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궁중문학의 교수·학습 방법 고찰 : 『계축일기』를 중심으로

        오영심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단순한 문학 감상이 아니라 『계축일기』작품을 통해서 교육적 가치와 그 작품을 배경으로 한 사실적인 역사적 사건들을 정확히 인식하여 올바른 문학 교육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문학 작품 교수.학습 상황에서 기본 텍스트 분석을 토대로 한 교사의 설명 위주의 주입식 수업을 지양하고 학습자 중심의 토의 토론식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이나 창의적 사고력과 같은 고등 사고력을 신장 시킬 수 있도록 중점을 두었다 Royal Court literature is a literature written within a limited court focused on court lives and events. Among them, 『Gyechukilgi Diary』,『Story of the Queen Inhyeon』,『Hanjoongrok Book,』which dealt with hidden histories of Choseon Period, are highly acknowledged as the top three greatest literatures of hidden history. Thes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tend to be regarded as a true record literature since historical truths were made literature works based on the hidden history of the court. They were only written with materials of the historical truths; however, in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we see that the authors dared to describe unrealistic stories to achieve the authors' goals. From this viewpoint, if we regard the three works as true record literatures, problems of misunderstandings might happen. Therefore, having this kind of problem, the study is to research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Royal Court literature focused on 『Gyechukilgi Diary』. The reason I chose『Gyechukilgi Diary』is because the author overstated the king or distorted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Gwanghaegun prince in events, compared with two other works:『Story of the Queen Inhyeon』and 『Hanjungrok Book.』 『Gyechukilgi Diary』is different from other works in uncertainty and obscurity of genre, and legalized motives and time even though they all have in common, which called "literature of hidden historical story". This phenomenon is likely to be happened because those literature works describe the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imes. Therefor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not be carried out with only sentiment of a literary work. Even though they are true record literatures, which were based on historical truths, thos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s do not correspondent with historical truths because those authors probably reflect their subjective opinions on literature works. We estimated those reasons from the truths that the author of the『Gyechukilgi Diary』was written as an anonymous "court lady" at the end of the work. We certainly infer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in that the author is anonymous. 『Gyechukilgi Diary』includes the contents of approximately 20 years; from when Inmokdaebi Queen Mother was chosen as the second queen and bore Jeongmyeong princess and Yeongchang prince to when the Injobanjoeng Rebellion happened. Starting with Gyechukoksa (the hidden history of the Gyechuk year), the fifth year of Kwanghaegun Prince, this is a literature that one of the court ladies describes the story focused on Kwanghaegun prince's immoral behaviors, death of Yeongchangdaegun prince, Inmokdaebi Queen's family, the miserable deaths and banishment of the court ladies who attended the Inmokdaebi Queen, and the deprivation of Inmok Queen and the confinement of the Seogung palace. As the author described these events of the story, she wrote the plot of the literature by establishing Kwanghaegun prince and Inmokdaebi Queen as a wicked man and a virtuous person respectively. That is to say, we should realize that the contents of the story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writer's view even though the literature was written based on the historical truths. Therefore, if the learners have background knowledge such as the author's biographical facts or chronological background, it will be helpful for them to understand the literature, overcoming biased literature appreci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d to extend the learners'way of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power through learner-centered discussion classes not teacher-centered lessons, whi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asic text and the teacher's explanations about the literature.

      • 제주도 전통 사회의 옹기생산과 유통에 관한 연구 : 대정읍 구억리를 중심으로

        오영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제주도의 전통 재래공업이라 할 수 있는 대정읍 구억리 마을의 옹기 생산을 사례로 제주 옹기 생산 과정, 판매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주도 옹기가 가지고 있었던 특성, 이른바 옹기 제조의 지역성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한다. 흙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기물은 원료조성, 굽는 온도, 굳기, 그릇살의 특성, 투명 정도에 따라 토기, 도기, 자기로 구분된다. 오늘날 제주도의 전통 옹기는 조선후기 즉, 고문헌 기록에 의하면, 18세기 후반(1780년대)에는 체계를 갖춘 대규모의 생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옹기는 제주도 지역에 있어서 일부 특정 지역 즉, 서부 지역인 대정읍 구억리와 신평리를 중심으로 생산되어 제주도 전역에 공급되었던 것이 특징이다. 연구 사례지역인 구억리의 경우에는 노랑굴 , 검은굴 로 대표되는 옹기가마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옹기 가마는 구억리 마을을 구성하는 중요한 문화경관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런데 현대로 오면서 옹기 가마가 점차 소멸되고 있으며 그 의미 또한 약화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각종 언론보도에서 옹기의 과학성이 입증되면서 옹기 가마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옹기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우리 문화는 자연과 일치하려고 하는 데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고 그 가운데 에서 제주의 옹기인 노랑그릇과 검은 그릇은 자연 그대로인 것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자연적인 용기가 아닌가 한다.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화산회토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철분 함유량이 많은 관계로 옹기의 빛깔도 타지역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붉은 빛깔일 뿐만 아니라, 약토 잿물을 칠하지 않는 자연유의 그릇이 있음도 주목된다. 또한 입의 모양이 작은 옹기를 제작하는 특성도 보인다. 가마의 운영 방식 또한 본토와는 다른 공동운영방식을 취하고 있다. 제주도의 옹기 가마의 가장 큰 특징은 ‘돌’로 축조되었다는 것이며, 제주의 돌은 화산 폭발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의 용암석으로서 돌 자체가 내화재 역할을 한다. 가마의 명칭, 구조, 축조, 운영방식에 있어서 제주도만의 독특한 면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제주의 전통 옹기를 제주인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독특한 생활 용기로서, 한국은 물론, 세계 사람들이 다같이 좋아할 수 있는 세계적인 그릇으로서 재탄생 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Jeju pottery, that is,what the local characteristic of pottery making i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sale process of Jeju's pottery with the instance of the pottery production in Gu-eok Ri, Dae-jeong Eup which is called a traditional manual trade. The pottery, which is mainly made of soil, is classified into earthen vessel, earthenware, and porcelain by the composition of raw material, the burning temperature, being solid, the character of the pottery surface and the degree of clearness. According to the old literature, it is judged that today's traditional pottery of Je-ju Island has been produced systematically and on a large scale since late Chosun Dynasty, late in the 18th century (1780's).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se potteries were produced centering aroung a few special regions, Gu-eok Ri and Sin-pyeong Ri in the eastern parts of Jeju island and supplied throughout Jeju island. In case of Gu-eok Ri, one of the research sample regions, the typical kilns which are called Norang-Gul and Geomun-Gul remain and this kilns have very important meanings as an important cultural view. By the way, the kilns have disappeared gradually and its meaning has also become insignificant as time passes. But as it is announced that it is proved that the pottery is made scientifically by mass communications and the interest in it increases, it is desirable that more and more people want potteries. We can see that our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in accord with nature and among them, Jeju's yellow potteries and black potteries are natural vessels which modern society wants. Jejudo is a volcanic island and volcanic soil is distributed widely in the island, and the pottery has a red color which is much distinguished from other regions, moreover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re are potteries which are not put glaze on. Also they are shown the characteristic that their mouths are made small. And they take the way of managing the kil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inland.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Jejudo's kiln is that it is built of stone, and the stone in Jeju is volcanic stone, which is formed when a volcano burst into eruption, do a role of resistance of against fire. The specific aspect of Jejudo appear in the name of the kiln, its structure, the way of building and management. Here we desire that the traditional pottery of Jeju island will be reborn asthe specific receptacle which only Jeju islanders can make and as the world-wide and universal receptacle which not only Koreans but also all the people in the world love.

      • 濟州 德修里戶籍中草 硏究 : 19세기 礪山宋氏家를 中心으로

        오영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the aspects social development of status(身分)and accupation(役) after the Seman-Song(宋世萬)family attain the economical wealth through running foundry in Ducksuri(德修里) and investigates the accuracy of the Hojeokjungcho(family register) by comparing with a genealogical table(族譜) There have been many examinations using a Hojeok(family unit). In the early investigations the meaning of the status that each accupation has was ignored. The status was treated same as accupation. The change rate was shown just by statistical analysis of status and accupation in one area, so the range of change rate was incorrect. But as the recently research like a member of Hojeokdaejang(family register) and the principle upon which it is organized of the Ho(family unit)shows the interest about the Ho(family unit) of Hojeokdaejang(family register) is increased. Because Hojeokjungcho(family register) of Ducksuri(德修里) was made for almost 100 years from 1804 to 1908 we can see the aspect of accupation change rate directly. Fortunately most of the members was hardly left out of the family register and settled. Especially men's age and name was changed frequently it is the way for men to avoid the burden of one person ten duty. When people divore or remarry, the family of ex-wife was included in Ho(family unit). The result of survey of blood relationship recorded in Hojeokjungcho(family register) shows that the meaning of relative was meaningful in Ducksuri(德修里) because lineal relative was included as the members of a family for the survival as far as the economic ability permits. According to Hojeokjungcho(family register), Gadanri(自丹里) was changed to Sindangri(新堂里) in 1831 and renamed Ducksuri(德修里) in 1840. During this renaming session, a number of the family unit(戶數)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village. And it reflected the the course of the village separation regularly. Examining the record of Seman-Song and a forefather, they have been marked on Gasundaebu and Tongjeongdaebu(an official rank in chosun dynasty), not marked a (black) smith(治匠), after Yeosan Song's family attain the economical wealth through running foundry. In the Chosun dynasty a genealogical table(族譜) played a role as both private and public document, people could avoid military service(軍役) by showing the genealogical table(族譜) as the documentary evidence. Accordingly the commoners who have the wealth to forge the genealogical table pursed the practical benefit. I must, therefore, conclude that this is the result of deceiving social status(冒稱) and forgeries(冒錄). They tried to be free from the bondage of social positions and made many efforts to raise their positions.

      •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따른 쇼핑가치 지각 및 소비자만족에 관한 연구

        오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의복관여가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둘째,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이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셋째,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가 쇼핑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넷째, 이러한 변인들이 소비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 62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Duncan test, χ^(2) -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매촉진이용성향 즉, 판매촉진의 방법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경품·사은품지향, 가격할인지향, 디스플레이지향의 세 가지 판매촉진이용성향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판매촉진이용성향은 의복관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차원별로 보면, 경품·사은품지향에는 쇼핑관심, 유행관심이 정적 영향을 미쳤고, 신중구매가 부적 영향을 미쳤다. 가격할인지향에는 신중구매가 정적 영향을 미쳤고, 쇼핑관심이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디스플레이지향에는 의복중요성, 신중구매, 쇼핑관심, 유행관심 등 의복관여 모든 요인이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과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의복중요성, 신중구매, 경품·사은품지향, 가격할인지향이 판촉행사관련 점포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디스플레이지향만이 디스플레이관련 점포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의복관여, 판매촉진이용성향,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와 쇼핑가치 지각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를 제외하고 의복중요성, 쇼핑관심, 유행관심과 모든 판매촉진이용성향요인이 쾌락적 쇼핑가치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판매촉진이용성향의 모든 요인을 제외하고, 의복중요성, 신중구매, 쇼핑관심,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가 실용적 쇼핑가치 지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쇼핑가치 지각에는 신중구매가 정적 영향을, 디스플레이 관련 점포이미지가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자만족과 그 영향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품·사은품지향과 판촉행사관련 점포이미지, 디스플레이관련 점포이미지, 쾌락적 쇼핑가치 지각, 실용적 쇼핑가치 지각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쇼핑가치 지각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변인은 판촉행사관련 점포이미지였다. 또한 의복관여가 판매촉진이용성향,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 쇼핑가치 지각을 통해 소비자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가적 관심으로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따른 소비자집단을 세분화한 결과, 가격할인관심 집단, 판촉무관심 집단, 디스플레이관심 집단, 경품·사은품관심 집단의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집단에 대해 의복관여, 판매촉진관련 점포이미지, 쇼핑가치 지각, 소비자만족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쇼핑가치 지각의 하위차원인 부정적 쇼핑가치 지각만을 제외하고 모두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품·사은품관심 집단은 거의 모든 변인에 대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요인들에서 판촉무관심 집단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간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나이, 학력, 직업, 월평균 가계총소득, 월평균 의복지출비, 쇼핑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복에 대한 정보원이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정보원에 대해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품·사은품관심 집단이 모든 정보원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on the deal proneness, 2) to examine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and deal proneness on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3) to reveal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on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4) to reveal the effects of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4 female consumers living in Seoul, Korea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Consumers' responses to sales promotion were classified to three factors which were Sweepstakes/gifts proneness, Price discount proneness and Display pronen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deal proneness, Sweepstakes/gifts proneness was explained by Shopping interest, Fashion interest and Prudent purchase, Price discount proneness was explained by Prudent purchase and Shopping interest, and Display proneness was explained by all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2) In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Clothing importance, Prudent purchase, Sweepstakes/gifts proneness and Price discount proneness had the effects on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And Display proneness had the effects on store images related to Display. In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store images of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Shopping interest, Fashion interest and all three factors of deal proneness had the effects on perceived hedonic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Prudent purchase, Shopping interest,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had the effects on perceive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And Prudent purchase had the positive effect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Display had the negative effects on perceived negative shopping values. 3)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consumer satisfaction, Sweepstakes/gifts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and Display, perceiv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sumer satisfaction.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From the result of path analysis, clothing involvement had th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4) Using cluster analysis on deal proneness factor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 price discount prone group, promotion insensitive group, display prone group, sweepstake/gifts prone group.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clothing involvement,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perceived shopping values and consumer satisfaction except the perceived negative shopping values. Group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income, clothing expenditure and shopping frequency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 clothing information sources.

      •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오영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을 통해 교사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고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종합·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교육의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확인하여 유아교사교육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전체효과 크기 및 핵심역량 하위요인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교육의 유형에 따른 교사 핵심역량의 효과크기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조절변인(효과크기 대상, 유아교육기관 유형, 지역, 인원, 기간, 횟수, 출간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의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사교육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 중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총 54편으로부터 총 131개의 효과크기 사례수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교육은 교사 핵심역량의 향상에 효과크기가 1.49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 하위요인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학습환경과 교육과정, 놀이지원, 원운영 및 학급관리, 교사인성 및 전문성, 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의 성장과 발달, 가족과 지역사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교육 유형별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교과중심 교육이 직무중심 교육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이질적이었으며, 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인은 유아교사교육의 실시 인원과 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인원을 20명 이하로 실시하였을 때, 기간을 4주 이하로 실시했을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을 통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핵심역량의 하위요인과 유아교사교육 유형으로 분류하여 메타분석으로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종합·비교하여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유아교사교육에 반영되어야 하는 조절요소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on the Core Competency of Educators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ducation effec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core competency through meta-analysis.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meta-analysis,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llect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previous studies that had verifi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ining and the co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 statement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overall and each affect intensity of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core competency as well as its sub-factors? Second, how different is the affect intensity of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core competency for each type? Third, does the affect intensity of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core competency differ depending on the parameters (affect intensity,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region, people group size, period, frequency, year of publication of the paper)? The targets of the meta-analysis are bachelor's paper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3 to January 2021, A total of 54 studies and 131 cases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high affect intensity on the improvement of their core competency. In addition, the affect intensity of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 sub-factors of their core competency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learning environment and curriculum, play support, Institutional operation and class management, teacher personality and professionalism, interaction with children,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family and commun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ffect intensity by type of teacher education, it was found that subject-oriented education had a higher effect intensity than job-oriented one. Third, the affect intensity of the education effec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core competency was heterogeneous, and it was found that important parameters were group size and duration of teacher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affect intensity of teacher training on the co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greatest when the group size was less than 20 and the duration was less than 4 weeks. This result shows that it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with an appropriate number of people and period when planning early childhood educator trai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education effec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core competency were classified into its sub-factors such as types of teacher education, and were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synthesized and compared through meta-analysi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be able to confirm the education effec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 enhancement of their core competency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paremeter that should be applied fo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future. Keyword: teacher training, the co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 meta-analysis

      •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오영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바람직한 학업발달을 돕고 학업성취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져야 하는가? 둘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동기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셋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미칠 것이다. 둘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효과를 미칠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소재 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으로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27명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게만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종합적 학교상담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된 강진령과 유형근(2004)의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상담 프로그램Ⅱ의 학업상담 중 공부하는 방법과 김영진(2003)의 아동·청소년 지도자를 위한 학습상담연구에서 기억력 증진을 위한 상담을 바탕으로 변영계와 박한숙(2004)의 초등학생용 학습기술훈련프로그램 중 정보처리기술훈련프로그램과 Lucie & Smethurst(1998)의 학습의 기술(한순미 역.)에서 기억력 관리하기와 미국학교행정과협회(1995)의 학습기술 다시 배우기에서 일부를 참고하여 아동의 발달단계와 프로그램의 목적에 적합한 내용으로 재구성 하였다. 연구자에 의해 재구성된 프로그램은 지도교수의 자문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학업동기 검사지는 김아영(2002)이 개발한 것으로 각각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검사지는 중앙교수학습센터의 평가 문항 중에서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각각 20문 항 씩을 동료교사와 협의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학업동기의 정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어(F = 14.110, p < .01)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과는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 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 = 6.495, p < .01). 반면, 국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학습기술의 하위 영역인 정보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집단상담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자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동기향상과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정보처리학습기술향상 집단상담은 학교상담에 있어서 시간적인 제약과 상담전문가의 부족과 장소의 한계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접근방법이며 동시에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는 모든 공간에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를 전체적으로 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 효과가 검정되었으나 하위요소 중 과제수준, 감정, 국어과 학업성취도의 경우 정적인 변화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하위 요소들에 대한 보다 세밀한 효과검증을 위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시 방법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좀 더 타당도 있는 효과검정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의 특성과 교과의 특성에 맞게 구체화되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집단상담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추후 검사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과 운영방식에 있어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학업상담의 특성상 자칫 상담과 학습의 경계가 불명확해져서 상담에 흥미를 잃기 쉬운 점도 있음을 인지하고 보다 더 상담적 요소를 가미한 활동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