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 대학회계교육의 비교

        오해명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주목적은 한ㆍ중대학 회계교육의 비교연구를 하는 것이다. 회계교육발전 과정과 현황, 회계교육과목, 회계교육방법 등을 중심으로 한ㆍ중대학의 회계교육에 관한 연구논문과 문헌을 검토하며, 한국과 중국의 주요 대학의 회계학 교육 관련 자료를 분석한 후, 한ㆍ중회계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회계목표가 지나치게 크고 구체적이지 못하며 교육과정 각 단계의 목표가 불명확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부, 석박사 과정에서 각기 다른 교육목표를 확정해야 한다. 학부에서 앞으로 각 대학은 기업의 회계업무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전문성을 강조하는 교육중심으로 회계목표를 세우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둘째, 대학은 회계실무업계와 장기적인 협력관계와 연계체계를 갖추고 적극적으로 실무업계와 소통을 이루어서 공통적으로 회계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또한 대학은 개방적인 교육이념을 사용해서 학생들에게 학교 외부에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중국대학은 개설하는 과목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소질교육을 강화하면서 인문, 자연, 실기, 사례연구와 윤리 등의 수업을 늘려야 한다.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교과체계를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한국대학은 수학과 영어 수업의 시간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회계학 교육방법의 측면에 있어 한국과 중국의 대학은 교육자 중심의 주입식 교육방법을 쌍방향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자는 평생교육의 관념을 세우고 학생에게 사고방식과 교육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생에 대한 평가방법은 학교주도형으로부터 시장필요형으로 전환하여 총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학생의 종합자질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결론을 해석하여야 할 것이며 다음과 같은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대학회계교육을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는데 그치고, 실제 강의 내용이나 주요 교과서 내용을 비교분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다소 객관화하지 못한 부분에 한계가 있다.

      • 문제만들기 활동이 농·어촌 학생의 수학 문제해결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해명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311

        본 논문은 농어촌 중학교 2학년 수학수업에서 문제만들기 수업을 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설명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의 수학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의 개개인의 성적향상도가 비교집단보다 더 컸다. 그리고 실험반의 수학학습태도가 비교반보다 더 향상되었다. 따라서 문제만들기가 수학학습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analyze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problem making classes and the comparison group with general description classes in the 2nd grade of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middle school. The individual score incr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e one of the comparison group. And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becomes more better. Therefore mathematics problem creat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와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해명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와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교사의 기대가 중요함을 확인하고, 또한 그런 교사의 기대를 지각한 자아개념이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와 학업성취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와 자아개념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자아개념은 이들이 지각한 교사기대와 학업 성취간에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왕시에 소재한 1개의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240명과 여학생 243명으로 총48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교사기대지각 검사, 자아개념 검사와 학업성취도였으며, 모든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각 변인들간의 상관,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분석절차를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에 따라 Sobel 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와 자아개념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 자아개념, 학업성취 간에 Pearson의 적률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는 학생의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학생의 자아개념과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기대 하위요인과 자아개념 하위요인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하위요인은 교사가 학업능력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을 때, 그 다음으로 학생 자신에게는 학급․성취자아개념이 가장 높이 지각할 때 학업성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자아개념이 교사기대와 학업성취 사이를 매개하여 학업성취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는 자아개념이 교사기대와 학업성취 사이를 불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급․성취자아개념이 그들 사이를 매개하여 학업성취를 높이는데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종합해 보면, 학교급을 막론하고 교사기대는 교실상황에서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매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기대가 자기충족가설로 기능하여 높은 학업성취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급․성취자아개념이 높을 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교실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극대화하기 위해 언어적․비언어적으로 높은 교사기대를 표출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며, 또한 학생들의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절한 학습상담 개입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expectanc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3, 1st & 2nd grade students who were atteding high school at Uiwang-si in Kyunggi-do.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erceived teacher expectancy scale(Choi si young, 2001) developed by Weinstein, Marshall, Brattesani, Middlestadt(1982) and self-concept scale(Han sang bun, 1992) developed by Song in sub(1983). The collec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istribution, Pearson's Correlation,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Baron & Kenny‘s mediation effect,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academic ability of teacher expectancy as well as student's classroom & achievement self-concept. Second, high school student self-concept mediated between teacher expectanc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elf-concep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d that for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onsistent teacher expectancy was required and the effort to strengthen students' classroom and achievement self-concept through educational program was also required.

      • 선박동원에 따른 운용인력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승선근무예비역 제도를 중심으로

        해명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311

        In recent years, as the arms race in Northeast Asia, tensions are rising. At the base of that, neighboring countr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Russia, which have their own interests first, are actively making moves to expand their diplomatic and military influence externally. Among these, North Korea, which cannot afford to intervene in the high-tech arms race, has chosen a nuclear bomb, the last weapon, and is raising the level of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continuous provocations such as several nuclear tests and ballistic missile launches between 2013 and 2017 after Kim Jong-un took office. As such, the security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is rapidly changing, and the possibility of maritime disputes has surfaced in connection with island territories such as Dokdo and Ieodo, and the possibility of maritime resource development disputes over fishing rights, natural gas, and petroleum resources within the EEZ is also increasing. In preparation for such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Korea is advocating a national fleet and is increasing its maritime power. The Navy has continued to energize the state-of-the-art power with the aim of the Ocean Navy, and the foundation that can play a pivotal role in protecting our national interests and contributing to world evaluation in major maritime transport routes such as Dokdo and Ieodo, as well as the Malacca and Tsugaru Straits Was prepared.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maritime police was mainly for coastal guards in the past, but with continuous power reinforcement, it has the ability to operate in the high seas, and in the event of a national emergency, it can play a large role as the power of the national fleet like the navy. In peacetime, Korea performs the mission of national defense as a standing force, but in the event of a national emergency, it is a reality that it is impossible to conduct a war only with standing force, and the country mobilization force is essential. Today, most countries tend to reduce standing power and increase the role of reserve power due to the burden of enormous military expenditures. Instead of cutting-edge weapons through Defense Reform 2.0, Korea is also planning to reduce standing power from 59.9 million as of 2018 to 500,000 by 2025, and is pursuing a defense policy that also refines reserve power. In the event of a national emergency, a mobilization order is declared, and civilian personnel, supplies, and ships are mobilized. In particular, the Navy mobilizes more than 800 various ships (including KFS ships) to support the standing force and is using it as a key force for naval operations, such as support for landing operations, support for coastal and amphibious logistics, and support for maritime fleet operations. The operating manpower of mobilized ships is supposed to be mobilized at the same time by the crew on board the ship, but the ratio of foreign sailors is high in most domestic ships, and the aging rate is high even for Koreans. There is a need for a more realistic alternative to management personnel.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mobilization in Korea and the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and seeks to find ways to efficiently utilize the manpower for mobilization in Korea based on cases of mobilization of personnel and ships by country. In addition, by closely analyzing the embarkation service reserve system, which plays the largest role in the current mobilized ship management manpower, it is intended to present a plan to develop manpower management according to ship mobilization in case of a national emergency.

      • Development of Microfluidic DNA Chip Based On Electrochemical Method

        해명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311

        In this study, Hoechst 33258, 2’-(4-hydroxyphenyl)- 5-(4-methyl-1-piperazinyl)-2,5’-bi(1H-benzimidazole), was used as a DNA minor groove binder, the DNA biochip with two branches based on PDMS was fabricated by the microfabrication technology. The results showed the sensitivity of detection of mismatch DNA and target DNA was improved by using the microfluidic chip compared with the micro cell. The sensitivity of the chip was developed by decreasing the velocity of flow and injecting the Hoechst 33258 only in one branch. The DNA chip also have several problems in the reproducibility,so the washing method was found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mu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chip and used case was changed from 50.3% to 12.7%, the development of the Au electrode also was taken into accou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Keywords: Microfluidic; PDMS; Hoechst 33258; DNA sensor; Electrochemistry

      •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자아존중감이 요양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해명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311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steem and quality of care service that care workers perceive, and grasped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n it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 and self-esteem of care workers on quality of care service. Now Korea stands at the point that enters into aging society with high demand on the care service for the aged and the plan to raise the quality of care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 of care workers affecting on the quality of care workers' service, and present education to raise the quality of care service and basic resources to reinforce capacity.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270 care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over 6 months in 10 nursing home units or center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degree is the quality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steem and quality of care service that care workers perceive?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steem and quality of care service according to care wor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that care workers perceive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that care workers perceive on the self-esteem of care workers? Fifth, what is the effect of the self-esteem of care workers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Lastly, is there any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concerning the effect of care workers' communication skill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Out of collected data, data with no answer or unfaithful answer were excluded, and 258 sheets were used for analysis of this research.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as for the quality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steem and quality of care service that care workers perceive, when calculated in 5 point Likert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was 3.53(±0.57), communication skill was 3.29(±0.34), self-esteem was 3.26(±0.44) and quality of care service was 3.80(±0.52). Second, inspection conducted about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care worker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care servi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religion, academic career and career.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 of facility and monthly working hours.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care workers'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type of facility and monthly working hours.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care workers' self-esteem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cademic career, monthly working hours, career and type of facility.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care workers' quality of care servi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religion, academic career and monthly working hours. Third, it was found out that care work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Fourth,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care work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on self-esteem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The sub-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were self emotion factor and others' emotion factor. Communication skill was also a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Fifth,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Lastly,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relationship between care work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and the quality of care service, self-esteem showed th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quality of care service.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가 인지한 자신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자아존중감과 요양서비스의 질 수준을 살펴 각 변인들 간에 상관관계를 파악한 후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요양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사회가 고령화 사회를 넘어 고령화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요보호노인을 위한 요양서비스의 수요는 높아질 것이며 노인들을 위한 요양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를 직접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의 요양서비스 질에 미치는 요양보호사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요양보호사의 요양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및 역량강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자신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자아존중감과 요양서비스 질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자아존중감, 요양서비스 질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요양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이 요양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여섯째, 요양보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감성지능이 요양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있는가? 에 대해 대구·경북 소재 10개 노인요양원 또는 노인요양센터에서 근무하는 근무기간이 6개월 이상인 요양보호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자료 중 설문의 모든 문항에 응답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58명의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인지한 자신들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자아존중감, 요양서비스의 질 정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감성지능은 3.53(±0.57), 의사소통능력은 3.29(±0.34), 자아존중감은 3.26(±0.44), 그리고 요양서비스의 질은 3.80(±0.52)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 자아존중감, 요양서비스 질에 대해 차이검증을 실시 한 결과 감성지능은 연령, 종교, 학력,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시설유형과 월 근무시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력, 시설유형, 월 근무시간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월 근무시간, 경력, 시설유형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요양서비스 질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종교, 학력, 월 근무시간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요양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은 요양서비스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요양보호사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감성지능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자기감성 요인과 타인감성 요인이었다. 의사소통능력도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이 요양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요양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요양서비스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성지능과 요양서비스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