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누리과정 정책에 미치는 시차적 요인에 관한 분석

        누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03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n integration polic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pon 3 to 5 year-old children in Korea. Data were selected according to deduce the reason of controversy for Nuri Curriculium Policy since 2013. It starts with assumption that Nuri Curriculium Policy has been underpinn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which legislated 2004. The coherence of policy can be explained in the division of three categories such as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he time order of the factors and the feature of the factors in time perspectives.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effects and consequences of the three time factors of Nuri Curriculum policy compositively.

      • 기업 광고의 담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두산 ‘사람이 미래다’ 광고 시리즈를 중심으로

        오누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Competition settled as a system in this modern society, and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are set by the public image. Thus companies are using a lot of communication methods to build favorable and positive corporate image. Corporate advertising is used to produce differentiated images from others and keep for long term, and its messages are selected by considering its social and cultural posi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focussed what messages have been conveyed by today's corporate advertising and also how the messages have been signified. This study was analysis of significations for the corporate advertising campaign of Doosan Group which had been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particularly young people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ory of Roland Barthes. It had been concerned various meanings of its textual side of each cases of advertisements and conducted structure of its discoursive sid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rporate advertising campaign of Doosan Group appealed the dominant ideology of competition and success in modern capitalism system of the Korean society to the young people who are tired of competing. The series delivered messages to comfort and cheer them ostensibly, but the discourse inherent in there was ask to become successful human resources and have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for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eventually. In other words, the advertising campaign of Doosan Group was signifying as a means of reproduction to strengthen the existing capitalist system, and ideology of personal attitude for competition and success was inhered. 치열한 경쟁이 사회의 한 시스템으로 자리 잡은 현대 사회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기업과 관련하여 대중이 인식하는 이미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기업은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기업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많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동원한다. 그 중 기업 광고는 기업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생산하고 그것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기업 광고에 담긴 메시지는 기업이 속한 사회적·문화적 입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늘날의 기업 광고가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또 그 메시지는 어떻게 의미작용하고 있는지를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큰 이슈가 되었던 두산그룹의 ‘사람이 미래다’ 기업 TV 광고 시리즈 중 2, 3차 캠페인인 ‘젊은 청년에게 두산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광고 텍스트에 내재된 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광고 시리즈 여덟 편에서 드러나는 광고 텍스트의 의미작용을 기호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 시리즈에 내재된 담론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광고 텍스트에 담긴 실질적 메시지의 의미와 그 의미 작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두산의 기업 광고 시리즈가 우리 사회의 사회적 시스템으로 자리한 경쟁에 지친 현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현대 자본주의 체제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경쟁과 성공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산의 기업 광고는 표면적으로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었으나, 결국 그 안에 내재된 담론은 젊은이들에게 성공하기 위한 인재가 될 것과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경쟁에 참여하라는 요구였다. 즉, 두산의 ‘사람이 미래다’ 광고 시리즈는 기존의 자본주의적 체제를 공고히 하는 재생산 수단으로서 의미작용하고 있었으며, 경쟁과 성공에 대해 개인이 지녀야 할 태도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내재하고 있었다.

      •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표현 특징과 확장 유형

        오누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According to Matt, film director Anderson said ‘It was a hotel once but not anymore. This was his opinion which came alight whilst researching into the hotel. Although the main frame does not remember all the information, memorable elements are selectively re-edited (Anderson and Pichert, 1978). This means physical form may be there but the objective, significance and feeling will depend entirely on the thought of one’s generation background. In other words a certain situation and timeline one put themselves will bring out a result which is most adaptable. Design and creative work share similarities. Fashion creators themselves produce meaningful fashion based on the situation and generation background they lived in. This is achieved by using various images and accumulating messages they wish to deliver to form their identity. The word identity is widely used to describe the essence of subject’s philosophy. However the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we now live in overlooks the boundary of design time and caused identity standardization and reduction in value. The result was the robotic and machine like lifestyle and dry value of an act (Kho, 2015). Such phenomenon affected creative culture of fashion, and visionary acts and performances. This lead onto trials by fashion creators to expand personal dimension to be universalised. A Large number of fashion creators prioritise personal experience and subjective thinking (Ki, 2002). They also have the interest in the process of forming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rough their own identity. Fashion creator related studies until now only include foreign fashion creator’s combined design sectors, tendency analysis (Hong, 2008), fashion creator notion and identity from business brand’s perspective in Designer roles and effects of design environment in relation to combined thinking (Kim, 2005). 21st Century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services lead design to be at the centre of intellectual technology. This sector also fused into other sectors and distorts the boundary between industries and causes change to the concept of ‘designer’(Park&Lee, 2008). This study will read into elements of fashion creator’s identity which branches out culturally and it’s effects in diverse sectors. Analysis were made on 5 representative fashion creators (Hussein Chalayan, Rei Kawakubo, Raf Simons, Victors & Rolf, Jean Paul Gaultier) who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not only fashion but economics, politics and cultural inspiration. In the interest of this study, identity expressionistic case studies between 1990 to the beginning of 2000s was collected and categorically distributed to analyse fashion creator’s identity representation. Firstly, in order to identify a fashion creator’s idea and characteristics, theoretical background was researched. Secondly, elements of fashion creator identities was separated into two big categories of personal identity and message expressionistic fashion designs. Based on the research, various sector connectivity was analysed. Thirdly, based on fashion creator identity expansion elements, this can be categorised into two sectors. These are message based identity expansion and form expression identity expansion. Through these categories, analysis it effects made of industrial and artistic sectors. In order to analyse the internal elements, each fashion creator’s related official web, Guardian, New York Times, other related articles, Vogue, Elle, Style.com, media interviews, exhibition information, magazines, other artistic activities and interviews were researched and categorized. the breakdown shows 311 collections were categorically analysed based on the messages they were trying to deliver and characteristics of its form. Collected data was sorted and 80 of them were selected which showed potential for expansion into other sectors. This was further analysed for comparison and their class an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ively discussed. The result showed individual identity and fashion design had mutual relationship whereby character expressions are what causes various sector expansions. Firstly, based on individual identity, a symbolic object or targeted selection show differences which go against the tradition. While Raf Simons show retaliation towards superior men’s sexuality, Rei Kawakubo tries representation of suppressed female physical form. Hussein Chalayan focuses on human isolation due to human’s nomadic and mechanic tendency and approaches scientifically to represent the present and future vision at the same time. Secondly, fashion creator identity’s expression characteristics have an impact towards expansion sector and methods.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marketing is concerned as individual fashion creator’s form expression shows the difference in maintaining value towards cooperation and its inclusion methods. Thirdly, Hussein Chalayan, Rei Kawakubo, Raf Simons all used message based identity expansion by utilising fashion to produce new culture, vision and social arbitration. the function of fashion expansion can be felt especially when it challenges various cultures and efforts to change a negative image to lead a social arbitration.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form acts as an amplifier to expand and had its principles diffused into the market to cause the indirect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current fashion creators are working to recognise social values. As Victor Papanek claims that interchange between professionals of various sectors distort the boundaries between industries but produce amplifying effects towards cultural expansion. No matter what generation it is, fashion creator’s attitude to be introspective and their ability to combine the clash and collaboration will be a crucial resource and an indicator to detect a flow and balance an era. Although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he respect that fashion creators were at the centre of the analysis, their involvement in various sectors armed with individual character identity and their expansion and expression methods were used has a deeper meaning.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표현 특징과 확장 유형 “한 때는 호텔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다” 이와 같이 영화 감독 앤더슨(Wes Anderson)은『The Grand Budapest Hotel』영화 주제의 배경이자 핵심인 호텔에 관한 리서치를 하면서 깨닫게 된 소견을 밝혔다. 사람들이 받아들인 정보를 모두 다 기억하는 것은 아니며 기억할 요소에 대해 선별적 재편집을 한다고 주장 하였다(Anderson and Pichert, 1978). 형상은 있지만, 기능은 시대에 처한 사람의 생각에 의해 사용 목적이 달라지고 의미와 느낌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 시대에 그 사람들이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나온 생각이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탄생한다는 의미다. 디자인과 창조적 작업도 마찬가지이다. 패션 크리에이터 역시 그 시대에 처한 상황에 적합한 이미지와 다층적 메시지를 체화하고 형성된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의해 패션의 의미를 재생산해낸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 문화적 확산자로서 역할 하는 패션 크리에이터의 특성을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와 영역의 확장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패션 영역을 기반으로 산업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경제, 정치, 문화에 영감을 주는 실천적 확장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 패션 크리에이터 5명(후세인 샬리안(Hussein Chalyan), 레이 가와쿠보(Rei Kawakubo), 라프 시몬스(Raf Simons), 빅터 앤 롤프(Victor & Rolf), 장 폴 코티에 (Jean Paul Gaultier)을 중심으로 아이덴티티의 구축과 확장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패션크리에이터 아이덴티티 표현특성과 확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디자이너 컬렉션 분석을 기반으로 패션크리에이터 아이덴티티 표현특성 사례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사례를 아이덴티티 표현특성을 기반으로 아이덴티티 확장유형에 따라 분류, 각각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패션디자인에서 크리에이터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에 따른 아이덴티티 표현특성을 분석한 결과, 개인의 아이덴티티와 패션디자인 특성은 상호관계를 갖고 있으며, 패션에서 나타내는 아이덴티티 표현특성에 따라 각각의 패션크리에이터 아이덴티티 확장방법이 다른 영역에서 다른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문헌조사와 선행고찰을 통해 아이덴티티 개념 및 표현특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아커(2007)의 관점을 토대로 디자인에서 나타난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개인 아이덴티티, 패션디자인 특성으로 나누었다. 디자인에서 가시화되는 개인의 아이덴티티로서 관념과 욕망, 개인을 둘러싼 환경 요소가 있으며 패션디자인 특성으로 메시지와 조형적 특성이 있다. 둘째, 패션 크리에이터의 개인적 자료와 패션 디자인 사례 및 표현확장 사례를 수집하여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표현 특성과 확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패션에서 개인의 아이덴티티를 기반으로 기존의 방식에 반대하는 상징적 오브제 혹은 대상 선정에 차이점을 보여준다. 시몬스는 전통적인 기득권 남성성에 대한 재고를 통한 저항인 반면 가와쿠보는 기득권인 남성에 의해 억압된 여성의 신체성에 대한 담론을 통해 탈코드를 시도했다. 또한 샬리얀은 현대인의 유목성과 기계만능주의로 인한 인간소외를 테크놀로지와 과학적 접근을 통해 현실과 비전을 동시에 제안하였다. 빅터 앤 롤프와 고티에는 뷔스티에를 통해 이분법적 성 개념과 전통성을 부정하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패션에서 보여준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확장유형은 확장범위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영역범주 중 예술과 산업에서 각각의 패션 크리에이터의 조형적 표현 특성은 협업을 통해 가치를 부여하는 아이템 종류와 참여범위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시몬스 경우 신발종류와 가방에서 신조형주의 표현 특성의 확장이 개인 레이블보다 두드러졌으며 빅터 앤 롤프는 판타지 지향적 특성을 중심으로 아동산업에 확장 특성을 보였다. 고티에는 주된 식문화와 관련된 제품이나 설치에서 관능적 표현의 확장성이 높게 났으며 가와쿠보와 샬라얀은 전시에서 패션에 선보였던 오브제를 설치물로 재구성하는 확장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점에 따라 패션에서 보여준 메시지 혹은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확장 유형을 메시지를 기반 한 아이덴티티 확장과 조형적 특성을 통한 아이덴티티 확장으로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메시지를 기반한 아이덴티티 확장은 패션 크리에이터가 메시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 또는 영역의 표현 특성을 사용해 중첩적,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특성을 보였다. 조형적 특성을 통한 아이덴티티 확장에서는 조형적 특성을 반복하거나 변주의 형태로 다른 영역에서 나타나는 성향을 보였다. 셋째, 패션 크리에이터의 확장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 확장 유형과 확장범주의 관계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살라얀, 가와쿠보, 고티에, 빅터 앤 롤프, 시몬스, 모두 메시지를 기반으로 아이덴티티 확장은 의복기능을 전환 및 확장을 통해서 새로운 문화 창출, 비전과 사회중재 역할을 시도하는 공통적 속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메시지를 기반 한 아이덴티티 확장은 개인의 레이블을 갖고 있는 패션 크리에이터들의 디자인 활동에서 제일 뚜렷하게 나타나며, 행위적 예술의 형태를 띠고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패션 크리에이터들은 사회적 가치를 재인식시키며,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k)이 주장한 바와 같이, 각 분야 전문가의 교류를 통한 경계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서로 다른 부분으로 사회적 가치를 전이, 확장시키는 문화적 확산자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어떠한 시대가 변하더라도 패션 크리에이터의 아이덴티티는 성찰적 자세와 문화적 충돌과 화합을 통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며 한 시대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균형감각의 주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패션 크리에이터들을 중심으로 한 사례분석연구라는 측면에서 제한점을 갖지만, 다양한 영역에서의 패션 크리에이터의 활동에 나타나는 아이덴티티 표현특성에 따른 확장유형과 형성방법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 만9세 이전의 음악적 경험이 음악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오누리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미국의 음악교육학자 고든(Edwin E. Gordon)은 음악성은 태어나면서부터 9세 이전에 형성되며 그 이후에는 고정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많은 음악교육학자들은 이에 동의하며 어릴 적의 음악교육을 권장한다. 이 연구는 많은 학자들이 주장한 위의 사실에 근거하여 음악성이 형성되는 만 9세 이전에 음악적 경험을 한 학습자의 음악성이 그렇지 못한 학습자와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에 대하여 밝히고자 한다. 이는 어릴 적의 음악적 경험이 음악성 형성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71명이고 연구 도구로는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제작한 설문지와 현경실 교수가 제작한 ‘한국음악적성검사’가 사용되었다. 자료의 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음악적 흥미, 가정환경, 음악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이변량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만 9세 이전에 음악을 배운 경험이 있는 학생의 음악성은 만 9세 이후에 음악을 배운 학생보다 높게 나왔다. 둘째, 개인의 음악에 대한 흥미와 음악성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다. 셋째, 가정환경과 음악성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다. 넷째, 학교 음악시간 외에 음악을 배운 경험이 있는 학생과 음악성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실험을 통해 음악을 배운 시기가 이를수록 음악성이 발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많은 학생들이 어릴 때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이를 통하여 그들의 음악성이 신장되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American music educator Edwin E. Gordon, musical talent is developed from birth up to the age of 9, and afterwards no longer developed. Many music educators agree with the Gordon's theory and accordingly, recommend preschool musical education. This essay is written to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sical talen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music before the age of 9 and that of those who have not. That is to sa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ow how important preschool musical education 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al talent. The 171 student of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chosen as a survey target. Questionnaire for surveying their musical experiences and ‘Korean Music aptitude test’ developed by professor Kyung-sil Hyun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computerized by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12.0.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get data of their musical interests, family environments, and musical experiences. Moreover, One way ANOVA and T-statistics were performed and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ose who have learned music before the age of 9 is more talented than those who have not. 2. There is a statist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interest and the musical talent. 3. There is a statist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environment and the musical talent. 4. There is a statistical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experience besides the music lessons in a school and the musical talent. This essay approves that the earlier one learns music, the more one becomes talented for music. The writer hopes that more children have the opportunities to learn music in preschool education.

      • 굴절률 증가를 위한 황함유 고분자의 중합 및 특성

        오누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study, a transparent, and highly refractive poly(phenylene thioether ether)s (PPTEs) containing thianthrene-2,7disulfacyl units in the polymer chain have been developed. A new 4,4′-diol aromatic compound, 2,7-(4,4′-diphenol)thiothianthrene (DPTT), with a high sulfur content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in order to develop polymers with high refractive indices and high thermal stabilities. The polymer derived from 2,7-(4,4′-diphenol)thiothian threne (DPTT) was prepared by aromatic nucleophilic substitution polycondensation with organic dihalogen compounds, such as 2,6- difluorobenzonitrile (DFBN) and 4,6-dichloro-2-(methylthio)pyrimidine (DCMP). The polymer exhibited high thermal stabilities such 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53 oC), and a 5% weight loss temperature (>344 oC) under nitrogen. The PPTE films showed a transmittance higher than 84% at 550 nm. The DPTT-DCMP containing pyrimidine and high sulfur contents showed high refractive index of 1.7204 and small birefringence of 0.0106 at 637 nm.

      • 읽기 협동학습에서 친밀도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 성취도와 동료평가에 미치는 영향

        오누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영어 읽기 협동학습에서 친밀도 기반으로 집단을 구성했을 때, 친밀도가 학업성취도와 동료평가 그리고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 H 중학교에서 읽기 능력이 다양한 수준으로 분포해있는 2학년과 3학년 학습자 53명을 대상으로 2주간 진행되었다. 집단은 한 모둠 당 5명에서 6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사전 읽기 평가를 통해 균등한 수준으로 구성되었다. 해당 학교에서 사용하는 영어 교과서의 지문을 직소 유형으로 학습하면서 모집단에서 같은 모둠 학습자들과 함께 읽기 활동을 한 후 다른 모둠으로 이동하여 맡은 단락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추후에 모둠 별로 퀴즈를 출제하여 다른 모둠에게 제시한 뒤 맞힌 만큼 집단 별 보상으로 전체 학습 과정에서 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협동학습이 끝난 후 자신의 모둠 원들의 점수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동료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평가지와 교우관계 설문지, 동료평가지를 사용한 뒤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수업 관찰 일지를 활용하였다. 실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학년과 3학년 모두 친밀도 상위 집단에서 학습자의 읽기 평가 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3학년의 친밀도 하위 집단에서는 읽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친밀도가 읽기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학년의 친밀도 하위 집단에서도 읽기 점수가 향상되었으므로 협동학습 자체가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2학년에 경우에는 친밀도가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친밀도 상위 집단에서 큰 향상을 보였으므로 그 영향력을 배제할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2학년 집단은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기 때문에 친밀도가 대면 수업에 비해 적게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둘째, 소집단 내 친밀도가 동료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협동학습 후 동료평가를 시행하였을 때, 2학년과 3학년 모두 친밀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자신과 친밀한 동료에게 더 관대한 점수를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동료평가 점수와 읽기 점수의 상관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친밀도가 학습자의 평가 기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동료평가의 신뢰도는 입증하지 못했으나 학습 과정에 있어서는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와 태도를 유도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친밀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사전·사후 교우관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친밀도 상위 집단에서 교우관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하위집단은 교우관계 점수가 하락 하였으므로 친밀한 동료끼리 학습할 경우 교우관계를 개선시킨다고 볼 수 있으며, 친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학습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고 소통이 부족하여 교우관계를 하락시켰다고 볼 수 있다. 친밀도 기반 협동학습 선호도는 2학년의 경우 친밀도 상·하위 집단 모두 사후 점수가 향상 되었으므로 친한 친구끼리 학습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인식하는 반면, 3학년은 학습 전후로 점수 차이가 나지 않아 집단 구성에 있어서 관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집단 내 학습자들의 대화 내용을 관찰한 것을 분석한 결과, 친밀도가 높은 집단은 학습 수준 상위 학습자가 하위 학습자를 도와주며 스캐폴딩이 일어나며 상호작용 빈도가 높아 긍정적인 분위기 형성이 되었으나, 잡담의 비중이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친밀도 하위 집단에서는 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며 약간의 다툼도 발견되었으나 상위 집단에 비해 학습 내용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찰 내용을 통해 친밀도가 집단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집단 구성에 있어서 충분히 고려해야 할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 본 결과, 친밀도가 학업성취도와 동료평가, 교우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학년과 3학년의 결과가 상이하였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수업 방식의 차이가 있음을 염두하고 2학년 학습자에서도 대화 내용과 동료평가, 교우관계 설문지를 토대로 예측한 결과, 친밀도가 협동학습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협동학습을 운영할 시에 구성원들의 친밀도를 배제할 수 없으며 학습 수준과 성별, 흥미도 등의 변인들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효과와 정의적 요인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통일시키지 못한 수업 방식을 고려해야하며 동료평가와 다른 평가를 병행하여 신뢰도를 입증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집단 내 구성원의 성별, 성격, 흥미도 등의 변인들을 병행하여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협동학습 운영 방식을 제공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intimacy on academic achievement, peer assessment and peer relationship when forming groups based on learners' intimacy in the cooperative learning of English read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2 weeks targeting 53 students in 2nd and 3rd grade in H middle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nam-do. 5 or 6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o be equal in their academic standard through pre-test. For the reading activity, Jigsaw revised was used and group reward allowed to cooperate in entire learning process. After the cooperative learning, the peer assess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score of group member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ading test, peer relationship survey and peer assessment questionnaire and also, the class-observation journals and recordings were used to complement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th 2nd and 3rd grade how intimacy group showed learner’s reading evaluation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learning. On the contrary, the low intimacy group in 3rd grade showed that reading score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which indicated that intimacy can positively influence reading ability. However, as the reading score of the low intimacy group in 2nd grade increased their reading score, the cooperative learning itself did positively influence the reading ability. Second, the result of peer assessment after the cooperative learning to see how the intimacy within the group affect the peer assessment showed that score gap between high and low intimacy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mplied that learners gave score generously for members they felt more familiar.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the peer assessment score and reading score, a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was not proved but it could not rule out possibility that it induces learners to have active participation and attitude in the learning process and positively influence. Third,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peer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in the both groups with high and low intimacy showed that the high intimacy group has the peer relationship scor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the decrease in the peer relationship score of the low intimacy group indicated that if the members who are familiar with can improve the peer relationship and if the intimacy was low, the interaction did not go well in the learning process ending up with a lack of communication, resulting in the decreased peer relationship. When it came to preference for intimacy-based cooperative learning, 2nd graders recognized they like learning with close friends because post-score increased in both groups with high and low intimacy. But the 3rd graders seemed to be lenient in forming the groups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ore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Lastly, the analysis of observing conversation between learners within the group showed that the high-level learners helped low-level learners in the high intimacy group, coming up with scaffolding that results in high frequency in interaction and positive atmosphere but they were likely to chat a lot. The members of the low intimacy group had poor communication with some argument occasionally and their conversation focused on learning contents more than the high intimacy group. A series of observation indicated that learners’ intimacy influenced the atmosphere of group. To sum up, the learners' intimacy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peer assessment and peer relationship. Given that there’s difference in the results in 2nd and 3rd graders, it’s probably caused by difference in online and offline class. Conversation between 2nd grade learners and peer assessment, peer relationship questionnaires implies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intimacy influenced the cooperative learning. Therefore, the intimacy between members can’t be ruled out for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it’s very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with other ways to organize. It’s expected to see positive changes in learning effect and affective variables. The future study needs to consider other teaching methods not unified in this study and adopt peer assessment and other assessment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Furthermore, it’s required to study other variables including gender of member within the group, personality and interest to provide various ways of cooperative learning.

      • Cesar Franck의 Violin Sonata A Major에 대한 연구

        오누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A study on Violin Sonata A Major by Cesar Franck Oh Nu Ri Advisor : Prof. Seo Yuong-hwa, Department of Music,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form of Franck’s Violin Sonata A Major and, by doing so, to understand the composer’s intention more accurately and to play the music more profoundly and effectively. Franck is a representative French composer belonging to late romanticism, and his music is strongly pious and religious due to his devoted faith. By harmonizing German musical logic and system beautifully with French sense, h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vival of French music. Violin Sonata A Major, his only violin sonata, is counted as one of the three greatest violin sonatas of romanticism together with the violin sonatas of Beethoven and Brahms. This masterpiece is based on the form of classical sonata and, at the same time, introduced romantic elements. This work consists of four movements, and while each of them is unique the movements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through three cycle motives using the cyclic technique. The fisrt movement is in the form of a sonatine with the development omitted from the sonata form. In the movement appear cycle motive(A) and cycle motive(B), and its atmosphere is lyric and dreamy. The second movement is in the typical sonata form and is fastest and most passionate among the movements. This movement sustains musical tension and relaxation through the repetition and variation of cycle motives chromatic progression, and continuous key changes. The third movement, which consists of three parts, is an unprecedented original movement, giving a colorful feeling through changing tempo, tonality, and chord. The fourth movement is in the form of rondeau based on contrapuntal structure. This movement uses themes that reproduce and transform the cycle motives and progresses in the canon style in which the violin and the piano develop the themes at a measure’s intervals in the equivalent position. It creates a colorful mood and ambiguous tonality using non harmonic tone, diminished 7th chord, 9th chord, and chromatic scale. This music, characterized by rich musical sensibility and logical form structure, shows the unique technique of Franck excellent in romantic expression using romantic melodies and harmonious colors based on classic form.

      • 용융가압함침법으로 제작된 철강기지복합재의 열처리 및 강화재 분율에 따른 인장특성 고찰

        오누리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study, tensile properties of TiC reinforced SKD11 tool steel matrix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heat-treatment conditions and volume fractions of reinforcement. TiC is well-known for reinforcement in Fe-matrix because of its high melting point, low density and elastic modulus and especially exhibits good melt wettability with iron and steel matrices. Generally, TiC-Fe composites have been produced by powder metallurg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a high cost, mechanical properties and a limitation of enlargem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iC-SKD11 composite manufactured by infiltration having high volume fraction of TiC, could have cost-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enlargement, as compared to that of powder metallurgy. TiC reinforced SKD11 matrix composites fabricated by powder metallurgy and infiltration have high volume fraction of TiC particles(43%, 53%, 64%). Especially, TiC-SKD11 composite fabricated by infiltration showed a homogeneous distribution of TiC within the matrix. The complete infiltration of the molten steel was confirmed from the microstructure showing that the penetration of the liquid metal reached geometrically complex regions without any interfacial flaws. The results about atomic arrays obtained from HRTEM show that TiC and steel atoms are connected through semi-coherent nature, i. g. . Tensile tests were conducted at 25, 700, 750 and 800 ℃. The composite exhibited the enhanced strength compared with the unreinforced SKD11 and its reinforcement was most effective at 800 oC. After tensile test, fracture behaviors of the TiC-SKD11 composite were investigated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by investigating microstructures below fractured surface. At 25 and 700 oC, cracks almost initiated at Cr-rich M7C3 carbide and then propagated through adjacent TiC. A significant amount of transgranular TiC cracking was found along the {100} cleavage plane, which was responsible for main fracture of the composite. However, at and above 750 oC debonding of TiC interface began to be operative, which imply that transition temperature from TiC cleavage fracture to interfacial decohesion may be present around 750 oC.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inforcement volume fraction, tensile properties of the TiC-SKD11 composites having 43%, 53%, 64% volume fraction of TiC were obtained at 25 and 700 ℃. The degree of strengthening effect of the composite became significant when volume fraction of reinforcement decreased at 25 ℃, but increased at 700 ℃. In addi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t-treatment, tensile properties of variously heat-treated (as-infiltrated, softening, hardening, hardening followed by 300 ℃ or 500 ℃ tempering) composites having 64% volume fraction of TiC were compared from each other at 25 and 700 oC. At 25 oC, softening heat-treated composite having relatively soft matrix shows the highest degree of strengthening. On the contrary, regardless of the heat-treatment condition, the composites have similar tensile properties 700 oC because the matrices of the composites can be changed to 700 oC tempered structure. Additionally, the strengthening mechanisms of the infiltrated composite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dislocation, residual stress, load transfer from steel to TiC reinforcement. Finite element simulation was conducted to predict quantitatively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iC and steel matrix using ANSYS.

      • 17세기 향촌 사족의 일상 : 김령의 <계암일록>을 중심으로

        오누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조선 중기 경상도 예안현에 거주한 계암(溪巖) 김령(1577-1641)은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 도산서원의 역사상 최연소의 나이인 15세 때 도산서원의 원생이 되어 36세의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대북정권의 독주가 노골화되던 시기에 스스로 낙향을 선택하였으며 그의 명망은 예안과 인근 지역을 넘어 한양까지 알려져 인조실록의 기록에서는 그를 ‘영남의 첫 번째 인물’로 칭한다. 그의 부친 김부륜과 숙부인 김부필 등이 이황의 제자로서 ‘오천 7군자’라 불렸듯이 그 역시 퇴계의 제자들을 포함하여 점차 인맥을 넓히며 폭넓은 교유 관계를 가졌다. 『계암일록(溪巖日錄)』은 김령의 나이 27세부터인 선조 36년(1603)부터 인조 19년(1641) 그가 65세의 나이로 사망하기까지 약 39년 동안 쓰여진 방대한 분량의 일기로 2013년에 완역‧출간되어 최근에 들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본고는 사대부로서의 계암 김령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점을 취하였다. 첫째, 김령이 급제 후 조정에서 근무했던 경험이 그의 높은 학문적 소양을 증명하고 명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경력이 되었음에 주목한다. 둘째, 김령의 교유 양상을 살피고 지역사회와 중앙정부의 동향을 이해하는 양태와 도산서원을 거점으로 하는 향당활동의 면모를 파악하였다. 셋째, 제사 봉행, 친족 모임, 자기 수양 및 섭생의 측면에서 수신제가의 면면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관료 생활과 치국의 참여’ 및 ‘접빈객과 향당(鄕黨) 활동’, 그리고 ‘수신제가의 도리’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그의 삶을 파악하였다. 본고는 향촌 사회 내의 김령의 인맥과 그 범위가 관직 생활을 통해 사회적 공인된 위상을 확보하는 시점 이후로 명백히 달라지는 측면에 주목하여 중앙 정부 업무를 수행한 시기와 그 이후 지역에서 활동하던 시기로 구분지어 관료생활의 경험 서술과 향촌사회 접빈객의 일상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광산 김씨 가문 내에서의 친족교류와 의례 생활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심신의 관리에 접근하여 그의 내밀한 고통과 내적 성장의 이면까지도 바라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는 병마로 인해 좌절하고 은둔하며 지낸 사족에 그치지 않고 존경하던 퇴계의 가르침과 부친의 관료생활을 기억하며 친족의 연대와 지역사회 그리고 중앙정치에 대해 전 인생에 걸쳐 관심과 열정을 보였다. 또한 그가 평생 습득한 성리학적 가치는 어떤 장소에 가든 본인의 소임에 충실하게 하는 사상적 원동력이 되었다. 가정 및 사회와 국가를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이념이 그의 일생 전체를 관통하던 중심이었던 것이다. 계암 김령은 향촌사족으로서 본인의 영달에 치중하던 개인주의적 지식인에 그치지 않았으며, 끊임없이 주변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시야를 확장하고 확고한 사명감으로 삶을 영위한 인물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