 분석 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 였다. 20주간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 처치 후 신체구성의 변화는 운동집단의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그리고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근력의 변 화는 운동집단의 우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삶의 질의 변화는 운동집단의 신 체적 건강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주 1회 비대면 저항성 운동이 40-50대 중년 남성의 신체구성, 근력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사회적 마케팅 : 척도개발과 효과 측정

        유광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품이나 서비스가 가격이나 품질 면에서 경쟁제품과의 차별성이 점차 없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새로운 차별화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의 만연한 비윤리적 행위로 불신이 심해지면서 소비자들 스스로가 기업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기업들은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 소비자에게 외면당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이렇듯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인 개념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를 이용하여 기업의 사회적활동이 소비자의 기업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우선 Study1에서는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초자료와 차원 및 활동을 정리했다. 그 후 심층면접인터뷰와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척도를 세분화 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정교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척도를 개발하였다. Study2에서는 이미 개발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척도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와 패밀리레스토랑의 주요 소비층인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사회적 활동과 단기적 마케팅 활동 두 변수가 직접적으로 또는 서비스 품질을 매개로 신뢰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Study1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크게 다섯 개의 차원과 16개의 아이템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행해진 Study2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단기적 마케팅 활동 모두 신뢰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사회적 책임활동과 단기적 마케팅활동이 서비스 품질을 매개로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사회적 책임활동 자체가 직접적으로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비자적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다차원성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해 내었을 뿐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단서까지 제공했다는 점이다. 실무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기업의 마케팅 활동 중 기업의 사회적 활동 비중을 정하는데 가이드라인 역할을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들의 스포츠인성에 미치는 영향

        유광희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의 스포츠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2018년 전국 종별 태권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한 중등부 선수 256명으로 선정하였다. 지도행동유형 척도(Chelladurai & Saleh, 1980)와 스포츠인성 척도(Kavussanu & Boardley, 2009)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누락된 내용과 신뢰성이 낮은 16명의 자료를 제외한 240명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순으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첫째,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하위요인 중 훈련 및 지시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이 선수의 동료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중 권위적 행동과 민주적 행동이 선수의 상대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중 권위적 행동이 선수의 동료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중 권위적 행동과 민주적 행동이 선수의 상대에 대한 반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은 선수의 스포츠인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 중 권위적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보다 반사회적 행동을 증가 시키므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민주적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 그리고 긍정적 보상행동은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aekwondo leader’s leadership behavior type on players’ sport character in sporting activities. Research participants are 256 players in junior high youth group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Taekwondo Championship in 2018. Our survey was conducted with leadership scale for sports (LSS) (Chelladurai & Saleh, 1980) and sport character scale (Kavussanu & Boardley, 2009). After excluding the data for 16 participants whose data were judged to be missing or unreliable among the data collected from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for 240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one.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training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behavior as sub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for sports, positive feedback behavior increased players’ prosocial behavior toward their colleagues. Second, autocratic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as sub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for sports increased players’ prosocial behavior toward the opponents. Third, autocratic behavior as subfactor of leadership behavior in Taekwondo players increased players’ antisocial behavior toward their colleagues. Fourth, autocratic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as subfactor of leadership behavior in Taekwondo leaders increased players’ antisocial behavior toward the opponents. Taken 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leadership behavior type in Taekwondo leaders may have influence on sport character. Among leadership behavior types, autocratic behavior may have negative influence as it may increase antisocial behavior rather than social one, whereas democratic behavior influences both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and training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feedback behavior ma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