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경석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FWPU) agrees to the objective that humanity, composed of male and female, must recover an equal and balanced relationship and reconstruct social orders, in order to overcome the fundamental issues faced by humanity today, as is claimed by feminist theology. This is because feminist theology is a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a theological response toward such a movement that arose to overcome the sexist culture, social reality and ideology, or mechanism of female suppression, underlying in patriarchal society that has lasted throughout human history. FFWPU is aware that a male-centered understanding of God and the Messiah have been interpreted as a male-centered salvation theory and has resulted in the forming of a sexist social order. God does not exist as a father alone, but rather as a father and a mother. Furthermore, the hypostasis of the Messiah cannot be achieved by Jesus alone. The only-begotten son must marry the only-begotten daughter and become the True Parents to become the Messiah. I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discuss true gender equality and cooperative salvation when we examine the problem of sexist social order toda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ch an understanding toward True Parents God and True Parents Messiah. FFWPU holds the key to cure the problems of chaotic sexual conflict and sexual antagonism through innovative and reformative theological symbols and systems such as True Parents God, True Parents Messiah achieved through the marriage of True Father Messiah and True Mother Messiah, a sound ideal family centered on True Parents Messiah, and world peace that is realized by expanding such families. God as a man appeared on earth as the only-begotten son Jesus and died on the cross by carrying human sin through sovereign authority. Christian salvation theology reveals that salvation was realized and God's kingdom was constructed through the case for Christ centered on God the Father and Jesus the Son. However, such understandings toward the Messiah and God gave rise to various theological arguments. Ecclesiastical authority was established centered on the masculine representation of the Father God and the Son Jesus, and the feminine representation could not receive its due attention. God, the Father was absolutized, and the Jesus, as a symbol of man, was theologized.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male-dominated governmental system an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 where women were restricted as subordinate objects to men. Unlike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and Christology, which contain sexist interpretations, FFWPU reveals God as the True Parents who possess the nature of a father and a mother. By referring not only to the only-begotten son or True Father Messiah, who has appeared as the substance of the masculine nature of God, but also to the only-begotten daughter or True Mother Messiah, who has appeared as the substance of the feminine nature of God, FFWPU is revealing the True Parents Messiah as the subject of gender equality inherent in the work of salvation. FFWPU also explains that since creation is the substantial form of God, the parents of humanity, salvation is also a work that must be achieved by the only-begotten son, along with the only-begotten daughter, as the Messiah, the parents of humanity. Christian doctrine of God and Christology even threatens the universal order of humanity that serves God, our True Parents, and the ideal of true family and world peace. This theory of struggle that leads to the conflict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paradigm between subject and subject could not achieve true equality. Based on the FFWPU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people must know that man and woman must serve each other as God, and that they are absolute partners in achieving unity through love. Furthermore, FFWPU's True Mother Messiah theory emphasizes that man and woman must maintain absolute sex, purity and chastity, and must unite through mutually unchanging love to enjoy eternal trust and peace. Keywords: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rue Parents God, True Mother God, True Parents Messiah, True Mother Messiah, the only-begotten son, the only-begotten daughter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기독교의 여성신학이 주장하듯이 인류를 구성하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고 균형 잡힌 평등한 관계를 회복하고, 그와 같은 사회질서를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의 인류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는 취지에 동의한다. 인류의 오랜 역사를 통해 남성 가부장제 사회 아래에서 내재되어 온 여성차별적 문화와 사회적 현실, 여성 억압의 이데올로기 또는 메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여성해방운동과 그에 대한 신학적 응답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신학이기 때문이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남성 중심의 하나님과 메시아에 대한 해석이 남성 중심의 구원사상으로 해석되어 성차별적인 사회질서를 배태하였음을 인지하고 있다. 하나님은 단순히 아버지로 존재하는 분이 아니라 참부모로 존재한다. 또한 메시아도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한 남성이 홀로 이룰 수 있는 위격이 아니라 독생자와 독생녀가 성혼하여 참부모로서 이루어지는 위격이라고 말한다. 이와 같은 참부모 하나님과 참부모 메시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현대사회의 성 차별적인 질서의 문제를 살펴 볼 때, 진정한 성 평등과 협력적인 구원을 논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부모 하나님, 참아버지 메시아와 참어머니 메시아의 성혼을 통해 이루는 참부모 메시아, 이를 중심한 온전한 이상가정으로서 참가정과 확대된 평화세계 등 혁신적이며 개혁적인 신학적 상징과 체계를 통해 현대 사회의 혼란한 성 대립과 갈등의 문제를 치유할 단초를 갖고 있는 것이다. 남성이신 하나님이 남성이신 독생자 예수로 인간이 되어 나타났으며 주권적 권위로서 세상의 죄를 지고 십자가에서 죽었으며 전능으로 부활하였다. 기독교의 구원신학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를 중심한 예수 사건을 통해 구원이 도래하였으며, 하나님의 나라가 출발하였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시아 이해와 하나님 이해는 많은 문제를 낳았다. 남성적 표상만 남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를 중심으로 교권이 성립되었고, 여성적 표상은 주목 받지 못했다. 하나님 아버지만 절대화되었고, 예수의 남성으로서 상징만 신학화 되었다. 남성중심의 지배체제와 가부장적 가족구조가 현실이 되었고, 여성은 남성에게 종속된 소유물로 속박되어야 했다. 기독교의 성차별적인 신론과 그리스도론과는 달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하나님을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품을 함께 갖춘 참부모 하나님으로 고백하고 있다. 하나님의 남성성품을 실체적으로 전개한 독생자·참아버지 메시아와 함께 여성성품을 실체적으로 전개한 독생녀·참어머니 메시아를 말함으로써, 구원사역의 성평등적 주체로서 참부모 메시아를 밝히고 있다. 창조도 부모이신 하나님이 하나님의 형상을 실체적으로 전개한 것이며, 구원도 부모이신 독생자·독생녀가 함께 메시아로서 사역하여 이루어야 할 일이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인류의 보편적 질서인 참부모 하나님을 모시는 참된 가정과 평화세계의 이상마저 위협한 것이다. 이처럼 정반합적인 주체와 주체로서 갈등하고 대립하는 투쟁의 이론으로는 진정한 평등을 이룰 수 없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인간 존재 이해에 기초하여 남녀가 상호간에 하나님을 모시고 사랑으로 일체를 이루기 위한 절대적인 파트너임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참어머니메시아론은 절대성과 순결, 정절을 지키며 서로 변치 않는 사랑으로 하나 되어 영원한 신뢰와 안식을 누려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EtherCAT 기반 실시간 개방형 로봇 제어기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대부분의 기존 로봇 제어기는 자사의 업체에서 판매하는 하드웨어에 맞춰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폐쇄형 시스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변화하는 가공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 대처가 어렵다. 또한 공정 간의 연계가 매끄럽지 못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이에 유연하고 확장성이 좋은 개방형 구조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therCAT 기반 실시간 개방형 로봇 제어기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개방형 구조를 위해 자동화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인 EtherCAT으로 통신망을 구축한다. 개방형 제어기의 개발을 위해 Codesys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PLC 모션 제어 및 모니터링을 구성하였다. 모터 및 센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AB&T 사의 EasyCAT를 EtherCAT의 Slave로 구축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Codesys 소프트웨어를 통해 PC를 EtherCAT의 마스터로 구성하였다. 슬레이브는 EasyCAT 및 아두이노를 이용해 모터 및 센서의 데이터를 받고 마스터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계층 구조로 설계하였다. 시스템의 작업은 Hard real time task와 soft real time task로 나뉘어 처리한다. Hard real time task는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처리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설계된 EtherCAT 기반 실시간 개방형 로봇 제어기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봇 매니퓰레이터 및 센서를 슬레이브로 하여 제안된 시스템에 연결 및 실험하여 검증했다.
전통적인 제조업에 첨단 ICT 기술이 접목되고 네트워크로 연결되기 시작하면서 제조업의 사이버보안이 필수사항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폐쇄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갖고 있던 구조와는 달리 생산라인 내 사물들이 서로 통신하고 다양한 ICT 기술이 접목되는 제조산업의 공정 자동화 및 디지털화는 사이버 공격이 더욱더 증가하는 표적이 될 수 있다. 기존 제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ICT 기술과의 접목은 필수이나 제조업이 스마트팩토리로 가기 위한 필수 요건인 IoT 기반의 클라우드, 유무선 통신 등의 디지털화는 보안 위협을 더욱 증대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주요 스마트공장 보안표준을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보안 특성을 변별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보안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스마트공장 보안 항목을 바탕으로 특정 제조사의 위협을 식별하였으며 향후 보안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스마트공장 현장에서의 보안관리 고도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초임계수 산화 공정을 이용한 합성 다이아몬드와 흑연의 분리
다이아몬드는 고유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절삭재, 열전도체, 광학재료 등에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도체 등 전자재료의 가능성도 제시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의 소재적 가치 증가에 따른 수요 증대에 대응하기 위한 인공 다이아몬드 합성이 연구되어 왔고, 대표적인 방법으로 고온고압법과 화학적 기상증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고온고압법으로 합성된 다이아몬드의 경우 전환율에 따라 전환되지 못한 흑연이 잔존하게 되는데, 순수한 다이아몬드를 혼합상태에서 분리해 내는 것이 다이아몬드 합성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기존에 물리적 분리공정과 화학적 세정공정을 통한 분리가 연구되어 있는데, 물리적 분리공정의 경우 근본적으로 두 물질의 완벽한 분리가 불가능하고, 분리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거나 공정 변수 조절이 수월하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화학적 세정공정의 경우 강한 산화제등 화학약품이 다량으로 사용되고 폐수처리공정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하거나 높은 온도와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초임계수의 경우 이미 하수 슬러지나 고상의 유기물들의 산화처리 공정에 이용되고 있고, 밀도 조절을 통해 산소와 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염을 동시에 대상물질에 접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기존 합성 다이아몬드와 잔존 흑연의 분리 공정들에 대한 대체공정으로 제시되었다. 400 ℃의 반응온도에서 초임계수의 밀도가 0.357 g/ml가 되도록 고정시켰고, 우선 흑연만을 대상으로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의 농도, 알칼리 염의 종류 및 농도와 반응 시간을 조절해주며 촉매를 활용한 초임계수의 흑연 산화 양상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일정 산소 농도 및 반응 시간 이상에서는 유의미한 산화 반응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촉매로 사용된 수산화소듐, 수산화포타슘, 탄산소듐 및 탄산포타슘 중에서 포타슘을 양이온으로 하는 알칼리 염의 촉매 성능이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흑연과 다이아몬드를 일정 중량비로 섞어 동일한 초임계수 산화실험을 진행해 보았고, 탄산포타슘을 사용한 조건에서 다이아몬드에 손상 없이 흑연이 선택적으로 산화되어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공정 조건을 바탕으로 실제 다이아몬드 합성 업체에서 제공받은 합성 다이아몬드와 잔류 흑연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촉매를 활용한 초임계수 산화 공정을 시행하였고 FE-SEM, XRD 및 Raman spectrum 분석들을 통해 순수한 합성 다이아몬드가 얻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amonds have been utilized for cutting materials, thermal conductors, optical materials, and electronics based on their unique properties. They are considered material candidates for promising businesses such as semiconductors, so research on artificially synthesizing them is continuing to be developed. Synthetic diamonds are usually produced by high-pressure and high-temperature (HPHT)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es. Synthetic diamonds obtained in the HPHT process should undergo a post-treatment process to remove the metal catalyst and residual graphite. Separation through a physical separation and chemical purification processes has been propo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materials by physical separation completely, and chemical purification requires a large amount of strong oxidizing agents and a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 has already been used in treating solid wastes, biomass, and carbon sourc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olubility of homogeneous catalysts and oxygen by adjusting the density of the fluid. In this study, we use alkali metal salts as a homogeneous catalyst and hydrogen peroxide as an oxygen source so the catalyst and oxygen can contact the graphite surface directly. Reaction time, amount of oxygen, type, and concentration of alkali metal salts are studied in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 of graphite. We conclude that potassium salts have the better catalyst for graphite oxidation and using potassium carbonate damages diamonds less than sodium carbonate. Lastly, after treating synthetic diamond and residual graphite provided by Iljin Diamond Co., FE-SEM, XRD, and Raman spectrum were conducted. It was confirmed that only pure synthetic diamonds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 process using potassium carbonate as a catalyst.
초음파 속도법을 이용한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연구
콘크리트 구조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특성을 파악하는 비파괴 시험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와 시간에 따른 각종 성능저하현상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에 대한 유지관리, 신뢰도, 내구성, 안정성, 품질관리에 대한 문제점의 발생과 그 해결 과정에서 발전해왔다. 특히, 초음파 속도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손상 없이 지속적으로 시험이 가능하며, 내부 상태로부터 역학적 특성의 평가가 가능하나, 콘크리트의 강도 추정이나 균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역학적 특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하중 이력 상태에서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의 초음파 속도 변화 및 최대주파수, 동탄성 계수의 변화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초음파 속도는 콘크리트 강도의 67~94% 수준에서 급감하였으며, 동탄성 계수 또한, 초음파 속도와 비슷한 응력 수준에서 급감하는 양상을 나타났는데, 이는 초음파 속도를 통해 산정된 음향 임피던스를 활용하여 동탄성 계수를 산정하기 때문이다. 최대 주파수의 저하는 초음파 속도나 동탄성 계수의 영향이 아닌 하중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가 초음파 속도값이나 동탄성 계수가 적게 나타났고, 치환율의 증가에 따라 초음파 속도와 동탄성 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최대 주파수의 경우 치환율과는 상관없이 하중의 증가에 따라 저하가 진행되었다.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의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추후 3성분계, 4성분계 콘크리트와 치환율 50% 이상의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Nondestructive test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of concrete structure without its damage has developed in the process to solve problems in maintenance, reliability, durability, stability, and quality management for concrete along with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 and increased performance deterioration over time. Especially, ultrasonic velocity method makes it possible to continuously test without damage on inside of concrete using ultrasonic waves. With internal condition, assessment of mechanical characteristic can be made but estimation of concrete strength or study on crack were done only. However, systematic study about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 was poor. The author studied change of ultrasonic velocity and maximum frequency, and change characteristic of dynamic elasticity modulus for blended cement concrete in various load hysteresis. ultrasonic velocity rapidly decreased to 67%~94% of concrete strength and dynamic elasticity modulus also decreased to similar level of ultrasonic velocity. This is because dynamic elasticity modulus is calculated using acoustic impedance calculated through ultrasonic velocity. It was found that deteriorated maximum frequency is influenced by change in load not by ultrasonic velocity or dynamic elasticity modulus. Blended cement concrete showed lower ultrasonic velocity or dynamic elasticity modulus than general concrete. With increase of replacement rate, ultrasonic velocity or dynamic elasticity modulus tend to decrease. But in case of frequency, increased load led to deterioration of frequency regardless of replacement rate. For continued study of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blended cement concrete, it would be necessary to further study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three component system concrete, four component concrete, and blended cement concrete of replacement rate over 50%.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많은 사건, 사고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건, 사고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많이 도입되고 있는 것이 방범용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이다. 방범용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은 시, 군 경계 또는 차량 통행이 잦은 도로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통과하는 모든 차량의 사진을 촬영함과 동시에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문제 차량의 통과 시간 확인 및 도주 경로 파악에 이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건, 사고 발생 시 경찰 인력을 도주경로 쪽으로 집중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높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 이미 판명되었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기후 조건과 하루에도 많은 양의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 차량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된다. 기존에 제안된 방법 중 대표적인 내용은 레이저 검지 방식, 영상 검지 방식, 루프검지 방식 등의 방법이 있다. 레이저 검지방식은 비매설식 방법 중 가장 많이 선호되는 방법으로 정확한 검지와 설치가 용이하며 영상 검지 방식은 영상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번호판을 검지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검지 방식은 기존 카메라 외에 추가 장비가 설치되지 않아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다. 하지만 두 가지 방법은 기후조건(비, 눈, 안개)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오동작의 경우가 다소 발생되므로 현재 사용되는 방법 중 가장 선호되는 방법으로는 루프검지 방식이 있다. 루프검지 방식은 도로면에 루프코일을 매설하여 차량의 기계적 검지가 가능하여 제안된 검지 방식 중 정확하고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매설식 방식으로 설치 시 도로 혼잡을 야기 할 수 있으며 도로 보수공사 시 파손이 이루어 질 수 있어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 현재 교통정보 수집분야의 발전 방향은 매설식에서 비매설식 또는 무선통신기술로 전환되고 있다. 현재까지 매설식 루프검지기를 많이 활용 하였으나 점차 영상검지기, 적외선(Infra-red), 단거리 전용통신, GPS등의 비매설식이나 무선통신에 의한 정보 수집기술로 발전해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방법 외에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차량 검지 방식을 사용하여 차량검지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차량검지기를 제안하였으며 레이더 센서에서 카메라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센서 신호 증폭기 및 필터를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증폭기 및 필터를 Cadence사의 PSPICE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실험을 통하여 차량 검지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균열이 있는 자기치유 시멘트 복합체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유경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콘크리트의 균열은 물, 염화물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침투하는 경로가 되어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균열의 지속적인 성장은 궁극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의 악화로 이어져 사용수명이 저하하기 때문에, 균열 저감과 균열 유지보수 방안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진전을 제어할 수 있는 자기치유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연구되었다. 자기치유 콘크리트는 구조물에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유지하여, 구조물의 장수명화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내구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능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논문은 자기치유 내구성능 평가방법 중 염소이온 확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균열이 있는 자기치유 시멘트 복합체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기존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염소이온 확산계수 시험은 비균열부 확산계수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균열 시험체의 비균열부에 표면코팅을 적용하여 비균열부 염소이온 확산계수의 영향을 배제하였다. 그 결과 준정상태 도달 시간의 감소함과 동시에, 기존 시험방법의 가정(균열부와 비균열부의 전위차가 동일)이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시험 방법의 개선을 통해, 보다 정확한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구하여, 자기치유 성능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치유 재령의 경과에 따라,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임계 균열폭은 자기치유 재료가 균열에 형성되면서 서서히 증가한다. 동시에 균열 단면의 형상과 균열의 비틀림이 단순화되어 균열 형상계수를 감소시킨다. 임계 균열폭의 성장과 균열 형상계수의 감소는 자기치유 재료의 치유 성능에 따라 다르며, 각각 상한과 하한이 있는 임계 균열폭 성장곡선과 균열 형상계수 감소곡선으로 정립하였다. 균열부의 염화물 침투속도와 균열 자기치유를 고려한 균열 자기치유 모델을 제안하였다. 균열이 있는 휨 시험체의 염화물 침투 시험으로 해석모델을 검증하였다. 균열 자기치유 효과를 고려할 경우, 실제 염화물 침투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 개선한 시험 방법을 바탕으로 균열이 있는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제안한 균열 자기치유를 고려한 염화물 침투 예측 모델로 실제 구조물에서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양상 예측 및 부식 개시 시기를 평가하여 균열이 있는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평가와 예측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Cracks of concrete make paths for pene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water, chloride, etc., which can reduce durability of concrete, causing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s. The deterioration caused by the continuous growth of cracks reduces the service life of concrete structures. This has raised interest and demand to the development of self-healing concrete, which can suppress the formation and growth of cracks. Self-healing concrete is extremely effective in reducing the maintenance requirements of structures, maintaining their durability, and extending their serviceable life. The studies on evaluation methods for durability are ongoing becau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s in order to commercialize self-healing concrete. In this thesis,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cracked self-healing cement-based composites was evaluated with chloride diffusion a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for durability. During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test of existing self-healing cement-based composites, errors have been observed due to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the uncracked part. However, the errors could be mitigated by applying surface coating on the uncracked part in order to eliminate the impacts on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of the part. As a result, time to reach quasi-steady-state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has been proven that conventional testing methods’ assumption (potential of the cracked and uncracked parts is identical) is not tru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esting methods, a more accurat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has been calculated, therefore suggesting a possibility to re-evaluate the self-healing performance of the self-healing concrete. As self-healing progressed, the threshold crack width gradually increased because of the formation of self-healing materials and the crack formation factor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internal crack geometry. The rates of increase in the threshold crack width and decrease in the crack formation factor varied depending on the self-healing capacity of the material, and they were expressed as threshold crack width growing curve and crack formation coefficient decrease with upper and lower limits respectively. The crack self-healing model considering cracked part chloride penetration velocity and self-healing capacity was developed by using the threshold crack width growth curve and crack formation factor reduction curve. The chloride penetration analysis model considering crack self-healing was verified by a chloride penetration test of cracked bending specimen. When the crack self-healing effect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result as the actual chloride penetration could be obtained. This thesis provides an effective method to evaluate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of cracked self-healing concrete more accurately. The chloride penetration model of cracked self-healing concrete can be utilized to predict chloride penetration in self-healing concrete and the time to corrosion initiation in actual structures.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can be used to evaluate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self-healing concrete with cracks.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경험 및 욕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경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경험여부와 재활서비스 욕구정도가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재활서비스 경험여부와 욕구정도가 삶의 질을 매개로 하여 개인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이 2012년에 요양이 종결된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2,0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2013년과 2014년에 조사한 ‘산재보험 패널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기법으로 주요 관심사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매개변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Kenny의 방법으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재활서비스 경험여부는 의료재활서비스, 사회·심리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안내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 결과를 서열화 변수화 하여 설정하였고, 재활서비스 욕구정도는 재활서비스에 대한 필요정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2014년에 조사한 응답 결과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매개변수인 삶의 질은 우리나라와 OECD에서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12개의 지표 중 패널조사 설문내용과 매칭을 하여 일자리 만족도, 가족의 수입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친인척관계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총 6가지 만족도로 설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설정하였으며, 개인별로 측정된 일상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행복이라는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행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 변수 군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변수 구성을 토대로 행복이론 중 개인의 주관적·인지적 경험에 따라 행복이 결정된다고 보는 상향확산이론(bottom-up spillover theory)에 근거하여 재활서비스 경험여부가 개인의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첫 번째 가설을 설정하였고 즐거운 경험이 생기는 경우를 욕구 또는 욕망의 충족여부로 보는 욕구이론(need/desire theory)에 근거하여 재활서비스 욕구정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두 번째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독립변수들이 행복에 영향을 미칠 때 삶의 질이 매개효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가정하여 나머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삶의 질의 매개효과를 보기 위해 Baron&Kenny의 방법으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재활서비스 경험여부는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삶의 질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재활서비스 욕구정도는 행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삶의 질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가 행복이론 중 하향확산이론보다는 상향확산이론을 더욱 타당성 있게 뒷받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먼저, 근로복지공단이 산재근로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재활서비스 경험여부는 개인의 행복에 삶의 질을 매개로 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여 산재근로자 일부에 국한한 재활서비스 제공에서 탈피하여 모든 산재근로자에게 다양한 맞춤형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재활정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둘째, 재활서비스 욕구정도와는 삶의 질 및 행복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요양이 종결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재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서비스 A/S제도’ 등의 도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원직장 복귀를 포함한 다양한 직업복귀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재활서비스 경험과 직업복귀와의 영향관계에 관련된 정적인 연구들인 반면, 본 연구는 재활서비스가 개인의 삶의 질 또는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했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방법론 및 데이터를 활용한 다수의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져 재활서비스와 행복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연구결과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배출되는 탈수된 하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입경별, 함수율, 온도변화, 반응시간 변수별 연구를 통하여 최적의 탄화 슬러지를 제조 하였으며, 탄화된 슬러지를 산세척 하여 활성화제를 제조 하였으며,제조된 탄화 슬러지를 물리적 활성화법 및 화학적 활성화법을 통하여 활성탄 제조를 위한 흡착특성과 세공구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효율적인 활성탄 제조를 위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활성화에 따른 활성화모사장치는 스테인레스 원형관으로, 길이는 500mm, 내경은 85mm이다. 탄화반응기내 온도 유지는 1000℃까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제어장치가 장착된 전기로(CLF-T1320, SERIN, Korea)를 사용하였고, 탄화반응기내 가스 흐름을 고르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판을 설치하였으며, 출구와 탄화반응기내 온도측정은 K-type 열전대와 데이타 분석장치(Hydra Data Logger2625A, Fluke, USA)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불활성 분위기를 조성하기위하여 질소가스(100ml/min)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면서 승온온도 6.7℃/min으로 예열온도까지 승온 시켰다. 건조된 슬러지를 변수별 연구에서 함수율 10%, 입경변화에서는 0.25~0.5mm,온도변화에서는 600℃,반응시간에서는 60분에서 요오드흡착능값이 149.1㎎/g으로 최대값을 나타 냈으며, 이때의 수율은 30.9%로 나타 났다. 또한 하수 슬러지을 물리적 활성화 방법 중 수증기활성화를 할 경우와 하였을 때 수증기를 30ml/h로 주입하면서 500℃에서 60분 동안 활성화 반응시켜 얻을 수 있었으며, 이 때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은 각각 228.4mg/g과 102.3mg/g 그리고 비표면적은 231.25 m2/g으로 나타났다. 이 값들은 활성화 반응을 하지 않은 탄화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 슬러지을 물리적 활성화 방법 중 이산화탄소활성화를 할 경우와 하였을 때 이산화탄소를 79.86ml/min로 주입하면서 700℃에서 90분 동안 활성화 반응시켜 얻을 수 있었으며, 이 때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은 각각 272.53mg/g과 137.67mg/g 그리고 비표면적은 215.04m2/g으로 나타났다. 이 값은 수증기 활성화와 비교 했을때 요오드 흡착능은 증가 하였지만 비표면적 낮아 수증기 활성화보다 미세공의 발달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활성화제로 염화아연(ZnCl2)을 상용할 경우 적정 활성화 조건은 탄화시료 중량에 대하여 ZnCl2/탄화슬러지 혼합비 1.0 : 1.0, 활성화 온도 600℃, 활성화 시간 90분으로, 이 때 활성화물의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과 비표면적은 각각 317.82 mg/g과 136.75 mg/g, 그리고 277.51m2/g으로 나타났다. 염화아연으로 약품 활성화하여 제조한 활성탄의 경우 탄화물과 비교하여 상당한 세공의 발달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며 수율도 60.0%로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화제로 황화칼륨(K2S)을 사용할 경우 적정 활성화 조건은 탄화시료 중량에 대하여 K2S/탄화슬러지 혼합비 1.0 : 1.0, 활성화 온도 700℃, 활성화 시간 90분으로, 이 때 활성화물의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과 비표면적은 각각 299.8mg/g과 139.77mg/g, 그리고 133.07m2/g 으로 나타났다. 하수슬러지를 황화칼륨으로 약품활성화하여 제조한 활성탄은 탄화물과 비교하여 요오드 흡착능은 증가하였으나 비표면적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활성화 과정에서 미세공이 합체 또는 확장되어 10Å 이상의 세공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K2S-활성탄의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과 비표면적 값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을 고려해 볼 때, 세공이 발달은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화제로 탄산칼륨(K2CO3)을 사용할 경우 적정 활성화 조건은 탄화시료 중량에 대하여 K2CO3/탄화슬러지 혼합비 1.0 : 1.0, 활성화 온도 600℃ 활성화 시간 90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 때 활성화물의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과 비표면적은 각각 316.93mg/g과 130.76mg/g, 과 381.03 m2/g으로 나타났으며 수율은 46.0% 였다. 특히 하수슬러지을 황화칼륨으로 약품활성화 할 경우 상용 입상활성탄 보다 훨씬 뛰어난 흡착능을 가진 세공이 잘 발달한 활성탄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수증기와 그리고 이산화탄소로 활성화하여 제조한 활성탄 보다도 훨씬 뛰어난 흡착특성을 가졌다. 활성화제로 수산화칼륨(KOH)을 사용할 경우 적정 활성화 조건은 탄화시료 중량에 대하여 KOH/탄화슬러지 혼합비 1.0 : 1.0, 활성화 온도 600℃에서 활성화 시간 90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 때 활성화물의 요오드 및 메틸렌블루 흡착능과 비표면적은 각각 412 mg/g과 137.4mg/g, 그리고 363.92m2/g 나타났으며 수율은 43.3%였다. 하수슬러지를 수산화칼륨으로 약품활성화하여 제조한 KOH-활성탄의 흡착특성을 보면, 다른활성화에 비해 높은 흡착능 값을 보여주고 있어 세공이 상당히 발달한 활성탄이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활성화 반응 후 수율이 매우 낮은 것을 고려해 볼 때, 폐슬러지에 대한 수산화칼륨 활성화는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 까지 수행한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기성 하수슬러지를 재료로 하여 활성탄을 제조할 경우 물리적 활성화법 중 수증기로 활성화 했을때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약품활성화법 에서는 KOH가 가장 우수하고 다음으로 K2CO3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와 황화칼륨은 활성화물에 뚜렷한 세공의 발달을 일으키지 못하였으며, 특히 K2S은 활성화물에 세공의 발달을 축진 하였으나 비표면적 및 경제성을 고려 할때 활성화제로 부적합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