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s of Onomatopoeia and Body Part Exaggeration to Enrich VR User Experience

        오지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화라는 정적인 매체에서는 상황을 표현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화에선 의성어, 과장, 집중선, 말풍선의 모양과 같은 여러 표현을 통하여 특정 객체나 상황을 강조하거나 인물의 감정, 상황의 분위기, 동작의 특징 등 다양한 요소를 더 풍부하게 전달한다. 이러한 표현들의 사용은 만화뿐만 아니라 3D 그래픽 애니메이션, TV 방송, 비디오 영상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며 만화에서와 같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우리는 사용자와 환경 사이에 많은 상호작용이 발생하며 사용자의 몰입이 중요한 VR과 같은 환경에서 만화적 표현을 사용할 때 더 많은 항목에서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는 다양한 만화적 표현 중 의성어와 신체 일부 과장이라는 두가지 표현을 선택하여 이 표현들이 VR에 사용될 때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VR 환경에서 의성어와 과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3D 그래픽에 과장을 적용하는 기존 연구인 E-impact를 확장하여 애니메이션에서도 신체 일부 과장이 자연스럽게 적용되도록 하였다. VR에서 의성어와 과장의 사용이 일반적인 사용성(피로도, 자연스러움), 콘텐츠 인지(실제적임, 역동성/생동감), 실재감, 몰입도, 흥미도, 동작의 세기, 동작의 속도, 동작의 타격감, 동작의 위협성과 같은 사용자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되는 환경의 특징이나 애니메이션의 종류에 따라 의성어나 과장의 사용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에 근거하여 VR 환경에서의 의성어와 과장의 사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오지원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child depression. The last one year income and the education level of both parents are vital parts. Thus, the child depression level which used for the sum of the score from the depression survey was used for confirming the outcomes. Methods: The data collected in 2012(3rd year) and 2016(7th year) by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parents and children of 1st, 4th, and 7th grade completed the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st one year income of parents and the depression level of the child.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family income, the lower the child depression was. Regarding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data from 2012 shows that highly educated parent’s child has lower depression level compared to those of less educated. However, the result from 2016 shows insignificance between the parent’s education level and child depression. Conclusion: The 2012 and 2016 results replicated the earlier studies’ findings which referre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child depression. Howev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shows inconsistent result in 2012 and 2016. It suddenly stopped affecting child depression in 2016. Therefore deeper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these sudden change.

      • 근로장애인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지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의 관계가 가족취업지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근로장애인의 직업 생활에 대한 보다 실질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직무특성은 직무의 본질적인 면인 기술다양성, 직무와 개인 역량의 연계인 직무적합성, 그리고 직무의 환경적 요소인 작업환경을 하위요소로 하여, 직무, 직무와 개인의 관계, 환경을 포함하여 연구하였으며, 직무만족은 직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태도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4차 조사의 경쟁고용의 신체적 장애인(신체 외부, 감각, 신체 내부)중, 모든 변수에 유효한 응답을 한 1,023명이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후,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직무만족에 대한 직무특성의 독립효과와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근로장애인의 직무특성인 기술다양성, 직무적합성, 지각된 작업환경, 장애편의시설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장애인의 직무특성 중 직무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장애인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일할 때, 자신의 업무역량을 인식하며 직장생활에 적응할수 있도록 가족을 통한 심리 및 정서적 지원이 필요함을 나타내며, 이를 위한 전문인력이 투입되어 장애인의 직장생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함을 의미하며, 이를 위한 실천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more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the career life of the working disabled by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according to the family employment support. The job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cluding job,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individual and environment, with technical diversity as the essential aspect of job, job suitability as the link between job and personal competence, and work environment as the environmental factor of job as the sub-factors. Job satisfaction was the positive thinking and attitude about job.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3 people who responded to all variables of the physical disability (body outside, sensory, and body inside) of competitive employment of the second wave fourth survey of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ft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ployment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ployment support and the independent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First,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such as technical diversity, job suitability, perceived working environment, and disabled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ployment support on the effect of job suitability on job satisfaction among job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This indicates th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s needed through family so that disabled people can recognize their work capacity and adapt to work life when they adapt to new environment. It means that export should be put in to actively support the work life of disabled people, and it suggests that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for this.

      • (Hf,Si)O2 나노박막의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에서의 이종 양이온 복합화 설계 영향 연구

        오지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ilicon oxide and hafnium oxide thin films were prepared through plasma-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of tetrakis(dimethylamido)hafnium as Hf sources, di-isopropylamino silane as Si sources, and oxygen plasma as oxygen sources, respectively. The silicon oxide and hafnium oxide thin films exhibited the temperature-independent deposition rate in the ALD window temperature higher than 120 ℃ and lower than 150 ℃, respectively. Based on the ALD-featured characteristics, SiO2, HfO2, and artificially-designed (Hf,Si)O2 thin films were deposited through plasma-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The cation distributions of the (Hf,Si)O2 were controlled by designing the supercycle design constructed from the constituent SiO2 and HfO2 unit ALD processes. The physical/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Hf,Si)O2 thin films were analyzed using a multitude of probing tools: spectroscopic ellipsometry for optical characterizations,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for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analyses, X-ray diffraction (XRD) for monitoring crystalline features, atomic force microscopy (AFM) for surface morpholog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for chemical composition/binding information, and capacitance-voltage measurements &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for electrical/dielectric properties. Those analytical approaches proved that SiO2 is of lower leakage current density about ~10-8 A/cm2 and HfO2 of higher dielectric constant about ~15 than their counterparts, along with the dissimilar crystallization behaviors between SiO2 and HfO2 thin films. The artificially-designed (Hf,Si)O2 thin films demonstrated th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SiO2 and HfO2 materials. Especially, (Hf,Si)O2 thin films of atomic-scale mixed showed higher dielectric constant and leakage current density than those of multi-layered structures. Based on the gate dielectrics composed of SiO2, HfO2, and (Hf,Si)O2 thin films, oxide-based thin film transistors (TFTs) were fabricated with the aim to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rtificially-designed (Hf,Si)O2 thin film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rough the device parameters such as carrier mobility, on/off ratio, threshold voltage and sub-threshold swing. The carrier mobility was 25 cm2/V․sec for SiO2, 15 cm2/V․sec for HfO2, and 13~16 cm2/V․sec for (Hf,Si)O2, Threshold voltages ranged from 2 to 5 V, on/off ratios of 108, and sub-threshold swing of 0.2 to 0.3 V/dec. The thermal stability of (Hf,Si)O2 thin films was evaluated to be superior to that of HfO2 thin films, by monitoring the change of dielectric constant, leakage current density, and crystal structure as a function of annealing temperature. 오늘날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향상되어가고 있고, 이에 따라 누설전류 및 미세화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누설전류가 작은 두께에서도 좋은 유전적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전율 물질과, 더욱 미세화 된 구조에도 균일하고 치밀한 증착이 가능한 원자층 증착법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적으로 이용되어온 산화막인 SiO2와 고유전율 물질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HfO2를 증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절연특성 및 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SiO2의 규소 전구체로는 Di-isopropylamino silane를 이용하였고, 유전특성이 뛰어난 HfO2의 하프늄 전구체로는 Tetrakis(dimethylamido)hafnium를 이용하였다. 증착 방식은 기존의 원자층 증착법의 단점인 느린 증착속도 를 보완한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였고, 전구체 공급 시간, 산소 플라즈마 인가 시간, 기판 온도, 단위 공정 수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원자층 증착 구간 및 조건을 확립하였다. 표면반응 조건이 확립된 증착 조건을 바탕으로 SiO2 단일 산화막, HfO2 단일 산화막 및 (Hf,Si)O2 이종 양이온 산화막을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한 원자층 착법으로 증착하였고, 두께 및 광학 상수 측정을 위한 타원계측법 및 전계방출형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두께측정,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거칠기 분석,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한 결정구조 분석,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한 원자 조성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산화막의 구조적·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결정구조 분석을 통해 HfO2 산화막에 SiO2가 혼합됨으로써 열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f,Si)O2 이종 양이온 산화막의 경우는 원자층 증착법의 유닛 사이클 수를 다양화함으로써 규소 이온과 하프늄 이온의 혼합 정도를 다양화하였다. 유닛 사이클 수가 작은 경우에는 규소 이온과 하프늄 이온의 원자단위 혼합을 이루며, 큰 경우에는 SiO2 산화막과 HfO2 산화막이 다층 구조를 이루며 나노 박막 증착이 진행되었다. 인위적으로 설계된 (Hf,Si)O2 이종 양이온 산화막을 기반으로 하는 MOS (Metal-Oxide-Semiconductor) 커패시터를 제작하여 산화막의 유전특성 및 절연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전상수의 경우에는 열처리 온도에 따라 SiO2 산화막은 3.2~3.7, HfO2 산화막은 최대 15의 값을 보였으며, HfO2 산화막은 400 ℃ 이상의 열처리 조건 하에서는 유전상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열적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절연특성의 경우에는 SiO2 산화막은 ~10-8 A/cm2, HfO2 산화막은 ~10-7 A/cm2의 누설전류밀도를 보였다. (Hf,Si)O2 산화막의 경우, 유전상수는 5~7, 누설전류밀도는 SiO2 산화막보다는 크지만 HfO2 산화막보다는 작은 값을 보였다. 유닛 사이클 수에 따라서는 그 수가 작을수록 유전특성은 향상되었지만, 절연특성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400 ℃ 열처리에 따라 유전상수 변화가 작은 것을 통해 열적으로 안정화되었음을 확인 가능하였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계산된 성능지표를 통해 확인한 스위칭 특성에 따르면, 포화 이동도는 SiO2의 경우 ~25 cm2/V․sec, HfO2의 경우 ~15 cm2/V․sec, (Hf,Si)O2 산화막의 경우 13~16 cm2/V․sec의 값을 확인하였고, 2~5 V의 낮은 문턱전압, 108 근처의 전류점멸비, 0.2~0.3 V/dec의 S-swing값을 확인하였다. 유닛 사이클 수에 따라서는 그 수가 작을수록 이동도 및 전류점멸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열적 안정성이 확보된 (Hf,Si)O2 이종 양이온 산화막 기반 고유전율 재료를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할 수 있었고, 이를 TFT 소자에 적용함으로써 Transfer Characteristics와 Output Curve 특성을 평가하여 향후 응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종 양이온의 복합화 설계에 따른 산화막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고,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할 경우 이종 양이온이 원자단위로 혼합된 형태가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국 청소년의 과일, 채소 및 가당음료 섭취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연구

        오지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s, vegetables and sugar-sweetened beverages consumption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4-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a large,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of Korean adolescents. The sample included 137,101 boys and 130,806 girls aged 12-18. Fruits, vegetables and sugar-sweetened beverages consumption was assessed based on the intake frequency in last 7 days. We include self-rated happiness,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e ideation in results.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djusted for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s. As a results, more than fifty percents of adolescents consumed fruits or vegetables less than once a day. Boys consumed more sugar-sweetened beverages compared with girls. Greater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unhappy. The greatest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requency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odds of excessive stress (boys OR: 0.91 95% CI: 0.88-0.94; girls OR: 0.88 95% CI: 0.85-0.91).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depressive symptom had significant inverse association only in fruits consumption of girls (p for trend<0.001). Also suicide ideation had significant inverse association only with fruits consumption (p for trend<0.001). Whereas the highest intake frequency of sugar-sweetened beverages had significantly association with mental health deteriorating, especially in case of energy drinks consumption. The greatest energy drinks intake frequency had significantly higher odds of depressive symptom (boys OR: 1.92 95% CI: 1.77-2.09; girls OR: 2.25 95% CI: 2.05-2.48) and suicide ideation (boys OR: 2.43 95% CI: 2.19-2.69; girls OR: 2.18 95% CI: 1.95-2.42). In conclusion, higher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nd lower sugar-sweetened beverages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Related to this study,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adolescent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일과 채소 및 가당음료 종류별 섭취빈도와 정신건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제10차(2014년도)부터 13차(2017년도)의 총 4개년도 자료를 통합하였다(남학생 137,101명, 여학생 130,806명). 과일, 채소 및 가당음료 섭취는 최근 7일동안의 섭취빈도로써 조사되었다. 정신건강 변수는 주관적 상태로 조사된 행복감, 스트레스, 우울감 및 자살생각을 포함하였다.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란변수 보정 전후의 과일, 채소 및 가당음료 섭취빈도에 따른 행복감, 스트레스, 우울감 및 자살생각에 대한 오즈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본 조사에서 과일을 주 5회 미만으로 섭취한 경우는 남학생 67.0%, 여학생 65.2%, 채소를 1일 1회 이하로 섭취한 경우는 남학생 69.6%, 여학생 72.0%로 나타나며 대다수의 남녀 청소년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하루 한 번 이하로 섭취하고 있었다. 가당음료의 경우, 탄산음료를 주 3회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남학생 35.0%, 여학생 21.9%, 단맛음료를 주 3회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남학생 44.8%, 여학생 38.8%, 에너지음료를 주 1회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남학생 17.3%, 여학생 12.9%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가당음료를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사항과 생활습관 및 식습관 보정 후 평상시 행복을 느끼지 않을 OR (95% CI)은 과일과 채소 섭취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01). 과도한 스트레스를 느낄 오즈비 또한 과일과 채소 섭취빈도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01). 우울감의 오즈비는 모든 교란변수 보정 후 여학생의 과일 섭취에서만 유의하게 낮은 경향성이 있었다(p for trend<0.001). 여학생에서 식습관을 보정한 후 채소 섭취빈도와 우울감 사이의 유의한 경향성이 사라졌다(p for trend=0.225). 자살생각의 오즈비는 모든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 남녀의 과일 섭취빈도에서만 유의하게 낮은 경향성이 있었다(p for trend<0.001). 가당음료의 경우, 보정 후 평상시 행복을 느끼지 않을 OR (95% CI)은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단맛음료와 에너지음료 섭취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1). 과도한 스트레스의 오즈비는 모든 교란변수 보정 후 여학생의 탄산음료 섭취를 제외한 모든 가당음료 섭취빈도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5). 우울감의 오즈비는 교란변수 보정 후 모든 가당음료 섭취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1). 자살생각의 오즈비는 모든 교란변수 보정 후 단맛음료와 에너지음료 섭취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01). 본 연구 결과 과일과 채소 및 가당음료 섭취는 각각 청소년의 행복감, 스트레스, 우울감 및 자살생각 등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정서 발달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를 장려하는 등 청소년 식습관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가 경험하는 압도감에 관한 연구

        오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positive counseling outcomes is the counselor himself. If the counselor does not manage job stress well, it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counseling. The study is about overwhelmed Counselors in helping Victims of school bullying. Counselors help victims of school bullying at youth counseling centers across the country. They are in trouble due to various needs and circumstances. First, counselors should take various roles such as advocates, mediators, advisors in cooperation with parents, teachers, social workers, doctors, and lawyer in order to help victims of school bullying adapt to school. Second, counselors should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experience trauma, and the context in which bullying occurs and continues. Third, the counselors should acquire knowledge about dealing with bullying issues and take professional training on crisis counseling and trauma counseling. Fourth, novice counselors are employed in youth counseling centers, but the opportunities for training is insufficient and working environment is poor.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e counselors for victims of bullying are likely to experience the following. First, the counselor will experience theory-practice gap since theory they learned through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practice at counseling centers are different. Second, the counselor may experience confusion and emotional fatigue in roles such as advocates, mediators, and consultants. Third, the counselors may experience vicarious traumatization by listening to traumatic events repeatedly. Fourth, they are expected to struggle to improve their expertise to help victims of school bully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who counsel victims of bullying.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who counseled victims of bullying and built a substantive theory on them. A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at does the counselor experience when counseling victims of school bullying(In ter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factors that counselors consider, emotions that counselors fee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counselors, coping strategies that counselors take, and the consequences of coping strategi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The requirements for the informants are as follows: ① counselors who have counseled victims of school bully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② counselors with a master’s degree or above, ③ counselors with at least one qualification among 2 level of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2 level of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2 level of youth counselor, ④ counselors who meets all three requirements above. The researcher conducted a total of 22 interviews with a total of 13 participants for 48 hours and 50 minutes until the category was saturat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 data were analyzed and results were suggest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irst, 111 concepts, 68 subcategories, and 27 categories were created through open coding. Second, the paradigm model is generated through axial coding. ① Causal conditions can be summarized as "encountering victims of school bullying without preparation". Specifically, causal conditions are that 'The victim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Parents are panic or indifferent', 'The problem is more serious than the counselors’ life experience', 'The counselors think he should help the victim well', ‘The counselors feel that graduate curriculum and books are not enough to help victims of bullying’, and ‘The counselors are worried that they will cause secondary damage’. ② Context can be summarized as “There are many factors to consider besides victims of school bullying”. ‘Schools refers to a crisis/difficult counseling case to the counseling centers’, To be more specific, contexts are ‘The counseling centers make counselors intervene victims of school bullying immediately’. ‘Counselors should help parents, teachers, and others.’, ‘Counselor should have knowledge and expertise on legal procedures and crisis counseling’, ‘It is difficult for counselors to have on-site experience formally’. ③ Phenomenon is ‘counselors became overwhelmed’. ④ Intervening conditions can be summarized as “The environment to help victims of school bullying is poor”. ‘The school environ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victim's recovery’, ‘Youth counseling centers have difficulty protecting counselors about complaints’, ‘Youth counseling centers emphasis and pressure on quantitative performance about counseling’, ‘There is no compensation system for counselors regarding crisis counseling at the counseling centers’, ‘There are a lot of work other than counseling at youth counseling centers’ were presented. ⑤ Action/Intervention can be described as “The counselors put a lot of effort into seeking ways to help the victim professionally.” Specifically, ‘Counselor shows active attitude’, ‘Counselor accepts to learn law about school bullying and help victims as an area of work’, ‘Counselors improve counseling expertise personally’, ‘The counselors give meaning that helping the victim is meaningful and worthwhile’, The counselors try to protect himself from complaints’, ‘Counselor recovers psychological energy’ was generated as category. ⑥ Consequences are “growth, challenge again, stagnation, leaving”. The category was generated as ‘counselors’ expertise developed’, ‘The counselor strives again for growth’, ‘counselors’ passion for counseling decreased’, ‘Counselors leave(or prepare to leave) youth counseling centers with a sense of skepticism’. Third, the core category was created as ‘overwhelmed counselors grow, challenge again, stagnate or leaving(or prepare leaving) through personal effort. Based on the core category, hypothetical relational statements were provid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about contents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for counselors. Second,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method of reflection for counselors through graduate education. Third,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job environment for the counselors who counsel the victims of school bullying.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s recruited various types of counselors' age, marital status, graduate school, religion, counseling career, working area, and counseling centers. It is necessary to keep these conditions at the same level and to look at differences by variables. Second, a study needs to be conducted regarding counselors' experience to help victims of bullying who were bullied by adolescents dropped out of school or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unselors who help clients who bullied others and are victimized. 상담을 효과적으로 이끄는 데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담자 자신이다. 상담자가 직무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지 못하면, 상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국의 청소년 상담 기관에서는 상담자들이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요구와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에 처해 있다. 첫째, 청소년 상담자는 내담자의 학교 적응을 위하여 부모, 교사 및 청소년 관련 기관 종사자와 협력관계를 맺으며 권리 옹호자, 조정자, 자문가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상담자는 청소년 중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할 때 청소년의 문화적 특성, 외상 사건을 경험한 청소년의 특성, 학교폭력이 발생하고 지속되는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기 위해 상담자는 학교폭력 사안처리 등에 대한 지식을 쌓아야 하며, 위기 상담과 외상 상담에 대한 전문적 훈련을 받을 필요가 있다. 넷째, 상담자들이 종사하는 청소년 상담 기관에서는 주로 초심 상담자를 채용하는데, 상담자에게 제공하는 교육의 기회가 불충분하고 근무 환경이 열악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자는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다. 첫째, 대학원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한 이론과 실제의 괴리(theory-practice gap)를 느끼기 쉽다. 둘째, 상담자로서 권리 옹호자, 조정자, 자문가 등 역할 수행에서 오는 혼란과 정서적 고갈을 경험할 수 있다. 셋째, 외상 사건에 반복하여 노출되면서 대리외상(vicarious traumatization)을 경험할 수 있다. 넷째, 학교폭력 피해자를 돕기 위해 스스로 전문성 향상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을 것이다. 이를 고려할 때,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의 경험을 밝힐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연구의 주요한 관심이 되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에 관한 실체 이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는 어떤 독특한 경험을 하는가? 1)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와 관계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2)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가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3)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는 어떤 정서를 경험하는가? 4)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은 무엇인가? 5)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는 어떤 대처를 경험하는가? 6)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에서 상담자는 대처 이후에 어떤 결과를 경험하는가?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중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이유는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에 대해 밝혀진 바가 거의 없고, 학교폭력이라는 현장성이 강한 주제에 대해 생생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이론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연구 참여자는 이론적으로 표본 추출하고, 연구자는 이론적 민감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지속적 비교 방법을 따르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 조건은 ①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청소년 상담 기관에서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한 경험이 3년 이상인 상담자, ② 상담 관련 전공으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한 상담자, ③ 한국상담학회 2급 전문상담사, 한국상담심리학회 2급 상담심리사, 국가자격 2급 청소년상담사 중 1개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한 상담자, ④ 위의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상담자였다. 범주가 포화될 때까지 총13명의 연구 참여자와 총 22회, 48시간 50분간 면담을 진행하였다. 근거이론 연구절차를 따라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의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 코딩으로 범주를 분류한 결과 111개의 개념, 68개의 하위 범주, 27개의 범주가 생성되었다. 둘째, 축 코딩으로 범주 분석을 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패러다임 모형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인과적 조건은 “준비 안 된 상태로 외상 입은 피해자를 만남”으로 요약될 수 있다. ‘피해자는 트라우마 상태’, ‘부모는 패닉 또는 냉담’, ‘상담자 인생경험보다 사안이 심각함’, ‘상담에 학교폭력 피해자의 생사가 달려 있다는 무게감’, ‘대학원/책만으로는 맨땅에 헤딩하는 느낌’, ‘상담자가 2차 피해를 줄까봐 걱정됨’과 같은 범주가 생성되었다. ② 맥락적 조건을 요약하면 “학교폭력 피해자 외에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음”이다. ‘학교에서 위기/어려운 사례를 상담 기관에 의뢰함’, ‘기관에서는 학교폭력 피해자에게 즉시 개입을 원함’, ‘부모, 교사 등 상담 대상이 다양함’, ‘법률, 사안처리 절차 등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이 필요함’, ‘현장 경험을 공식적으로 교육받기 어려움’이 범주로 도출되었다. ③ 중심 현상은 ‘당황하고 압도됨’으로 나타났다. ④ 중재적 조건은 “피해자를 돕기 위한 환경이 열악함”으로 요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해자의 회복에 학교에 영향력이 굉장히 큼’, ‘기관에서는 민원에 대해 상담자를 보호하기 어려움’, ‘기관에서 양적인 실적을 중시하고 압박함’, ‘기관에서 고난도 사례 배정에 대한 보상이 없음’, ‘상담 외 업무가 과다함’으로 분류되었다. ⑤ 작용/상호작용의 핵심 내용은 “개인적 노력으로 피해자를 전문적으로 도울 방안을 강구함”이라 할 수 있다. ‘배운다는 생각으로, 적극적인 태도로 임함’, ‘학교폭력 사안처리 관련 사항을 업무의 영역으로 받아들임’, ‘개인적인 노력으로 상담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킴’,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함’, ‘상담자가 스스로를 보호하려 애씀’, ‘심리적 에너지를 조절하여 회복함’과 같은 범주가 생성되었다. ⑥ 결과는 “성장, 재도전, 정체, 떠남”과 같은 상담자의 상태가 드러나 있다. ‘상담자의 전문성이 발달함’, ‘성장을 위해 다시 도전함’, ‘상담을 덜 열심히 하게 됨’, ‘회의감으로 이직(준비)함’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셋째,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당황하고 압도감을 느낀 상담자는 개인적 노력으로 피해자를 도울 방안을 강구하고 성장, 재도전, 정체 또는 떠남’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상담자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환경적 차원에 대하여 가설적 관계를 진술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에게 필요한 대학원 교육 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대학원 교육을 통해 상담자가 성찰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에게 필요한 직무 환경에 대한 함의를 제시한다.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연구에서는 이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연령, 결혼 여부, 출신 대학원, 종교, 상담 경력, 근무지역 및 근무 기관을 다양하게 모집하였다. 이러한 조건을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변인별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이 아닌 학교 밖 청소년, 교사, 학원 강사 등이 학교폭력 가해자인 경우, 피해자를 상담하는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 경험을 중복으로 경험한 내담자를 돕는 상담자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 Effects of Nurse Navigators during Transitions from Cancer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Ph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오지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적절한 의료기관에 대한 시기 적절한 접근은 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들이 암 진단이나 치료 서비스를 시기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는 성공적 이였다. 하지만 환자 네비게이터로써 어떤 직종군의 사람이 가장 적절한가에 대한 논란은 지금까지 계속 되고 있다. 게다가 암 조기검진에서부터 첫 치료 방문 기간이 암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간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 중 이 기간 동안의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단 한 개밖에 없었다. 목적 이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의 목적은 암 조기검진에서부터 첫 치료 방문 기간 동안 간호사가 주도한 환자 네비게이션의 효과에 대한 가장 최신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문헌 검색은 11개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PsycInfo, KoreaMed, KISS, RISS, DBPIA).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 검색 및 선택과 데이터 추출을 하였고, 적절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설계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속형 변수의 경우 효과 크기는 Hedges’s g와 95% 신뢰구간으로 보고하였고, 이산형 변수의 경우에는 상대위험도를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만일 통계적 이질성을 나타내는 I2 통계량 값이 50% 이상인 경우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외의 경우에는 변량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체계적 고찰에는 9개의 연구가 포함되었고, 메타분석에는 8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세개의 연구는 무작위 대조 연구였고, 나머지 6개의 연구는 비무작위 대조 연구였다. 전체적인 연구의 비뚤림은 fair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간호사 주도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암 조기진단에서 첫 치료 방문까지의 대기기간 (g = -0.359, 95% CI = -0.493 to -0.224), 암 조기진단에서 진단까지의 대기기간 (g = -0.260, 95% CI = -0.384 to -0.135), 진단에서 첫 치료방문까지의 대기기간 (g = -0.249, 95% CI = -0.495 to -0.003)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간호사 네이게이터들은 암 진단 의료서비스의 시기적절한 이용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RR =1.146, 95% CI = 1.013 to 1.296). 하지만 간호사 네비게이터는 불안에 대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g = 0.095, 95% CI = -0.144 to 0.334). 개개의 연구 참여자들은 간호사 주도 환자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결론 간호사 네비게이터는 대기기간을 감소시키고, 시기적절한 암 진단 의료서비스의 이용률을 높이는데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불안이나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는 충분한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앞으로 간호사 네비게이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더 엄격한 연구설계를 갖춘 1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간호사 네비게이터가 암 환자의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어떻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에 대해 더 알아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imely access to appropriate healthcare facilities has been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and death rates for cancer. To ensure the timely adherence to cancer diagnostic or treatment services, patient navigation program was created and its implementation was successful. However, controversies still remain until now on who should be playing the role of patient navigators. In addition, despite the phase between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 may be the most critical period for most cancer patients to reduce death rates, only one systematic review looked at the effects of patient navigation program during this perio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provide the evidence of the effects of nurse-led patient navigation on individuals transitioning from cancer screening to the treatment phase.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eleven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PsycInfo, KoreaMed, KISS, RISS, and DBPIA).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and selected eligible studies, extracted data, and evaluated quality of study designs using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continuous data, effect sizes were reported with Hedges’s g and 95% confidence interval. Effect sizes for dichotomous data were calculated with relative ratio. Fixed effect model was used if I2 value, a statistical measurement for heterogeneity, was less than 50%. Otherwise,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Results Nine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eight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hree studies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the remaining six studies were non-randomized trials. Overall risk of bias was moderately fair. Nurse-led patient navigation program had favorable effects on reducing waiting times between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s (g = -0.359, 95% CI = -0.493 to -0.224), screening to diagnosis (g = -0.260, 95% CI = -0.384 to -0.135), and diagnosis to the first treatment visits (g = -0.249, 95% CI = -0.495 to -0.003). The nurse navigators also increased the rates of access to cancer diagnostic services (RR =1.146, 95% CI = 1.013 to 1.296). However, the effects on anxiety was not favorable to nurse navigators (g = 0.095, 95% CI = -0.144 to 0.334). Study participants from individual studies also reported high satisfaction level to nurse-led patient navigation programs. Conclusion Nurse navigators had a potential on reducing timeliness of care and increasing adherence rates and satisfaction level to care, but no sufficient evidence was identified on improving psychological outcomes. Further studies with rigorous study designs are needed in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nurse-led navigation programs and the mechanisms of how nurse navigators may enhance psychological outcomes.

      • ADHD 아동·청소년의 우울증상 동반여부에 따른 문제행동, 사회적 역량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 아동복지시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오지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behavioral problem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between ADHD with and without depressive symptom in child foster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8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3-2014 Child Welfare Project for Children'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 and diagnosed with ADHD and depressive symptom.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ure ADHD and comorbid ADHD with depressive symptom. K-CBCL 6-18, Social Competence Scale, Self-Esteem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for this study.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wo groups based on K-CBCL 6-18, comorbid ADHD scored higher in Withdrawn/Depress ed, Somatic Complai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otal Problem s, DSM-oriented Affective Problems and DSM-oriented Posttraumatic Stress Problems than the pure ADHD.. Second, comparing the social competence scores between comorb id and pure ADHD, the comorbid ADHD revealed lower score in social competence scale than the pure ADHD. Third, comparing the self-esteem scores between comorbid and pure ADHD, the comorbid ADHD marked lower self-esteem score than the pure ADHD.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orbid ADHD with depressive symptom have severity in Withdrawn/Depressed, Som atic Complai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otal Problems, DSM -oriented Affective Problems and DSM-oriented Posttraumatic Stress Problems. Also, the comorbid ADHD showed difficulty accommodating oneself as shown in low social competence score and self-esteem score compared to the pure ADHD.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 ADHD 아동·청소년의 우울증상 동반여부에 따른 문제행동, 사회적 역량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3년-2014년에 실시된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 지원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ADHD 진단을 받은 초·중등학생 82명으로, 이 중 우울장애 및 증상을 동반한 공존집단은 30명이었다. 평가도구는 K-CBC L 6-18, 사회적 역량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였다. ADHD만을 진단받은 순수 ADHD, ADHD와 우울장애를 동시에 진단받거나 우울증상이 높은 ADHD는 공존 ADHD로 분류한 후 두 집단 간 문제행동과 사회적 역량, 자아존중감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을 대상으로 K-CBCL 6-18 문제행동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위축/우울, 신체증상,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총점, DSM 정서문제, 외상후스트레스 문제에서 공존 ADHD의 점수가 순수 ADHD에 비해 높았다. 둘째,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역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공존 ADHD의 사회적 역량이 순수 ADHD의 사회적 역량보다 더 낮았다. 셋째,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공존 ADHD의 자아존중감이 순수 ADHD의 자아존중감보다 더 낮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순수 ADHD에 비해 우울증상 공존 ADHD 집단이 위축/우울, 신체증상,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총점, DSM 정서문제, 외상후스트레스 등의 문제행동이 심각하고 사회적 역량 및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더 낮아 적응이 더욱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