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례신도시 택지지구의 3차원 지층분석에 관한 연구

        오재영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Geo-Seoul에 기초하여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서울의 지반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Geo-Seoul의 지반조사 자료 입력기능을 활용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구축하였다.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관련된 지반조사 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획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관련 전산 시스템이 공유되어야 하며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가 지반분야의 엔지니어들에게 활용되어야만 한다. 서울시에서는 많은 건설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과거의 많은 건설 사업에서 발생한 다양한 정보도 존재한다. SH공사는 서울에서 다수의 택지개발 및 공공주택 건설 사업을 수행하여 온 바, 여타의 기관에 비해 지반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정보 분석 프로그램인 Surfer 8을 활용하기 위하여 기 구축된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변환하였고, Surfer 8을 통하여 위례지구의 지반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반암은 지표하 –1.7~-32.8m 깊이에 존재하며, 파쇄도(RQD)의 분포는 0~100%, 지하수위는 –0.3~-30.0m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더욱 활용하기 위하여 3차원 지반모델링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계분야의 기술자들은 택지개발사업, 주택건설사업 등에서 3차원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대상 지반의 형상과 물성치를 고려하여 유한요소를 정의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작업이다. 바로 이러한 분야에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프리텐션 쏘일네일링의 거동 분석

        오재영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쏘일네일링 공법은 원지반 강도의 손실 최소화 및 원지반 강도를 최대한 이용하면서 보강재를 설치하여 복합 보강지반을 형성하여 전단강도 증대, 발생 변위 억제, 지반 이완 등을 막는 공법이다. 국내의 경우 1993년 가시설 흙막이 벽체에 처음으로 적용된 이후 주로 사면보강 및 지반굴착분야 등에 그 적용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공법이나, 도심지 지하굴착 공사에 있어서는 인접구조물에 대한 영향 및 굴착으로 인한 지반과 벽체의 과대 변형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전면벽체의 형성시 사용되는 숏크리트는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사회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결국 기존의 쏘일네일공법이 지니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더 진보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반앵커공법에서와 같이 쏘일네일에 프리텐션을 가해 벽체 상부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미리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수동형태의 일반쏘일네일을 주동형태의 쏘일네일로 전환시켜 지하굴착공사에 적용함으로서 안전성의 증대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안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하터파기 가설 흙막이 공사시 이용되는 쏘일네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재활용 PE 패널로 2차 숏크리트 대신 전면벽체를 구성하고 네일에 긴장력을 가함으로 벽체의 안정성에 미치는 거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시공으로 쏘일네일 벽체의 거동특성, 안정성 등을 분석하여 프리텐션 쏘일네일 시스템의 거동특성을 살펴보았다. 실내시험은 긴장력 적용으로 인한 쏘일네일링 구조체의 전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현장시험시공은 경사계, 변위계, 인발시험 등의 현장계측을 위주로 이루어졌다. 쏘일네일에 긴장력을 도입할 경우 네일 형식의 적합성 및 쏘일네일의 장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쏘일네일의 설치와 설계 과정에서의 오차를 알 수 있게 된다. 예상되는 설치 조건으로부터의 오차와 지반 특성의 변화는 같은 시공 현장에서도 위치에 따라서 인발 특성에 많은 차이를 유발시키는 요소이기 때문에 네일 시공시 현장 인발 특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긴장력을 보강재에 가함으로서 기존 네일에 비해서 장기 인발저항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검토는 네일에 긴장력을 가한 시스템의 적합성 검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네일에 긴장력을 가한 경우에 대한 분석 결과, 유기질토 및 일부 연약한 점토를 제외한 지반에 설치되는 네일의 경우는 크리프 및 릴렉세이션 효과에 의해서 발생하는 인발력의 손실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긴장력에 의한 지반 상대밀도 및 구속압의 증가에 의한 인발저항력의 증가는 상당히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프리텐션 쏘일네일 시스템은 변위 및 침하를 최소화시키는 주목적과 더불어 전체적인 안정성 증대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굴착벽체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보강재에 미리 긴장력을 가해 네일의 간격 및 길이에 대한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자재비에 대한 경제성과 지하 굴착공사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어 : 쏘일네일, 프리텐션쏘일네일, 수동형태, 주동형태, 긴장력

      •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efforts for service recovery on emotional responses and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 a study of the healthcare industry

        오재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vious studies on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have focused merely on the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al efforts for service recovery. However, based on Bagozzi's (1992) reformulation of attitude theory (appraisal-emotional response-behavior), we believe that the emotional responses toward the organizational efforts for service recovery of frontline employees mediate the relationship. This thes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efforts for service recovery and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by mediating two psychological states (i.e. work engagement, burnout) in healthcare environment. The results show that teamwork, and empower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In addition, customer complaint management, empowerment, and teamwork influenced negatively on burnout. Lastly, work engagement and burnout show significance statistically on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Among the organizational efforts for service recovery, teamwork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frontline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lessen their burnout, respectively. Interestingly, customer service training has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at is, the increasing training leads to frontline employees' burnout. In addition, by comparing our research model to two alternative models, we confirmed the validity of our research model. In conclusion, we found that customer service training would lead to the great service recover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by increasing frontline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lessening their burnout. Moreover, due to the fact that customer service training influenced negatively on burnout, customer service training needs to be limited in order to avoid the decreasing service recover performance of employees. 국내 의료 환경 및 제도적 변화에 따라 병원 간 경쟁은 점차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많은 병원들은 고객에게 최초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품질 향상 노력뿐만 아니라 서비스 실패에 따른 사후적 회복에도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인 서비스 산업과 마찬가지로 의료분야 역시 제공된 서비스가 실패하여 발생한 고객의 불만 사항을 즉각적으로 해결하고 이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고객을 직접 대하는 접점 부서의 종업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점 부서의 종업원들이 고객들의 불만사항을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한 조직적 차원의 노력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업원의 서비스 회복 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들이 종업원들의 직무 몰입과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종업원의 심리적 반응이 종업원들의 서비스 회복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종업원의 서비스 회복 노력 향상을 위한 조직 차원의 6가지 노력 가운데, 팀워크와 권한위임이 직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팀워크가 종업원들의 직무 몰입을 향상시키는데 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종업원들의 직무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고객불평관리, 팀워크, 권한위임이 종업원들의 직무 소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 몰입과의 관계에서와 마찬가지로 팀워크가 직무 소진을 줄이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서비스교육의 경우, 다른 요인들과 달리 종업원의 직무 소진과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고객서비스를 위한 교육을 늘릴수록 종업원이 느끼는 직무소진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직무 몰입과 직무 소진과 종업원들의 서비스 회복 성과와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병원은 종업원 간의 팀워크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통해 직무 몰입을 향상시키고, 직무 소진을 감소시킴으로써 종업원의 서비스 회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무분별한 직원교육을 지양하여 직원들의 직무 소진을 줄임으로써 서비스 회복 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생명과학 학습의 지식 이해, 문제 풀이, 융합 사고에 대한 fMRI 기반 두뇌 활성 연구

        오재영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생명과학 교과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요소인 지식 이해, 문제 풀이, 융합 사고 활동에 대한 두뇌 활성 특성을 fMRI를 기반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식 이해, 문제 풀이, 융합 사고에 대한 각각의 과제 영향을 고려하여 서로 관련 없는 주제를 선정한 후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수정·보완을 거치며 fMRI 측정을 위한 과제의 타당도를 점검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과제는 충남 소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투입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적절한 난이도를 가지고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과제를 최종 선정하였다. fMRI 본 측정은 충북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획득한 데이터에 대한 두뇌 활성 분석과 기능적 연결성 분석을 통해 각 사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특이적인 활성 영역과 해당 영역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생명과학 학습에서 공통적으로 전전두엽의 중전두이랑(Middle frontal gyrus, BA6)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자의 인지 구조에 파지되어 있는 기존에 학습했던 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또한 중전두이랑을 기반으로 각 학습에서의 고유한 두뇌 활성 영역 및 기능적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지식 이해는 전전두엽(Prefrontal lobe)과 해마옆이랑(Parahippocampal gyrus), 후두엽(Occipital lobe)의 활성 및 기능적 연결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논리적인 순서로 관련성 있게 제시된 글과 그림에 의해 해마옆이랑이 관여하고 후두엽에 의해 처리된 시각적 정보들은 전전두엽에 의해 기존에 형성된 인지 구조를 기반으로 생명 현상에 대한 의미를 구성한다. 문제 풀이는 시상(Thalamus)을 통한 전전두엽(Prefrontal lobe)과 후측 두정엽(Posterior parietal lobe), 후두엽(Occipital lobe)의 활성 및 기능적 연결성을 기반으로 보기의 진위를 평가한다. 이는 후두엽을 통해 제시된 문제의 글과 그림에 대한 시각적 정보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전두엽과 후측 두정엽에 의해 문제 풀이에 필요한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함으로써 보기의 옳고 그름을 평가한다. 또한 융합 사고는 양측의 전전두엽(Prefrontal lobe)과 하두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측두엽(Temporal lobe)의 활성 및 기능적 연결성을 기반으로 생명과학 지식을 통해 공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전전두엽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설정한 목표는 하두정소엽에 의해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 과학 지식과 공학적 지식을 인출하여 측두엽과 함께 논리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인 산출물을 현실화하고 평가하는데 관여한다. 즉, 생명과학 학습에서 지식 이해, 문제 풀이, 융합 사고 과정은 각각의 신경학적 특성에 따른 두뇌 수준의 시스템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학습은 두뇌 시스템의 차이에 따른다는 실증적인 신경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어떤 생명과학 학습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두뇌 발달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두뇌 가소성에 따라 반복적으로 특정 학습만을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교수-학습 전략임을 제시하고 있다.

      • COM 기반의 Learning Object에 관한 연구

        오재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들어 학교, 공공기관, 기업체, 등 e-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 분야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e-러닝은 앞으로 교육분야에 패러다임을 바꾸고 개별학습이 가능한 방식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e-러닝을 위한 학습객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e-러닝을 위한 학습객체에 대하여 조사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ADL( Advance Distributed Learning)은 여러 표준화 기구들에서 제안한 명세서들을 통합하여 SCORM(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을 발표하였고 이는 실질적인 교육용 컨텐츠 표준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CORM에 대하여 조사하고 SCORM 에서의 학습객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셋째, 코스웨어의 최소단위인 학습객체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CORM에서도 학습객체는 제작자에게 맡기고 있는데 학습객체 또한 제작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소프트웨어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학습객체 역시 컴포넌트 방식의 학습객체로 개발하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컴포넌트 제작 기법인 COM, CORBA, EJB, 닷넷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넷째, 컴포넌트 제작 기법인 CORBA, EJB, ATL/COM, 닷넷 가운데 현실적으로 가장 유력한 COM 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과목의 학습객체를 제작하고 과목 설계를 위한 구조도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현재 급변하고 있는 e-러닝 분야에서 코스웨어의 최소단위인 학습객체나 ASSET 을 컴포넌트 방식으로 제작하는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학습객체 제작 방법으로 ATL/COM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대부분 윈도우환경에 학습객체를 개발하는 현실 상황을 볼 때 가장 재활용도가 높고 이로 인한 비용감소와 그에 따른 컴포넌트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With increasing concern over e-learning at schools, public organizations, companies, etc., active researches are going on in this area. e-learning is expected to change education paradigm and enable individual learning in the future.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ing objects for e-learning. First, it surveyed learning objects for e-learning and analyzed recent research trends. Second, ADL(Advanced Distributed Learning) announced SCORM (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 by integrating specifications proposed by sever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SCORM is being settled as a virtual standard of educational contents. Thus this study examined SCORM and inquired into learning objects in SCORM. Third, it studied how to make learning objects, which are the smallest units of courseware. In SCORM, learning objects are made by producers. Because it takes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learning object software, the author proposed to develop learning objects in component-based methods and analyzed component-based methods including COM, CORBA, EJB and .Net. Fourth, Employed the most practical and feasible COM among the component-based methods analyzed, this study manufactured learning objects for the subject Simulation and presented a structure diagram for subject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omponent-based manufacturing of learning objects or ASSET, which are the smallest units of courseware, in the rapidly changing area of e-learning. In particular, the author proposes to employ ATL/COM in creating component learning objects. It is because,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learning objects are mostly developed in Windows system, they will be highly reusable and consequently reduce costs for develop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mponents.

      • 반응중심 시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오재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s making learners find literatures themselves that they can experience many things passively, so that they can feel happy by the literatures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the real experience. However, the learners cannot make progresses by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so reader-response theory came out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will focus on applying of response-centered Sijo teaching-learning method, because the learners can express many responses by Sijo. Also, revision of the education increases the productivity, and quantities' demand of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accepting and creation of Sijo should be educated together. Response-centered Sijo teaching-learning method consists of planning,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n planning stage, there are pre-planning, examination, and re-planning. The contents in the pre-planning stage are re-planned by the examination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n teaching-learning stage, the response of the learners is dealt with. In this stage, there are stimulation for formation of response, the formation of the response, self-examination of the response, display of the response, and values clarification by exchange, spread of the response, and self-reflex ion of the response. Especially, the stimulation for formation of the response and spread of the response stage, the learners take literal creation in a humble way, so that acceptance and creation are combined possibly. In the stimulation for formation of response, the learners' background information is activated to get efficient response. In the formation of the response, the learners read a text, and make efficient response and aesthetic response. When they are all done, the learners correct the flaw by self-reflex ion of the response. In the stimulation for formation of the response and spread of the response stage, there is discussion for exchange and clarify response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the learners and other learners as well. In the spread of the response stage, interextuality and main text are compared and reformed to be more creative, so that the response of the learners is spread out. After all, the learners have time to re-arrange of response-centered Sijo teaching-learning method. Response portfolio is mad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 Response portfolio is not only the teacher, but also the learners can evaluate themselves. The learners can experience and acquire things by literature text. The evaluation is checked by self reflex ion, discussion, checklist by the teacher, and creative re-organized outcome. There is the combination of progress and result of the evaluation. Response-centered Sijo teaching-learning method can cause many effects. Firstly,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can be made that passively affects the learners to be active learners of literature. Secondly, discussion learning causes cooperative learning. Thirdl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ontains acceptance and creation of literature helps to get the big pictures. Fourthly, response portfolio brings about metacognitive thinking efficiently. Fifthly, the teachers can get professionalism when they go through all the process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ways, and the progresses of cre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learners to be active. It is meaningful because there are many solutions of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All the solutions are based on the bas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