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왕로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frequent crise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student suicides, campus violence, student-teacher conflicts, academic corruption and financial crises, etc. The social repercussions have seriously affected the normal teaching order and the overall image and reputation of universities. It even affects the harmony,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manage.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new media era has brought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the crisis manage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university management and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a realistic and difficult task for university administrators to deal with various crisis events in the new media era and to predict and evaluate the role and influence of new media in the process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new problems faced by the crisis management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as the research background. The research hypotheses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new media on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are analysed and tes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lead to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pecial survey on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in eight key universities in China, including Tsinghua University, Henan University, Northwestern University, Xi'an Jiaotong University, Renmin University of China, Central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China University of Mining and Technology, and Nanjing University, and the responses of 1,967 participants. Key universities were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s because they are higher than ordinary universities in terms of management mechanism,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resources, as well as the overall quality and level of teachers, staff and students. It is representative and convincing to use key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subjects. At present, the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combining the "new media era" and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are still relatively few. After the SARS outbreak, as the research on emergency management intensified, universities did not have a comprehensive emergency response plan (Peng Zongchao, Zhong Kaibin, 2003). This thesis argues the research hypothesis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in the new media era with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ase analysis and comprehensive index analysis. The impact of the variables in the management stages that should be present in the crisis management of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on the research subject is demonstrated. It is expected that in future research, more samples will be collected and further refinements will be made through more in-depth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one by one in conjunction with the empirical data results. The analysis methods used to validate the hypotheses were factor analysis, trust analysis, case study analysis, composite indicator analysis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analysis using SPSS 26.0. This thesis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monitoring, early warning and prevention and control work of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crisis response and disposal work, crisis rehearsal and recovery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mechanism, etc.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is relevant research, a comprehensive capability evaluation of crisis management capability was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data results were carried out separat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s emergency assessment. (1)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should be composed of six systems: early warning system, planning system, organization system, leadership system, control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Crisis managemen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systems, which affect each other and are indispensable to each other. (2) After the SARS outbreak, with the in-depth research on emergency management, the learning situation and psychological state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improved, but there is no comprehensive emergency response pla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eng Zongchao, Zhong Kaibing, 2003). An evaluation index system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were developed to assess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a "double first-class" university in Chin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cientific reasonableness and operability of the index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3) This paper proposes countermeasures for the crisis manage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It is suggested that a crisi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riorities and power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daily management of universities, so as to ensure the timely, comprehensive, efficient and orderly handling of crisis emergencies in universities. (4) Many universities are currently facing the same or similar situation. In fact, the occurrence of many crisis emergencies has its international background, so "in the handling of crisis, although there are geographical or 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world, the responses are similar" (R.J Stillman, 1989). In terms of technical support and emergency resources for crisi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integrate the emergency resources scattered in different regions and units, form a resource guarantee system with clear division of labour, complementary advantages and synergy, and a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for emergency inform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technological content of equipment and speed up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rescue teams (Xue Lan, Zhong Kaibin, 2005). This paper researches the methods to enhance the crisis management of universities, which provides reference and reference for universities to avoid and prevent all kinds of risks in a timely and effective manner, minimize the damage in unexpected events, and provide reference for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universities. 뉴미디어 시대는 대학교의 위기관리에 새로운 도전을 가져다 주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대학교에서 위기사건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학생자살, 교사도덕과 교사기풍, 학교폭력, 교사와 학생 간의 충돌, 학술부정, 재정위기 등 현상이 끊임없이 나타나 사회반향이 강렬하고 대학교에 대한 영향이 날로 두드러지고 있다. 학교의 정상적인 교학질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대학교의 전체 이미지와 명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며 심지어는 대학교의 조화, 안정과 발전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대학교의 관리가 날로 어려워진다.국가 및 관련 부서는 대학교의 안전과 위기관리에 대해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대학교의 위기관리 능력을 제고하는 중요한 의미를 깊이 인식하고 있어 대학교의 위기관리를 강화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관리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을 진행하였으며,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와 관련된 일련의 문제에 대해 깊은 토론을 진행하였다. (1) 첫째, 본 연구는 대학교가 뉴미디어 시대에 발생하는 각종 위기사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학교 위기처리 과정에서 뉴미디어가 일으키는 역할과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 대학교 관리와 건설 발전의 중요한 업무중의 하나이며 또한 대학교 관리자들이 직면한 현실적이고도 간고한 임무라고 생각한다. 이론적으로 보면 본 연구는 대학교 위기관리의 연구대상인 "대학교 비상사건"을 분석하였다. 대학교 비상사건과 위기관리의 특징에 따라 대학교 비상사건을 6 가지로 분류하였다. 대학교 위기관리의 과정의 분석에 따라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 위기관리의 핵심은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일정한 인적자원과 물자 등을 통해 투입, 조기 경보 및 관리를 통해 비상사건에 대한 학교, 교사와 학생 등 주체로 인하여 초래된 손실과 상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2) 둘째, 연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시대의 배경에서 대학교 위기관리에 존재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대학교 관리는 새로운 시대, 뉴미디어와 새로운 환경의 "3 가지 새로운"시대에서 직면한 새로운 문제, 새로운 담체와 새로운 상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체계를 구축할 것인가 분석하였다. 셋째, 위기관리의 의미를 깊이 탐색하기 위해 중국 "쌍일류"대학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시스템의 실제 적용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리과정으로부터 조기 경보 시스템, 처리시스템, 보장시스템, 사후처리시스템으로 나뉘며 관리기능에 따라 계획시스템, 조직시스템, 지휘시스템, 통제시스템, 평가시스템; 능력구성요소 차원에서는 대학 위기관리의 자원과 지식능력으로 나뉜다. 위 각 차원의 분석을 종합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체계의 3 차원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런 요소들을 종합해 중국 '쌍일류'대학의 위기관리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위기관리에 대한 대책과 건의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 위기관리의 구조와 실질적인 문제를 전면적이고 깊이 있게 해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 시대를 연구배경으로 중국 대학교의 위기관리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에 대해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한 뉴미디어의 영향,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의 위기관리 연구를 분석하고,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현재 대학교의 위기관리 현황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중국 '쌍일류'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중점대학이 일반대학교비해 관리메커니즘, 관리체계, 관리제도와 자원배치 및 교사, 직원과 학생 등 전반적인 자질과 수준 등 면에서 높은 편이고 중점대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표성과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기관리의 기술적 뒷받침과 위기자원 보장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과 단위별로 분산되어 있는 위기자원을 통합하고, 분업이 명확하고, 강점을 보완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자원보장 체계와 위기정보와 위기사례의 종합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뉴미디어의 장비를 과학기술로 적시에 향상시켜 긴급구호대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현재, "뉴미디어 시대"와 "대학교 위기관리"를 결합한 문헌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비상사태에 따른 위기관리 연구의 깊이에 따라, 현실적 측면에서 볼 때, 각 대학교는 아직 위기관리 시스템을 완벽하게 갖추어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뷰, 사례분석, 통해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해 대책을 건의하였다. 대학교의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대학교 일상적인 관리 중에서 주요 순서를 분명히 하고, 권한과 책임이 명확하도록 하여, 대학 위기 비상사건의 적기적 전면적 효율적인 처리와 질서를 보장한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의 위기관리 방법을 제고하고, 대학교를 위해 각종 위기와 위험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 예방하며, 만일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대학교의 안전과 안정을 위해 관련 대책과 건의를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