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서예의 대외교섭에 관한 연구

        왕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Since Korean calligraphy has a long history, it is indispensable to study its developmental history,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 process systematically. China is a country of calligraphy, so the contents of calligraphy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seem to be more important. Calligraphy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s a subject of Korean doctrine and a member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are also about the creation of foreign negotiations for Korean calligraphy. In Korea, calligraph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began to appear. In each era of history, all of them were active, importing and studying fashionable styles from China,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indigenous to the calligraphy styles by adding the aesthetic and nature values of the self-ethnic people. It has also studied the new calligraphy styles emerging from China in the form of ‘Acception-Convergence-Indigenousization’. Therefore, the text discussed the background of the Korea-China calligraphy negotiations, the change of the calligraphy styles, and the negotiation of literature according to the flow of Korean history. In addition, the main flow of calligraphy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as organized and supplemented with the foreign negotiations of Korean calligraphy.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hapter I summarizes and introduces the research objectives and significance and prior research methods and scope of this paper. Chapter II studied the foreign negotiations of calligraph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three kingdom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discussed the situation of learning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making it a background for negotiations on calligraphy. Through the calligraphy works and documentary records, the process of negotiating popular calligraph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stud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calligraphy style and the causes of its formation were summarized. At the same time, each of the three countries wrote an essay on their influence on Japanese calligraphy. In the chapter Ⅲ studied the foreign negotiations of calligraph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illa analyzed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calligraphy style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reason for the drastic change in Silla’s calligraphy is that Unified Silla sent many Sukwi, Confucian students, and Confucian scholars to Tang Dynasty to actively study Tang Dynasty’s advanced culture and systematically learn calligraphy, such as a map of law, Calligraphy Formation, the appearance of a tombstone. At the same time, Wang Hui-ji’s the semicursive style of writing and cursive characters were admired, and calligraphers who could identify their names first appear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due to these factors. And, Unified Silla served as the middle ground for negoti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conveying its calligraphy style to Japan. In Chapter II, studied the foreign negotiations of calligraphy during the Goryeo Dynasty. Early in the founding of the Goryeo Dynasty, calligraphy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calligraphy was established, and the past system was modeled after the old state examination of the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dynasties. This made calligraphy education a norm and made calligraphy important to literator. Goryeo uses Buddhism as its national religion, so Buddhist calligraphy is sophisticated. In the mid-term, Monk Tanyeon was well-educated and good at calligraphy, and he formed the “Tanyeon calligraphy school” with his successors. In the late period, King Chungseon’s retainer deities became popular for more than two hundred years after they were absorbed in the calligraphy style of Jo Maeng-bu and imported it into Goryeo, mainly breaking the phase occupied by Guyang-sun calligraphy and Wang Hui-ji calligraphy. In Chapter Ⅴ, studied the foreign negotiations of calligraphy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days, Songseol calligraphy was mainly composed of Songseol calligraphy, and Yi Yong of Prince Anpyeong was renowned for his calligraphy to the extent that it was an honor for even the envoy of the Ming Dynasty to receive his calligraphy. In the mid-term, Neo-Confucianism was strengthened, and some of the nobility neglected calligraphy, but calligraphers, including Han Ho, were also created. His calligraphy was not only loved by Joseon retainer but also admired by envoys from the Ming Dynasty. During the late period, Joseon rejected Qing culture when it faced the issue of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ming to qing’. The calligraphy of this period was based on the style of “Donggukjin calligraphy”, which was calligraphy style of Joseon, in pursuit of one’s own style without imitating the Qing Dynasty. Increasingly, the nobility did not neglect calligraphy, and Joseon's introductory writings were also created. The envoys imported Chinese paintings in large quantities, negotiated directly with the Qing writers, and some well-informed writers gradually changed their attitude of rejecting the Qing Dynasty and actively began to learn knowledge such as epigraphy and archaeology of the Qing Dynasty. At the end of the year, Kim Jung-hee and other literary calligraphers communicated and exchanged directly with scholars such as Ong bang-gang and Wan-won of the Qing Dynasty, and there was a “tombstone study” calligraphy style in Joseon. Its influence has been conveyed so far, creating many situations in the modern Korean calligraphy style with tombstone style. The Joseon Dynasty, which underwent a drastic change after the invasion of Japan, also underwent a modern period in which the cultivation of calligraphic talents was changed to modern methods. The chapter Ⅵ summarizes the background of calligraphy negotiations in each era of Korea, the new calligraphy style accepted through foreign negotiations, and the indigenous calligraphy style and characteristics created accordingly. Using history as a mirror, raised something to refer to in the modern Korean calligraphy regarding foreign negotiations on calligraphy. 한국서예는 긴 역사를 가졌기 때문에 그 발달사ㆍ서풍특징ㆍ변천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려면 서예의 대외교섭에 관한 내용은 불가결(不可缺)한 것이다. 중국은 서예의 종주국으로서 한ㆍ중 서예 교섭에 관한 내용은 더욱 중요해 보인다. 일본은 한국의 교린 대상이자 한자문화권의 구성원으로서 한ㆍ일 서예 교섭도 한국서예 대외교섭의 조성 내용이다.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본국의 서예 작품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역사상 각 시대는 모두 적극적인 자태로 중국에서 생긴 유행서풍을 수입하며 공부하는 동시에 자민족의 심미관과 성정(性情)을 가미하여 토착화된 서풍을 이루었다. 또한 ‘수용-융합-토착화’라는 형식으로 중국에서 새로 출현한 신서풍을 공부해 왔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한국 역사 흐름에 따라서 한ㆍ중 서예교섭의 시대배경ㆍ서풍변천ㆍ문인교섭 등을 토론하였다. 그리고 한ㆍ일 서예교섭의 주된 흐름을 정리하고 한국서예의 대외교섭에 관한 보충을 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제Ⅰ장에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의의ㆍ선행 연구ㆍ연구 방법과 범위를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제Ⅱ장에서 삼국시대 서예의 대외교섭을 연구하였다. 고구려ㆍ백제ㆍ신라 삼국에서 각자 한자 문화를 배우는 정황을 토론함으로써 서예교섭의 배경으로 삼았다. 전해진 서예 작품과 문헌 기록을 통해 삼국시대 대중 서예 교섭의 과정을 연구하고 각 나라 서풍 특징과 형성 원인을 요약하였다. 동시에 삼국이 각자 일본 서예에 미친 영향을 논술하였다. 제Ⅲ장에서 통일신라시대 서예의 대외교섭을 연구하였다. 신라는 한반도 통일 전ㆍ후에 서풍은 확연히 변화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통일신라는 당나라에 많은 숙위ㆍ유학생ㆍ유학승을 보내어 적극적으로 당나라의 선진 문화를 수용하며 체계적으로 당나라 서예의 법도ㆍ서의ㆍ비의 형제(形制) 등 서예 문화를 배우게 한 것은 신라 서예에 급격한 변화가 생긴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구양순 해서를 배우는 동시에 왕희지의 행ㆍ초서도 흠모하였는데, 위와 같은 여러 요소 때문에 통일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서예가들이 나타났다. 동시에 통일신라는 중ㆍ일 교섭의 중간 역할도 맡으며 자신의 서풍과 문방제품을 일본에 전하기도 하였다. 제Ⅳ장에서 고려시대 서예의 대외교섭을 연구하였다. 고려 건국 초에 이미 서예 교육을 중요시하고 서학박과ㆍ서학을 설립하며 당나라의 과거제도를 본받아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이것은 서예 교육을 규범화시키면서 문인들로 하여금 서예를 중요시하게 하기도 하였다. 고려는 불교를 국교(國敎)로 삼아서 불교 사경 서예는 정묘하다. 중기에 탄연 스님은 학식이 있고 서예에 능하기도 하였는데, 그의 후계자들과 같이 ‘탄연서파’를 이루었다. 후기에 충선왕 군신들은 조맹부의 서풍에 심취하고 고려로 수입해서 주로 구양순체ㆍ왕희지체가 차지한 국면을 타파한 뒤 송설체가 여말선초 이백여 연간에 유행하였다. 제Ⅴ장에서 조선시대 서예의 대외교섭을 연구하였다. 조선 초기에 송설체를 위주로 하고, 안평대군 이용은 청출어람하여 명나라 사신도 그의 서예를 받은 것을 영화스러운 일로 여길 정도 서예의 명성을 떨쳤다. 중기에는 성리학이 강화되고, 일부 사대부는 서예를 홀시하지만 한호를 비롯한 서예가도 생기기도 하였다. 그의 서예는 조선 군신들이 좋아할 뿐만 아니라 명나라 사신의 추앙을 받기도 하였다. 후기에 ‘명청교체(明清交替)’의 정치적인 문제에 직면할 때 조선은 청나라 문화를 배척하였다. 이 시기의 서예는 청나라를 본받지 않고 자신의 풍격을 추구해서 조선 서풍을 띤 ‘동국진체’가 나타났다. 점차 사대부들은 서예를 등한시하지 않게 되고, 조선의 서론 저술도 생겼다. 연행 사절들은 대량으로 중국 서화 작품을 수입하고 청나라 문인과 직접 교섭하며 연행 사절 중에서 일부 식견이 있는 문인들은 점진적으로 청나라를 배척했던 태도를 바꿔 적극적으로 청나라의 금석학ㆍ고증학 등 지식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말기에 김정희를 비롯한 문인 서예가들은 청나라 옹방강ㆍ완원 등 학자들과 직접적인 소통과 교류를 통해 이 시기에 조선에서도 전서ㆍ예서ㆍ금석 서예를 숭상하는 ‘비학’ 서풍이 나타나며 그 영향력이 지금까지 전해져 현대 한국서단에 이른바 ‘십인구비(十人九碑)’라는 비학 서풍을 띤 글씨가 많은 국면이 형성되었다. 일본의 침입 이후 급격한 변화를 맞은 조선도 근대 시기를 맞이하였는데, 서화 인재의 양성도 근대적인 방법으로 바뀌게 되었다. 제Ⅵ장에서 한국 각 시대 서예 대외교섭의 배경, 대외교섭을 통해 수용된 신서풍, 이에 따라 생긴 토착화된 서풍과 특징을 정리하고 요약하였다. 역사를 거울로 삼아 현대 한국서단에 서예 대외교섭과 관련하여 참고로 할 만한 것을 제기하였다.

      •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Relational Contract

        왕분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Self-efficacy can affect people's behavior choice, motivated effort, cognitive process and emotion procedure. Such being the case, this thesis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der-member exchange (LMX), relational contract and turnover intention by studying 374 nurses from 6 different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Korea) from a holistic view. The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was justifi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While the regression analysis presented the hypothesis that relational contract has no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failed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LMX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managers has also been presented.

      • <杜詩諺解>의 虛辭 번역 양상에 대한 연구

        왕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1632년에 간행된 중간본 ≪두시언해≫ 25권을 대상으로 한문 허사가 대역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 번역상의 득과 실을 짚어 보는 동시에, 당시 번역자들의 허사 번역에 영향을 준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의 2장은 ‘두시(杜詩)’와 杜甫에 대한 소개 및 한문의 ‘허사’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는 장이다. 3장에서는 부류별 허사의 대역어를 분석하여 실제 ≪두시언해≫에서 각 허사에 대한 번역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구체적인 허사의 대역어 관찰을 통하여 허사 번역 시 오역이 나타나게 되는 원인을 정리하였다. 이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作詩의 교과서로서 번역을 할 때에는 주로 한자의 訓을 중심으로 축자적인 번역을 한 듯하며, 일부 대역어는 지나치게 한자 訓에 얽매여 번역이 되고 있다. 둘째, 문장 안에서 해당 한자가 실사로 사용된 것인지 허사로 사용된 것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 경우나, 가차자를 잘못 판별한 경우에도 오역이 이루어졌다. 셋째, 과거의 주석 고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본래의 주석을 받아들여 번역한 경우 오역이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두시언해≫에 쓰인 허사와 그 대상 허사의 대역어를 색인 형식으로 만들어 ≪두시언해≫ 허사 번역 양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는 중간본 ≪두시언해≫에 대한 일종의 색인집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왕분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의 광시성 및 후난성에 위치한 7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주도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을 조사하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주도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차이 분석, 변인들 간 상관관계, 주도적 성격과 진로준비행동의 경로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주도적 성격은 전공적성 일치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일치하는 집단이 불일치 집단에 비해 높았다. 학교 전공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주도적 성격이 높게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전공적성이 일치하는 집단이 일치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높았고, 학교 전공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주도적 성격이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따라서는 직업정보수집, 계획수립, 목표설정, 문제해결방식 모두 전공적성이 일치하는 집단이 불일치 집단에 비해 높았고, 학교 전공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주도적 성격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준비행동은 학년, 전공적성 일치여부, 학교 전공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전공적성이 일치하는 집단이 불일치 집단에 비해 높았고, 학교 전공성적에 따라서는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주도적 성격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수집, 계획수립, 목표설정, 문제해결방식은 모두 주도적 성격 및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주도적 성격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변인 및 각 하위요인인 자기평가, 계획수립, 목표설정, 문제해결방식은 모두 정적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을 위해 자기주도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 패션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의 주도적 성격이 향상되도록 관련 교육을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 스스로 적극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