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라임 등급 오피스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오영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환위기 이후 부동산 투자에 대한 제도적인 변화와, 다양한 투자방식이 도입되고 발전함에 따라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창출하는 오피스는 현재 중요한 투자자산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도심(CBD), 강남(KBD), 여의도(YBD)등 3대 업무중심지구를 중심으로 한 오피스 시장에서 자산 가치가 가장 높은 최상위 등급의 프라임(Prime) 오피스 빌딩은 기타등급의 오피스 빌딩과는 달리 외국인 투자자 및 국내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프라임 오피스가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과 관심에 비해 오피스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기존의 연구중 기타 등급과는 규모, 설비면에 있어 확연히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는 프라임 오피스에 대해 특화시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인 임대료를 분석하여 프라임 오피스가 기타 등급의 오피스와는 차별적인 임대료 결정요인을 지니고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새로운 변수의 도출과 체계적인 실증분석을 통해 프라임 오피스만이 지니고 있는 임대료 결정요인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프라임 오피스가 지니고 있는 특성인 I.B.S(Intelligent Building System) 도입여부, 아케이드(Arcade) 구성여부, 지하철역사와의 직접적인 연결, 1층 로비(Lobby)공간의 접객공간설치 등의 변수를 설정하여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두 프라임 오피스 임대료 결정에 있어 유의한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오피스 임대료 관련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프라임 오피스가 지닌 내부적 특성들을 파악하여 변수로 활용, 프라임 오피스의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직업훈련의 소득계층별 효과에 관한 연구 : 취업가능성을 중심으로

        오영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직업훈련은 사회적·경제적 가치로서, 사회안전망으로서, 그리고 사회적 배제의 예방과 극복을 위한 수단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 직업훈련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대량실업에 대응하여 중요한 실업대책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규모로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 현실에 비해 직업훈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연구대상자를 저소득층과 일반계층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차이를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더욱이 저소득층을 최저생계비이하의 빈곤충과 근로능력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의 조건부수급자와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공적지원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차상위계층으로 구분하여 수행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직업훈련의 효과로서 직업훈련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소득계층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직업훈련이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면 소득계층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소득계층별로 취업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 소득계층은 최저생계비 이하의 빈곤층과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의 150% 미만인 차상위계층 그리고 일반계층으로 구분하여 소득계층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전국 5,000가구의 18세 이상 성인 9,5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 및 수요조사”결과이다. 분석 방법은 이항 로짓 모형(Bivariate logit model)을 활용하여 직업훈련의 취업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업훈련은 모든 소득계층에서 취업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소득계층별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직업훈련 참여가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최저생계비이하계층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일반계층, 차상위계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훈련참여 이외에 남자가 취업확률을 높이는 공통적인 변수로 나타나고 있는데 일반계층 남자의 취업확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차상위계층, 최저생계비이하계층의 순이다. 이에 반해서 간병가족 변수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는 공통적인 변수로서 차상위계층, 최저생계비이하계층, 일반계층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든 소득계층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변수는 아니지만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사별, 이혼, 별거 등으로 인한 한부모의 경우 직업훈련이 취업확률을 높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으나, 양육해야할 자녀 및 정부급여 수급 변수는 취업확률을 낮추는 변수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교육수준과 기혼여부는 소득계층에 따라 직업훈련이 취업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근로빈민(working poor)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빈번한 실업은 노동시장에서 필요한 인적자본축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의 반복적인 실업이 빈곤으로 이어질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에 대한 훈련은 당장의 취업만을 위한 일회성 훈련이 아니라, 계속적인 훈련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고용유지와 고용의 질을 제고하여야 한다. 둘째,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저소득계층에서 가족의 간병이나 자녀의 양육문제는 취업가능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안정적인 고용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최저생계비이하계층의 경우 정부급여 수급자의 취업가능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이들의 인적자본의 특성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이들의 근로활동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 또한 취업가능성을 낮추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의 복지급여 체계에서도 기인한다. 따라서 저소득층이 적극적으로 근로에 참여하고 소득창출 노력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복지급여 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다. 넷째, 훈련참여 경험이 있는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저소득층의 경우 절반 이상이 중졸이하의 저학력 및 50대 이상의 중·고령자로 기초학습능력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는 훈련보다는 일자리 마련이 우선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저소득층의 특성을 고려한 훈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차상위계층의 경우 최저생계비이하계층과 마찬가지로 인적자본 수준이 낮고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있을 뿐 아니라 직업훈련과 취업, 복지서비스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사람은 최저생계비이하계층보다 오히려 높은 비율로 추계되고 있다. 따라서 차상위계층에 대해서도 공적 지원정책을 제공함으로써 빈곤정책의 유효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직업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소 A Study on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for different Income Groups Vocational training is expected to create social and economic values, to act as a social safety net, and as a means for preventing and overcoming social exclusion. With such social welfare implications, vocational training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countermeasures against massive unemployment since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Korea. In spite of extensive vocational training practices that take place, there has been only limited research on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Especially, there has been extremely little research that simultaneously analyzes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on the low-income group and the other income groups. Furthermore, no study has been done on the low income group placed in the blind spot of the public support system, even though the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overty group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or from those conditional recipients unde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whether vocational training has any influence on employment, and, if s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y income group, and what factor influence employ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vocational training influence employability? Second, if vocational training does impact on employability, is there any difference by income group? Thir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ability by income group? In order to obtain the answer to the above questions, the income group i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poverty group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the upper poverty group with household income less than 150% of the minimum cost of living, and the non-poverty group.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derives from the "Current Status and Demand of Life-long Learning of Korean Adults," in which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arried out a survey on 9,570 adults aged over 18 years from 5,000 households in 2005. To analyze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on employability, the Bivariate logit model was used. Finding shows that vocational training has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in all income groups, bu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income groups. Vocational training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employability of the group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followed by the non-poverty group and the upper poverty group. Apart from participation in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is found to be a common variable that increases employability of men, especially those in the non-poverty group, followed by the upper poverty group and the group below the minimum living expense. On the contrary, the variable on caring for family member is found to lower the employability of all groups, with the upper poverty group affected most, followed by the group below the minimum living expense and the non-poverty group. In addition, although not all income groups are affected, vocational training leads to greater employability among single parents, and with increasing age. However, the number of dependent children and the receipt of government subsidy are verified as variables lowering employability. On the contrary, the income groups display conflicting results with the variables of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note: it means people with normal married status regardless of current separation due to death or divorce) on vocational training's impact on employability. On the basis of this study outcom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frequent unemployment among the working poor is found to be a factor that inhibits human resource accumulation required in the world of work.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danger of repeated unemployment and repeated poverty, the low income group needs to be provided with training opportunities on an on-going basis, thereby helping them maintain employ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Second, the issues of caring for family member and fostering of children have been verified as major factors that interfere employability of the low income groups, including the upper poverty group. Therefore, social welfare services need to be expanded to provide stable employment support for low-income women in the labor market. Third, the employability of those belonging to the group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is found to be low. This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heir human capital, but their passive attitude toward labor activities also lowers employability. Moreover, such a phenomenon is attributed to Korea's welfare payment system. Therefore, the welfare benefit system needs to be revised in order to encourage low income earners to actively seek work and make efforts to generate income. Forth, more than half of those with training experience among the low income group have low educational attainment of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and are adults aged over 50 lacking basic literacy skills. Hence, rather than vocational training, the low income groups should be provided with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irst or they should be subject to training more tailored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fifth, the upper poverty group, like the group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are suffering from low human capital and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s.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the upper poverty group has a higher proportion of people in need of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s than the group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Therefore, it would be pruden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verty policy by providing government support policy for the upper poverty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being the first attempt to classify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on employability by income group, but there ar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not been able to verify the effect of lon

      • 3D프린터를 이용한 세포 이미지의 주얼리 개발 연구

        오영훈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the past, the appearances of all organisms have been artistic motives. As the smallest unit of life, the cell repeats cloning and apoptosis. It is a source of infinite inspirations for creativity, and its natural arrangement, color, structure, and shape are among its prominent features. This study discovers new formative values from the shape and image of the cell seen through an optimal instrument, not the naked eye.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ll, the researcher produced an artwork with the 3D printing result and metal based on the design motive of “cloning somatic cell” applied by the repetitive image and cloning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cell.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hape and features of the cell as the smallest unit of organism.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formativeness of patterns and repetition of cell cloning. Third, an ornament was produced through an investigation on the combination between plastic and metal with the motive of repetitive shape and formative principles of cell cloning. This study incorporates the aesthetic element of ‘repetition’ by cell cloning to artworks to reflect natural design, and draw the cell to the macroscopic realm to promote its beauty. Also, this study intends to widen the perception of viewers on the imperceptible realm and make new attempts for a variety of artworks to explore the artistic world. 본 논문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세포에서 나타나는 반복과 복제의 형태에서 조형의 원리를 발견하고 이를 디자인의 모티브로 재구성하여 “마이크로세계”를 육안으로 느끼고, 견자(見者)가 공감할 수 있는 장신구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개하였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모든 생명체가 갖는 외적인 특성은, 예술의 모티브가 되어왔다. 세포는 생명을 이루는 최소의 단위로서, 복제와 소멸을 반복한다. 세포는 소재로서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배열과, 색상, 구성, 형태 등이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일 것이다. 육안으로 보이는 이미지가 아닌 광학기기로 본 세포의 이미지를 통하여 가장 기본 단위인 세포의 형태를 이용하여, 그 안에 담긴 조형적 가치를 새로이 찾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세포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이해하며, 세포의 반복적 이미지와 복제의 구성 및 구조를 응용한 “복제하는 세포”를 디자인 모티브로 하여 3D프린팅 결과물과 금속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체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세포의 형태와 특징을 조사하였다. 둘째, 세포의 복제에 의한 패턴과 반복의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셋째, 세포의 복제에 의한 반복의 형태나 조형원리를 모티브로 하여 플라스틱과 금속, 두 소재의 결합을 연구하여 장신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가 가지고 있는 복제에 의한 “반복”이라는 미적요소를 작품에 도입시켜 자연본질의 디자인을 반영하고, 세포를 가시적인 영역으로 끌어내어, 그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불가시한 영역에 대한 보는 이의 인지의 폭을 넓히고, 새로움을 시도함으로서 작품 표현 모티브의 다양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작 기법은 최근 산업분야의 개발과 생산 여러 부문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3D프린팅 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장신구디자인의 독창성과 대량생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청소년의 정치의식과 정치교육환경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제7차 (정치)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오영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앞으로의 정치는 미래사회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어떠한 정치의식을 갖게 되는가에 그 성패가 달라질 것이라 할 수 있다. 청소년기에 있어서도 고등학생은 육체적으로나 심리적,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변화와 발전과정을 겪게 되는 시기이며, 무엇보다도 정치적 지식과 사고에 있어서 최대의 발전을 경험하게 된다. 고등학생들은 가족이나 학교, 동료집단과 매스미디어 등의 다양한 정치사회화 매체들을 통해서 정치적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이를 평가하며 정치적 정향 및 정치태도를 형성해 나가게 된다. 또한, 고등학생 시기는 성인기에 접어들게 되는 과도기에 속하기 때문에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건전한 성숙 및 사회화가 요구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처럼 고등학생 시기가 한 개인의 인생에 있어서나 국가의 미래 주역을 육성해 나가는데 있어서나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오늘 날 우리사회에서 학생들의 정치사회화의 일차적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가정은 제구실을 하지 못하며, 학교에서의 정치교육 역시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인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과 정치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치교육의 성격을 살펴보고, 서울지역 고등학교 남·녀 474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생들의 정치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조사·분석해 봄으로써 청소년의 정치의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요인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정치교육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고등학생들의 효율적인 정치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정치에 대한 관심도, 시사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도, 학급회의와 학생회의 민주적 참여활동 등의 학교환경은 정치의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과 수업과 정치, 그리고 시사적인 문제, 학급회의와 학생회의 민주적 참여활동에 대해 익숙한 학생들일수록 정치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 수준에 맞는 사례나 일화, 뉴스거리를 찾아 수업을 보다 재미있게 구성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둘째, 성별과 계열에 따른 정치의식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치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직업과 부모의 학력, 생활수준 등 사회경제적 배경 요인은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가 우리나라의 청소년의 시민성 성장을 목적으로 학교의 정치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정치적 의식 성장 과정에 관한 종단 적인 연구를 통해 정치사회화 이론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치의식이 어떻게 성장, 변화하며,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둘째, 실천적인 측면에서 현재의 정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의 정치교육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치의식 성장 수준에 적합한 시민교육을 개발 적용해야 하며, 학교는 입시준비 기관으로의 기능을 벗어나 시민교육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 셋째, 지도방법적인 측면에서 교사는 권위주의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실생활과 관련한 문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토의하는 방법을 통해 청소년들이 합리적이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넷째, 청소년들의 정치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을 통한 민주체제의 안전과 발전, 국민의 지지와 참여를 유도하는 과정으로서 정치사회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교육 내용은 획일성을 탈피하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생활 중심적이고 합리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실정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정치적 신뢰를 높이기 위해 정부 정책에 관한 바른 홍보와 함께 다양한 토론의 장을 통하여 긍정적인 정치의식 형성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민주시민양성을 위한 정치교육은 학교 교육만으로는 불충분하므로 다른 정치사회화 기관들과 일관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A success or failure in politics of the future depends on what political awareness teenagers who will lead country's future have. Especially highschool students among teenagers experience physically, mentally, even socially important chang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bove all, they experience the greatest development of political knowledge and mind. Highschool students obtain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political inclination and attitude. Also, it is required for highschool students to physically, mentally, socially mature and socialize because the time in highschool i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adulthood. Even though the time in highschool is an important time not only for each person but also for the country to educate the future leaders, these days the family in charge of the primary role in students' political socialization does not work out well either, because of th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political education by analyzing how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high school in 7th national curriculum of social study, an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of political education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political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on 474 boy and girl students of high school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 in social studies class and politics, the interest in current issues, and school atmosphere like democratic management of homeroom and student councils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olitical awareness. In other words, the more accustomed to social studies class politics, current affairs, and democratic management of the homeroom and student councils are, the higher the political awareness is. Seco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olitical awarenes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track. This result means that girl students take more an interest in political than boy students. Thir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such as parents' occupation and education, and living standard did not influence political awareness. Accordingly, I'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on polit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growing citizenships of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oretically,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on the procedure of the growth of our political awareness, establishing theories of political socialzation is necessary. Second, practically, present politic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examined, and political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fortified. Third, in terms of teaching method, teachers should take away from the authoritative way of teaching. Instead they should help students to make rational and right judgements through the way of discussing contents which are related to real to real life problems. Fourth, in order to make adolescents improve political awareness, political socialization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issues of stability and growth of democratic systems, and the importance of people's support and participation.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olitical reality and political trus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try to build up positive political awareness by providing appropriate public relations for government policies and various opportunities to discuss political issues. Lastly, when it comes to politica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school education needs to be accompanied by educational roles of political socialization institutions.

      • 정치관여수준에 따른 유권자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오영훈 濟州大學校 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study of the differences in voter behavior based on the involvement in politics or elec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ir political leader. It also explores if there is any differences in the search of information through the media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andidate based on their involvement. For this purpose, in terms of theory, representative theories among the theories of voter behavior analysis and those of involvement were reviewed. In terms of actual proof, the process of voting decision-making based on the involvement of Jeju City electorate who have voting experience was reviewed.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their mean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volvement and the t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ocal electio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turnout tends to be relatively high and it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the turnout of the involvement group. Second, when it comes to getting necessary information on selecting the candidate, both in the local assembly election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high involvement group got a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from all media coverage than the low involvement group. Third, the high involvement voters are affected most by newspapers, or printed media, followed by campaign pamphlets. The low involvement voters are affected most by TV, or broadcasting media, followed by family or co-workers, or reference groups. Fourth,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involvement in politics and the winning rate of their supporting candidate, in the local election, the high involvement group showed a higher winning rate of their supporting candidate than the low involvement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subdivision of voters accommodating to the high involvement voter group and the low involvement voter group is needed since the behavioral responses in decision making in the election differ based on the involvement in politics of voters. Moreover, when it comes to selecting the target voter group, in line with the candidate's views and political circumstances, judgment on whether to select the high involvement voter group, or to select the low involvement voter group, is highly significant. Therefore, it shows the need for a political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involvement of the candidate or the electorate and the distinguishing features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voter group and the low involvement voter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a limit for generalization in that all voters, the object of actual proof of this research, are a random sample who reside in Jeju City. However, it is very meaningful research in terms of the analysis of voter behavior in Jeju.

      • A coarse-grained simulation study on dynamic heterogeneity of single component lipid membranes

        오영훈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Biological membranes are composed of various different types of molecules such as phospholipids, cholesterols and membrane proteins. The composition of lipids membrane is spatially heterogeneous in cellular membranes. Not only its composition but also its dynamics becomes spatially heterogeneous, which means that there are distinct regions of fast and slow dynamics of lipids. Currently,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heterogeneous membrane composition induces the dynamic heterogeneity of lipid membranes. However, recent simulation study observed dynamic heterogeneity in single component lipid mem- branes at liquid ordered (LO) phase [1]. From this observation, new paradigm that the compositional heterogeneity is not essential for dynamic heterogeneity of lipid membranes has been suggested. The simulation model used by Starr et. al. is too coarse-grained to observe molecular details such as interaction with hydration water and rotational dynam- ics. In this work, we systematically investigate how the lipid heterogeneous dynamics is affected by finite system size and model of water. Single component lipid bilayers are constructed using MARTINI force field and three different water models (Big Multipole Water, Polarizable MARTINI, LJ MARTINI) and three different system sizes (L = 5nm, 10nm and 20nm). We find out that dynamic heterogeneity can be observed for single com- ponent lipid bilayers when membranes form liquid ordered phase at all system size. But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lipid membranes with BMW model is lower then that with MARTINI model. And the size of region is dependent on the system size significantly. We also find out that the diffusion mechanism of lipids at LO phase follows swinging motion with is accompanied by both of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hopping motion. 세포막은 인지질, 콜레스테롤, membrane protein과 같은 다양한 구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성분의 조성은 세포막에서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분포를 갖는다. 이들의 조성 뿐만 아니라, 동역학적 성질 또한 불균일한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세포막을 이루는 구성 성분들은 세포막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성을 갖는 lateral diffusion을 한다. 동역학적 불균일성은 lateral diffusion이 빠른 영역과 느린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이러한 동역학적 불균일성은 조성의 불균일성으로부터 발생 한다는 개념이 지배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하지만, 최근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단일 성분 membrane에서도 동역학적 불균일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Starr group에서 수행한 연구 [1] 에 따르면, 단일 성분 lipid membrane은 liquid ordered (LO) phase에서 동역학적 불균일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조성의 불균일성이 동역학적 불균일성의 원인이 된다는 기존의 관점을 깨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Starr group이 사용한 lipid model은 solvent가 없고, lipid 분자를 세 개의 구로 표현한, 매우 간단한 model이다. 그 결과, lipid의 회전, 물과의 수화 정도 등등의 분자수준의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동역학적 불균일성과 lipid분자의 회전, 물과의 수화 정도, 시뮬레이션의 system size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단일성분 lipid membrane은 MARTINI force field를 사용하여 구성하였고, 추가적인 물 model로 BMW를 사용하여, 수화 정도에 따른 동역학적 불균일성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세가지 서로 다른 system size (L = 5nm, 10nm, 20nm)를 사용하여 system size와 동역학적 불균일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우리는 모든 system size에서 동역학적 불균일성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상변이 온도는 모델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Lipid분자의 회전 운동에 있어서도, 동역학적 불균일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LO phase 에서의 lipid 분자는 swinging motion에 의한 확산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여가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오영훈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al programs those are developed and applied for promoting social interactions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using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framework of the program is based on the leisure ability model. And, 13 kinds of recreational activities proposed by O'morrow are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the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those are suited to the selecting criteria among the people using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located in the Seo-gu, Jung-gu in Daejeon. A program of 10 session was provided, once or twice for a week, from 10 August, 2011 to 26 September, 2011. The measurements are made using test tool for communication skills, self-expression rating scale, client observation on social interaction. The research is the pre-post test design containing A group of experiment and B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analyzed utiliz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there was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communications in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increase in control group, providing leisure educational program. There was a steady improvements in terms of the observed score in each session for the size of a voice, sound clarity,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person.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communications in self-ex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increase in control group. The change of self- expression showed steady improvement in facial expressions, body tone, a sense of humor. Third, for the changes in leisure facil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it. The process of the leisure facilities includes leisure awareness, leisure attitude, leisure skills, enjoyment. Those findings have more suggestiv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n have a meaning from the point of a view such that presenting a program which can be applied in other than existing hospital program; as it is based on the rationale of leisure-Therapeutic recreation and developed and validated for its effectiveness in the promotion of social interactions of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econd, therapeutic recreation is utilized and applied in practice in the mental health and social welfare field, but the theoretical ground is weak.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in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ecause this study provide a systematic rationale for the leisure educational program in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community. Third,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e on a systematic review and development of leisure educational programs for various clients such as youth, elderly, mentally-retarded disabled children etc. in the related facilities in community, because the leisure educational program's effectiveness has been validated for the person using a rehab facility in local community as well as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hospital. 본 연구는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여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틀은 피터슨과 스톰보(Peterson & Stumbo, 2000)의 여가능력모델을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O'morrow(1976)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활동영역 13가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서구, 중구 소재의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중 본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10일 부터 2011년 9월 26일까지 매주 1~2회씩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기술검사지와 자기표현 평정척도,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클라이언트 관찰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설계는 실험 A집단과 통제 B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 설정하였으며 SPSS 1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검사 결과 여가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실험집단에서 의사소통 변화에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사소통 변화 과정은 회기별 관찰 점수에서 목소리 크기, 소리의 명확성, 상대방과의 거리가 꾸준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사전․사후 검사 결과 자기표현 변화는 실험집단에서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표현 변화 과정은 얼굴 표정, 몸의 긴장 상태, 유머가 꾸준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사전․사후 대인 중심의 여가기능 변화는 실험집단에서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난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의미 있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 중심의 여가기능 변화 과정은 여가인식, 여가태도, 여가기술, 만족감이 꾸준한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이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여가교육프로그램을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이론적 근거에 바탕을 두어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서 기존 병원중심의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내 사회복귀시설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정신보건사회복지 현장에서 치료레크리에이션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실제 적용되고는 있으나 이론적 근거에 기초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내의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여가교육프로그램에 이론적 근거를 부여했다는 측면에서 앞으로 보다 더 체계적인 여가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및 발전에 초석이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병원중심의 정신장애인 뿐 아니라 지역사회내의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에게도 여가교육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된 만큼, 지역사회내의 관련 시설에서의 청소년, 노인, 발달장애아동 등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여가교육프로그램 연구개발에 기반이 될 것이다.

      • Copula함수를 이용한 신용파생상품의 가격결정 및 비교연구

        오영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두 개 이상의 참조자산(reference entity)으로 이루어진 바스켓(multi name basket) 신용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바스켓을 구성하고 있는 자산 간의 종속성 구조(dependence structure)의 모형화가 필요하다. copula함수는 개별 데이터의 분포와 데이터 간의 종속성 구조를 분리하여 모형화 할 수 있어서 모수 추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금융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Gaussian copula와 t-copula를 이용하여 국내 10개 기업으로 이루어진 바스켓에 대한 Nth to default swap의 가격을 결정하였고, 계약기간과 부도순서 N이 변화함에 따른 copula 간의 상대가격 분포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가격결정과 비교를 통해 계약기간이 짧고 부도순서 N이 클수록 t-copula에 의한 가격이 Gaussian copula에 의한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Nth to default swap의 부도순서 N이 크거나 만기가 짧은 계약에서는 t-copula를 이용한 방법이 Gaussian copula를 이용한 방법보다 보수적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