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의 과보호와 남녀청소년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오세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버지가 양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중학교 3학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의 과보호와 성별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자녀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의 성별에 따라 이들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과보호, 자아 분화, 자아존중감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과보호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과보호가 남녀청소년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에 자녀의 성별은 중재효과가 있는가? 연구 대상자는 서울소재 중학교 2곳을 선정하여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444명의 자료를 SPSS for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과보호 하위요인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에 성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검사 도구는 정은영 장성숙(2008)이 개발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를 아버지로 변경하여 사용하였고, 자아분화는 Bowen(1976)의 가족체계 이론을 토대로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제작한 제석봉(198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전병제(1974)가 번안한 Rog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과보호,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두 남녀 학생의 수준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보호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더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아분화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아버지의 불안과 근심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과보호,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버지의 과보호가 청소년 자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버지 과보호의 하위요인과 남자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을 살펴보면, 투사적 과보호가 낮을수록, 애정이 높을수록 자아분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은 투사적 과보호, 과잉개입이 낮을수록, 애정이 높을수록 자아분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과보호 하위요인과 남자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살펴보면, 투사적 과보호가 낮을수록, 애정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애정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어머니 과보호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같이 아버지의 과보호 또한 자아정체감형성과 심리적 독립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버지 양육이 증가하는 현 실태를 반영하여 아버지의 올바른 양육태도와 참여도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합성 Hurwitz 다항식환 h(Z,Q)의 고차 기약 다항식 분류

        오세나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Let R be a commutative ring with identity, X be an indeterminate over R, and R[X] be the ring of polynomials over R. Keigher introduce a variation of usual ring of polynomials over R, called the ring of Hurwitz polynomials over R. The ring of Hurwitz polynomials over R is denoted by h(R). For an extension R ⊆ D of commutative rings with identity, the ring R+XD[X], called the ring of composite polynomials, is between R[X] and D[X]. By a variation of usual composite polynomial, we consider the ring of composite Hurwitz polynomials, denoted by h(R,D), between two rings h(R) and h(D) of Hurwitz polynomials over R and D, respectively. Let Z and Q be the ring of integers and the field of rational numbers, respectively. In this thesis, we study when composite Hurwitz polynomials of h(Z,Q) with high degrees are irreducible. More precisely, we give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composite Hurwitz polynomials of degree 4 and 5 in h(Z,Q) to be irreducible by using a relation between composite Hurwitz polynomials in h(Z,Q) and usual polynomials in Q[X].

      •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효과 검증

        오세나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미래 사회 환경에서의 청년 실업문제 및 직업진로에 대한 불안 요소 극복을 위해서는 다양성에 대응하는 유연한 태도와 주도적인 진로 개발 역량 함양을 통한 실천적 자세가 요구된다. 특히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혁신이 요구됨에 따라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비단 취업에만 국한되는 요구 역량이 아니며,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창업 생태계에서 창업 지원 정책을 대하는 대학생의 수요와 창업의지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기업가정신 교육 경험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기업가정신, 진로탄력성과 같은 개인의 내적 영향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활성화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과 진로탄력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를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상정하였으며, 기업가정신 및 진로탄력성과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또는 창업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해당자를 대상으로 2023년 3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오류 응답의 설문 7부를 제외한 123부의 설문지에 대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진취성’과 ‘위험감수성’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탄력성의 ‘유연성’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은 기업가정신의 ‘혁신성’과 결합하여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조절하며,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위험감수성’과의 결합은 창업의지에 조절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교육은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 모두 창업의지에 조절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업가정신 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의지 촉진에 부분적으로나마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과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에 그 영향이 미미하다는 결과는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확대되고 있는 창업 지원정책과 더불어 대학과 창업 보육기관 등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식의 기업가정신(창업 관련) 교육이 활성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교육 내용의 영향을 부분적으로만 받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기각된 영향요인에 대한 필요성의 반증이며, 기업가정신 교육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발전 방향성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교육의 내용과 방식 및 학습자 분석 등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후속 연구과정에서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진로탄력성의 영향요인 검증 및 다양한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youth unemployment and alleviate anxieties surrounding career choices in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 practical approach involv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s diversity and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is required. Especially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social engagement, the deman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need for innovative responses to ongoing changes. This demand for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extends beyond employment and is expected to influence the chang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xpanding startup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career resili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internal factors, such as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tudy aims to confirm and promote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in enhancing these factors. To achieve this,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with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in March 2023 among college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or startup-related programs. A total of 130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cluding 7 surveys with invalid responses, empi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remaining 123 survey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fluenc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the innovativenes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career resilience's creativity, challenging spirit, and future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the flexibi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n combined with the innovativeness of entrepreneurship, but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n combined with the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Four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any dimensions of career resilience, including creativity, flexibility, challenging spirit, and future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partial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romoting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and justific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limited impact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factors that have been rejected,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impact factor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silience,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related studies, including the content, methods, and learner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SMEs in multiple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오세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re a substantial part of the economy in terms of quantity but reach only half the expected level in productivity performance. Although the impact on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which aim at creating new market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is higher in SMEs than in large firms,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SMEs is much lower. This study assumes that the reason for this occurrence is the redundancy of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In order to verify these assumption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iciency of each type of multiple support among heterogeneous projects such as technology, finance, and human resources. This study has also analyzed the impact on the efficiency and revenue of the beneficiary companies. The analysis is based on type of industry. First, in order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performed by industry. The multiple types were analyzed by the corresponding projects, that is, whether they multiple support, degree of multiple support, and projec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bit and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efficiency by industry. Meanwhile, to analyze the impact of provision of government revenue support for projects, OLS regression was performed. Finally, to analyze the cause of the efficiency further,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xtreme efficiency of a company as a mixed study. The efficiency analysis by type of multiple projects and industry showed differences in the efficiency levels of companies in the Electronic and machinery, telecommunication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Companies in the Electronic and machinery industries showed different efficiency levels due to multiple projects, degree of multiple support, and project characteristic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iciency due to multiple projects. However, in the manufacturing, software, and medical and chemical sectors,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by type of multiple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iciency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ultiple support for projects in each industry, indicating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ltiple types by industry when supporting multiple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Second, this study has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iciency of companies that received SME support projects, their corporate history, regional location, and the frequency of multiple support projects. Analyzing by industry, it is seen that corporate history and efficiency are negatively correlated in all the industries. Companies belonging to the Electronic and machinery industry have a negative correlation in terms of efficiency and frequency of multiple support for projects. However, the degree of multiple support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efficiency across all the industries.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upporting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rporate history. Moreover, a differential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multiple support for projects by industry is also required. Third, the impact of SME support projects on annual revenue was analyzed by industry. Analysis of manufacturing companies showed that the human resource support proj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venue for four years after receiving the supports. For companies in the telecom and semiconductor industries, financial support proj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venue for four years after receiving the supports. Similarly, companies in the Electronic and machinery industries experienced a positive effect on revenue during the year they received governmentsupported technical support projects. In addition, financial support projects showed a positive impact on revenue for four years. Medical and chemical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venue in the year they received other support projects. It is analyzed that the impact and duration of revenue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roject supported by each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venue of beneficiary companies, it is analyzed that multiple types of supporting projects must be considered based on the industry. Lastly, In order to perform a case study, an extremely efficient company and extremely inefficient company in the Electronic and machinery industries was selected. Company A has the highest efficiency with a single benefit, Company B has the lowest efficiency with a single benefit, Company C has the highest efficiency with multiple benefits, and Company D has the lowest efficiency with multiple benefits.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in terms of using government funding, Company A and C, which showed high efficiency, used funds preferentially for internal and external new human resources to develop source technologies. On the other hand, companies B and D, with low-efficiency levels, invested the funds in facilities to reduce costs. In the case of Company D, most of the support projects were financed by the high labor costs of existing workers. Company A, which showed high efficiency, in terms of alternative funding and expansion, used the alternative funding for systematic support that is funding according to the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However, it is seen that Company B, C, and D did not achieve super efficiency due to lack of a growth road map and alternative funds. Lieberman and Montgomery (1988) also find that the efficient use of R&D investment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mpany’s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ternal variables or selection bias was controlled using the entire SME support database. In particular, research related to multiple of heterogeneous support projects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integrated database.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upport projects can work differently across various industries. Second, the efficiency of SME support project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company's management efficiency. This has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should be support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revenue of beneficiaries. This is also possible because the integrated database has analyzed the complete support projects the company received during the year, and this is an area where research is rarely conducted. Third, this research has considered the duration time or time gap that affects the company’s performance. In this study, using the complete data related to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the impact of subsidies on revenue based on technology and financial suppor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analyzed. It also shows that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differ in their impact on revenue by industry. It provides empiric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effectively analyzing the support projects and appropriate target selection cycle. Fourth,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industry. This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optimal combination of support projects by industry. It also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auses that affect the efficiency of support projects in the industry. This study is valuable as it contributes toward understand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multiple types of heterogeneous projects that were previously considered limited in scope.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양적 측면에서는 경제의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생산성 측면에서는 경제의 절반 수준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기술혁신을 통한 신규시장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효과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경제기여도는 대기업 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정부 지원사업의 중복지원으로 인한 가외성에 두고, 중소기업 이종 지원사업의 중복유형별 효율성을 비교 분석했다. 또한 효율성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은 산업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효율성 분석 관련해서는, 정부 지원사업의 중복유형에 따른 산업별 효율성을 비교 분석했다. 중복유형을 중복사업, 중복여부, 중복정도 및 사업특성으로 구분하여, DEA 분석을 수행하고 그룹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두번째 원인분석 관련해서는, 효율성 원인분석과 매출 원인분석을 Tobit 및 OLS 회귀분석으로 수행했다. 마지막으로 극단적인 효율성을 보이는 기업을 중복유형별로 사례분석하여, 효율성 원인을 혼합방법론(mixed method) 형태로 심층분석했다. 효율성 분석결과, 정부 지원사업의 중복유형별 효율성 차이가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됬다. 전자·기계와 통신·반도체 산업의 기업들은 지원사업의 중복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효율성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 소프트웨어, 의료·화학 산업의 기업들은 중복유형별로 그룹간 효율성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산업별로 지원사업 중복유형에 따라 효율성에 차이가 다르게 존재해, 정부 지원사업을 복수로 지원시 산업별로 중복유형을 차등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됬다. 두번째 효율성 요인분석 결과, 전 산업에서 업력과 효율성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됬다. 또한, 전자·기계 산업의 기업은 중복지원 빈도와 효율성이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분석됬다. 단, 중복정도는 전 산업에서 효율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지원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업력에 대한 고려와 산업별로 지원사업 중복빈도에 대한 차등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 매출 원인분석 관련해서는, 중소기업 지원사업이 연도별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별로 분석하였다. 제조 기업들은 인력지원사업이 지원이후 4년간 매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됬다. 통신·반도체 기업들은 금융 지원사업이 지원이후 4년간 매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전자·기계 기업들은 기술 지원사업이 지원 당해연도에, 금융 지원사업이 지원이후 4년간 매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의료·화학 기업들은 기타 지원사업이 지원 당해연도에 매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요약하면, 산업별로 지원사업 유형에 따라 매출에 미치는 영향과 기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됬다. 따라서, 정부 지원사업 수혜기업의 매출 제고를 위해서는 지원사업 복수제공 시, 산업별로 지원사업의 중복유형과 제공기간에 대한 차등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했다. 중소기업 지원사업 중복유형별로 그룹간에 차이를 나타낸 전자·기계 산업에서 중복유형과 효율성 측면에서 양극단의 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사업의 활용과 관련한 사례분석을 수행했다. A사는 지원사업을 단일수혜받은 최고효율의 회사이고, B사는 단일수혜 받은 최저효율, C사는 복수수혜 받은 최고효율, D사는 복수수혜받은 최저효율의 기업이다. 사례분석 결과, 정부 지원자금의 활용분야와 대상 측면에서, 높은 효율을 보이는 A사와 C사는 플랫폼 형태로 활용가능한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내외부 신규 인적자원 확보에 지원자금을 우선 투입했다. 반면, 낮은 효율의 B사와 D사는 시설투자에 자금을 우선 사용한 것으로 분석됬다. 특히, D사는 설비투자 이외에도 기존인력의 높은 인건비를 충당하는데 대부분의 지원 자금 활용했다. 자금의 대안여부와 확대 관련해서는, 높은 효율을 보인 A사는 기술개발 로드맵에 따라 단계별 지원자금 활용을 위한 대안자금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B사와 C사, D사는 성장로드맵 및 대안자금의 부족 혹은 부재로 초효율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데이터 활용, 기업 효율성 분석, 지원사업 시차고려 및 산업별 분석 측면에서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정부 지원사업관련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외적변수나 선택편의를 통제했다. 특히, 이종 지원사업의 중복관련 연구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만 가능한 연구로서 이전에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된 영역이다. 통합데이터를 활용해 지원사업의 중복유형별 정책수단 효율성을 산업별로 비교분석 할 수 있었다. 이를통해 이종 지원사업간의 상호작업이 산업별로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실증했다. 두번째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전체에 대한 효율성을 기업의 경영효율성 단위로 분석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수혜기업의 경영효율성 및 매출향상을 위해 정부 지원사업이 어떠한 형태로 지원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 또한 통합데이터를 통해 당해연도 기업이 수혜한 전체 사업을 대상으로 분석했기에 가능한 연구이자, 이전에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영역이다. 세번째는 지원사업별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를 고려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시점의 정부지원사업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해서, 기술개발, 금융지원, 인력개발 등의 지원 영역별로 지원금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서 산출물의 산정기간에 반영하였다. 또한 지원사업의 중복유형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산업별로 차이가 있음을 실증했다. 이는 지원사업의 효과분석 시기, 적정대상 선정주기 등에 활용가능하다. 네번째는 산업별로 지원유형에 따른 효율성 차이와 영향원인을 분석했다는 점이다. 이를통해 산업별 최적 지원사업 조합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했다. 또한 산업 내에서 지원사업 활용관련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사례분석하여, 보다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했다. 본 연구는 이전에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된 이종사업간 중복유형에 따른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