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오윤희 남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오윤희 지도교수 : 박명숙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시와 J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중 간호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각각 2개 대학 총 4개 대학을 임의로 선정하고 신입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6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에서 대인관계능력 측정도구는 Schlein, Guerney와 Stover(1971)가 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문선모와 이형득(1980)이 번안한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활 적응 측정도구는 Baker와 Siryk(1984)이 개발하였으며 이윤정(200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공감능력 측정도구는 Davis(1980)가 개발한 대인간 반응성 지수(In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강일 등(2009)이 번역하여 개발한 한국어판 IR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효과에 대한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평균 20.94±3.52이며, 여성이 139명(77.7%)이었고, 종교는 없는 자가 103명(57.5%)이었다. 경제상태는 ‘중’이라고 응답한 자가 104명(58.1%)으로 많았고, 거주형태는 기숙사 거주자가 77명(43.0%)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응답한 자가 89명(49.7%)으로 가장 많았고, 학과 지원동기는 ‘자발적 지원’이 74명(41.3%)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9명(49.7%), ‘만족’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87명(48.6%)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학만족도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04명(58.1%)로 가장 많았다. 공감교육을 받지 않은 자가 118명(65.9%), 동아리 가입 수가 ‘1개’라고 응답한 자가 80명(44.7)으로 많았다. 리더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자가 95명(53.1%)으로 많았고, 친구 수는 ‘3-5명’이라고 응답한 자가 84명(46.9%)으로 많게 나타났다. 2.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62±0.54점이었고, 공감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46±0.35점이었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5점 만점에 평균 3.36±0.5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은 경제상태(F=7.12, p<.001), 건강상태(F=8.76, p<.001), 전공만족도(F=13.62, p<.001), 대학만족도(F=8.98, p<.001), 동아리 가입 수(F=5.91, p=.003), 리더경험(t=3.57, p<.001), 친구 수(F=11.8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능력은 건강상태(F=3.15, p=.045), 전공만족도(F=5.12, p=.007), 대학만족도(F=6.61, p=.002), 동아리 가입 수(F=8.28, p<.001), 리더경험(t=3.13,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은 성별(t=-2.02, p=.045), 경제상태(F=3.08, p=.048), 건강상태(F=17.17, p<.001), 학과 지원동기(F=32.53, p=.042), 전공만족도(F=29.18, p<.001), 대학만족도(F=33.93, p<.001), 친구 수(F=13.0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 적응(r=.49, p<.001), 공감능력(r=.4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능력은 대학생활 적응(r=.3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인관계능력이 매개변수인 공감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44,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대인관계능력이 종속변수인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β=.49, p<.001), 3단계에서는 대인관계능력과 공감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이때 독립변수인 대인관계능력은 3단계 β값이 .41(p<.001)로 2단계의 β값 .49(p<.001)보다 작아 공감능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공감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시행한 결과 Z값은 2.43이였으며,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015).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강할수록, 전공만족도와 대학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과 공감능력 및 대학생활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건강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생활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대인관계능력과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 참여를 도모할 전략이 요구된다. 주요용어 : 간호대학생, 대인관계, 공감능력, 대학생활 적응

      • 정보·한문 융합 수업이 중학생의 융합적 사고력과 한자 학습에 미치는 영향

        오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 내용 중 한문 교과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8차시에 걸쳐 정보·한문 융합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정보·한문 융합 수업을 시행한 집단이 일반 한문 수업을 시행한 집단에 비해 학습자의 융합적 사고력과 한문 학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도자기 감상 학습을 위한 박물관·미술관 활용 방안

        오윤희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자기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을 알 수 있는 동시에 미적인 감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대상이다. 동시대의 다른 나라의 어떤 도자기 속에서도 그 우수성을 나타낸다. 아름다운 형태와 섬세한 무늬 그리고 고운 빛깔은 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우리 도자기의만의 개성이다. 도자기를 통해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말하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 미술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작품과 시대적 배경과의 관계 그리고 작품의 내용과 형식 등을 내용으로 하는 감상 수업 방안을 고안해 보았다.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첫째,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감상할 도자기를 선정, 둘째, 문헌 연구와 현장 답사를 통해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도자기 감상 학습을 위한 박물관·미술관 활용 방안을 어떻게 계획할 것인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우리 미술에 관심을 갖고 올바르게 감상할 줄 알며 박물관·미술관을 진정한 배움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장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미혼모시설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오윤희 건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oblems of unmarried single mothers have existed quite a while now. As the Korean society became industrialized and westernized, open and provocative Western sexual culture was gradually introduced in Korea without any censorship. Furthermore,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dissolution of extended family system have brought a loss of social and cultural values. Due to the neglect of teenagers free sexual activities before marriage, the number of unmarried single mothers is on the rise. The rapid increase of unmarried single mothers has caused various problems, not only to the individual but also to the baby, family, society and country. Exclusion from the family is also one of the causes behind family breakup. Even nowadays, the societys attitude towards single mothers has not changed. They are still held in contempt, treated coldly and considered as sin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o improve single mothers facility programs and provide quality service. I researched into the lives of unmarried single mothers in special homes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and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rograms. I interviewed single mothers living in 8 homes all over the country. The interview and research took place from February 15th till April 10th, 2002, for 52 days. The interview was made through a questionnaire consisting 48 questions. The materials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PC+Ver10.0 which gav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answers. The results of my study are as follows: One: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unmarried single mothers I interviewed was their age. The number of single mothers between the age of 10 and 19 was the highest with 53.7%. Most of them were teenagers with only high school education. 50% were high school students or graduates. Two: Regarding pregnancy and birth, most of the people responded that they found out about their pregnancy at an early stage, but there were many who found out after 5 months (26.9%) and after 7 months (11.2%). Unwanted pregnancy rated 69.8% indicating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sexual education to teenagers and in preventing teen pregnancies. The greatest difficulties for single mothers were emotional problems (35.7%), child problems (26.8%) and economic problems (13.1%). Three: Single mothers use special homes provided for them mainly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36.6%) and child adoption (39.5%). They are mostly teenagers and minors who do not want to rear their babies or those who do not have the ability to raise them. The services they need most at the facilities are consultation, free bed and board, and free medical service. 29.8% pointed out that the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When they leave the homes, 53.0% wanted to get a job and 30.4% wanted to go back to school. Four: Regarding self-respect of unmarried single mothers, they had negative opinions about themselves, but positive about their worth and abilities. Overall, they did not have much self-respect or self-confidence. Their raison detre was rated high, frustration low, and satisfaction high. Five: The satisfaction of character and health education, consultation, living and general education, facility programs, instructors and facility equipments was high. They were considered to be helpful to the single mothers when they leave the homes. However, there was dissatisfaction in vocational training, computer, job searching and business start-up programs. Teen pregnancy problem is not confined to a certain group. It is a problem that impacts nearly every community. The government should take charge and establish integrated macro-economic policies to prevent teen pregnancies. A comprehensive diagnosis and prescription is also required in the aspect of womens welfare. Based on the result of my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improve the welfare system and policies for single mothers. First of all, it is the common idea that out-of-wedlock childbearing for young women occurs in broken homes and the poor class, but recent trends show that the age of single mothers is becoming younger and their education level higher. Nowadays, the increased birth rate for unmarried teens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is study made evident that the Korean societys attitude towards unmarried single mothers has a huge influence on solving the problem. A negative approach to this problem makes policy-making passive, so a new approach is required to devise proper measures. Single motherhood is not only an individuals responsibility but also the societys responsibility. We should establish joint strategies to develop and carry out integrated and individualized services. Single mothers should not be regarded as outcasts and be treated without prejudice. It is time to change our social perception towards them and their children. Secondly, we need to expand welfare facilities for unmarried single mothers as there is a great shortage in number. Perfunctory prevention education and basic provision of bed and board are insufficient. In order to prevent teen pregnancies and provide welfare to single mothers more realistically, it is critical to establish plans for active fund-raising and procuring specialists to operate the facilities efficiently. Proper management of specialists is necessary, such as giving training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skills and abilities. Remuneration system should be revised overall to provide appropriate salary, retirement payment and allowance to people working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This will build the basis to maintain specialists in welfare business and also create an environment to expand this field. Thirdly, organizations for single mothers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teen pregnancy, protect teen mothers, and give self-support training. They should act as direct communicators to teen mothers and provide them with appropriate services. Furthermore, current single mother related laws must be revised systematically to prevent teen pregnancy and protect teen mothers effectively. The law should support single mothers and assist them with problems regarding their illegitimate children. We depend on special homes for single mothers to care for them just before and after childbirth. On the contrary, we should induce them to choose to rear their children by providing economic support, bed and board, medical benefits and vocational training. Finally, teen mothers become very unstable emotionally and mentally through their difficult experiences of out-of-wedlock pregnancy and branding as social outcasts. Homes for these unstable and uncertain young mothers must strengthen the functions of current consultation service. Specialized consultation service should assist them to cope with their ment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Furthermore, a special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keep in contact with single mothers who leave the homes and help them to return to their family and the society.

      • 장애인 활동보조지원사업 코디네이터의 서비스 제공 경험 : 근거이론을 토대로

        오윤희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활동보조 코디네이터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경험하는 과정과 어떠한 어려움과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지, 코디네이터는 이를 어떻게 해결해나가고 극복해 나가는지 나아가 어떠한 과제와 요구들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중개기관에서 근무하는 코디네이터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서비스제공경험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역자활센터, 주간보호센터에서 근무하는 코디네이터 6명을 선정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은 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우선 예비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의 적합성 확인 및 연구 참여자의 기본정보 등을 파악하였으며,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가 포화에 이를 때까지 수집하였다.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근거이론 접근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 방법을 적용한 이유는 활동보조지원사업을 담당하는 코디네이터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체계적인 질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제공과정이 다른 코디네이터들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귀납적으로 개념과 이론을 추출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의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하면서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제시된 단계를 따르고자 노력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른 개념 및 범주화,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기술하였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한 후 유형을 분류, 유형을 분석하고 관계진술과 비교하여 가설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황모형을 통해 연구와 관련된 광범위한 상황을 고려해보고, 자료를 통한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53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이 통합한 23개의 하위범주가 나왔으며 이러한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11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측 코딩에서 패러다임의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준비없이 시작된 사업’이었고, 중심현상은 ‘끊이지 않는 문제들에 지쳐버림’이었다.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예산의 부족과 경쟁체제의 이중고’, ‘다양한 관계의 갈등’, ‘노동자로서의 절하된 가치’였으며, 중심현상에 대해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중재적 조건은 ‘긍정적인 마인드’, ‘원활한 지지체계’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서비스 특성에 맞는 업무능력 개발’, ‘효과적 사업 운영전략 적용’, ‘간담회 활성화’, ‘현실 처지의 회피’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장애인복지 실천가로 거듭남’으로 나타났다. 활동보조 코디네이터의 서비스 제공경험에 대한 과정은 ‘코디네이터의 직무경험의 단계’, ‘갈등과 소진경험의 단계’, ‘극복을 위한 노력 단계’, ‘발전을 위한 거듭남의 단계’의 4단계로 분석되었다. 첫째, ‘코디네이터의 직무경험의 단계’는 코디네이터가 신규제도로 잘 갖춰져 있지 않은 사업을 수행하면서 전자바우처라는 새로운 운영체제에 대해 이해하려고 하며, 활동보조서비스라는 업무를 알아가고 경험하는 단계이다. 활동보조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매뉴얼 및 지침을 참고 하게 되지만, 지침의 불명확성으로 혼란에 빠지게 되며, 다양한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을 만나고 경험하는 과정이 이 단계에 해당된다. 둘째, ‘갈등과 소진경험의 단계’는 코디네이터가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을 매칭시키는 과정에서 다양한 상황들에 직면하게 되고, 심각한 갈등을 경험하게 되며, 불명확한 지침으로 지속적인 혼란과 코디네이터의 기관 내 낮은 지위와 처우로 인해 소진 경험을 나타내는 과정이 이 단계에 해당된다. 셋째, ‘극복을 위한 노력 단계’는 소진을 경험하는 코디네이터들은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코디네이터 모임을 조직하여 운영하였으며, 지역 내 중개기관과 시 공무원과의 정기 간담회를 시행하기도 하여 정보공유 및 불명확한 지침에 대한 해석을 위해 노력하고, 업무수행 노하우를 통해 서비스의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 사례관리 도입 및 부가서비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이 단계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발전을 위한 거듭남의 단계’는 활동보조서비스에 대한 의미를 깊게 이해하게 되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변화되어지며, 장애인의 자립생활 향상과 활동보조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고민하게 되고, 서로 협력적인 관계로 상생해야 함을 인지하게 된다.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이 단계에 해당된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반복적 문제상황에 대한 극복의지’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유형은 ‘창의적 실천형’, ‘현상 유지형’, ‘소진 회피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창의적 실천형’은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의적으로 탐색하고 해결방법을 만들어 적용하려고 노력하려는 유형을 의미한다. 코디네이터들은 준비없이 시작된 활동보조지원사업으로 인해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고, 지침의 불명확화로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예산의 부족과 경쟁체제의 이중고라는 환경과 다양한 관계의 갈등, 노동자로서의 절하된 가치로 인해 더욱 가중되고 있었다. 그러나 사업에 대한 애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고, 보람과 존재감, 신앙심을 가진 긍정적인 모습으로 자기개발을 위한 학습, 서비스 특성에 맞는 업무능력 개발, 효과적 사업 운영 전략개발, 네트워크 그룹을 조직하여 간담회를 시행함으로써 어려움과 문제에 대해 창의적으로 고민하고, 고민을 실행에 옮겨 적용하는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둘째, 현상 유지형은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적극적인 해결방법을 찾기보다는 현상을 유지하고, 회의적인 태도로 문제해결에 필요한 부분만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유형을 의미한다. 참여자들은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활동보조서비스에 대한 잘못된 인식, 홍보 부족, 불명확한 지침에 대한 혼란 등으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된다. 또한 다양한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기관 내 낮은 지위와 처우, 지지체계 부재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얻는 보람과 존재감을 매우 의미있게 여기며 현 스트레스 상황을 미화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하기보다 서비스 현수준을 유지하고,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선에서 의도적으로 만족하고, 안주하려는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셋째, 소진 회피형은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문제에 대해 해결하려고 노력은 하지만, 실제 마음속은 해결에 대한 의지가 부족하며, 소진을 경험 후 업무를 그만두고 싶어하는 모습을 보이는 유형을 의미한다. 참여자는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업무수행에 대한 어려움과 업무과중, 다양한 대인관계의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매우 심한 상태에 놓여 있으며, 부정수급으로 인한 이용자와 활동보조인에 대한 실망감, 직업소개소 직원의 업무를 하고 있는것 같은 느낌으로 인해 일에 대한 회의감에 빠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명감과 보람감으로 극복해보려고 노력하지만 몸과 마음이 지쳐있어서 더 이상 의욕과 의지력을 갖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였다. 참여자는 자신의 소진상태를 상사에게 알리고 보직변경을 요청하였으며, 이 후 타 업무로 전환하게 되었고 어렵게 수행해온 업무에 대한 아쉬움과 더불어 기쁘고 홀가분한 마음 상태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과 그에 따른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보조 코디네이터의 급여 및 복리후생에 대한 지침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활동보조 코디네이터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활동보조 코디네이터의 네트워크 모임 활성화다. 넷째, 장애인과 활동보조 코디네이터의 비율제 마련이다.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를 위한 실천적 제언 외에도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제언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소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이며, 여기에 소개된 표본은 연구자의 의도에 따른 표본이므로 대표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연구 대상이 지역적으로 한정 되어있기에 전국의 모든 코디네이터의 사례를 접하지 못함으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발견된 코디네이터의 유형화를 현장에서 꾸준히 검증하면서 심층적으로 논의를 거친 후 유형화에 따른 분석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코디네이터의 매칭 과정 및 갈등해결과정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테네시 윌리엄즈의 극에 나타난 도피 양상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와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를 중심으로

        오윤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ennessee Williams is one of the most excellent playwrights in America after World War Ⅱ. He mainly established the southern district where many of his works described different kinds of outsiders who failed to face their circumstances. They were called fugitives and depicted as mentally deranged and sexually perverted artists averting their eyes from the society and physical diseases. Therefore most of his plays end tragically. His critics commonly say that Williams' attitude of describing the dark side of life rather than the bright side originated from miserable experiences in his growing years and his pessimistic view of life. Even though he was a very autobiographical writer, Williams tried to reconstitute his personal experiences into objective and general ones in his works. In A Streetcar Named Desire, Blanche doesn't face the world of reality and wants to live in a world of illusion, the past.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Allen, she resorts to promiscuity in order to relieve her loneliness and her guilty consciousness over Allan's death. Nobody helps her live in reality. At last, she is raped by her sister's husband Stanley and taken away to a mental asylum. Cat on a Hot Tin Roof shows that idealized friendship can cause a tragedy. Idealized friendship is like ice that warm human feelings can not break into. Brick's friendship makes him refuse to accept the reality of his friend Skipper and drives Skipper to commit suicide. Brick feels a guilty conscience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the accident. This makes him alcoholic. His disgust against social mendacity that he says as an excuse for his alcoholism is, in fact, his disgust against his own mendacity that he is afraid of facing. Characters in the two plays are sensitive and frustrated people who preserve their own illusions as refuges from the destructiveness of time, the trap of real circumstances and inner factors that disintegrate them. Tennessee Williams believed that isolation, loneliness and lack of communication are the main factors of his characters’ flight. In addition, he depicted problems in modern people through these characters, making us realize ourselves more objectively and reflect on our way of life.

      • 비의료인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실기교육 효과

        오윤희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정지의 발생은 예측 불가능하며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발생하므로, 환자 발생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병원 전 심정지가 대부분 목격됨에도 불구하고 발생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 중 일반인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중요하다. 서울시 일 종합병원에서 응급상황 발생시 적절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비의료인 중 사무직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전담자에 의해 1:1 실습중심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제공 전후의 실기수행능력을 파악함으로써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일반인을 위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수행된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05년 3월 10일부터 4월 18일까지의 기간동안 심폐소생술 교육에 참석한 사무직원 47명 중 1차, 2차, 3차 평가에 모두 참석한 37명이다. 심폐소생술 실기수행능력 평가표와 심폐소생술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repeated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Bonferroni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별 심폐소생술 실기수행능력은 1차와 2차 평가에서 ‘도움요청’외에는 낮게 나타났으며, 3차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실기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단계별 심폐소생술 실기수행능력은 1차, 2차, 3차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사후검정 결과 기도유지, 호흡확인, 순환의 징후가 없을시 심폐소생술 계속 시행여부에 관한 능력은 1, 2, 3차 모든 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도움요청’에 관한 능력은 1차 평가보다 3차 평가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심폐소생술 교육경험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기수행능력은 1차와 2차 평가시 교육경험이 있는 집단이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가 나왔다. 3차 평가에서는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실기수행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심폐소생술 시행에 대한 자신감에 있어 갑자기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1차 평가에서 37명 중 1명만이 ‘자신있다’라고 답했으며, 3차 평가에서는 34명(91.9%)이 ‘자신있다’라고 답했다. 결론적으로, 일 종합병원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전담자에 의해 실시한 비의료인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이 심폐소생술 실기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음이 규명되었다. 특히 자가학습보다는 Simulation을 이용한 1:1 실습교육이 비의료인의 실기수행능력을 유의하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를 근거로 일반인들을 위한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응급상황에서 실제로 심폐소생술을 행할 수 있도록 이론과 1:1 실습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3-6개월 간격으로 교육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추가연구 및 교육방법에 대한 다학제간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CPR should be done by a witness in the field because fatal brain injury occurs in 4-6 minutes after sudden cardiac arrest. But in Korea, the cases of CPR on the spot are very few even though there are many witnessed cardiac arrests in the prehospital field. So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we need to focus on the teaching and public relations about importance of CPR for general people in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n a tertiary hospital of Seoul, CPR teaching provided for office staffs of non-healthcare providers using one to one practice method by CPR teaching specialists. This study is a single primary experimental study designed with pre-test and post-test having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PR teaching method and of giving basic data source for CPR class of the non-healthcare providers by checking the performing ability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cla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37 office staffs who participated all in the primary, secondary, third test among 47 office staffs who took CPR class from 2005, March, 10th, to 2005, April, 18th. the tools of this study were CPR performing evaluation sheet and CPR teaching computer program. Data analysis was made using SPSS 12.0, especially percentage, t-test, repeated ANOVA were used and Bonferroni fo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during pos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by the test, all items were low except'call for help' in the first and secondary test, but most items high in the third test. Second, in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by the step of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by the step were showed in the first, second, third test. Especially in the post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in the items of 'airway maintenance', 'checking for breathing''continue to CPR when no signs of circulation'of all the three tests. Also the item of 'call for hel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hird test than in the first test. Third, in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by the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experienc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no learning experience group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But the difference of the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by whether the learning experience showed no significant meaning in the third test. Fourth, in the self-confidence about CPR practice when faced emergency situation, only one person among 37 people replied as 'having confidence' in the first test, but 34 people(91.9%) answered as 'having confidence'in the third test. In conclusion, one to one CPR practice method by CPR teaching specialists was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CPR practice of non-healthcare providers in a tertiary hospital. Specially one to one practice teaching method using simulation showed more effect in improving the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of non-healthcare providers than self-study did.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could be mad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develop the staged CPR program for non-healthcare providers. Second, To improve the CPR practice rate of non-healthcare providers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hat knowledge class should be paced with one to one practice class. Third, Additional studies evaluating the du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PR learning per 3-6months and multidisciplinary studies about the teaching method would be needed.

      • 이인직 문학과 친일사상 연구 : 「血의 淚」를 중심으로

        오윤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학은 개인의 창작이면서 동시에 그 시대 집단의 공통적 사상과 감정이 집약된 표현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의 문학 작품을 평가함에 있어서 자기탐닉적인 욕망이나 정서, 그리고 표현방법만을 고려하는 평가방법에서 벗어나야 한다. 더불어 문학작품이 지니고 있는 사상성과 작가가 처한 현실까지도 놓치지 않고 고루 파악 할 때, 그 문학의 참다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근대화 초기, 우리 문학의 가장 뚜렷한 이념적인 목표는 개화와 자주독립, 두 가지로 집약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일제의 침략기라고 하는 불행한 역사가 우리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특수한 환경 때문에 우리 문학은 서로 상반된 두 갈래의 길을 걸어 왔는데, 하나는 식민지 지배 현실에 순응하여 안주하려는 개화 유학생들의 문학이며, 또 다른 하나는 당대 지도 세력이었던 보수주의자들의 문학이다. 전자는 일본의 후원을 등에 업고 몇몇 신소설을 통하여 일본의 식민정책을 합리화시켜주는 친일문학으로 귀착하였다. 후자의 경우는 당시 신소설을 비판하고 국난기의 현실비판과 민족의식의 제고를 주장하였다. 당시의 이인직의 「血의 淚」와 같은 신소설들은 사상성의 문제, 내용의 공정성, 계몽적인 민족문학성 등 몇몇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했으며 이에따라 이시기의 평가가 극과 극으로 갈라진다. 당대 시대의지였던 새로운 진보주의 사상을 고취한 새로운 문학이라 하여 지나친 찬사가 주어지기도 했고, 표현, 기교, 잘못된 계몽성 등을 들어 그 문학적 가치를 폄어하는 평가도 있었다. 모든 것을 이인직 단 한명을 가지고 말할 수는 없지만, 이인직의 「血의 淚」라는 작품을 파악함으로써 당시의 시대 상활과 그의 작품에 나타난 나름의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血의 淚」는 작품의 발표 당시 혹은 가까운 과거 시대를 배경으로 삼고, 조선말 내지는 개화기 당대의 역사적 사건 및 사실에서 제재를 취하여 작가의 뚜렷한 현실의식과 역사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며, 또한 친일파 언론인이며 소설가로서 이인직의 특정한 정치적 동기와 목적의식에 입각하여 일반 독자들에게 특정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암암리에 합리화하고 주입시키려는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 소설이다. 그러면서도 역사적으로 일제의 강압에 의한 한일합방이라는 역사적 대사건이 임박해 오는 절망적인 시기에 발표된 작품으로, 시대의 급변에 따른 작자의 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과 그 내용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작품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했던 작자의 이데올로기적 의도가 무엇이며 신소설에 나타나는 친일 사상 혹은 친일 이데올로기는 비단 이인직의 소설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지만, 그가 개화기의 대표적인 신소설 작가이자 문학적 가치 면에서도 수준 있는 소설들을 써 낸 작가로 평가된다는 점에서 관심과 주목의 대상이 되므로 연구하여 본다. 그리하여 어떠한 인물을 통하여 친일적인 색채가 묻어나는지, 또한 어떤 서사구조 하에서 그의 사상이 엿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이인직의 주요 작품인「血의 淚」를 바탕으로 하여 작품에 드러나는 그의 사상과 관련하여 고찰하고 탐구하고자 한다. 소설의 구조적 대상 중에서도 서사구조는 소설의 바탕이 되므로 서사구조 연구를 선행하며, 작가의 무의식적인 사상이 투영되었으리라 생각되는 등장인물들의 분석을 통해 작가의 의도와 작품에 나타난 친일 사상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Literature is a personal creation, but expression integrated a common idea and emotion as well. Therefore, we need to escape from evaluation method only considering self-addictive desire, feeling, and expression way. In addition to that, we will find out real value of literature when we grasp ideological feature in literary works and even the tragic reality writer face. In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clear ideological goal of Korean literature can be integrated in two points, enlightenment and independence.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much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of year. Because of specific context, it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One is enlightened international students’literature which is in sympathy with colonial rule, the other is conservative’s literature. The former came down to Japanophilism literature which rationalized a colonial policy through several new-style novels by support from Japan. The latter case criticized the then new-style fiction and insisted to promote national ethos. new-style novels like a Lee, In-jik's 『Teardrops of Blood』 had some problems such as a matter of ideological feature, fairness of contents, enlightening national literary value, and so forth. People rated that period either extremely good or extremely bad. There was no middle ground, because it has not yet solved the matters. Some gave it a great compliment that it was a new literature inspiring progressivism. However, others denounce it scathingly giving examples such as expression, and misguided enlightenment, etc. We can give its assessment through catching hold of『Teardrops of Blood』, even though we may not judge everything by Lee, In-jik only. The novel is set in a time of announcement or close past period. It showed writer's distinctive feeling of reality and historical perceptions by getting a material from the historical cases and facts. It has ideological implications which put in political ideology secretly on the principle of his political motive and sense of purpose. It announced in the hopeless period of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under duress, and it revealed ideological making process of writer with the leap of times and its contents. Although pro-Japanese idea or ideology doesn't stop on the Lee, In-jik’s novel world, this paper examines his novel because he was a representative of new-style fiction on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he is estimated he is the author of many famous novels. In order to check pro-Japanese colors and his ideas, thesis studies writer’s thought based on his major work 『Teardrops of Blood』. This manuscript precedes an epic structure study because manuscripts is a foundation for the novel and it discloses the aim of writer and Japanophilism appeared in work through character’s analysis.

      • 대학생이 지각한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오윤희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때 데이트폭력 및 가해동기에 대한 성차 논쟁에 주목하여 두 변인과 그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조사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4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약한 심리적 폭력, 강한 심리적 폭력, 약한 신체적 폭력, 강한 신체적 폭력)에서 나타나는 가해 및 피해 실태의 성차와 가해동기의 성차를 확인하였다. 데이트폭력 경험이 있는 남녀 대학생 31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가해에서만 성차가 나타났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심리적 공격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가해를 공격수준에 따라 구분한 결과에서도 여성은 약한 수준과 강한 수준 모두에서 남성보다 심리적 공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에서도 성차가 확인되었는데, 4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 모두에서 가해동기의 성차가 나타났다. 특히 자기방어는 4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가해동기로 지각하고 있어, 여성의 가해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다음으로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남성과 여성은 상이한 관계 양상을 나타내었다. 즉 남성의 데이트폭력은 정서/정신/신체상태 가해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여성의 데이트폭력은 힘/권위를 행사하고자 하는 가해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 2는 연구 1의 결과에 기초하여, 심리적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여자 대학생 107명의 자료로 아동학대 경험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힘/권위 행사 동기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변인의 관계에서 힘/권위 행사 동기가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에서는 데이트폭력 실태 및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에서의 성차, 데이트폭력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 그리고 여성의 아동학대 경험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힘/권위 행사 동기의 완전매개효과에 대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dating violence. And this study focused on controversies of gender differences in dating violence and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refore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two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dating violence and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study 1 identified gender differences within perpetration, victimization and motives of total 4 types of dating violence(mil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severe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severe physical dating violence, severe physical dating violence). In result of study 1 that analyzed data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n=317) who had experienced dating violence and were more than 18 years, gender differences appeared in only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and females indicated that more women than men had perpetrate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In the investigation severity of aggression of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also females indicated that more women than men had perpetrate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Furthermore,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revealed gender difference in total 4 types of dating violence too. Especially, only self-defense of motives appeared gender difference in total 4 types of dating violence. Therefore these results have suggested that self- defense is closely related to women's perpetration. Next, males and females appeared different relationship in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dating violence. Men's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was significant associated with emotional/mental./physical state, on the other hand, women's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was significant associated with asserting power/authority motive. Based on significant the findings of study 1, study 2 exa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child abuse an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mediated through asserting power/authority motive. For this, study 2 analyzed data of female college students(n=107) who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In result of study 2, female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ully mediated through asserting power/authority motive. In discussion,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ed in the actual state of dating violence and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and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experience of child abuse an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mediated through asserting power/authority motive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h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