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국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난징시를 중심으로
왕원원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문초록 중국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 난징시를 중심으로- 王 園 園 指導敎授 李 成 基 社會福祉學科 社會福祉學 專攻 仁濟大學校 大學院 본 연구는 중국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중국 난징시에 있는 13개 관할 구역중에 쉬안우구(玄武湖區)의 84개 사구거주민위원회(社區居民委員會)에서 등록되어 있는 지체장애인 중 142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는 SPSS WIN 20.0으로 통계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t-검증(t-test),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조사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검증에서는, 성별, 혼인상태, 교육수준, 직업유무, 수입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84명으로 59.2%, 여자는 58명으로 40.8%를 차지하였다. 연령은 ‘20대 미만 및 20대’의 응답자가 47.2%, ‘30대’가 52명으로 36.6%를, ‘40대’ 13명으로 9.2%를, ‘50대 이상’이 10명으로 7%를 차지하였다. 혼인상태는 미혼자가 76명으로 53.5%, 이혼자가 16명으로 11.3%, 기혼자가 50명으로 35.2%를 차지하고 있었다. 교육수준은 무학 및 초등학교 졸업이 34명으로 24%, 중학교 졸업이 25명으로 17.6%, 고등학교 졸업이 48명으로 33.8%, 대학이상 졸업이 35명으로 24.6%를 차지하고 있었다. 직업유무 상황에는 직업이 있는 응답자가 77명으로 54.2%, 직업이 없는 자는 65명으로 45.8%를 차지하고 있었다. 월수입은 2500~3500위안(2015년 6월 환율 기준으로 약 45만에서 63만원)이 25명으로 32.5%, 3501~5000위안(63만~90만원)이 24명으로 31.2%, 2500위안 이하(45만원 이하)가 19명으로 24.7%, 5000위안 이상(90만원)이 9명으로 1.7%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 수는 3명과 4명 경우가 각각 33명으로 23.2%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고, 5명이 25명으로 17.6%, 6명 이상이 22명으로 15.5%, 2명이 18명으로 7.7%, 1명이 11명으로 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등급에는 4급이 55명으로 38.7%, 3급이 48명으로 33.8%, 2급 29명으로 20.4%, 1급이 10명으로 7%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수입과 사회적지지 중에서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변수인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직업유무, 가족 구성원 수, 장애등급,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 중국의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도가 평균은 3.13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중국의 지체장애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지지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전문가들이 더욱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국의 지체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 중 연구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난 정서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의 사회적지지망에 구축과 함께 물질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국가와 지역사회의 물질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life satisfaction for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depends 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base on Nanjing city in China Yuan-Yuan Wang (Advisor : Prof. Sung-Kee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thesis is research for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social satisfaction which from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By this study, we hop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For this matter, we have set the research topic and reviewed early researches about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Then we proposed the study model and theoretical hypothesis on this base.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is, we have surveyed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from 84 community residents' committee (社區居民委員會) in Xuanwu district(玄武湖區) which is one of 13 district in Nanjing city and have analyzed 142 copies of surveys. We have don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by SPSS WIN 20.0 and the summarized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humanistic features of sociology to test for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m,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career, income and so on are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Survey of the population are male in gender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84, occupy 59.2%, 58 women, occupy 40.8%. The age of respondents are 47.2% in 20’s, 30’s are 52 (36.6%), 40’s are 13 (9.2%) and 50’s are 10 (7%). The marital status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are 76 unmarried, occupy 53.5%, divorce, up to 16 people (11.3%), and 50 for the married, accounting for 35.2%. the education level are illiterate or primary school 34 people (24%), junior high school graduation, 25, (17.6%), 48, graduated from high school reached 33.8%, college degree or above in 35 (24.6%). For career, has employed 77 respondents occupy 54.2%, without work, 65 for the physically disabled to occupy 45.8%. Monthly income of RMB 2500 ~ 3500 (June 2015 is about 450000 to 630000 won) 25, accounted for 32.5%, from 3501 to 5000 yuan (630000-900000 won) 24 people (31.2%), below 2500 yuan (below 450000 won) 19 people (24.7%), more than 5000 yuan (900000) 9people (1.7%)。Families were three and four, respectively is 33 (23.2%) reached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number of families have five of a total of 25 people, accounting for 17.6%, 22 people have 6 families (15.5%), 18 people have 2 families occupy 7.7%, 11 people only have 1 families, occupy 7.7%. Disability level 4 are 55 people occupy 38.7%, level 3 are 48 people, reached 33.8%, levels 2 of 29 (20.4%), level 1 are 10 people (7%). Second, more and more people pay much attention on physically disabled people and their social life satisfaction in China. Third, more and more physically disabled people pay much attention on their self- esteem an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in China.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ociety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material in the sense of self-esteem has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variables of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family composition elements, disability grade and evaluation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facts have been confirm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embers of China disabled people's average life satisfaction is 3.13, it is not a high valu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of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s life satisfaction and need more experts and office of welfare service institutions for disabled persons. In specially, the results of research for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physically disabled people show that emotional support is meaningful. In order to improve the emotional support people need to build the life of the community social support. At the same time, material support is also meaningful, in order to improve the material support countries and communities need to strengthen the material support.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should study systematically about the self-esteem and Social satisfaction for the improve satisfaction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
맞춤형화장품 구매결정속성과 구매기대와의 관계에서 구매의도의 매개효과 : 중국 화베이ㆍ동베이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왕원원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중국은 내수시장 경제 활성화와 함께 화장품 시장 규모 및 성장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맞춤형화장품은 초기 진입 단계에 있다. 소비자들의 취향은 초개인화 마케팅 혁신과 나만을 위한 맞춤형화장품을 선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화베이ㆍ동베이 지역의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맞춤형화장품 구매결정속성이 구매기대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에서 구매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내용은 맞춤형화장품 구매결정속성, 맞춤형화장품 구매기대, 맞춤형화장품 구매의도의 총 48문항으로 구성하여 2022년 2월 25일부터 3월 30일까지 조사한 471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여러요인들과 관련성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China's cosmetics market size and growth rate are increasing every year along with the revitalization of the domestic market economy, but customized cosmetics are in the early entry stage. Consumers prefer super-personalized marketing innovation and customized cosmetics just for them.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customized cosmetics purchasing decision attributes on purchase expectation targeting adult women in Huabei and Dongbei regions of China. The research content consisted of a total of 48 items, including purchasing decision attributes for customized cosmetics, purchase expectations for customized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 for customized cosmetics, and 471 copies surveyed from February 25 to March 30, 2022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Data analysis was verifi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various factors and relevance.
본 논문의 목적은 한ㆍ중 이형동의어의 유형과 의미상의 차이를 분석하고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데에 정확한 어휘를 사용하고, 이형동의어 때문에 생긴 오류를 감소하고 중국인과 한국인 학습자가 상대의 언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에 있다. 먼저 한ㆍ중 이형동의어 친족호칭어를 추출해 분석하였다. 친족호칭어를 선정한 이유는 한ㆍ중 친족호칭어에 있어서 한자어가 대부분이고 비슷한 부분이 많으며, 오랜 세월 속에서 변함이 거의 없는 이형동의어가 많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여러 대학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어휘목록에 나온 한자어를 추출하여 그 중에 한ㆍ중 이형동의어의 비중을 살펴보았고 이형동의어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라 2음절 이형동의어의 어휘수가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절 이형동의어 부분에서는 선행연구에 나온 유형 뿐만 아니라 실제로 조사한 결과, 더 많고 다양한 유형들이 있다. 이형동의어는 중국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쉽게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교재에서는 한ㆍ중 이형동의어에 대한 보충적인 설명이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류가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은 이형동의어를 제시하면서 중국어의 사용양상과 한ㆍ중 의미와 형태상에 다른 점을 비교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많은 예문과 연습을 거쳐서 어휘의 확장을 통해서 더 많은 한자어를 습득하는 심화 단계가 있으면 더 효율적으로 한자어를 학습할 수 있다. 마지막에 한 교육 과정이 끝난 후에 교제에 나온 모든 이형동의어를 따로 한ㆍ중 유형별로 분류해서 제시하고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국 학습자가 한ㆍ중 이형동의어에 대해 보다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오류를 훨씬 줄일 수 있는 것을 확신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type and intention between the Korean and Chinsese Character Words with Different Form-Same Definition, so as to make the Chinese students who learning korean can use the vocabulary more accurately, avoid confusion and make the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to learn the languages more efficiently. Initially, the Chinese Character Words with Different Form-Same Definition appeared in clan salutation of both Korea and China has been classified and analyzed. The reasons for focusing on the clan salutation are it always be as the main and intial contents when learning a language. Moreover, there are much common in original Chinese Character Words both of Korean and Chinese which are no fundamentally change even after the passage of a long time. It has the value to work about it here. Next, this paper considers on the Chinese characters words presence in the Korean textbooks from some universities. The methods of analysis are the comparison and datamation proof of the Character Words‘ proportion, and the analysis of the various Character Words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results indicated the Character Words with 2-syllable had a largest number, and the type of Character Words with multi-syllable in this research were much more than in the results of current researches. Character Words is the most error-prone portion in language study for Chinese students. However, few explanation for it could be found in textbook. Thus, the approaching education scheme of the Character Words was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against the Character Words with alto frequency-error, compares the applications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patterns for students, and gets the strengthening by the far-ranging examples and practices. Moreover, depends on the word cre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 students could be practiced on the expansion of language, accordingly expand the quantity of the vocabulary and strengthen the proficiency of Character Words . Finally, after ending an education process, summarize the learned Character Words by type classification. Through previous analysis, convinced that this paper could afford some enlightens for Chinese language students whose learning Korean, accordingly apply and get the meaning about the Character Words more precisely and reduce the mistakes while the Character Words appear in the future.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위기로 인해 사람들의 친환경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녹색 생산과 소비의 대두, 다양한 관세와 비관세장벽의 낮춤으로 인해 선진국들은 환경보호의 명목으로 수입을 제한하는 각종 기준과 조치를 제정했다. 이와 같이 환경보호와 경제이익을 연결한 것이 녹색무역장벽이다. 녹색무역장벽의 출현은 국제무역에 거대한 영향을 가져왔다. 특히 중국의 농산품 수출은 녹색무역장벽에 직면한 가장 심각한 분야가 됐고 차가 그중에 하나다. 안휘성은 중국의 주요 차 생산지과 수출 지역이지만 최근 몇 년 간 안휘성 차 수출 무역의 증가 속도가 둔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유럽 연합, 일본과 미국 등 주요 차 수입국이 제정하는 농약잔류허용기준(MRL)을 위주로 하는 녹색무역장벽의 영향을 더 심각하게 받고 있다. 유럽 연합, 일본 등의 차 농약잔류 검사기준 지표가 다양하고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안휘성 차의 수출량과 수출액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세관 통계에 따르면 2006년에 유럽 연합과 일본은 수입차에 대한 더 엄격한 기준을 설립한 후 2006년 안휘성 차 수출 총량은 7.27% 떨어졌고 특히 1월부터 4월까지 유럽 연합에 대한 차 수출량은 34% 줄었고 일본에 대한 차 수출량은 15% 내렸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녹색무역장벽을 중심으로 안휘성 차 수출의 현황을 분석하여 안휘성 차 수출의 제약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안휘성 차 수출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있다. 중국 안휘성 차 수출은 기계화 수준의 낙후, 심가공의 부족, 차 품질 안전 문제, 일류기업의 부족, 차 기준 체계의 미비 등 내부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안휘성 차 수출은 녹색무역장벽의 심화, 보호무역주의의 부상, 치열한 국제 경쟁 등 외부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된 안휘성 차 수출의 대응방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차농과 차 기업에게 자금과 기술의 투입하여 기계화 생산을 촉진하여 생산 효율과 생산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친환경 생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홍보하여 차농이나 차 생산자의 친환경 생산 의식을 제고해야한다. 정부는 각종 정책 지원이나 자본 지원을 통해서 안휘성 차 수출의 일류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차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차의 품질 안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국제기준이나 선진국의 기준을 연구하고 참조하여 안휘성의 차 검사기준이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제정해야 한다. 둘째, 기업은 고표준 차밭을 구축하기 통해서 차의 생산 과정에서 금지된 농약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다양한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통해서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제품의 생산, 가공, 포장, 운송, 판매 모든 절차가 친환경 요구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안휘성 차 수출이 유럽 연합, 일본, 미국 등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위주로 한 녹색무역장벽을 돌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ause of environmental crisis is getting worse progressively, so people’s environmental awareness is getting better. Gr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s growing up, many kinds of tariff and non-tariff barriers to be lower, and many developed countries are start to limit the export by using the reason that they protect the environment. This kind of environment protect and contact with economy is what we called Green Trade Barriers. Green Trade Barriers already influence the international trade a lot. China’s agriculture products export is one of the worst influence of Green Trade Barriers, like the tea export. Anhui province is the main place of china tea’s produce and export, but the export trading of tea in Anhui was growing slower on recent years, because EU, Japan and The U.S etc, these countries made the MRL on the import cause of Green Trade Barriers. Because different countries have different limit for tea’s MRL like EU is different with Japan, Anhui province’s tea export amount was influence by this way very hard.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in 2006, EU and Japan set more strict standard, the total amount of Anhui tea’s export decreased 7.27%, especially from Jan to Apr, the tea export on EU decreased 34%, and 15% on Japan.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y to find out the Anhui Tea’s export problem by analysis the current situation of Anhui tea’s export under the Green Trade Barriers, and then to find the most suitable situation they will work to push the Anhui tea’s export develop. Anhui tea’s exports’ mechanization is still backward, risk on further processing, the quality safety problem of tea is grave, risk on corporate champion, and the problem of tea’s standard system still not complete etc. Anhui tea’s export also have problem on the deepening of Green Trade Barriers, trade protectionism gravely, and the global compete is also intensely. Thus this paper prove the coordinated scheme about Anhui tea’s export as follows: First of all, Government should give tea’s farmers and companies more money and technology to push the tea’s mechanized produ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 efficiency and quality. Government should give farms and companies a right guide to help them to know the important and necessary of green production. Government should help the corporate champion getting stronger by policy and money supporting, and government also need to monitoring and control all steps of tea before export like from plant to sell, this way can help control the tea’s quality safety can pass others countries import standard. And Government should compare and reference others developed countries standard, thus Government can put same standard on Anhui’s Tea to make sure our standard is same as global one. Second, Companies should establish high standard tea garden to avoid use banned pesticides when they planting the tea. Diversified brand strategy and marketing strategy can increase the export’s competitiveness. Tea products’ producing, processing, packaging, delivering and selling, all of those steps have to pass by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 Thus Anhui tea’s export can break through the Green Trade Barrier of EU, Japan and the U.S.’s MRL.
내몽골 사찰 벽화의 시각 예술 이미지를 응용한 문화 창의 제품 개발 : 미대소(美岱召) 사찰 벽화를 중심으로
왕원원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Chinese temple murals record images related to social life such as ancient architecture, characters, costumes, dances, music, tools, etc., and also depict the faces of gods and Buddhas beyond reality. Studying the artistic images of temple murals can provide reference value fo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provide important reference and inspiration for modern artistic creation. Temple murals can be seen everywhere in China, and Inner Mongolia also preserves a large number of temple murals. These murals are located in remote places, small in scale and lacking in influence, and are easily overlooked. What's more regrettable is that due to the long history, neglect of maintenance, natural disasters, war damage and other reasons, Inner Mongolia temple murals have suffered irreparable losses. Fortunately, some temple murals have been preserved intact, among which the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are the most numerous, most complete, and best preserved temple murals in Inner Mongolia, presenting extremely precious artistic images. At present, most of the research on the art of Meidai Zhao murals focuses on theoretical content such as tourism protection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a small amount is from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and some areas still need further exploration. Moreover, the research on Meidai Zhao murals is basically based on image analysis, protection and restoration,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re is some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most of them are simple copies of traditional artistic images, resulting in the symbo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being extremely weakened, leading to the bad situ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appearing to be rigid and superficial. Based on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paper is to take the visual image research of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as the entry point, combine modern technology, deeply analyze the secular images in the visual images, develop cultural creative products that meet the creative purpose, and apply them to modern life, meet the multi-level needs of modern people, and also add new design elements to modern art. This paper hopes to further think about the modern inheritance and innovation path of the culture and art of the northern minorities in Chin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predecessor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rategy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under the promotion concept of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taking Meidai Zhao murals as the main research object, develop cultural creative products with profound cultural value, aesthetic value and practical value, adapt to the needs of modern life, meet the market consumption demand, stimulate the internal vitality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industr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cause. This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from the aspects of cultural origin, cultural expression, cultural connotation, cultural value, etc., to promote the renewal and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traditional culture, and present Inner Mongolia with an open, inclusive, and inclusive cultural image.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on the visual image of Meidai Zhao murals in Inner Mongolia is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ltural creative products. This research can not only improve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Inner Mongolia's urban image, but also play a good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cultural creative industry in the future. In the research, the author creatively disseminates the temple culture of Inner Mongolia, allowing the originally cold historical relics lying in the murals to "come alive" and "move". Find the combination point of chasing the "timeliness" trend from Meidai Zhao murals, and achieve the purpose of truly promoting the propaganda and economic development of Inner Mongolia's culture. 중국의 사원 벽화는 고대 건축물, 인물, 의상, 춤, 음악, 도구 등과 같은 사회생활과 관련된 이미지를 기록하며 현실을 넘어 신과 불상의 얼굴도 묘사한다. 사찰 벽화의 예술적 이미지를 연구함으로써 중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 공할 뿐만 아니라 현대 예술 창작에 중요한 참고와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중국은 많은 지역에서 사찰 벽화를 볼 수 있으며, 내몽골도 다수의 사찰 벽화를 보 존하고 있다. 이러한 벽화는 외진 곳에 위치하고 규모가 작으며 영향력이 부족하여 쉽게 간과되곤 하였다. 더 유감스러운 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지 보수의 소홀, 자연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해 내몽골 사찰 벽화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은 것이다. 다 행히도 일부 사찰 벽화는 완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내몽골의 미대소 사찰 벽화가 가장 많고 완벽하게 보존된 사찰 벽화로서 소중한 예술적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현재 미대소 벽화에 대한 예술 연구는 대부분 관광지 보호 및 문화 발전과 같은 이 론적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건축적 관점에서도 일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른 영역에 대한 탐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미대소 벽화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미지 분석, 보호 및 복원, 문화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제 는 대부분 전통적인 예술적 이미지에 대한 간단한 복사물로 머물러 있어 문화 창의 제품의 상징적 특성이 매우 약화되어 문화 창의 제품이 단일화되며 피상적으로 보이 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내몽골 미대소 벽화의 시각적 이미 지 색채, 형태 등에 대해 연구하며 현대 기술을 결합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속세적인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창의적으로 문화 창의 제품을 개발하고 현대 생활에 적 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현대 예술에 새로운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 북부 소수민족의 문화와 예술의 현대 적 계승과 혁신 경로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하고, 국가 전통 문화 홍보 개념을 촉진하 며 문화 창의 제품의 개발 및 적용 전략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미대소 벽화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화적 가치, 미적 가치, 실용적 가치가 있는 깊이 있는 문 화 창의 제품을 개발하고 현대 생활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시장 소비 수요를 충족시키 고, 내몽골 문화 창의 산업의 내재적 활력을 자극하여 내몽골 문화 창의 사업의 발전 과 번영을 촉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기원, 문화적 표현, 문화적 함의, 문화 적 가치 등의 측면에서 탐구하여 내몽골 전통 문화의 갱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내몽골 을 열린, 포용적이며 풍부한 문화적 이미지로 제시하려고 한다. 동시에 내몽골 미대소 벽화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문화 창의 제품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하 려 한다. 이를 통해 내몽골 도시 이미지의 전략적 의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 래에 내몽골의 문화 창의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좋은 역할을 작용하는 데 기 여한다. 내몽골의 사찰 문화를 창의적으로 전파시켜, 원래는 벽화에 얼어붙어 있던 차가운 역사 문화유산을 살리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미대소 벽화로부터 시대 적 트렌드를 따라가는 연결점을 찾아냄으로써, 내몽골 문화의 홍보와 경제 발전을 실제로 촉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키워드: 사찰 벽화, 내몽골, 문화 창의 제품, 미대소, ‘성사유진(城寺遺珍)’
이머시브(immersive)의 특성을 적용한 무용창작 연구 : 작품[선택]을 중심으로
왕원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예술 창작과 표현 방식은 현저한 변화를 겪고 있다. 예술과 과학의 긴밀한 연관성은 더 많은 예술 장르의 창출을 촉진 시켰고, 예술의 표현 방식도 더욱 다양화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체 언어의 한 형태인 무용 또한 영향을 받으면서 무용 창작의 내용, 형식, 표현 수단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혁신되고 있다. 관객들의 미적 감각이 더욱 발전됨에 따라 많은 창작자가 안무를 창작 과정에서 관객의 체험 감과 참여도를 포함하는 것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최근 ‘이머시브’라는 표현 방식이 조용히 부상하면서 공연을 관람할 때 점점 더 많은 관객이 수동적인 관람 방식보다 적극적으로 공연에 참여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이머시브는 다양한 학문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데, 특히 예술과 공연, 교육, 오락, 의학, 건축 디자인, 영화 및 미디어, 관광 문화유산, 그리고 마케팅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예술과 공연 학계에서는 이머시브 무대미술 디자인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공간과 관객 참여의 관계, 관객과 배우 간의 상호작용, 멀티미디어와 투사 기술, 이머시브 극장에 대한 연구 등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른 분야의 사례 분석과 창작을 통해 이머시브가 보여주는 특성을 연구하였고, 이를 창작 과정에 적용하였다. 먼저 본 연구자는 이머시브 관련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바탕으로 이머시브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작품 『선택』에서 몰입의 특성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그중 이머시브의 체험성, 상호작용성, 다중 서사성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머시브의 주요 특성인 체험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다중 서사성을 중심으로 작품 창작 과정을 분석하였다. 뉴미디어 예술과 이머시브 체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몰입형의 개념과 정의를 이해하였고, 탐험형 Punch drunk 『슬립 노 모어』는 관객이 공간을 직접 탐험하며 이야기를 발견하는 구조를 통해 체험성과 상호작용성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안내형 『로드 극장 대학로』는 관객이 정해진 동선을 따라 이머시브 경험을 체험하는 사례로 분석된다. 게임형 『오늘 공연인데 뭐하지?』는 관객이 게임의 선택 방식을 적용하여 이머시브 체험을 진행한 사례로 분석된다. 작품을 중심으로 이머시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머시브 특성 중 중요한 요소들을 선별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 『선택』을 창작하였다. 이 작품은 다른 분야의 이머시브 연구에서 도출된 특성과 사례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무용의 표현 방식이 더욱 다채로워졌을 뿐만 아니라 관객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이머시브 무용창작을 할 수 있었다. 무용창작과 이머시브의 결합은 전통적인 관객과 공연 간의 관계를 초월하며, 다중 서사와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관객이 다양한 경로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작품 『선택』은 게임화된 상호작용, 공간 탐험 및 다중 서사성 특성을 결합하여 관객이 자신의 선택을 통해 무용수와 함께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고, 이를 통해 관객은 무용 작품의 서사에 진정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관객의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무용 표현에 더 많은 층위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이는 이머시브 특성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무용창작의 사례로, 무용과 관객 간의 새로운 관계를 구축하며 무용 예술의 표현 방식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rtistic creation and expression have changed significantly.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art and science has promoted the creation of more art schools and made artistic expression more diverse. In this context, dance, a form of body language, has also been affected, and innovations have been made in the content, form, and means of expression of dance creation. With the increasing development of the audience's aesthetic awareness, many creators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adding the audience's experience and sense of participation in the choreography creation process. Recently, with the quiet rise of the so-called "immersive" performance method, more and more audiences pref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when watching a performance, rather than passively watching. In this paper, immersion provides a way for the audience to experience in dance analysis. The theme of this paper is to use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on to study dance creation. First, the researcher examines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immersion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on are used from other fields, and extracts the application of three characteristics of immersion in dance. Dance, as a unique body language expression, combines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sensory experience and interaction of the body, bringing different experiential artistic expressions to the audience from different angles and directions, and finally forms a complete interactive narrative experience. Finally, the researcher analyzed his own work "Choice" and designed a game-like experience in the work,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stories with different narratives, and combined with carefully choreographed dance movements, the audience's sense of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n interaction increased. The audience was encouraged to interact with the dancers after making different choices, so that the audience could truly participate in the narrative of the dance work. This method increases the audience's sense of immersion and adds more levels to the dance expression. Through unique performance methods and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immersion are perfectly used, showing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effect of immersion characteristics in dance creation. Through in-depth analysis, this article further prove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immersion characteristics in dance creation.
왕원원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ShanZhai which currently prevails in China. The so-called phenomenon of ShanZhai starts with ShanZhai cell phones and spreads in China quickly through internet to such an extent that it shows up in every aspects of the people’s life and gradually becomes a unique culture in China. The word of ShanZhai seems not to be strange to Chinese people. This word originally refers to fortresses which were occupied by bandits or thieves and used by them to fight against the government authorities. Currently, this word primarily refers to a massive cultural phenomenon which develops by ways of copying, imitating or playing tricks on others, and in the nature of subcultu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vel, deconstruction, anti-intellectualism and post-modernism. In the year of 2008, the phenomenon of Shanzhai spread across China, and before some people understood what it meant to be, Shanzhai products and other Shanzhai phenomenon already appeared all over China, for example, Shanzhai cell phones, Shanzhai make-ups, Shanzhai handbags, Shanzhai watches, Shanzhai wood floors, Shanzhai websites, Shanzhai celebrities and Shanzhai movies, etc.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ategories of Shanzhai products are getting more and more, which involve almost every aspects of people’s life, including such electric products as cell phones, flat-screen TVs, autos, notebooks, MPS, also including drinks, detergents, instant noodles, even including McDonalds, KFC, and Pizza Hut. Among all of these Shanzhai products, Shanzhai cell phones are the most. CCTV investigated and reported in June 2008 the Shanzhai cell phones in the city of Shenzhen, and on December 2, 2008, the News Program on CCTV also reported it, and as such, Shanzhai products were finally noticed by main stream media. In November of 2008, a Shanzhai street was found in Nanjing, which was occupied by Shanzhai LiNing, Shanzhai QuChenShi, Shanzhai Haagen-Dazs. In December 2008, Shanzhai CCTV Spring Festival Gala appeared. And from then on, Shanzhai products evolve from IT products to garments, food and drinks, and filming; from digital products to cultural products, from a pure economic activity to cultural phenomenon. shanzhai products are created and spread by the young generation, primarily those who were born in the 80’s in last century. So, Shanzhai culture is also one of the showings that young people changed their ways of speaking. The young generation, who grew up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outside world, have their own way of speaking. Older generations, who are bound by thousands of years’Chinese traditions, express themselves by a serious and introversive way.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outside world, cultural pluralism makes the young generations intend to grow up in an entertaining environment. The inconsistency between traditions and the speaking way of the young generations necessarily shocks the traditional way of speaking. And in the meantime, the young generations are faced with more pressure of survival and therefore they are forced to find a more convenient way of speaking to get themselves relieved. The Shanzhai culture has brought this effect in some degree. Shanzhai culture may make them relaxed and show their own personalities. When the young recipients are getting more and more, and more and more people accept the entertaining ways, Shanzhai becomes hot in the internet. In the age of quick consuming, the cropping up of Shanzhai products across the country is a showing that consumers come to recognize the Shanzhai products in some degree. In a society of cultural pluralism, Shanzai products have satisfied the various needs of people. No matter what motivates the emergency of shanzhai products, imitation or innovation, Shanzhai culture, which originates in the lower class of people, is a supplement to the mainstream culture, and reflects the shortcoming of the mainstream culture. This is also the reason why Shanzhai products are viable and prosperous. However, if people want to develop shanzhai products and shanzhai culture, reform and local-based innovation must be made, and laws and ethical rules must be followed. Only in this way could Shanzhai products be well developed; otherwise, it would only be a temporary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China’s economic transmission, and would be forgotten soon. 본문의 연구대상은 최근 중국에서 성행하고 있는 산자이<山寨> 현상이다. 산자이 현상이란 산자이 휴대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까지 확대됨으로써 중국 특유의 산자이 문화가 형성된 것을 일컫는다. '산자이'라는 단어는 중국인에게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산자이'라는 단어는 원래 역적과 도적이 관아에 맞서 산에 들어가 자신들만의 세계를 만들어 왕 노릇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산자이'의 단어 뜻은 표절, 모방, 패러디 등의 수단을 통해 발전한 것을 의미하며 반권위적이고 반주류적이며, 광기적이고 해체적이며, 반지성적이고 포스트모더니즘을 상징하는 하위문화적인 대중문화현상이다. 2008년 '산자이'열풍이 중국 전역을 휩쓸었다. 사람들은 '산자이'의 의미도 정확히 모르는데 '산자이'라는 이름의 사물과 현상이 온 천지를 뒤덮었다. 짝퉁 휴대폰, 산자이화장품, 산자이명품시계, 산자이바닥재, 산자이사이트, 산자이연예인, 산자이영화 등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산자이제품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핸드폰, 평면TV, 자동차, 노트북, MP3 등 전자제품과 음료, 세제, 라면 등 생활필수품에서 맥도날드, KFC, 피자헛 등 유명 외식브랜드까지 산자이 열풍을 피해갈 수 없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산자이폰이 단연 으뜸이다. 중국 CCTV는 2008년 6년 심천의 '산자이 휴대폰'시장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뤘고, 2008년 12월 2일자 <신문연보(뉴스 프로그램)>에서는 이에 대한 보도까지 내보냈다. 산자이가 드디어 주류무대에 등장한 것이다. 2008년 11월 난징(南京)에서는 산자이 거리가 등장해 Li-Ning, Watsons, Hagen-daz등의 산자이판 가게가 등장하였다. 2008년 12월에는 산자이판 춘완(春晚)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산자이 현상은 IT업계에서 의류, 음식, TV·영화 등 모든 업계로 급속히 확산되었고, 디지털 제품에서 정신문화 제품에 이르기까지, 단순 경제행위에서 일종의 문화 현상으로 탈바꿈하였다. 산자이문화의 창조자와 전파자는 ‘80’년대 생을 주력으로 하는 젊은 세대로 산자이문화는 젊은 대중의 발언방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개혁개방 이후 성장한 젊은 세대는 자신만의 독특한 발언방식이 있다. 수 천년 동안 이어져온 속박과 관습으로 인해 구세대들의 발언방식은 진지하고 내성적이며 함부로 말하거나 웃지 않는다.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사회는 젊은 세대에게 다양한 문화를 제공해주었고 그들은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고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생활했다. 따라서 전통방식과 젊은 세대의 발언방식의 불일치로 전통발언방식에 대한 충돌이 발생하였다. 또한 젊은 세대는 경쟁에 대한 압박이 커 가장 빠르고 편리한 발언방식을 찾아 분출하고자 한다. 그런 면에서 산자이문화는 젊은 세대에게 즐거움을 가져다 주었고, 누적된 피로를 풀게 하였으며 개성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었다. 젊은 관중이 많아지고 갈수록 많은 사람들이 오락방식을 수용하게 되면서 산자이는 인터넷에서 가장 뜨거운 현상이 되었다. 빠른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대에 산자이제품, 산자이문화가 끊임없이 나타나는 것은 한편으로는 소비자가 산자이를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원화된 사회에서 산자이는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켜주었다. 규범을 출발점으로 하든 창조에 입각하든 풀뿌리계층에서 비롯된 산자이는 주류를 보완해주고 주류의 부족함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 역시 산자이의 생명력이 왕성한 이유다. 산자이제품과 산자이문화가 발전하려면 제품과 문화를 개혁해야 하고 ‘현지화’된 창조, 형태상의 창조를 진행하고 법률을 준수하며 사회의 기본윤리도덕을 지켜야 하는데 이것이야 말로 ‘산자이’가 진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길이다. 그렇지 않으면 산자이는 중국의 사회전환기에 나타난 반짝스타로 전락하여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빠르게 잊혀질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 의태어의 의미론적인 특징과 형태론적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양 언어의 의성어와 의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의미론적인 특징에 따라 사람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사물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자연현상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동물에 관련된 의성어와 의태어 등으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의미 범주에 따라 대응 목록을 작성해 보았으며 가능하면 많은 목록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 짝이 어감의 차이를 가지고 공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그 목록을 작성할 때도 양성 의성어, 의태어와 음성 의성어, 의태어를 구별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이와 달리 중국어는 음성 형태 자체의 특성도 있으나 뜻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국어와 같은 어감 차이를 동반하는 진정한 의미의 음성 상징은 없다. 다만 남녀 차이로 인하여 의미적으로 미세한 어감 차이를 나타낼 수 있고 양성 의성어, 의태어와 음성 의성어, 의태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같은 명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 다른 첩어를 붙이거나 다른 명사, 동사나 형용사 뒤에 같은 첩어를 붙여서 미세한 어감 차이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예: 红通通,红扑扑;肥嘟嘟,胖嘟嘟)이 밖에 얼화음(兒化音)과 성조를 통해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본고에서 의성어와 의태어는 형태론적으로 음절수에 따라 나누었다. 1음절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의성어, 의태어는 모두 AA형으로 형성되는 공통점이 있고 3회, 4회를 반복하여 AAA형, AAAA형도 형성될 수 있다. 2음절에서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는 모두 AA형과 AB형이 있다. 2음절부터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접사‘-거리다, -대다, -하다’등과 결합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중국어는 이런 특징이 없다. 3음절에서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는 모두 수가 많지 않고 AAB형과 ABB형이 있다. 4음절에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는 AB형으로 형성되는 ABAB형이 있다. 중국어는 이와 달리 AB형으로 형성되는 ABAB형뿐 아니라 AABB형도 있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는 ABCC형과 ABCD형도 모두 존재하고 수가 많지 않다.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의미, 형태적인 특징에 대한 대조 작업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중국어를 배울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앞으로도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교육방안을 작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本論文的研究目的是通過對現代韓國語和中國語意思和形態特徵的觀察與分析,對兩國的擬聲詞和擬態詞進行對照,找出其共同點和不同點。因爲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分別具有不同的特點,所以希望本研究能夠使人們對韓國語和中國語進行更深一步的了解。 擬聲詞和擬態詞按照意思分類的話,可以分爲於人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於事物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於自然現象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於動物有關的擬聲詞和擬態詞。本文按照這樣的意思分類,盡最大可能努力查找出相互對應的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並且以表格形式羅列出來。特別是韓國語中,擬聲詞和擬態詞的陰性母音和陽性母音的語言色彩不同,而且大部分情況下陰性母音和陽性母音又是同時存在的,所以在製表格的過程中把陰性擬聲詞和擬態詞,陽性擬聲詞和擬態詞進行了區分。而中國語則與韓國語不同,中國語在發音方面有其獨特的一面,但是由於中國語是表意文字所以並不像韓國語一樣具有語感差異的音聲象徵特點。但是,中國語擬聲詞和擬態詞通過男女性別在伊斯也能夠產生語感上的差異,可以分爲陽性擬聲詞和擬態詞, 陰性擬聲詞和擬態詞。另外,中國語擬聲詞擬態詞具有名詞,動詞或是形容詞後面與不同的曡語結合的特點;或是不同的名詞,動詞和形容詞語相同的曡語結合。通過這種不同的結合,能夠帶來語感上的差異。例如,紅通通,紅撲撲;肥嘟嘟,胖嘟嘟等。除此之外,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的語感上的差異還可以通過兒化現象和聲調來表現。 本文在形態方面把擬聲詞和擬態詞按照音節數進行了分類。在1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的共同點是都具有‘AA’形. 2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都具有‘AA’和‘AB’兩种形態。從2音節開始,韓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具有與 ‘-거리다, -대다, -하다’ 等綴詞結合的特點,而中國語沒有此特點。在3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都不是很多,有‘AAB’和‘ABB’兩种形態。4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都具有由‘AB’形成的特點,但是不同的是韓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形成了‘ABAB’形,而中國語可以構成‘AABB’形和‘ABAB’形。除此之外,在4音節中韓國語和中國語都存在‘ABCC’形和‘ABCD’形,但是它們的數量並不是很多。 通過對韓中擬聲詞和擬態詞的對照研究,希望能夠對學習韓國語的中國人和學習中國語的韓國人在學習過程當中帶來很大的幫助。並且希望對以後制訂韓國語和中國語的擬聲詞和擬態詞有關的教育方案也帶來幫助。
Construction of an Evaluation System for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Focusing on Shandong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WANG YUANYUAN Dept. of Design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The science museum as an important cultural and educational venu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stering children's scientific literacy and creativity. In recent years, the reform of children's education,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promotion of digital exhibitions, and the increased societal focus on children's development have all contributed to a new demand for the design and updating of interior exhibition spaces for children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This study explores the features of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and the relevant user analysis, aiming to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tailored to these spaces. Additionally,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a design improvement method that aligns with the inherent attributes of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The research begins with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features and evaluation systems for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s in Chinese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By conducting case studies and analyzing relevant data from the CNKI database on first-tier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in Eastern China, original evaluation indicators for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s were collected. The initially constructed original indicator system was validat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expert surveys, ultimately leading to the formulation of an evaluation indicator system. Furthermore,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as employed to build a hierarchical structural model of the evaluation indicator system, resulting in a weighting table derived from the pairwise judgments made by expert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Subsequently, the research applies these findings to a case study of the Shandong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where a quantitative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 was conducted. This evaluation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evaluation indicator system, from which optimization strategies were derived. This study offers a methodological contribution to the evaluation system of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It effectively filters relevant indicators, analyzes their weightings, and identifies opportunities for design improvements. Moreover, the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 system serves as a comprehensive reference guide for design work within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s, promoting their overall development. Key words: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Children's interior exhibition space, Evalu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