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운무법과 비운무법의 굴절검사에 대한 연구

        오상영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Some optometrist Checker Auto refraction refraction measurements performed on the basis of subjective intervention when the control is performed regardless of whether the refraction . However, this method of refraction does not adjust the fogging method is lower than the fully relaxed state is detected in the full prescribing refractive correction refractive correction could be me . Prescribing refractive correction is always adjusted to induce me because of this and can cause headaches and eye strain .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a hyperopic refractive error clearing the fogging lawless law enforced by the refraction refraction and How much investigate as to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visit the angyeongwon agreed to target the patient was associated with ocular disease and eye surgery is not 7 years old - 75 years experience (40 years of age , the average age group 21.23 ± 6.98, 40 the average age of the population over the age of 61.13 ± 7.02) between men and women , 32 patients ( male : 16 , female: 16) in 64 eyes with hyperopic refractive erIf the subject's visual acuity is lower than the refractive error of the other factors that can affect a disease monocular visual acuity of 0.8 or more, and binocular visual acuity of 0.9 or more and less than 2.00D difference in the refractive power of both eyes were selected. - Regulation and inspection is also conducted to check Binocular is no longer human subjects were selected. Hyperopic refractive error in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heoretical value of prescription eyeglasses -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erms of clinical setting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a group of rich amplitude of accommodation under the age of 40 before presbyopia population (pre-presbyopic group) (n = 17 ) and presbyopic population aged 40 and over - regulation is insufficient (presbyopic group) (n = 15)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to compare values ​​. Using the right-eye refractive geomangi automatically after the measurement , the left eye was measured at least 3 times its average value is calculated by repeated measures test was used . (Detection of diopter interval is 0.25D ) Measurement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orrection for the right eye is first expected to fully auto- refraction correction Checker for S +2.00 D refractive overcorrection in the city about 15 minutes after siryeokpyo see hope , Plus Spherical Diopter fogging method to measure the lower gamyeonseo was measured. Being implemented following the clearing of lawlessness Plus Spherical Diopter gamyeonseo measure to increase lawlessness as a clearing was measured.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correction for each test and record the visual acuity in the left eye and tested in the same way . Results: fogging vision and refraction by law and lawlessness clearing values ​​are compared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 the average of the youth vision fogging 1.053 ± .296, youth, non- clearing eyesight vision to an average of 0.918 ± 0.296 , depending on the lawless clearing fogging law population is under 40 yea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acuity (t = -5.549, p = 0.000), except for this experi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ors were included. In addition, prescription eyewear fogging and the actual value of lawless law clearing the vision and refraction value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youth clearing non- visual 0.9176 ± 0.21946, 0.8647 ± 0.19982 prescribed by the average visual acuity less than 40 years in the group vision the clearing of non- corrected visual acuity and prescribing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 = 0.804, p = 0.428), except for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experiments . Conclusions: The visual acuity less than 40 years of collective fogging only visible difference between the law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earing the lawless angyeongwon frontline Plus Spherical Diopter often being implemented to measure the refractive power of raising gamyeonseo intervention to block the way to regulate the enforcement fogging gamyeo quantitative method and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 On the other hand, refractive correction emptied completely lawless detection is not actually correct , even if generally low refractive correction prescription the optometrist . This is due to the calibration is complete eyeglass wearers to adjust to endure discomfort , but this process will avoid problems due to the optometrist . In contrast with the low degree of refractive correction prescribed criteria for the prescription suggested. Angyeongwon fogg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law enforcement to check the value of refractive correction emptied lawless derived quantitatively , there is no paper . Thus, research is needed for food as such . 목적 : 일부 안경사는 자동굴절력검사기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할 때 조절이 개입되는 것과 상관없이 굴절검사를 시행한다. 그런데 이 굴절검사 방법은 조절이 완전히 이완되지 않아 운무법보다 낮은 상태에서 완전교정굴절력이 검출되어 처방굴절력이 저교정될 수도 있다. 처방굴절력의 저교정은 항상 조절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두통과 안정피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시성 굴절이상안에 비운무법으로 시행하는 굴절검사가 운무법에 의한 굴절검사와 얼만 만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안경원을 방문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안과적 질환과 눈과 관련된 수술경험이 없는 7세 ~ 75세(40세 미만 집단의 평균연령 21.23 ± 6.98 , 40세 이상 집단의 평균연령 61.13 ± 7.02 ) 사이의 남녀 32명(남 : 16명, 여 : 16명) 64안의 원시성 굴절이상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교정시력이 낮을 경우 굴절이상 이외 다른 질환요인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단안교정시력은 0.8 이상, 양안교정시력은 0.9 이상, 양안의 굴절력차이는 2.00D 이내로 선정하였다. 또한 조절력검사와 양안시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절력에 따라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안경처방값이 이론적-임상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설정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력이 풍부한 집단인 40세 미만의 노안이전집단(pre-presbyopic group)(n=17)과 조절력이 부족한 40세 이상의 노안집단(presbyopic group)(n=15) 두 그룹으로 나누어 검사결과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를 사용하여 우안 측정 후에, 좌안을 측정하였으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여 검사에 사용하였다. (검출 디옵터는 0.25D 간격이다) 교정시력과 교정굴절력의 측정방법은 먼저 우안을 자동굴절검사기의 예상완전교정굴절력에 S+2.00D를 과교정시켜 15분 정도 시시력표를 바라보게 한 후에, Plus Spherical Diopter를 낮춰가면서 측정하는 운무법으로 측정하였다. 다음에 비운무법으로 시행되고 있는 Plus Spherical Diopter를 높여가면서 측정하는 비운무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렌즈의 교정굴절력과 교정시력을 기록한 다음에 좌안을 같은 방법으로 실험했다. 결과 : 운무법과 비운무법에 의한 시력 및 굴절력 값을 비교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젊음운무시력의 평균은 1.053±.296, 젊음비운무시력의 평균은 0.918±0.296로 시력에서 운무법과 비운무법에 따라 40세 미만 집단은 교정시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549, p=0.000), 이를 제외한 모든 실험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운무법과 비운무법과 실제 안경처방값과의 시력 및 굴절력 값을 비교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젊음비운무시력의 평균 0.9176 ± 0.21946, 처방교정시력의 평균 0.8647 ± 0.19982로 시력에서 40세 미만 집단은 비운무시력과 처방교정시력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t=0.804, p=0.428), 이를 제외한 모든 실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40세 미만 집단의 교정시력에서만 운무법과 비운무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결과는 일선 안경원에서 흔히 시행되고 있는 Plus Spherical Diopter를 높여가면서 굴절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조절의 개입을 차단시켜가며 시행하는 운무법과 크게 차이가 없음을 정량적으로 보여준다. 한편, 비운무법이 정확한 완전교정굴절력을 검출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안경사는 처방굴절력을 저교정 시킨다. 이는 안경착용자가 완전교정으로 인한 불편함을 적응하기까지 참아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안경사가 회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처방굴절력의 정도와 저교정 처방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적으로 운무법과 안경원에서 시행하는 비운무법의 교정굴절력 검사값을 정량적으로 검출한 논문은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아가페치유 상담의 원리와 적용에 관한 연구

        오상영 호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보편적 특성중의 하나는 사랑이다. 따라서 사랑은 인간의 삶의 전 영역에서 다루어져 왔다. 고대철학과 문학에서부터 현대 윤리학과 신학 그리고 심리학에게까지 중요한 주제로 등장한다. 사랑의 개념에 대한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배타적인 입장으로서 사랑의 여러 특성인 아가페, 에로스, 필리아의 사랑을 서로 분리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은 하나님의 사랑을 의미하는 아가페를 최고의 사랑으로 보고 다른 사랑은 배타시 한다. 이런 배타적인 입장을 가진 신학자들은 월리암 바클레이와 엔더슨 니그렌이 있다. 그러나 이들 사랑의 여러 특성들을 전체적으로 보는 입장도 있다. 즉 아가페는 물론 에로스와 필리아도 중요한 사랑의 특성으로 보며 이들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런 전체적인 입장의 신학자는 요한네스 로쯔와 폴 틸리히가 있다. 이들 두 입장 중에서 성경은 두 번째 즉 통전적인 입장에서 사랑을 다루고 있다. 성경은 하나님의 사랑뿐 아니라 우정, 성과 같은 인간의 본능적 사랑까지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여기에 사랑의 보편성과 타당성이 있으며, 아가페치유상담의 출발점이 있다. 사랑의 전체적인 입장은 그랜트 하워드의 우선순위 모형과 브래들리 P.홀드의 네 가지 영성의 관계에서도 잘 나타난다. 그랜트 하웨드와 브래들리 P.홀드는 모두 예수님과 율법학자와의 '큰 계명' 논쟁(마22:34-40절)에서 그들의 신학적 논의의 근거를 찾는다. 이 성경 구절은 사랑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그랜트 하워드는 하나님, 자기자신, 그리고 이웃이라는 3가지 기본적인 관계들을 제시했고, 특히 이웃을 인간과 인간과의 이웃뿐 아니라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정, 교회, 일, 세상, 정부와 같은 포괄적인 의미로 이웃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영역들은 서로 관계를 가지며, 서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데 그것이 바로 사랑이라고 했다. 브래들리 P.홀드는 영성에 대해서 말하면서 영성이 개인과 하나님 사이의 영역에서 벗어나 우리의 이웃 그리고 더 나아가 세상 만물까지도 포함하는 영성 즉 우주적 영성으로 발전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 두 학자의 견해에서 아가페치유상담의 구조를 발견하게 된다. 즉 아가페치유상담는 3가지 차원의 구조를 가진다. 하나님과 나, 그리고 이웃이 사랑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아가페치유상담는 인간을 사랑의 존재로 보며, 인간은 근본적으로 사랑의 욕구를 가지면서 서로 사랑의 관계 속에 있을 때, 자신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아가페치유상담의 기본 전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사랑의 근원은 하나님이시며, 사랑은 생의 원동력이다. 2) 사랑은 성령의 사역이며, 사랑의 실천은 영성으로 나타난다. 3) 사랑은 다양한 양식들을 가지며, 이들은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다. 4) 사랑은 3차원적 관계구조를 가지며, 이들은 서로 의무와 책임을 다한다. 아가페치유상담의 목표는 상실되었던 사랑의 능력과 미숙한 관계를 회복시켜 성숙한 사랑의 삶을 살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효과적인 프로그램들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아가페치유상담 방법은 기독교상담의 한 방법으로서 제시하였으나 아직 이론적인 연구에 불가하다. 앞으로 더 깊은 연구와 함께 직접적인 상담 적용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기본적인 관점인 사랑에 대한 통전적인 입장과 아가페치유상담에서의 사랑의 3차원적 구조는 기독교상담에 있어서 새로운 틀을 제공한다고 본다. 이러한 틀은 상담뿐만 아니라 기독교교육 등과 같은 신학적 틀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뒤숫구멍 음창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 영상에 대한 해부학적 도해 : 자기공명영상과 다평면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위 초음파 스캔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오상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Authors wanted to propose appropriate scan planes on neonatal cranial ultrasound through posterior fontanelle and to objectively evaluate the anatomy of neonatal brain on ultrasound images, and so we reconstructed several oblique magnetic resonance images that corresponded with the oblique ultrasound images using using MRI and a multiplanar reconstruction program. Materials and methods: MRI 3D-SPGR axial scans of the brain were performed for one neonate and then we obtained the reconstructed MR images o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sonographic oblique scanning plane. We made the anatomic models of neonatal cranial ultrasound images using axial MRI as the standard reference on the same screen. Results: We created an anatomic atlas, with the representative seven oblique coronal and four oblique sagittal scans & plates that corresponded to the neonatal brain ultrasound images through posterior fontanelle. Conclusion: This objective manner of anatomic research with using MRI and multiplanar reconstruction program for creating the ultrasound oblique brain images of neonate through posterior fontanelle, will be very helpful for evaluating the sonographic anatomy and detecting abnormalities of the basal ganglia, thalamus and posterior part of the brain. 목적: 신생아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과 일치하는 자기공명 재구성 영상을 이용하여, 뒤숫구멍을 통해 얻은 신생아 뇌 초음파 영상에 대한 초음파 검사시의 기준면의 제시와 객관적인 해부학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정상 뇌 초음파 소견을 보였던 한 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뒤숫구멍을 통한 뇌초음파 영상과 자기공명영상 3D-SPGR 축상 스캔을 시행하였다. 다평면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초음파 사위 스캔 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재구성된 자기공명 영상을 획득한 후, 동시에 나타내어지는 축상면 영상을 참고로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의 해부학적 모형을 만들었다. 결과: 신생아의 대표적인 해부학적 구조물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뇌 초음파 검사의 사위 관상면 7개 영상과 사위 시상면 4개의 영상을 정한 후, 초음파 영상과 일치된 해부학적 도해서를 만들었다. 결론: 충분히 확립되지 않은 뒤숫구멍을 통한 신생아 뇌 초음파영상에 대한 기준면을 제시하고 이를 다평면 영상 재구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 신생아 뇌 초음파 사위면 영상의 해부학적 구조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서, 향후 기저핵, 시상 및 후두부위의 이상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Robust control of nonlinear systems with uncertain parameters and measurement sensitivity

        오상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실제 제어 시스템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불확실한 파라미터, 측정 민감도, 그리고 외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선박이나 항공기 같은 경우 화물의 탑재 또는 승객의 이동 등으로 무게 파라미터가 변화될 수 있고, 회로소자 같은 경우 온도에 따라 저항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외력, 바람 등의 다양한 영향으로 시스템에 외란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영향들을 적절히 다루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제어 시스템은 피드백 정보를 받아 제어기를 통해 시스템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는 일반적으로 센서를 통해 측정되고,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스템은 피드백을 받게 된다. 만약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노이즈 또는 측정 민감도가 피드백에 포함되면 피드백 신호를 왜곡시키고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게 만든다. 이는 전체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에 문제가 되고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에 허용 가능한 불확실한 파라미터와 측정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리아프노프 방정식을 변형시켜 이득 값 결정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허용 가능한 불확실한 파라미터와 측정 민감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외란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득 조절 요소가 결합된 강인한 상태 궤환 제어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제어기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전체 폐루프 시스템을 만들고 리아프노프 안정성 방법으로 분석한다. 더욱이 이득 조절 요소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된 상태의 변동 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어 문제를 확장 시키기 위해 상태 궤환 제어를 출력 궤환 제어로 확장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한다. 제안한 이득 결정 프로세스와 이득 조절 요소가 포함된 상태 및 출력 궤환 제어기를 쿼드로터 시스템에 적용하고 쿼드로터의 자세 제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또한, 제안된 제어기를 실제 쿼드로터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한다. In practical control systems, there are uncertain parameters, measurement sensitivity, and external disturbances that cannot be igno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hip or an aircraft, the mass parameter may be changed due to the loading of luggage or the movement of a passenger, and in the case of a circuit element,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In addition, external disturbance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due to various influences such as the external force and wind force. In order to deal with these problems, the control systems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the measured data by a sensor and then the systems with above problems are controlled by a feedback controller. However, if sensor noise or measurement sensitivity is included in the feedback channel, feedback signal is distorted and the entire system may not be able to operate normally. It can cause a problem for the stability of the closed-loop system and also may affect the system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some appropriate control actions to minimize these effects. In this dissertation, a new process for determining the compact set which contains allowed uncertain parameters and measurement sensitivity is proposed by utilizing modified Lyapunov equation. In addition, a robust state feedback controller with a gain-scaling factor is proposed to reduce the effect on disturbance. The considered system with the proposed controller is analyzed by using Lyapunov stability method under external disturbance.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the ultimate bound of a particular state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gain-scaling factor. In order to broaden the control problem, the robust output feedback control is considered, i.e, the state feedback control is extended to the output feedback control and applied to more generalized nonlinear system with the non-triangular nonlinearity. Also, the proposed state and output feedback controller with the gain-scaling factor are applied to the attitude control of the quadrotor system. The validity of the control method is verified via the simulation of the attitude control of quadrotor system. Furthermore, the proposed control method is applied to a real quadrotor system through experiments.

      • George Albert Coe의 교육사상 연구

        오상영 호남신학대학교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우는 진보주의 종교교육을 주도한 20세기의 위대한 기독교교육학자이자 미시적 관점에서 거시적 관점으로 즉 교회 안에서 교회 밖으로의 관심으로 종교교육을 확대한 교육의 사회적 이론을 주창한 최초의 이론가였다. 코우의 교육사상이 전통적 기독교 교리에서는 종종 벗어나기는 하였으나 그의 발전적인 교육사상은 결코 축소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스테븐스(Maryanne Stevens)가 지적한 바와 같이, 코우의 신학은 교회적 환경과 교육적 환경에서 기능하는 비판적 신학이며, 그것을 종교의 기능적 기술로서 해석했다는 점에서 그가 사회-문화적 상황(The Socio-Cultural Context)을 중요한 택스트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코우는 현대적 의미에서 해석학적 통찰력을 가졌던 교육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석학이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할 때, 그는 사회-문화적 상황과의 끝없는 신학적 성찰 즉 해석학적 과정을 시도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코우의 교육사상을 분석하는 해석의 틀로서 교육신학의 해석학적 관점은 본 연구의 타당성을 더해 주었다. 코우가 발달적인 측면에서 계속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사회-문화적 상황은 1)과학적 방법의 대중화; 2)남북전쟁의 여파와 세계대전의 발발; 3)산업혁명의 발달이었으며, 그와 더불어 그에게 지대한 사상적 영향을 미쳤던 자유주의 신학, 미국사회복음운동, 그리고 경험주의 철학은 그의 교육사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여기서 우리는 코우의 교육사상을 구조적으로 그리고 통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육 신학적 단서로서 1)종교적 경험; 2)인간과 사회적 가치; 3)과학적 방법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들 단서들은 '하나님의 내재성과 인간의 가능성'을 핵심으로 한 '진화와 진보'의 교육 신학적 대전제 속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코우의 교육사상을 구성하고 있다. 회심을 경험하지 못했던 코우는 그 당시의 핫 이슈였던 '종교적 경험'을 교육적 논의의 대상으로 중요하게 다루지 않을 수 없었고, 그것은 과학적 방법이라는 시대정신과 만나면서 가능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그의 교육적 논의의 대상은 인간과 사회적 가치에 있었다. 인간의 유용성과 자아실현 그리고 사회적 가치로서의 하나님의 민주주의 실현은 코우의 교육목적이었던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코우는 각 인격간의 성장(인격원리)을 중요시하였으며, 이 것은 인격간의 '상호작용'(interplay)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교사는 바로 이러한 인격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 기관이나 사람인 것이다. 즉 교회와 부모, 전문적인 교사들이라고 하였다. 또한 코우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곳을 교육의 장으로 보면서 개인이라는 자아와 사회라는 공동체 사이의 상호작용(종교교육의 사회적 이론)에 의해 개인과 사회는 변화되어 진다고 믿었다. 코우는 가정, 국가, 학교, 교회, 그리고 교회학교를 사회화를 수행하는 중요한 종교교육의 장으로 보았다. 코의 교육방법은 인간의 인격을 형성하는 과정에 필요한 모든 것을 그리고 아이들이 사회화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어른들의 자발적인 활동전체를 교육의 방법으로 보았다. 코우의 교육사상에 대한 비판에서 우리는 코우를 의심할 바 없이 종교교육의 신학적 교육학적 기초를 세우는데 공헌하였으며 새로운 사회적 질서의 윤곽을 그렸던 당대의 최고의 기독교교육자이라고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코우는 그의 놀라운 공헌에도 불구하고 그의 교육사상에 나타나고 있는 제한성을 가지고 있었다. 복음적 관점에서 볼 때 코우는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문제를 이끌어 갔으며, 신의 "초월성"을 배제한 인간의 가능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점들은 이론의 한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의 윤리적 차원의 사회적 변혁에 대한 강조는 오늘날 윤리적 책임성이 희박한 한국교회에 경종을 울리며, 교회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깊은 성찰을 하도록 이끈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다양한 상황(컨텍스트)에 직면해 있다. 코우가 꿈꾸었던 '교육을 통한 하나님의 민주주의 건설'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는 참으로 많다.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환경과 통일은 물론이고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사이버(cyber) 세계는 우리의 중요한 컨텍스트이다. 이들 상황들에 대해 책임 있게 대처할 사명이 한국교회에 있으며, 교육교육의 사회화를 통하여 이러한 사명은 성취될 것이다.

      •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흉부 CT 를 이용한 폐기종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임상검증

        오상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CT 영상의 폐기종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흡기와 호기 CT 에서의 폐기종을 평가하며 흡기와 호기 CT 의 영상정합 후 폐기종의 크기와 허탈 정도가 갖는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폐기종을 크기에 따라 정량화하는 방법개발 Modified length scale method, Gaussian low pass filter, iteration 등의 과정을 거치는 새로운 정량화 기법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후 가상의 팬텀 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폐기종을 크기에 따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한다. 폐기종의 직경을 기준으로 네 집단은 다음과 같다: E1<1.5mm, 1.5mm≤E2<7mm, 7mm≤E3<15mm, 15mm≤E4. 30명의 CT 영상에서 각각의 폐기종을 분류한 후 두 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한 시각적 평가와 개발한 방법에 의한 결과 사이에는 유의한 일치를 보였다. (r-values of the reader 1: 0.186, 0.890, 0.915, 0.941, the reader 2: 0.540, 0.667, 0.919, and 0.942, respectively) 새로운 방법과 흡기와 호기 CT 간의 영상정합을 이용한 폐기종환자의 CT 분석 폐기종을 갖고 있는 72명의 환자의 흡기와 호기 CT 영상에 새로운 정량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흡기와 호기 CT 영상에 영상정합기법을 적용하여 흡기와 호기 CT에서 폐기종의 크기 별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류된 폐기종 하위 집단의 분획과 폐 기능과의 관계를 평가한다. 정합 후 변화한 폐기종 분획에 대해 평가하고 폐 기능 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폐기종의 크기 별 분류방법에 의한 흡기 CT 영상에서 전체폐기종과 하위 집단 (E1, E2, E3, and E4) 분획의 평균값은 각각 25.9%, 3.0%, 11.4%, 7.6%, 3.9% 였으며, 상응하는 호기 CT 에서의 평균값은 15.3%, 1.4%, 6.9%, 4.3%, 2.6% 였다. 영상정합 후 흡기와 호기 CT 영상을 비교 시 각각의 폐기종은 더 작은 분획으로 상당부분 이동했다. (E1; 89.3%, E2; 80.8%, E3; 79.2%, E4; 67.5%). 전체 폐기종지수와 하위 집단 E2, E3, E4 는 폐 기능 수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 -0.53, -0.44, -0.49, -0.28, with FEV1, -0.70, -0.49, -0.72, -0.41, with DLco) 하위 집단 E1 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흡기 후에 더 작은 분획으로 이동한 전체 폐기종분획이 폐 기능 지수 (FEV1, cDLco, FEF25-75 and RV/TL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 0.56, 0.73, 0.40, -0.58, respectively). 결론: CT 상의 폐기종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새로운 정량적 방법을 개발하였다. 1.5mm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폐기종의 경우는 폐 기능 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크기가 작은 폐기종일수록 흡기와 호기간에 허탈이 잘 생기며 허탈 된 정도와 폐 기능 지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다. 폐기종의 크기의 다양성이 폐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추정된다. 폐기종의 생리기능, 폐기종의 추적검사, 호흡에 따른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크기에 따른 폐기종의 분류와 호흡 전후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 측정오차가 있는 적분기 시스템에서 AC와 DC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상태 궤환 제어기 설계 및 분석에 관한 연구

        오상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측정값으로 동작하게 된다. 만약 데이터를 측정 하는데 있어서 센서에 측정오차가 포함되면 궤환(feedback) 신호를 왜곡시키고 이로 인하여 제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이러한 측정오차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위해 센서 잡음이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분석 처리하는 적절한 조치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분기 시스템에서 센서의 오작동으로 임의의 AC와 DC 측정 노이즈가 포함됨을 가정한다. AC와 DC 측정오차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분기 시스템에서 이득조절 요소(gain scaling factor)와 보상기(compensator)를 결합한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스위칭 제어 기법을 혼용하여 제어기의 수렴속도를 개선하였다. 또한, 시간지연(time-delay)이 포함된 적분기 시스템에서 AC와 DC 측정 노이즈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제어기를 제안한다. SISO 비선형 시스템에 입-출력 궤환 선형화를 적용하면 적분기 시스템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차의 적분기 시스템에 제안된 제어기를 적용하였다. 제안된 제어기가 인가된 전체 적분기 시스템을 라플라스 변환 기법으로 분석을 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여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시스템인 볼-빔 시스템에 제안된 제어기를 인가하여 실험을 통해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주요어 : 적분기 시스템(chain of integrators), 측정 오차(measurement error), 이득조절 요소(gain-scaling factor), 보상기(compensator), 볼-빔 시스템(ball and beam system), AC와 DC 센서 노이즈(ac and dc sensor no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