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변인별 교사의 호감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오숙자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different variables of a child affects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How does the degree of teacher's liking affec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1-1. How does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a child's sex affec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1-2. How does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a child's age affec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 1-3. How does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a child's temperament affec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1-4. How does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a child's development affect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s liking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o answer the questions, questionnaires on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were distributed to 90 teachers and 90 parents at child care facilities in Gwangju,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examined by observation.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classes for freely chosen activities. The behavior of subject children was videotaped, and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for each class using time sampling. Four research instruments were used. The questions on the questionnaire were to name the child of liking and disliking, and were put after being modified and complemented with the items asking about liked and disliked childre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bservation Scale,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Kim, Nan-sil(2004), was used to check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It is a 5-point scale composed of 18 questions in 5 categories. The data about the temperament of children was collected by the Colorado Childhood Temperament Inventory(CCTI) that Jung, Young-mi(1996) adapt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Korean reality. The CCTI is classified into 5 subcategories which are sociability, emotionality, activeness, concentration, placability, and each category has 5 questions, which leads to 25 questions in total. To check the individual development of children, the child development checklist for teachers was used based on the Likert 5-point scale consisting of 77 questions. For data analysis, SPSS 12.0(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s of subjects and the distribution of major variables, and the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as reckon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measures and the observer.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the comparison of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a child's sex with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t-test was used, and for the one to age, temperament, individual development with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a child's sex,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for a girl is higher than that for a boy,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occurred more between the teacher and a girl than between the teacher and a boy. Second, as for a child's age,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for younger children such as three-year-olds is high, and teachers tend to more positively interact with the children at that age. The negative controlling teacher-child interaction occurs more often when the child is 4 years old. Third, as for a child's temperament,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the high level group(active), the middle level group(moderate), and the low level group (submissive) were significant, which can be shown by the p-value of 0.041. This also represents that the child's temperament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teacher. As a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high level group was provided with a lot more chances of physical touch, observation, being a model for others to do activities. This tells an active child is physically active and may negatively interact with the teacher often. The more a child is active in temperament, the more it is reflected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as for a child's development, the average of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to the high level group(highly developed)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averages of that to the low level group(low developed) and the middle level group(moderately developed).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but the average of the interaction with the high level group is the highest, that with the low level group is in the middle, and that with the middle level group was the lowest. This shows that a teacher should let a child experience constructing knowledge while controlling and guiding the process of learning and provides a child with the opportunity to command the learning according to a child's individual development. Fif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liking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positive intera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egree of a teacher's liking, i.e. a positive child is sociable and pro-social with the low level of aggressiveness and apathy. This means that a positive, healthy, stabl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 and a child affects the child's other relationships with friends positively.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occurs in a highly liked group, and the negative interaction occurs in a low liked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변인별 교사의 호감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교사의 호감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유아의 성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유아의 연령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3. 유아의 기질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4. 유아의 발달수준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90명과 학부모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교사들의 호감도를 알아보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관찰연구는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관찰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행동은 비디오로 촬영되었고 관찰은 시간표집법으로 한 학급당 30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총4가지로 교사 호감도에서는 전체 유아 중에서 호감아와 비호감아에 대한 각 영역별 항목을 수정․보완하여 지명식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찰은 김난실(2004)이 수정․보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찰범주’를 사용하여 빈도를 체크하였다. 상호작용의 도구는 5개의 영역, 총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orado Childhood Temperament Inventory(CCTI)'를 정영미(1996)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CCTI의 문항은 모두 5개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며, 사회성, 정서성, 활동성, 주의집중, 달랠 수 있는 정도이며 각 범주별 5문항씩 모두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의 개인적 발달수준 검사 도구는 곽노의, 김진호, 유구종, 강병재(국립교육평가원, 1996)가 유치원 교육평가 연구로 개발한 교사용 유아 발달수준 검사지로 Likert식 5단계 척도로 총7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SPSS 12.0(Window용)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기본 배경과 주요변인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측정도구 및 관찰자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의 α계수를 각각 산출하였다. 교사의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 요인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교사호감도와 교사-유아상호작용의 비교는 t-test를 사용하고 연령간, 개인 기질간, 발달수준간 교사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비교는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는 남아보다 여아에게 호감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긍정적 상호작용이 여아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라 교사 호감도는 연령이 낮은 만3세에게 높은 호감도를 보였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긍정적 상호작용의 애정적으로 가장 높았다. 부정적 상호작용에서는 만4세의 통제적 상호작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에 대한 교사 호감도는 상집단(활동적 기질), 중집단(보통 기질), 하집단(순한 기질)으로 나누어 유아의 개인적인 기질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 활동의 시범 기회 제공에서 각각 유의 확률이 0.04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교사의 기회제공에 따라 유아의 기질도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상집단이 신체적 접촉, 유아관찰, 활동의 시범기회제공에서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활동적인 유아가 신체적인 활동성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며, 부정적인 상호작용 행동도 자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중집단이나 하집단에 비해서 유아의 기질적 성향이 활동적일수록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서 많이 반영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유아의 발달 수준에 대한 교사 호감도는 유아의 발달수준에 따라 상집단(발달수준이 높은)이 가장 높고, 하집단(발달수준이 낮은)보다 중집단(발달 수준이 보통)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에서는 모두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상집단이 가장 높고 하집단이 보통, 중집단이 가장 낮은 평균을 보였다. 이는 유아의 발달수준에 따라 교사는 유아에게 학습과정의 주도권을 제공하며 학습을 조정하고 안내하면서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여 유아가 지식을 계속 구성할 수 있도록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교사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의 결과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의 항목은 교사의 호감도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긍정적인 유아는 또래와의 행동에서 친사회적이고 사교적이며 공격성과 무반응을 적게 보였다. 이는 교사와의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관계가 또래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어질 것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사의 호감도가 높은 집단에서 긍정적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호감도가 낮은 집단에서 부정적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교사ㆍ학부모ㆍ학생의 인식 분석

        오숙자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지를 밝혀 바람직한 초등학교 교사상 정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는 첫째, 지도자적 자질 면에서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육 전문가적 자질 면에서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를 연구 문제로 선정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대상은 경기지역 대·중 도시와 농촌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 300명과 학부모 300명 학생 300명으로 하였으며, 질문지 배부 결과 교사는 274부(91.3 %), 학부모는 286부(95.3 %), 학생 274부(91.3 %)가 회수되어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Program을 이용하였고 평균(M), 표준편차(SD), F값을 구한 후 P<.05, P<.01, P<.001의 수준에서 유의도를 밝혔으며, 두 집단간에는 검증을 통하여 집단 인식 차를 조사하였고, 세 집단간의 인식의 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분석을 하고 Scheffe를 이용하여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적 방법에 의해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도자적 자질 영역 면에서 본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교사·학부모·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결과 첫째, 인성적 지도자 자질에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 사이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주었고, 학생을 이해하고 인격을 존중해 주는 교사가 바람직한 교사라는 점에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 지도자적 자질에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 사이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주었고, 교사와 학부모들은 먼저 학생들을 편애하지 않고 공평하게 대하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보았으며, 학생들은 학생을 친절하게 지도해 주고 이해심이 많은 자상한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 전문가적 자질 영역 면에서의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의 차이 분석 결과 첫째, 수업 전문가로서의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 학생 사이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주었고, 교사는 교육 목적에 따라 학습 지도와 생활 지도를 잘 해 주는 교육관이 바로 선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보았고, 학부모들은 학습 결과나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평가해 주고 지도 해 주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학습 결과나 과정에 대해 먼저 자세하게 평가해 주고 지도해 주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 지도 전문가로서의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인식은 교사, 학부모, 학생 사이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학생에게 옳고 바른 길을 깨우쳐 주고 학생이 당면한 어려움을 이해해 주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급 경영 전문가로서의 초등학교 교사상에 대한 인식은 교사, 학부모, 학생 사이에는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고, 학급 일을 결정할 때 학생의 의견을 들어주고 이해해 주는 교사가 바람직한 교사라는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 학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교사상 사이에는 p<.001 수준에서 의미 있는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 결과 바람직한 초등학교 교사상으로는 일반 지도자적 자질로서 1. 학생을 이해하고 인격을 존중해주며, 교육자로서의 사랑과 신념을 지니고 학생을 친절하게 지도해주는 이해심이 많은 자상한 교사 2. 학생을 편애하지 않고 공평하게 대하는 교사를 원했으며, 교육 전문가적 자질로서 1. 교육 목적에 따라 학습 지도와 생활 지도를 잘 해 주고 학습 결과나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평가해 주고 잘 지도해 주는 교사 2. 교육 목적에 따라 학습지도와 생활 지도를 잘 해주는 교사 3. 학생에게 옳고 바른 길을 깨우쳐 주고 학생이 당면한 어려움을 이해해 주는 가운데 학생이 바른 행동과 인간성을 지닌 사람이 되게 이끌어 주는 교사 4. 학급 일을 결정할 때 학생의 의견을 들어주고 이해해 주는 교사를 바람직한 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o the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ink desirab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 the data needed to establish the image of desirable elementary teachers. With this purpose in mind, the following were posed as research questions. First, in terms of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desirab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there be any difference among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Second, in terms of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desirab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there be any difference among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00 teachers, 300 parents and 300 students in Kyounggi province, and 274 copies(91.3%)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286 copies(95.3%) from parents and 274 copies(91.3%) from students. SPSS/PC+ were used to get average, standard deviation, F, and scheffe. In leadership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but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the students, respecting students as persons were recognized as desirable characteristics by all three groups. Secon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but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fair were conceived desirable by teachers and parents, whereas those of being kind and understanding were conceived desirable by students. In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erm of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 instru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eachers con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guiding based on educational goal with right pedagogic creed as desirable. Parents conceived the characteristic of evaluating the process of learning in detail and providing feedback as desirable. Second, in terms of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 guidan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But the characteristics of providing the students the right ways and understanding were conceived as desirable by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ird, in terms of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 classroom manage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gnitions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But generally the characteristics of allow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room management was conceived desirable by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 노인의 성격특성 및 사회활동참여가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숙자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의 성격특성(외향성, 신경증,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이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죽음태도의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38명이며 자료 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er.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성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위계적희귀분석(hieranchial regression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수와 구성비를 산정하였고 , 측정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성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의 신뢰성은 Crombach`s a계수를 산출하여 검증하였고, 연구가설은 위계적 다중희귀분석과 t-test, ANOV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Scheff`e test를 통해 사후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성격특성과 사회활동참여가 긍정적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격특성에서는 외향성과 개방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이 긍정적 죽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의 성격특성 및 사회활동 참여가 부정적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건강상태가 좋고 자가 혹은 전세로 거주하면서 종교가 없을수록 죽음을 싫어하고 두려워하는 등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인의 성격특성은 타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는 성격특성의 신경증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사회 활동 참여에서는 영향을 주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격특성의 차이에서는 연령에 따라서는 외향성 성실성에서 차이가 있었고, 학력에서는 초등학교 졸업이하의 경우 대학교 졸업이상에 비하여 신경증적인 성격특성이 더 높은 반면에 개방적인 성격특성은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참여활동의 차이를 보면,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활동 참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태도를 분석한 결과는 긍정적 죽음태도, 부정적 죽음태도, 타인의 죽음태도 모두에서 큰 차이가 없으며 연령 및 한 달 용돈 역시 죽음태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학 컴퓨터교육 강화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오숙자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를 일컬어 '정보화 사회' 혹은 '컴퓨터 혁명시대'라고 한다. 이는 산업, 기술 및 경영 등 사회 각 분야의 발전에 컴퓨터가 필수 불가결한 수단과 도구가 되면서 컴퓨터의 역할이 지대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과 도구인 컴퓨터를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제작 기술의 개발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이용기술의 습득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전산 교육은 물론 사설전문 학원, 공공기관 및 기업의 전산교육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전문가적 전산요원의 양성을위한 전산학과 교과과정 및 최종 사용자적 전산요원의 양성을 위한 교양전산 교육의 교과과정 모델을 새로이 제시하였다. It is said that modern times is the informationized society or a revolutionary age of computer. It means as being a indispensable means and tools, computer plays the great role in each part of society, that is, industry, technology and administration, etc. Therefore for operating computer, this means and tools, the acquirement of software making technology and the efficient usage of computer are imfortant.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quired into and analysized the conditions of comput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more over, private institutions, public corporations and firms, too. And it presented newly the model of the curriculum of computer science for expert and computer education as liberal arts for the computer ending agent.

      • J. S. Bach의 피아노曲에 있어서 裝飾音에 對한 考察

        오숙자 檀國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Johann Sebastian Bach의 作品이 높이 評價되고 世界的으로 자주 演奏되고 있는 오늘날, 가장 論難의 對象이 되고 있는 分野는 裝飾音에 관한 理論이다. 音樂을 工夫하는 사람, 특히 피아노를 포함한 □裝飾音의 學習者는 必須的으로 Bach를 接하게 된다. 이들에게 가장 먼저 생기는 深刻한 문제는 Invention에서 發見되는 많은 裝飾音들일 것이다. 裝飾音을 演奏함에 대해서는, 수많은 편집자들과 理論家들에 의해 여러 가지 方法과 技法이 提示되고 있는데 아무런 疑問이나 批評도 없이 이들 方法과 技法들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學生들이나 피아노 敎師들은 裝飾音 奏法에 대하여 그들 자신이 직접 진지한 노력을 기울여 考察하고 硏究하여 보는 것이 必要하다. 이러한 見解에서 Bach의 裝飾音에 對하여 考察하여 보려고 試圖하였다. 그러나 이 論考로서 Bach의 모든 作品에 나타나는 裝飾音을 알 Of the works of Johann Sebastian Bach, which are nowadays as highly evaluated and frequently performed as ever in many parts of the world,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subjects is probably the theory of ornamentation The study of Bach's works is indispensable for students of music and students of keyboard music such as piano in particular. The first serious problems posed to these students are the various ornaments such as found in Invention. Whereas many different and diverse methods and techniques for playing ornaments have been and are presented by numerous theorists and editors, it is not desirable to accept or acquire the methods and techniques recommended by them without any questioning or criticism The students and teachers of piano music should make a serious efforts to investigate and study for themselves the methods and techniques for performing ornaments. with this viewpoint, I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ornam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s instead of all of Bach's ornaments, which is beyond my capacity and time available for the present thesis, As Bach did not invent but inherited or borrowed the ornaments of the Baroque era, and has to study the ornaments of that era by comparing the original editions with various theories presented by many theorists in order to discover the rules for the traditional ornamentation. In as much as the performer's tastes, capability and the tempo of performance render various ornaments. A performer must know to what extent he can make various ornaments with in the limits required by the traditional rules for ornaments, In this thesis I have presented the rules for traditional ornaments as I have discovered as well as some ornaments. I think a performer can make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etc, as a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