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 사례 연구

        오하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효율적인 영어 읽기 능력을 습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글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영어 교실 상황에서 학습자는 교과서 이외의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거의 갖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교실 현장에서의 영어 읽기 수업이 교과서의 본문을 해석하고 본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문제 풀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가 흥미를 느끼는 읽기 자료를 스스로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읽어나가는 다독(extensive reading)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교실 현장에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적합한 효율적인 다독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단계를 거쳐 다양한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흥미로운 읽기 자료를 선택하여 교실 밖에서 자율적으로 읽을 수 있는 다독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설계된 다독 모형을 단편 소설을 활용하여 실제로 적용해보고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습자 한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학습자는 이전에 단편 소설을 활용한 읽기 활동을 한 경험이 없으며 읽기 능력이 낮은 수준이다. 연구 기간은 총 6개월이고 연구 절차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4개월 간의 다독 모형 설계 과정을 통해 학습자에게 적합한 다독 모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고, 2개월 동안의 다독 모형 적용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과 읽기에 대한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학습자는 다독 모형 설계 기간 동안 중편 소설 1권과 단편 소설 1권을 활용하여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독 모형의 적용 기간 동안에는 단편 소설 여덟 편으로 읽기 활동을 하면서 읽기 활동지를 작성하고 구두 보고 활동과 이해도 점검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사전 및 사후 독해 능력과 독해 속도 평가, 읽기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 설문, 읽기 습관 설문, 읽기 활동지에 대한 설문, 다독 활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설문 조사 후 면담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언급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장기간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편 소설을 활용한 효율적인 다독 모형이 무엇인지 연구한 결과 교사는 크게 4단계를 거쳐 다독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읽기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파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학습자에게 보다 적합한 수준의 읽기 자료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실 밖에서 자가 읽기 활동을 하면서 읽기 활동지와 주간 읽기 목록표를 작성하여 읽은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학습자는 소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와 함께 구두 보고 활동을 수행하여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 혹은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을 표현하는 기회를 가진다. 곧이어 이해도 점검 활동을 통해 소설의 주인공, 주요 어휘 및 표현, 그리고 줄거리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며 보다 효율적으로 읽은 내용에 대해 회상하고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학습자의 전반적인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우선 학습자가 다독을 하면서 작성한 읽기 활동지에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는 차시를 거듭할수록 활동지를 영어로 작성하였고 복합하고 어려운 내용을 인물 관계도를 그리며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다독 활동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과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에 관하여 언급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모르는 어휘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려고 하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내용 파악을 위주로 다독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는 이 과정에서 읽은 내용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테면 단어의 뜻을 문맥에서 파악하여 읽기, 전반적인 내용 파악에 주력하기, 그림이나 삽화를 보고 전체적인 내용을 예상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다독 활동의 읽기 자료로 단편 소설을 활용하였으므로 문학 작품을 읽어나갈 때 효율적인 읽기 방법도 도출해 내었다. 이를테면 학습자는 주인공의 이름을 기록하며 읽기, 인물 관계도 그리기, 소제목으로부터 전반적인 내용 예상하기, 사건의 진행 순서를 기억하며 읽기 방법을 활용하였다. 한편 사전 및 사후 독해 능력 평가 결과 사후 평가 점수가 사전 평가 점수 보다 20점 향상되었고 읽기 속도에 있어서 사전 평가 결과 1분당 99단어에서 사후 평가 결과 1분당 103단어로 변화하였다. 이 같은 한번의 사전 및 사후 독해 능력 평가와 독해 속도 평가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읽기 능력의 향상도를 측정하였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평가 결과 나타난 점수의 차이는 다독 활동이 독해 능력과 속도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다는 기존의 결과와 일치한다. 셋째,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에 대한 정의적인 측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면, 사전 및 사후 설문 응답과 면담 분석 결과 학습자의 영어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학습자는 스스로 흥미로워 보이는 문학 작품을 선택하여 읽었으므로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도를 잃지 않고 꾸준히 유지해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읽기 수업 시간 후에도 스스로 읽기를 더 하고 싶어 하는 자발성과 자신감 또한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읽기 습관에 있어서 특히 뜻을 모르더라도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읽기 전략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여덟 편의 단편 소설을 다독하면서 전체적인 내용 파악을 보다 중요시하며 읽어나갔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단편 소설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읽기 능력이 낮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는 장기간의 연구 기간 동안 학교 수업 이외의 공간에서 교과서 이외의 자료로 읽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을 높이고 효율적인 읽기 방법을 스스로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정독뿐만 아니라 다독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흥미있는 읽기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구체적인 다독 모형을 설계하여 실행한다면 학교 수업의 읽기 활동에서도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An efficient acquisition of English reading skills requires reading a wide variety of writing. In our country's English classroom situations, however, learners have few chances to read reading materials other than textbooks in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manner, since English reading instruction just focuses on text interpreting and problem solving in preparation for college admission. Hence they cannot afford to do extensive reading that provides an exciting experience for them to be exposed to various reading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xtensive reading model tailored to learner characteristics in an attempt to assist learners to do extensive reading by utilizing short stories instead of merely sticking to textbook-centered intensive reading in accordance with existing educational practices. And it's also meant to apply an extensive reading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in class in order to determine its impact on a learner's reading skill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n eight-grade middle school student. He had never be engaged in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and he lagged behind in terms of reading skills, as his GPA was 50. This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a sixth-month period of time and largely in two different stages. What kind of extensive reading model would be appropriate for learners was investigated over four months to design a model, and then the devised extensive reading model was applied for two months to see if that brought any changes to his overall reading skills and reading-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Dur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extensive reading model, the learner was engaged in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reading activities after a short novel and a short story were select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he kept a reading journal and made an oral reading report while he read eight selected short stories, and his comprehension level was checked. His pre- and post-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speed and reading interest were evaluated, and he was surveyed to find out his confidence, reading habits and opinions on reading journal and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After the survey was conducted, an interview was held, and what he said in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long-term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vised extensive reading model, teachers can progress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with four stages. First of all, teachers recognize students' overall attitudes toward reading during the first stage. And students can choose reading materials tailored to their level of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second stage. In the third stage, students read selected short stories out of the class with writing reading journals and a weekly reading diary. In the fourth stage, students do the oral reading report to represent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 reading material and comprehension checkup activity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characters, vocabularies and the plot of the short story. Second, as for the impact of the extensive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on overall reading skills, there was a change in the reading journal he wrote in the course of extensive reading. He got to use more English in keeping the journal as this study proceeded, and arranged the complicated contents of the stories by drawing a diagram of charact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his description of what difficulties he faced in the middle of extensive reading and how he tided over the difficulties, he tried less over time to look up unfamiliar vocabularies in a dictionary, and he concentrated on figuring out what the stories were about. In that process, he tried to improve his reading comprehension in various ways, such as grasping the meaning of words in contexts, getting a big picture of the stories, and predicting what they were about by utilizing pictures or illustrations. As short stories were selected as extensive reading materials, he came up with efficient reading methods. For instance, he wrote down the names of the main characters, drew up a diagram of character relationship, used subtitles to guess what the stories were about, and kept in memory the order of incidents. When a pre- and post-evaluation were carried out, he showed a rise of 20 point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posttest, and read the books seven seconds faster on the posttest. The one-time pre- and post-tests couldn't guarantee that he definitely made progress in overall reading skills. However, the score gaps lent credibility to the finding of earlier studies that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encouraged learners to undergo a favorable change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ed. Third, what changes the extensive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brought to his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English reading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re-survey, post-survey and interview data, he showed an improvement in confidence about English reading, and he had growing interest in that. As he chose the seemingly interesting literary works at his option, he was able to keep reading the books with interest. And he wanted to read more books and remained confident even after the reading classes. In terms of reading habits, he acquired a reading strategy to grasp the meaning of strange vocabularies in context while he read the eight short stories focusing on getting a big picture of the sto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extensive short-story reading activities had a favorable impact on the reading skill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who has fallen behind in reading skills. Specifically, he showed interest and confidence in reading materials other than textbooks in out-of-school spaces while he participated in the long-term study, and he proved that it's possible for learners to acquire an efficient reading method on their own. School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produce the same results if teachers offer diverse and intriguing reading materials for learners to do both intensive and extensive reading and if they design and apply an extensive reading model in addition.

      •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관람객 만족을 통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하나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뮤지컬 관람객의 작품 구매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을 통해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공연예술 분야에서 뮤지컬 시장은 가장 단기간에 발전한 분야로 다양한 공연예술 중에서 가장 유망한 대중문화 산업으로써 자리매김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뮤지컬 시장의 현장 분위기는 수년간의 폭발적 성장세가 꺾이고 고군분투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것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작용한 결과이겠지만 그 중 뮤지컬 시장의 성장세에 비해 한국의 뮤지컬 시장의 소비자층이 얇고 그 외연이 커지지 않는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이다. 침체기에 접어들고 있는 뮤지컬 시장에서 새로운 뮤지컬 소비자를 개발하는 것은 안정적인 시장구조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객들이 작품에 기대하는 것이 무엇이며, 어떤 요소들이 관람객에게 만족을 주고 티켓 재구매를 유도하게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뮤지컬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연 구매 요인 및 관람 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관람객 만족의 영향요인과 재관람 의사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그 구매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재관람 의도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뮤지컬 공연산업이 지속가능하게 진행 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연구의 범위를 연구 대상을 한국인에 한정짓지 않고 선행 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중국인 관람객을 포함시켜 뮤지컬 공연 관람객의 구매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중국 관광객들은 매년 600만 명 이상이 한국을 찾고 있으며, 이미 뮤지컬 시장의 새로운 진입자로 부상하고 있고 그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에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과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유효 표본 426부를 대상으로 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의 작품 구매 요인 중 배우 요인과 예매 서비스 요인을 제외한 작품성, 제작진, 시설 편의성, 관객 서비스 요인은 뮤지컬에 대한 지각된 가치에 대한 영향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연장 접점에서 접점 직원들의 역할이 관람객의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지각된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배우 요인보다 서비스나 제작진, 작품성 요인이 지각된 가치에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한국 뮤지컬 관람 문화가 성숙하여 작품성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단계가 되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뮤지컬 작품 구매 요인은 각 요인들 모두 관람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 영역에서 채택되지 않은 배우 요인과 서비스 요인이 포함되었는데, 이것은 이성적 판단이 우세한 지각된 가치 영역과 달리 만족 영역에서는 티켓을 구매하고 관람하는 직접적인 행위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지각된 가치 요소에서 높은 영향력을 미쳤으나 만족 요소에서 낮은 수준을 나타낸 관객서비스와 시설편의성 요소는 관람객의 입장에서 작품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만족 요소가 아니라 당위적은 수준으로 갖춰져 있어야 하는 요소이며, 기대수준이 미치지 못했을 때 오히려 불만의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관람객의 뮤지컬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관람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가치와 관람객 만족은 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느끼는 만족요소도 중요하지만 사전에 지각하게 되는 가치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및 홍보 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와 만족은 모두 재관람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중 가치 영역이 재관람 의도에 더 큰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은 이성적 영역에 비중이 있는 가치 영역이 높은 수준의 자발적 의지를 요구하는 재관람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관객과 중국 관객 간에 지각된 가치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관객 만족 요소에서는 제작진, 배우 및 관객 서비스 요소에서 차이가 났다. 이에 따라 중국인 관람객을 한국 뮤지컬 시장에 더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작품 내 요인 중 배우와 제작진 작품 외 요소로서 관객 서비스 요소라는 인적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urchase factors for shows of musical audience on re-spectating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In the South Korean performing art industry, the musical market has been developed within the shortest period, becoming one of the most promising public culture industries among various performing arts. Recently, however, the musical market is experiencing decrease in the drastic growth that had lasted for a few years. Out of various causes, the low number of consumers in the South Korean musical market for the growth of the market and the deformational structure where the consumer group is not expanded is the biggest factor. In the musical market entering a recession period,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new musical consumers for creating a stable market structure. For this, it needs to be investigated that what audience expects from performances, what factors satisfy the audience and induce repurchase of tickets. As such, the study aims to analyze performance purchase factors targeting South Korean musical audience and to identify impact factors of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intention to revisit. Moreover,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purchase factors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study will provide a clue for sustainable musical performance industry. Furthermore, the study included Chinese audience for its research subjects instead of being limited within only South Koreans unlike other preceding studies to investigate their purchase factors. This is because more than 6 million Chinese tourists coming to South Korea per year have emerged as new consumers of the musical market.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for both South Koreans and Chinese; a total of 426 effective samples was analyzed empiricall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urchase factors for musical shows excluding actor and ticketing service factors - quality of work, production staff, facility convenience, audience service factors-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for musical. Through the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role of touchpoint employees at the theater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value of audience. Considering that the actor factor is generally expected to have bigger effect on perceived value, the result that the factors of service, production staff and quality of work had mor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shows that the South Korea musical viewing culture has been matured enough to comprehensively evaluate quality of work and service. Second, all purchase factors for musical shows had positive (+) influence on audience satisfaction. The two facto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perceived value sector - the actor and service factors – had impact on audience satisfaction; which is because unlike perceived value dominated by rational judgment, the satisfaction sector is more focused on direct behavior including buying tickets and watching the show. The factors of audience service and facility convenience that had higher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but lower impact on the satisfaction are essential factors rather than additional satisfaction factors to the show from the perspective of audience; when expectation levels are not met, they can become dissatisfiers. Third, the perceived value of audience for musical shows had positive (+) influence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 and audience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re-spectating intention. Therefore, market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that increase perceived value in advance are as important as the satisfaction factors on site. Also, both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had impact on re-spectating intention; the value factor had closer correlation to re-spectating intention. This can be considered that the value factor more focused on rational area has bigger influence on re-spectating intention that requires higher levels of spontaneous will. Finally, as for the perceived value fact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audience. On the other hand, the audience satisfaction factor showed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production staff, actor and audience service. As such, in order to attract more Chinese audience to the South Korean musical market, it is important to include human factors of audience service: actors for the internal factor and production staff for the external factor.

      • 멘델유전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 확인과 생명과학I교과서 요인 분석

        오하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out the history of science, people tried to understand how parental traits are transmitted to their progeny. These efforts, based on Mendelian genetics, intensified the research on genetic phenomena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Mendelian genetics is of high conceptual importance for explanations in biology. However, misconception which students gained from their learning process migh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further studies. This holds particularly if preconception is a misconception, different from science notion, has an influence on learning. This demands that teachers have to find out about student's misconceptions, to come up with more meaningful teach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eal mis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Mendelian genetics and analysis of the 7th 2009 revision of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students'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a more meaningful learning and valid scientific concept form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6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bout Mendelian genetics in Biology? The testing instruments for investigating misconception and students' understanding was developed by Moll and Allen (1987) which was modifi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endelian genetics was different with each gender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score for girls were higher than of boys. However, the ratio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response to gender was not uniform. Overall understanding of Mendelian genetics according to school gra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endelian genetics was very low with 39.7%.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concerning the Mendelian genetics fate considering a couple of alleles was 44.7%.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Mendelian genetics with two sets of alleles was 35.3%. The understanding of Mendelian genetics of a couple of alleles was slightly higher than of the two sets of alleles.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dominant traits was very high.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chromosome behavior and the DNA allocations during meiosis were very low. Four misconceptions of Mendelian genetics appeared. First, chromatids were misidentified as the chromosomes themselves. Second, chromatids were misidentified as homologous chromosomes. Third, students were mistaken of chromosome behavior and changes in the amount of DNA during the different steps of meiosis. And lastly, students were mistaken in the formation of germ cells. An analysis of contents of textbooks indicated that textbooks may be the source of misconceptions and students' lack of understanding concerning Mendelian genetics. 과학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부모의 형질이 자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멘델유전을 토대로 유전현상에 대한 연구 및 성과를 이루어, 오늘날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와 같이 멘델유전은 생명과학의 주요 개념들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첫 단계의 개념으로 중요도가 높다. 그러므로 멘델유전에 대한 올바른 과학적 개념의 형성 여부에 따라 심화된 생명과학을 이해하고 탐구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학습자는 학습 이전에 이미 학습할 내용과 관련된 개념 즉 선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학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하여 밝혀졌다. 특히 선 개념 중에서 당대의 과학적 지식과 다른 개념 즉 오개념은 학습에 또 다른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교사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오개념을 알고, 이를 고려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멘델유전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을 확인하고, 이들 개념의 이해도 및 오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 7차 2009 개정 교과서를 분석하여 올바른 과학적 개념의 형성과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과학Ⅰ에서 멘델유전에 대해 학습한 고등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Moll & Allen(1987)이 개발한 검사지를 번역·수정하여 멘델유전에 대한 이해도 및 오개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멘델유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이해도가 높았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학생 수의 비가 균등하지 않음으로 한계가 있었다. 학교급별에 따른 멘델유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전체 문제의 평균 정답률은 39.7%로 멘델유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매우 낮았다. 한 쌍의 대립 형질에 대한 멘델유전의 평균 정답률은 44.7%, 두 쌍의 대립 형질에 대한 멘델유전의 평균 정답률은 35.3%로 두 쌍의 대립 형질에 대한 멘델유전 문제보다 한 쌍의 대립 형질에 대한 멘델유전 문제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높았다. 우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았으며, 감수분열 시 염색체 행동 및 DNA양의 변화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았다. 문항별 응답 유형과 응답률을 분석해볼 때 감수분열 결과 형성 된 딸세포와 생식세포의 관련된 의미, 감수분열 과정과 멘델유전의 관련된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멘델유전에 대한 네 가지 오개념을 확인하였다. 첫째, 염색분체를 염색체 그 자체로 오인했다. 둘째, 염색분체를 상동염색체로 오인했다. 셋째, 감수분열 시 염색체의 행동과 DNA양의 변화에 대해 오인했다. 마지막으로, 생식세포의 형성과 그 형성 비에 대해 오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멘델유전에 대한 올바른 과학적 개념 형성을 위해 먼저 감수분열 시 염색체의 행동 및 DNA양의 변화를 이해해야한다는 맥락으로 접근하여, 제 7차 2009 개정 생명과학Ⅰ 교과서의 ‘세포와 세포 분열’중단원과 ‘유전’중단원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가 학생들의 멘델유전에 대한 이해도 및 오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15세기 이후 한ㆍ중 전통직물의 보문연구

        오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treasure pattern(寶紋) expressed on the textiles during Joseon Period(朝鮮時代) in Korea and Ming?Qing Period(明?淸代) in China. The treasure pattern originated from China, was used as auspicious motifs. It can be divided into the Eight Buddist Symbols(八吉祥紋), the Eight Taoist Symbols(暗八仙紋) and the Treasure Pattern(雜寶紋). It has been used as religious meanings from Buddism and Taoism. It has progressively possessed religious meanings as well as general good-luck symbols and wishes for longevity in China and Korea. It’s not certain that when the treasure pattern was introduced to Korea. However it is presumed that it was introduced during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三國時代),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aoism based on pure idea and was developed with the Yin(陰) and Yang(陽) ideology was pre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during the times of King Youngryu(營留王) in Goguryeo(高句麗) period. The treasure pattern was first used on textiles at the Tang(唐) dynasty in China, and Goryeo(高麗) dynasty in Korea. In Joseon Period, the Treasure Pattern(雜寶紋) was represented the union of a married couple and the prosperity of gener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treasure pattern(寶紋) on the textiles during the Joseon Period was appeared with the plant(植物) or cloud(雲) pattern on the single color damask, showing a elegant style. The treasure pattern presented with gold-leaf imprint, gold supplementary wefts and couched gold threads was found at Wonsam(圓衫), Dang-ui(唐衣) and ceremonial skirts of royal women. The treasure pattern dyed on Dangchae-Bojagi(唐彩褓: wrapping cloth) was used to draw pictures and expressed in the most realistic and specific way. The pattern in Hwalot, Hyung-Bae(胸背) and living goods showed the beauty of Korean embroidery by using gold threads. The treasure pattern in the Ming and Qing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damask(暗花紋) in Korea. It was expressed in diverse colors, and has added more general good-luck symbols by adding colors and patterns. The treasure pattern used on the left and right marbles of the Lantern(燈籠) pattern showed the desires for pleasure and happiness. The treasure pattern of embroidery was freely expressed just like a piece of art, and it showed brilliancy by using gold threads at outlines. In China's Hyung-Bae(胸背), the Eight Buddist Symbols(八吉祥紋) and the Eight Taoist Symbols(暗八仙紋) except for the Treasure Pattern(雜寶紋) were diversely used implyed the religious meanings and auspicious motif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extiles remains (eighty six Korean pieces and eighty Chinese pieces), treasure patterns expressed with plant or auspicious patterns were favored in Korea. But treasure patterns represented with animal or auspicious patterns were favored in China. Although detailed compositions were different, treasure patterns of mixture types(複合形) were more frequent than single types(單獨形) in both countries. And in terms of arrangement, full types(充塡形) in Korea and painting types(繪畵形) in China are more frequent. Each kind of treasure patterns were used at different frequency in both countries. In Korea, the solely presented Treasure Pattern(雜寶紋) was highly used. While the Eight Buddist Symbols(八吉祥紋), the Eight Taoist Symbols(暗八仙紋) and the Treasure Pattern(雜寶紋) were rarely mix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Eight Buddist Symbols(八吉祥紋) and the Eight Taoist Symbols(暗八仙紋) as well as the solely presented Treasure Pattern(雜寶紋) were highly used in China, so it was easier to understand the formative beauty of the Eight Buddist Symbols and the Eight Taoist Symbols. Although the treasure pattern was appeared on the textiles in Korea and China, the pattern was developed as own creative characteristics, technique, and profound beauty under the influence of each culture. Through the future research for finding features of treasure pattern in Japan, Vietnam, and other countries, it is expected to mak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the oriental culture to the whole world rightly. 본 논문은 한국의 조선시대(朝鮮時代)와 중국의 명(明)·청대(淸代)의 직물에 표현된 보문(寶紋)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보문(寶紋)은 중국에서 전래된 문양으로 사람들이 길리(吉利)를 추구하는 기물들과 보화 등을 길상의 의미로 도안화한 문양이다. 보문은 크게 불교의 팔길상문, 도교의 암팔선문, 잡보문으로 나뉜다. 보문은 불교·도교의 종교적 의미와 더불어 현세구복적인 길상사상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생활 감정과 소망, 정서를 담고 있어 다양한 조형공간에서 문양으로 표현되었다.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보문이 전래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지만 불교가 전래된 삼국시대로 추정하고 있다. 도교는 신선 사상을 근본으로 하고 여기에 음양·오행사상 등을 더하여 발전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고구려 영류왕 7년(624) 당(唐)으로부터 받아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직물문양에 잡보문이 처음으로 등장한 시기는 중국 당(唐)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직물에서 처음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팔길상문, 암팔선문과 함께 길상문양으로 유행하게 된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부부화합과 자손번영을 기원하는 현세구복적인 길상사상을 반영하는 문양으로 사용되어 다양한 형태의 잡보문이 나타나게 된다. 조선시대에 직조(織造)로 표현된 보문은 식물문이나 구름문과 함께 조화를 이루어 나타나고 있으며 은은한 암화문(暗花紋)의 직물이 선호되어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단아한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금직(金織)·금박(金箔)으로 표현된 보문은 왕실 여성의 원삼, 당의, 예복용 치마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특히 백개(白盖) 형태의 보문이 자주 등장하였다. 염색(染色)으로 표현된 보문은 당채보에서 나타나는데 염료로 그림을 그려 나타내어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도안화되었다. 활옷, 흉배, 생활소품 등의 직물에 자수(刺繡)로 표현된 보문을 살펴보면 보문에 다양한 색깔의 자수실을 사용하여 끈 장식을 하고 있으며, 금사를 사용하여 귀족적이고 고급스러운 한국 자수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명·청대의 직물에 직조(織造)로 표현된 보문은 한국의 암화문과 달리 다채로운 색으로 직조되어 화려하며, 여러 가지 문양과 복합적으로 나타나 길상적인 의미를 더하였다. 또한 등롱문의 좌·우에 작은 크기의 보문을 구슬에 엮어 늘어뜨려 장식하여 기쁨과 행복을 염원하였다. 자수로 표현된 보문은 그림을 그리듯 공간에 자유롭게 표현되어 회화적인 느낌을 주고 있으며, 특히 금실로 문양의 테두리를 징금수 함으로써 화려함과 장식적인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중국의 흉배에는 잡보문 이외에 팔길상문과 암팔선문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종교적 의미와 함께 현세구복적인 길상사상을 담아내고 있다. 보문의 구성요소와 용도를 중심으로 한국 직물유물 86점과 중국 직물유물 80점에 보이는 보문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구성요소에서 한국은 보문·식물문이 조합된 유형과 보문·길상문이 조합된 유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중국은 보문·동물문·길상문이 조합된 유형이 우세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 모두 단독형(單獨形) 보다 복합형(複合形)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배치구도에서 한국은 충전형(充塡形)이 많은 것에 비해 중국은 회화형(繪畵形)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보문의 종류별 빈도수 분석에서는 한국의 경우 잡보문이 단독으로 등장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팔길상문·암팔선문·잡보문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반면 중국의 경우는 잡보문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뿐 만 아니라 팔길상문과 암팔선문의 등장 비율도 적지 않게 나타나 불교의 팔길상문과 도교의 암팔선문 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한국과 중국 두 나라에서 나타나는 보문(寶紋)이 조형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며 각자 다른 느낌의 독창적인 문양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 한국, 일본 이외의 동양권에 속하는 다른 나라의 보문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각국의 문양이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고 세계 속에 동양의 문화를 바로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불확실성과 불안의 매개효과

        오하나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Psychological Dep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role of self-uncertainty and anxiety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Hana Oh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ep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is mediated by self-uncertainty and trait anxiety.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320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the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ith female students reporting greater level of separation-individuation, self-uncertainty,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ted that the psychological dependency measured by separation-individuation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level of self-uncertainty, which, in turn, partially medi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by increasing trait anxiety, had good fit indices. Current findings add to the extent literature o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ependency, self-uncertainty, and trait anxiety in interpersonal problem among college students.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Key words: psychological dependency, self-uncertainty, anxie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 불확실성과 불안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20명(N=320)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기보고 설문지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기 불확실성과 불안의 이중 완전 매개효과를 가정한 경로구조모형과 자기 불확실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부분 매개모형인 대안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의 분리-개별화, 자기 불확실성, 불안, 대인관계문제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분리-개별화, 자기 불확실성, 불안, 대인관계문제 모두를 더 높게 지각했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분 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로부터의 분리-개별화의 정도로 측정된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 상태가 높을수록 자기 불확실성이 높고, 불안이 증가되며, 대인관계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로와 부모로부터의 분리-개별화에 어려움이 있을 때, 자기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대인관계문제가 높아지는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분리-개별화로 측정된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 연구를 확장했고,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의 상담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주요어: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 자기 불확실성, 불안,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 신입사원의 조직적응력 향상을 위해 연극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오하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사원의 조직적응력 향상을 위해 연극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연극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집단의 특정한 목표를 거두기 위해 다양한 연극적 기법과 집단의 상호작용 및 역동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고자 집단에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신입사원의 조직적응력은 최근 급변하는 기업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고 능동적으로 변화를 이끌어 성과를 창출 해 낼 수 있는 조직 구성원의 역할이 더욱 요구됨에 따라 ‘적응수행’과 ‘유연성’의 요소로 설정하였고, 이는 ‘새로운 조직환경과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다양한 대안을 인식하고 성공적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할을 융통성 있게 수행하려는 능력과 태도’를 의미한다. 신입사원의 조직적응력 향상을 위해 연극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기획 및 이론적 배경 검토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전략을 세우고, 신입사원 및 관련 직장인 면담과 요구분석 내용에 따라 구체적인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 회기 및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안 된 프로그램 모형은 전문가의 검수와 의견을 통해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에 있어서 구체적인 실시 대상은‘대학 졸업 후 처음으로 조직의 외부인에서 내부인이 된 경력 1년차 정규 직원’으로 설정하여, 적응에 실패한 대상을 교정하려는 목적보다는 조직 진입초기의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적, 예방적인 성격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관련자 면담을 실시하여 조직적응 어려움과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면담결과 신입사원이 조직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주요 상황 범주는 ‘조직의 특성과 문화, 직무, 대인관계, 개인생활과 조직생활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신입사원이 일상적인 업무 상황과 위기 및 갈등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적응적인 능력과 태도를 향상하고 새로운 역할 정립을 돕는 것이며, 이에 신입사원의 적응수행과 유연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 모형은 총 6단계로 개발되었으며, 회기구성은 1회기당 90~120분, 총 8회기, 12시간으로 구성되었다. 다수의 인원을 장기간에 걸쳐 교육하기 어려운 기업의 상황을 고려하여 2~3일로 나누어 단기간에 진행이 가능한 구조화 된 소규모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전체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은 집단상담이라는 지지적이고 안전한 환경 안에서 다양한 연극적 방법을 적용하여 운영되며, 각 회기 내 준비과정으로 심신이완 활동을 제시하여 평소에도 유지적으로 스트레스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회기별 세부 내용은 1~2회기 워밍업 단계는 자기이해 및 타인이해를 주제로 드라마기법 및 집단활동을 구성하였고, 3~4회기는 각각 역할유연성과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사이코·소시오드라마에 착안한 역할놀이와 역할연습이 이루어지며, 5회기는 조직과 팀문화의 이해를 돕고 팀 적응성을 높이는 팀빌딩 활동, 6~7회기는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을 위해 적응수행 문제상황 연극관람 및 팀별 솔루션 연극시연 등 토론연극 방법을 중심으로 자발성을 촉진하여 집단문제를 탐색하고 대안에 따른 해결방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8회기는 마무리인 변화와 나눔단계로 집단의 변화와 소감을 함께 나누고 실천을 다지는 활동을 통해 자아효능감을 증진하여 새로운 에너지로 현업에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강의나 이론 중심의 조직적응 프로그램과 차별화하여 연극적, 집단심리적인 개입을 통한 새로운 조직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으로 실제 직장 생활을 생생한 연극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조직 문제상황과 이에 따른 해결방법을 직접 체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입사원 및 관련 직장인의 면담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요구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연극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그러나 개발 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후속 연구에서 이를 검증하고 보완할 것을 제언하며, 향후 기업 및 관련기관에서 연극 및 집단상담 전문가의 협조아래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을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관계-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을 중심으로-

        오하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에 나타난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을 구분하여 각각의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아렌트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 시대에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은 서로 다른 장소로서 구분되었다. 그러나 이 구분은 근대 사회의 출현과 더불어 파괴된다. 사회의 출현은 이전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간의 구분을 불분명하게 했고, ‘사회적인 것’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출현하게 했다. 사회는 고대의 사적인 가정의 영역에서처럼 하나의 목적, 즉 ‘생상선’(productivity)이 지배되는 영역이다. 사회는 하나의 단일 주체로 상정되어 모든 사람들을 노동하는 동물로 환원시켰을 때 발전한다. 사회는 단일성에 뿌리박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인 것’은 다원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다원성은 인간의 ‘동등성’(equality)과 함께 각자의 ‘차이’(distinction)가 드러날 때 성립한다. 새로 태어난 유일한 사람이라는 점에서 인간은 동등하며, 말과 행위는 사람들 각각의 차이를 드러낸다. 삶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정치적인 것은 살아남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렌트는 자연의 순환적 ‘과정’에서 인간을 구원할 수 있는 근거를 행위에서 발견하고 있다. 행위에 대한 믿음이 없다면 인간은 단지 ‘죽을 운명’인 ‘사멸성’의 법칙을 따르거나, ‘자연의 순환과정’을 따름으로써 단지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존재로 살아갈 것이다. 이는 인간적인 것을 황폐화하는 것과 같다. 행위는 인간이 죽기 위해서가 아니라 시작하기 위해서 태어났다는 것을 항상 상기시켜 준다.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말과 행위는 타인과 함께 새로운 인간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새로운 과정을 출발시키게 하는 원동력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political’ and ‘the social’ in Hannah Arendt's The human condition According to Arendt, in the period of ancient Greece, ‘public realm’ and ‘private realm’ were distinguished as different places. However, this division is destroyed with the emergence of society. The emergence of modern society has mad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realm and the private realm unclear and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realm of the social. Society is an area where one purpose, the productivity, is dominated, as in the realm of ancient private homes. Society develops when it is assumed to be a single subject. It substitutes all people for laboring animals. Society is rooted in one-ness. But the political is based on plurality. Plurality is established when human equality and each distinction is revealed. Human beings are equal in that they are the only newborn, and speech and action reveal the distinction of each person. The political is hard to survive in the constant (re) production of life. Nevertheless, Arendt finds the basis of action for saving man in the cyclical process of nature. If there is no faith in action, then humans will live only as a person who follows the laws of mortality, which is destined to die, or rushes towards death, following the cyclical process of nature. It is like devastating humanity. The action always reminds us that man was born not to die but to begin. The speech and action that take place among people are the driving forces that enable us to form new web of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start new processes.

      • 숙박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을 중심으로-

        오하나 강릉원주대학교 경영정책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반려견·반려묘 등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수가 1500만 시대에 들어섰다. 1인 가구 증가 추세를 보이며 과거와 다른 가족 구성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여러 숙박시설도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고객들의 수요에 맞추어 반려동물을 겨냥한 부대시설을 늘리고 있다. 반복되는 일상뿐 아니라 휴가와 여가시간 역시 반려동물과 함께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어서다. 과거 휴가를 보내는 장소에서 동물 출입에 제한을 두었던 분위기와는 달리 최근에는 반려동물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되면서 반려동물이 숙박업계 효자로 떠오르고 있다. 반려동물 숙박시설 내부·외부 환경, 서비스 유무는 소비자들의 반려동물 숙박시설 선택과 구매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다. 이에,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행동 의도에 대한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서비스 품질의 만족도를 향상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자료로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증 조사는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숙박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2023년 3월 2일부터 3월 11일까지 총 10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분석을 통하여 연구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설 1 ‘숙박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지각된 가치를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검증 결과에서 2가지 요인인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β=.309), 사회적서비스스케이프(β=.482)는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 ‘지각된 가치는 방문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방문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지각된 가치(β=.819)는 방문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 만족도를 통하여 구전, 재방문, 권유 등의 행동 의도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설 3 ‘방문 만족도는 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행동 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방문 만족도(β=.873)는 행동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의 서비스 구성 요인과 행동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의 서비스스케이프의 중요성과 이용객의 지각된 가치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향후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표본의 확보,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주제어: 반려동물 친화 숙박시설, 서비스스케이프, 지각된 가치, 방문 만족, 행동의도 The domestic population raising companion animals, such as companion dogs and cats, has entered the era of 15 million. The composition of families and households has changed from the past, such as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Several lodging facilities are also increasing customized amenities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traveling with pets. This is because more and more people are enjoying vacations with their pets as well as daily life. Unlike the atmosphere in the past where animal access was restricted in vacation spots, recently, companion animals are emerging as a virtuous player in the lodging industry as the space for companion animals to rest has been expanded. The interior/external environment of companion animal accommodations and the availability of services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choice and purchase of companion animal accommod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as data for enhancing and revitalizing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e main factors of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servicescape of pet-friendly accommodation facilities. An empirical surve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guests who had experience using pet-friendly accommodation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 days from March 2 to March 11, 2023, and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as verified through survey analysis,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derived. First, Hypothesis 1 ‘The servicescape of an accommodation facility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was adopted. When the servicescape of an accommodation facility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wo factors in the verification result, physical servicescape (β=.309) and social servicescape (β=.482),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ppeared to be Second, Hypothesis 2, ‘Perceived valu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visit satisfaction’ was adopted. When perceived value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visit satisfaction (β=.819). It can be seen that visit satisfaction leads to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word of mouth, revisit, and solicitation. Third, Hypothesis 3, ‘visit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was adopted. When behavioral intention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visit satisfaction (β=.873).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omponents of pet-friendly lodging facilities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based on this, derived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scape of pet-friendly lodging facilities and the perceived value of users. However,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pet-friendly accommodation facilities in the future, it is judged that additional research such as securing more sampl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et-friendly accommodation facilitie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Key words: pet-friendly accommodation, servicescape, perceived value, visit satisfaction, behavioral intention

      • PCR을 이용한 Serratia marcescens의 신규 진단법 개발

        오하나 고려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erratia marcescens는 토양이나 하천, 생활하수 등 환경에 존재하며 비병원성균으로 알려져 왔으나, 인체에 심각한 감염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세균성 패혈증 사망 사고를 초래하는 사례도 발생되어 원내 감염의 주요한 병원균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S. marcescens 감염 환자의 조기 발견과 이를 진단하기 까지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PCR에 의한 검출법이 있긴 하지만 정확한 동정을 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임상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S. marcescens의 감염 진단과 조기치료를 위해 진단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S. marcescens의 유전적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S. marcescens에 감염된 환자 검체로부터 분리한 임상균주를 이용해 종간 및 종내 유전형을 판별할 수 있는 다범위 프라이머인 Universal Rice Primer(URP) PCR을 통해 핵산 지문(DNA fingerprinting) 결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DNA 패턴이 여러 그룹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유전적인 다양성은 S. marcescens를 특이적으로 동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S. marcescens의 빠른 진단과 정확한 분리 동정을 위한 특이 primer 개발을 위해 NCBI에 등록된 S. marcescens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Serratia spp. 유전체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S. marcescens의 특이 유전자를 찾았다. 이 유전자를 바탕으로 Sm110F/R primer로 특이 primer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primer는 Serratia 속 18 균주 그리고 병원성 세균 15 균주와 S. marcescens에 감염된 16명의 환자 검체로부터 분리한 임상균주를 이용해 증폭 특이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의 S. marcescens를 진단 할 수 있는 16s rRNA gene 기반의 primer도 개발 되었지만, 실제 이 primer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비특이적인 증폭들이 많이 일어나 특이도가 떨어져 정확한 동정이 어려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이번에 개발한 primer를 이용한 PCR 검사법에서는 S. marcescens 병원균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함을 확인 하였고, 임상 균주를 대상으로 검사를 수행하여 진단의 유용성까지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Sm110F/R primer PCR을 기반으로 한 신속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은 여러 방법에 비해 비용도 저렴하면서, 정확한 동정이 가능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S. marcescens 균주를 조기에 규명하고, 감염의 위험성에 대한 준비와 빠른 진단에 도움을 주어 감염 치료에 상당한 기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