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계층별 외국인 주민유입이 지역경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광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nalyzed affection of foreign residents who stay for a long time on local economy growth in circumstance that lowering the international migration’s barrier and change of domestic industrial and population structure. The residents are classified, by their aims of entry, as 4 groups, those who like workforce, professionals, students, marriage migration and settler, and etc. The distribution of them shows distinctions clearly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s for local economy growth, the foreign residents play a role as reducing cost of the elements of production through supplying of cheaper labor, taking leads in regional innovation as creative talented persons, through making tolerant social atmosphere, expansion of local consumer market. However, they also may come into conflict with domestic residents or replace domestic job occupation with themselves. So, When it comes to measuring affection of the foreign as for local economy growth, we ought to consider both the right function and the reverse of them. In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entirely the professional, the workforce and positively affected the local economy growth, However, the students did not affect the local economy growth. In the case of rural area, the marriage immigrants positively affected the local economy growth. As fo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we can presume the cause of the professional’s higher influence, and also presume the students’s neutral affection results from that the loss of their replacement of domestic worker’s part time job as much as their consumption in their local region. Eventually, the difference of analysis result for marriage migration and settler in metropolis and rural municipality results from difference of soundness of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wo different region and their husbands’s ability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본 연구는 세계화의 진전에 따른 국가 간 이동 장벽의 하향화와 국내 산업 및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국내에 장기체류하는 외국인 주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이들, 장기체류 외국인 주민 유입이 해당 지역총생산으로 측정되는 지역경제발달에 줄 수 있는 영향을 계층별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외국인 주민은 그들의 입국 목적에 따라 단순기능 인력, 전문 인력, 결혼이주 및 영주 목적의 외국인, 유학생, 기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지역의 성격에 따라 각 유형의 외국인들의 분포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주민은 지역경제에 있어, 값싼 노동력 제공을 통한 생산요소비용절감, 핵심적 창조 인재로서의 혁신의 주도, 다양하고 관용적인 사회분위기 형성을 통한 지역사회의 문화 융성, 소비를 통한 지역시장규모의 확대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을 야기하거나 내국인 인력의 고용을 대체하는 역기능을 할 수도 있어, 지역경제력에 대한 외국인 주민의 기여도를 측정할 때에는 그 순기능적 측면과 역기능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출입국 정책본부와 통계청의 각종 지역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2005년 외국인 고용허가제가 시행되고, 2007년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 방문 취업제가 시행되면서, 출입국 관련 정책의 틀이 완성된 2008년 이후 기초지자체 단위의 경제통계의 구득이 가능한 최신년도인 2010년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특성별 외국인 주민의 수와 함께 지역경제력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 특성, 생활환경과 산업기반의 사회간접자본 특성, 지역의 기존 경제력 특성, 집적 경제특성, 혁신창출 역량특성에 해당하는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고려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매 모형마다 동일한 변수를 투입하되, 지역별 특성을 더미변수를 통해 모형에 반영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성을 고려하여, 일부 변수에 한해 별도의 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전문 인력과 단순 기능 인력 외국인 주민이 지역경제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학생의 경우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이주 및 영주 목적 외국인의 대도시에서의 지역경제 발달에 대한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농촌지역에서는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 외국인의 영향 유의미하지 않은 것은 그들의 소비시장 확장에 대한 기여도에 상응할 만큼 내국인의 비정규 시간제 일자리를 대체함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결혼이주 및 영주 목적 외국인 주민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서의 지역경제 발달에 대한 기여도의 차이는 농촌지역에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활동영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더욱 건전하며, 그들의 남편의 사회경제적 능력 또한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이 더 건실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키에르케고르의 불안개념에 대한 분석

        유광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Concept of Anxiety in Kierkegaard's Philosophy* Yu, Kwang Cheol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Jae Chul) (Abstract) Søren Aabye Kierkegaard(1813-1855), an existentialist, thoroughly analyzed the human beings that have lead comfortable lives as a part of common system of speculative philosophy. He described the human being as an 'existence of anxiety' from an early age. He observed that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came to have a deep distrust of reason and severe doubt of advancement of history that have placed on the absolute position during World Wars Ⅰand Ⅱ. In addition, they keenly realized the inability of human beings and crisis of existence. Today, modern people remain troubled by anxiety, war, racial conflict, various terror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oning. However, according to Kierkegaard, these external anxiety were not true ones but only fears. The fear has its object as emotional state, but the true anxiety, Kierkegaard said, was the result of the contradiction i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t was very difficult to grasp its substance and overcome it. As a result, few people research these problems of anxiety which are profound obscurities. But, under these conditions,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anxiety', Kierkegaard tried to approach these problems in a decisive manner. Kierkegaard was a Christian in Lutheran Church, the established Christianity in Denmark as well as a philosopher and theologian. His interest was to establish the true Christianity and be a true Christian at all times. Kierkegaard, who has wrestled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se problems, saw through the concept 'anxiety', as a depth element in the human being's existence. And then, he started a full-scale research. The result of his research was The Concept of Anxiety. He did not look for the problems of anxiety in other places, but he developed his unique logic, connect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original sin' based on the lapsed mythology about Adam and Eve shown on Genesis. Kierkegaard tried to interpret the anxiety of criticiz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original sin that was recognized as a vague and abstract mythology. First of all, he considered the original sin as a sense of guilt and explained it as psychological and anthropological method, not mythological method. His trial was to analyze the human being's common guilt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of sin by Adam and Eve. In addition, he considered the mythology of Adam and Eve's Fall in the Bible as a matter which concerns every human. That is to say, transference from the state of innocence through the actual commitment of a sin rather than through the genetic guilt from Adam. As a result, he interpreted that every human being would never be free of anxiety. What is the philosophical or religious meaning of 'anxiety' that Kierkegaard highlight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him, every human came to feel anxiety if they were normal human beings because they were beings with mental reason. Paradoxically speaking, the deeper the anxiety, the greater the human being. The reason was why the anxiety made the hunan beings foothold that could make them miss the eternity and a motive of vital importance.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makes it possible for human beings to find the lost egos, and become a means of true recovery for humanity. Ultimately, this anxiety proves to be a way to reach for eternity. In other words, the anxiety became a motive that made the human beings confirm their religious faith for Jesus Christ, an Absolute Paradox. And the belief in God became a shortcut that reached to eternity. Consequently, Kierkegaard's theory of anxiety is the essence of the theory of religious eternity. Themes : human being, original sin, anxiety, existence, Kierkegaard

      • 리더십으로서의 TLC코칭이 슈바르츠의 자연적 교회성장(NCD)과 셀 교회에 있어서 질적 증가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광철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적은 TLC 코칭이 자연적 교회성장(NCD)과 셀 교회에 끼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NCD와 셀 교회의 통합적 이해를 하려고 시도했으며, NCD의 질을 평가하는 핵심 사항이 8가지 질적 특성인 점을 감안해서 최소치 요소에 TLC 코칭을 적용했다. 그 결과에서 나타나는 질적인 증가가 결국 셀의 질적 증가에서도 적용될 것을 기대하며 본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셀 안에서와 셀 조직에 있어서 TLC 코칭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가에 관해서도 관심을 갖고 본 논문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이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가정 국가에 이르기까지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해답이 교회 안에서 나와야 하며, 그 해답은 모든 성도들이 건강한 교회 안에서 건강한 신앙생활을 하며, 21세기를 이끌어 갈 건강한 기독교 리더십을 키워나갈 때 가능하다는 본 연구자의 소박한 기대감이 동기가 되어서 이루어 진 것이다. 연구 대상은 안산제자교회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두 차례의 NCD 설문 조사와 두 차례의 셀 설문 조사, 그리고 역시 두 차례의 TLC 코칭 적용 세미나와 □□을 기본으로 하여서 진행을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로 TLC 코칭이 NCD의 최소치 요소 증가에 매우 바람직한 해답이 될 수 있다는 것과 TLC 코칭을 셀과 그 조직에 적용을 해서 더 발전적인 셀 교회를 이루어 갈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를 위한 제안을 첨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LC coaching's influence on natural church development and cell church. For this paper, I attempted to interactively understand cell churches and NCD. Also, considering the NCD's minimum facts, I applied TLC coaching to the evaluation of NCD's 8 core quality facts. This study expects to apply the base for the result of quality growth which in turn effects cell's quality growth. Furthermore, this paper studied the effective methods of TLC coaching that can be used in cell and cell structure. The church needs to show these efforts to finding the answers on every area of life; including this generation's politics, economics, societies, cultures, religions, families, and nations. I plainly expect every christian to live a healthy christian life and to lead the 21 century in building up healthy christian leader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Ansan Disciple Church. The study is based on two times of NCD research and two times of cell research, and then two times of applications' seminar and workshop. This paper's study results in a very desirable conclusion: TLC coaching increases NCD's minimum facts. By applying TLC coaching on cell and cell's structure, the cell church can be led to further growth. Adding to that, based on this study, I have attached a suggestion for the next research.

      • 광의 산란특성을 이용한 과일의 경도판정에 관한 기초연구

        유광철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과일의 광학인자를 측정하고 경도의 판정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 연구에서 설계, 제작한 광섬유배열탐침과 플러그-인(Plug-in) 스펙트로미터 및 백색광원을 이용하였다. 과일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경도의 판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반사도 스펙트럼, 흡광도 스펙트럼 및 이들로부터 유도된 여러 가지의 스펙트럼을 이용하였는데, 이 방법으로는 흡광계수와 산란계수를 구분하여 분석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일의 흡광계수와 산란계수 등을 측정하기 위해 Oblique-incident optical fiber reflectometry 방법을 적용하였다. 공시재료는 시중에서 구입한 2004년산 후지사과 23개와 신고배 21개이었고 2005년도에 수확한 과일 토마토 8개를 사용하였다. 이들 과일은 경도 변화를 유발하기 위해 실내온도(18~24 ℃)에서 7일간 보관하면서, 광섬유배열탐침을 이용하여 1일, 4일 및 7일째 되는 날에 개체마다 적도부근의 동일한 측정지점에서의 광량분포곡선을 측정하였다. 7일째 실험에서는 경험에 의해 사과와 배의 경도를 서열화하고 정상과일과 비정상과일의 2등급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광학인자에 의해 이를 판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과일의 경도를 판정하는데 유용한 광학인자로서 산란중심거리, 산란계수 및 흡광계수를 산출하였는데 이를 위해 광량분포곡선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의로 선택한 7가지 파장(600.21 nm, 632.77 nm, 664.94 nm, 696.7 nm, 728.06 nm, 759.03 nm 및 789.59 nm)에 대해 각 과일종류마다 산란중심거리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저장일수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과에 대한 산란중심거리는 배의 그것과 비슷한 8~15mm의 분포를 보였으며 토마토의 경우에는 사과와 배의 경우보다 약 2배가 큰 18~30mm의 분포를 보였다. 또한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경도가 감소할수록) 산란중심거리는 모든 파장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토마토, 사과 및 배를 대상으로 저장일수에 따른 산란계수(μs')를 분석하고 그 평균과 표준편차를 파장별로 살펴본 결과, 토마토의 μs'의 범위는 2.75~4.63㎝^(-1)로 사과와 배에 대한 범위인 6.21~16.02㎝^(-1)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이는 토마토의 과육의 조직형태, 내부구조, 수분 포텐셜(Water potential) 및 화학적 성분 등이 사과나 배의 그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과일에서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파장에 관계없이 산란계수는 증가하였다. 3. 토마토, 사과 및 배를 대상으로 저장일수에 따른 흡광계수(μ_(a))를 분석하고 그 평균과 표준편차를 파장별로 살펴본 결과, 토마토의 μ_(a)은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사과와 배의 흡광계수는 7가지 파장에 대해 0.03~0.15㎝^(-1)의 범위로 매우 작았고 표준편차는 0.04~0.16㎝^(-1)로 매우 크게 나타나, 시료 간 변이가 매우 크고 흡광계수가 매우 적은 경우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 경도판정에 효과적인 광학인자를 찾기 위해, 파장을 600.21 nm, 632.77 nm 및 696.7 nm 등 3가지를 임의로 선택하여 과일별로 저장일수(1일째, 4일째 및 7일째)에 따른 광학인자의 유의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과일에서 경도가 높은 1일째 측정한 광학인자가 4일이 경과한 후의 측정치에 비해 통계적으로 95%의 유의수준에서, 7일이 경과한 후에 비해 99%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5. 사과와 배를 대상으로 경험에 의한 경도를 조사하고 경도점수를 사과는 1~13으로 배는 1~12로 부여한 결과, 경도점수가 5미만이면 비정상과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과일의 경도를 2 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시료의 산란중심거리(Δx)와 산란계수(μs')에 의해 경도를 판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두 광학인자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판정성공률은 사과가 82%로 나타나 배의 57%에 비해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6. 이 기초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과일의 광학인자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경도판정에 보다 유의한 파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표준시료를 이용한 광학장치의 측도설정(Calibration)과 경도계에 의한 과일의 경도측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This experiment was a basic study on measurement of the optical property of fruits and on identif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determinating the fruit firmness using the optical fiber array probe, a plug-in spectrometer and a white light source. The optical fiber array probe was designed in this study. Many previous studies on measurement of the fruit firmness were using optical data like reflectance spectrum, absorbance spectrum and the derived spectra for reflectance or absorbance. Those methods have problems in identifying the absorption and reflectance from the intensity spectra of the spectrometer. But the optical fiber array probe i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method that can calculate the spectra of absorption coefficients and scattering coefficients from the intensity spectra. While fruit samples(tomatoes, apples and pears) were storing in the room temperature(18~24 ℃), they are getting matured and become softer.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fiber optics in predicting firmness, spectral intensity for all samples was measured on three different days(1st, 4th and 7th storage day) during storag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the fiber optics to classify fruit firmness, distributions of μs’ and Δx of samples were compared to firmness scores of apples and pears. This paper introduced the oblique-incident optical fiber reflectometry to analyze optical parameters from the spatial reflectance such as the reduced scattering coefficient(μs’), absorption coefficient(μ_(a)) and the shift distance of scattering center(Δx).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shift distance of scattering center for fruit samples were calculated for seven wavelengths (600.21 nm, 632.77 nm, 664.94 nm, 696.7 nm, 728.06 nm, 759.03 nm and 789.59 nm). Δx of apple samples was 8~15mm and similar to pear samples. Those of tomato samples ranged from 18 to 30mm and were twice higher than those of apple and pear samples. Δx of all samples decreased as the storage day increased for every wavelength. 2.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μs’were calculated for seven wavelengths. Range of the scattering coefficients of tomato samples was 2.75~4.63㎝^(-1) lower than those of apple and pear samples which were 6.21~16.02㎝^(-1). It means that tomato has very different properties in structures of fruit fresh and other cells, water potential and chemical compositions comparing to apple and pear. Scattering coefficients of all samples increased as the storage day increased for every wavelength. 3.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of fruit samples were calculated for seven wavelengths. As the storage day increased, absorption coefficient of tomato samples decreased like apples and pears do. of apple and pear samples were very low by 0.03~0.15㎝^(-1) while variances were very high by 2.75~4.63㎝^(-1). It means that the optical fiber array probe used in this study was difficult to measure precious absorption coefficients which have very low ranges. 4. To identify effective optical parameters related to the fruit firmness,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LSD) according to the storage day was carried out for μs’, μ_(a) and Δx at wavelengths selected arbitrarily(600.21 nm, 632.77 nm and 696.7 nm). μs’and Δx of all fruits for most wavelength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1st day and 7th day at significant level of 99% while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1st day and 4th day at significant level of 95%. 5. On 7th storage day, firmness of every apple and pear samples was scored by the panel test. The more firm fruit, the higher score. Fruit firmness was scaled from 1 to 13 for apple samples and from 1 to 12 for pear samples. If samples had firmness score of less than 5, this study classified them as the abnormal fruits, while fruits of other firmness score were classified as the sound one. When the shift distance of the scattering center or the scattering coefficient was used as the optical parameters to determinate fruit firmness, the success rate of firmness classification was 82% for apple samples and 57% for pear samples. 6. Based on results of this basic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rther study, which will measure optical properties of fruits more exactly and identify optical parameters more effective for fruit firmness measurement, should carry out calibration of the optical system by using a reference sample and measurement of fruit firmness by an MT firmness tester or a texture analyzer.

      • 대학의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유광철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2013년도 대학정보공시를 활용하고 120개 대학을 표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산업체 경력의 전임 교원 수, 공동 연구 수, TLO의 전문인력 수, TLO의 기술이전인력 수, 교내 연구비 및 전임교원 1인당 담당 학점이 기술이전 수입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 대학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은 기관으로부터 공개된 자료를 활용한 통계적 검증방법을 사용하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